KR100572030B1 -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030B1
KR100572030B1 KR1019980064126A KR19980064126A KR100572030B1 KR 100572030 B1 KR100572030 B1 KR 100572030B1 KR 1019980064126 A KR1019980064126 A KR 1019980064126A KR 19980064126 A KR19980064126 A KR 19980064126A KR 100572030 B1 KR100572030 B1 KR 10057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lap
nonwoven fabric
forming
diaper
back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323A (ko
Inventor
정준경
정대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8006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030B1/ko
Publication of KR2000004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응가밴드 또는 베리어 커프(Barrier Cuff)가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지 않는 종류의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Side Flap) 부직포를 적용하여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는 동시에 최종적인 라운드 커팅(Round Cutting) 공정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응가밴드를 형성하는 부직포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종류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동일한 폭의 부직포와 방수필름으로 이루어졌거나 방수필름만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별도의 공정으로 사인형 또는 이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직선을 포함할 수도 있는 곡선 형태로 사이드 플랩 형성 부직포를 이등분하여 한쪽을 절단된 곡선의 1/2주기만큼 앞 또는 뒤로 이동한 후 공정중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주면서 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접착시켜 줌으로써 사이드플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응가밴드 또는 베리어 커프(Barrier Cuff)가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지 않는 종류의 기저귀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Side Flap) 부직포를 적용하여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는 동시에 최종적인 라운드 커팅(Round Cutting) 공정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라 함은 일반적으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과 액체투과성 상부시트, 이들사이에 개재하여 착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와,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기키고 배설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최종적으로 막아주고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리탄성체(Leg Elsatics), 통상 응가밴드 또는 베리어 커프(Barrier Cuff)로 불리우는 제 2 플랩을 형성하는 부직포와 탄성체, 허리탄성체와 테이프를 포함하고, 생산공정중 최종적인 라운드 커팅 공정을 거쳐 기저귀의 모양이 형성되는 일회용 위생용품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이드 플랩(Side Flap)이라 함은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다리 탄성체(Leg Elastics)를 포함하여 패스닝 테이프(Fastening Tape)가 부착되는 지점까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기저귀의 앞쪽과 뒤쪽사이를 형성하고 있는 기저귀의 일부로서, 일반적으로 패스닝 및 릴리이스 테이프(Fastening & Release Tape)가 부착되어 있고, 외관과 착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종적인 라운드 커팅(Roung Cutting) 공정을 거치면서 착용자의 허벅지 및 다리부이에 해당하는 일정부위를 절단시켜 주어 형성되며, 착용자 배부분과 허리부분 파부에 접촉되는 일회용 기저귀의 일부분을 말한다.
제 1 도는 일반적으로 응가밴드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의 종이기저귀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I-I' 선을 따라 기저귀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이기저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기타 방수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필름형태로 만들어진 공지의 플라스틱 필름이 적용되는 통시성 또는 비통기성의 방수필름(3)이 단독으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기타 공지으 합성섬유로 구성된 부직포(Nonwoven)(2)가 열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수필름에 접합되어 한 장의 시이트 형태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Backsheet)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 셀룰로오스(Cellulose)를 주성분으로하는 솜털펄프(Fluff Pulp)(5)와 아크릴 산을 주성분으로 가교결합을 시킨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6)로 구성된 흡수체(Absorbent Core)(1)를 티슈(Tissue)(10)가 공정중에 부가되거나 또는 부가되지 않을 수도 있는 공정을 거쳐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 위에 얹어주고, 흡수체 상부에 센터부직포(Center Nonwonwen)(7) 단독으로 액체투과성 상부시트(Cover Stock)을 형성하거나 또는 센터부직포의 위 또는 아래에 제 2 의 부직포(8)를 접합시켜 액체투과성 상부시트(Cover Stock)를 형성하고, 흡수체의 좌우, 즉 센터부직포의 좌우측에 한쌍의 응가밴드, 즉 베리어 커프(Barrier Cuff)를 형성하는 응가밴드 부직포(4)가 접합된다. 응가밴드 부직포에는 천연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등으로 형성된 공지의 소재인 응가밴드 탄성체(11)가 함께 배설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역시 공지의 소재를 상용한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리탄성체(9) 또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와 센터부직포 사이에 배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저귀의 원재료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일회용 기저귀를 생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시 한정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종류의 기저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센터 부직포(Center Nonwoven)는 액체불투과성 배면 시트와 동일한 폭이 상용되는 것이 통례이며, 센터부직포가 내측의 제 1 베리어 커프를 형성하고, 응가밴드 부직포가 외측의 제 2 베리어 커프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사이드 플랩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는 예외로 하고, 센터 부직포가 액체불투과성배면 시트와 동일한 폭으로 적용되고 베리어 커프가 따로 형성되어 센터 부직포 위에 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에 한정한다.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터 부직포가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와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허벅지와 다리부분에서의 창용성을 향상시키도록 기저귀의 모양을 형성하여 주는 최종적인 라운드 커팅(Round Cutting)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이에 따라 센터 부직포와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의 일부분은 라운드 커팅에 따른 절단부(15)로 폐기되면서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원재료의 낭비는 물론이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폐기물 처리비용 등의 부담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제 3 도는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가 라운드 커팅 공정을 거쳐 기저귀의 모양이 형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는 방수필름(3) 단독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부직포(2)와 접합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공정을 거치면서 라운드 커터(16)을 거쳐 절단부(15)를 잘라내고 최종직인 사이드 플랩의 모양이 형성된다.
제 4 도는 한 장의 응가밴드 부직포를 이등분하여 흡수체의 좌우측에 각각 응가밴드를 형성하는 모든 형태의 기저귀에 있어서 응가밴드가 형성되는 공정의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저귀는 응가밴드 부직포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으며, 따라서 응가밴드 부직포가 라운드 커팅공정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면까지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응가밴드 부직포는 공정중에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지 않도록 절단부에 까지는 접합되어 있지는 않으므로 절단부를 잘라낼 때 폐기되지는 않지만, 센터 부직포와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는 절단되어 폐기되게 된다. 따라서, 최소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있어서 절단부 만큼의 원재료 낭비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합리를 개선하고 원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합리를 개선하고 원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5 도는 응가밴드를 형성하는 부직포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기저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동일한 폭의 부직포와 방수필름으로 이루어졌거나 방수필름만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별도의 공정으로 사인형 또는 이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직선을 포함할 수도 있는 곡선형태로 사이드 플랩 형성 부직포(18)를 이등분하여 한쪽을 절단된 곡선의 1/2 주기만큼 앞 또는 뒤로 이동한 후 공정중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주면서 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접착시켜 줌으로써 사이드플랩을 형성하게 된다.
제 5 도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는 최소한의 방수기능만을 보유하면 기저귀로서의 기능은 이상이 없다. 따라서 흡수체의 배면부에 놓여있는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는 부직포를 한쪽에 최소 5㎜
이상의 열 또는 접착제를 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부(19)만 갖추면 배면시트로서의 기능에는 이상이 없게 되며, 최종적인 라운트 커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라운드 커팅에 따른 재료의 낭비를 개선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또하나의 효과는 통풍성을 향상 시킨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는 방수필름으로 이루어져 통기성이 극히 저조한 것이 통례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도록하여 주는 공정에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를 제외하고 통기성이 뛰어나 부직포로만 사이드 플랩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실질적인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저귀를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는 최소한의 폭만 가지고 있으며,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의 좌우측사이드 플랩부는 부직포로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는 응가밴드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경우, 공정중에서 응가밴드를 형성하는 사이드 부직포를 사인형태의 곡선 또는 이로부터 유도되는 직선을 포함할 수도 있는 곡선으로 절단하여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접착시키거나 또는 응가밴드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이루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앞에서 예시한 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부직포를 절단하여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의 좌우측에 각각 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킴으로써, 특히 최종적인 라운드 커팅 공정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운트 커팅에 따라 폐기되는 원재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착용자의 피부에 실질적인 통기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의 공정에서 쉽게 변형이 가능하여 실제 적용가능성과 유용성이 매우 크다.
제 1 도 : 응가밴드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의 종이기저귀의 평면도
제 2 도 : 제 1 도에 있어서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 3 도 : 일반적인 종이기저귀의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의 구성과 기저귀에 적용시 개략적인 Round Cutting 형태
제 4 도 : 응가밴드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응가밴드 형성공정의 개략도
제 5 도 : 응가밴드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종류의 기저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수체(Absorbent Core) 2: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의 부직포
3: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의 방수필름
4: 응가밴드 또는 베리어 커프(Barrier Cuff)부직포
5: 솜털펄프(Fluff Pulp)
6: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7: 액체투과성 상부시트중 센터부직포(center Nonwoven)
8: 액체투과성 상부시트의 제 2 부직포
9: 다리탄성체(Leg Elastics) 10: 티슈(Tissure)
11: 응가밴드 탄성체(Barrier Cuff Elastics)
12: 패스닝테이스(Fastening Tape) 13: 허리탄성체(waist Elastics)
14: 프론탈테이프(Frontal Tape)
15: 기저귀 형성 최종공정에서 절단되어 폐기되는 부위
16: 라운드 커터(Roung Cutter)
17: 응가밴드 부직포와 센터 부직포의 접착부
18: 사이드 플랩 형성 부직포
19: 사이드 플랩 형성 부직포와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와의 접착부

Claims (2)

  1. 응가밴드를 형성하는 부직포가 사이드 플랩의 일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종류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동일한 폭의 부직포와 방수필름으로 이루어졌거나 방수필름만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별도의 공정으로 사인형 또는 이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직선을 포함할 수도 있는 곡선 형태로 사이드 플랩 형성 부직포를 이등분하여 한쪽을 절단된 곡선의 1/2주기만큼 앞 또는 뒤로 이동한 후 공정중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주면서 열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접착시켜 줌으로써 사이드플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도록 사인형의 곡선 또는 이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직선을 포함할 수도 있는 곡선형태로 절단된 한 장의 부직포를 별도의 공정으로 액체불투과성 배면시트에 접착시켜주는 접착부의 폭이 최소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KR1019980064126A 1998-12-31 1998-12-31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KR10057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126A KR100572030B1 (ko) 1998-12-31 1998-12-31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4126A KR100572030B1 (ko) 1998-12-31 1998-12-31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323A KR20000047323A (ko) 2000-07-25
KR100572030B1 true KR100572030B1 (ko) 2006-06-21

Family

ID=1957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4126A KR100572030B1 (ko) 1998-12-31 1998-12-31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0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1502A (ja) * 1988-02-03 1989-08-14 Zuikou:Kk 使い捨ておむつ
JPH05220191A (ja) * 1992-02-12 1993-08-31 Shiseido Co Ltd 生理用ナプキ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27951B1 (ko) * 1991-09-27 1999-11-01 죠셉 제이. 브린디시 일회용 적층 흡수성 제품의 층 및 이 제품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1502A (ja) * 1988-02-03 1989-08-14 Zuikou:Kk 使い捨ておむつ
KR100227951B1 (ko) * 1991-09-27 1999-11-01 죠셉 제이. 브린디시 일회용 적층 흡수성 제품의 층 및 이 제품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H05220191A (ja) * 1992-02-12 1993-08-31 Shiseido Co Ltd 生理用ナプキ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323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0283B2 (en) Disposable undergarment
JP3605730B2 (ja) ブラウス状外カバーを有する下着に似た使い捨て吸収物品
CA2293043C (en) Disposable diaper
US5824172A (en)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garment comprising dual containment flaps
CA2379473C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0677284B2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containment flaps
RU2674705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поглощающим текучую среду слоем, имеющим каналы
JP2894770B2 (ja) 紙おむつとその製造方法
RU2744367C1 (ru) Впит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x-образную уменьшенную впитывающую секцию, и впитывающие изделия, содержащие такой элемент
JPH114853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423088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A2349355A1 (en) Disposable diaper
RU2752864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эластич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для ног и отворота
JP2003024383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090568B2 (ja) パンツタイプ紙おむつ
KR100430531B1 (ko) 보강된 귀모양 패널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572030B1 (ko) 일회용 흡수제품의 사이드 플랩의 제조방법
JP2003038573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602584Y2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KR100572024B1 (ko) 일회용 흡수제품의 베리어 커프를 형성하는 사이드 플랩의제조방법
JP2003038572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0135240A (ja)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3024382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3093445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3180735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