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544B1 - 로타리형 루퍼 - Google Patents

로타리형 루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544B1
KR100571544B1 KR1020040047201A KR20040047201A KR100571544B1 KR 100571544 B1 KR100571544 B1 KR 100571544B1 KR 1020040047201 A KR1020040047201 A KR 1020040047201A KR 20040047201 A KR20040047201 A KR 20040047201A KR 100571544 B1 KR100571544 B1 KR 10057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ller
iron plate
supplied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378A (ko
Inventor
안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Priority to JP200418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JP3954049B2/ja
Publication of KR2005000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9/00Devices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타리형 루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 파이프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판띠를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회권할 수 있고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低減)할 수 있는 로타리형 루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로타리형 루퍼는 외측 드럼부와 내측 드럼부가 각각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소정의 기대판에 설치되고, 중앙 드럼부는 기대판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를 포함하여, 중앙 드럼부의 회동에 의하여 가이드 로울러를 통하여 출측부로 배출되는 철판띠가 입측부로부터 외측 드럼부에 공급되는 철판띠와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로타리, 루퍼, 철판띠

Description

로타리형 루퍼{Rotary type loop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립식 루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철판띠가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에서 철판띠가 공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의 유도 로울러부와 마찰 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철판띠가 공급 및 저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에서 철판띠가 공급 및 저장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의 텐션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의 중앙 드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의 중앙 드럼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중앙 드럼부가 회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의 회동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직립식 루퍼 20 : 로타리형 루퍼
30 : 외측 드럼부 40 : 내측 드럼부
50 : 중앙 드럼부 60 : 유도 로울러부
65 : 텐션 조절부 70 : 마찰 수단
80 : 입측부 85 : 출측부
100 : 로타리형 루퍼
본 발명은 로타리형 루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 파이프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판띠를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회권할 수 있고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低減)할 수 있는 로타리형 루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퍼는 언코일러(uncoiler)와 조관기(pipe mill) 사이에 설치되어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롤타입의 철판띠(roll type metal strip)를 회권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조관기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루퍼는 조관기에 공급되고 있는 철판띠의 끝단을 새로 공급되어질 철판띠의 선단과 용접하는 시간 동안에 저장하고 있는 철판띠를 조관기에 공급함으로써 용접하는 시간 동안에도 공정을 중단시키지 않고 계속적으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루퍼로는 미국 켄트 주식회사가 개발한 직립식 루퍼(vertical type looper)와, 직립식 루퍼를 개량한 로타리형 루퍼(rotary type looper)가 있다. 상기 직립식 루퍼와 로타리형 루퍼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1347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직립식 루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언코일러(11)로부터 철판띠(13)를 인출하는 입측 핀치 로울러(14)와, 철판띠(13)가 회권되는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과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과, 나선형으로 설치된 나선형 가이드 로울러군(17) 및, 출측 로울러(14a)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과,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 및, 나선형 가이드 로울러군(17)은 소정의 기판대(12)에 설치된다.
즉, 입측 핀치로울러(14)에 의하여 인출된 철판띠(13)는 입측 가이드(18)를 통과하여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의 내측에 밀착되어 한 바퀴 이상을 회전한 다음, 'U'자형으로 굴곡되면서 진행 방향이 바뀌어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의 외부 를 따라서 한 바퀴 정도 회권된 후 나선형 가이드 로울러군(17)를 경유하여 조관기(11a) 쪽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관기(11a) 쪽으로 배출되는 철판띠(13)의 배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입측 핀치 로울러(14)를 구동시켜 철판띠(13)를 인출하면 'U'자형 굴곡부(1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과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에 회권되며 저장된다. 이 때, 철판띠(13)는 탄성과 강성 ??문에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에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철판띠(13)가 한 겹 이상 회권되면 더 이상 밀려들어가기가 어려워져 더 이상의 이송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과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에 회권된 철판띠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되면 'U'자형 굴곡부(19)가 부드럽게 통과하지 못하고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의 직경을,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권되는 철판띠(13)의 겹수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아울러,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도 철판띠(13)가 회권되어 저장되는 동안 그 직경을 팽창시켜 회권되는 철판띠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직립식 루퍼(10)는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과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서 유압 장치와 공압 장치 등의 직경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직립식 루퍼(10)는 제조 과정이 매우 어렵고 복잡하여 매우 고가(高價)일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크고 각 부분의 구동에 따른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
또한, 상기 직립식 루퍼(10)는 철판띠(13)를 입측 핀치 로울러(14)에 의하여 밀어서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회권되는 철판띠(13)가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철판띠(13)가 얇은 경우에 'U'자형 굴곡부(19)의 곡률 반경이 커져서 철판띠(13)가 부드럽게 밀려들어가지 못하고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15)의 초기 위치를 조절하여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16)과 외측 가이드 로울러(15)군 사이의 간격을 좁혀서 작동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직립식 루퍼(10)는 철판띠(13)가 항상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철판띠(13) 사이에 마찰력이 매우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입측 핀치로울러(14)의 구동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커야 한다. 한편, 상기 마찰로 인하여 소음과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직립식 루퍼(10)의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로타리형 루퍼가 제안되었다.
상기 로타리형 루퍼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기대판(21)과, 기대판(21)에 고정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배치된 가이드 로울러군(22a)을 갖는 중앙 드럼(22)과, 중앙 드럼(22)의 외연에 설치된 내측 감김 로울러군(23)과,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25)의 내연과 외연에 각각 설치된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23a)과 외측 감김 로울러군(24), 외측 감김 로울러군(24)의 외부 쪽으로 외측 감김 로울러군(24)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외측 가이드 로울러군(24a) 및 회전 드럼(25)의 내측 가이드 로울러군(23a)과 외측 감김 로울러군(2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내 드럼(26)을 구비한다.
언코일러(11)에 장착된 철판띠(13)는 핀치 로울러(27)의 구동력에 의하여 외측 감김로울러(24)와 외측 가이드로울러군(24a) 사이로 유도된 후, 안내 드럼(26)을 휘돌아 진행 방향이 반대로 되어 내측 감김로울러(23)와 내측 가이드로울러(23a) 사이로 유도된다. 내측 감김로울러(23)와 내측 가이드로울러(23a) 사이로 유도된 철판띠(13)는 나선형 가이드로울러군(22a)을 거쳐, 측정 로울러(28)에 의해 설정된 속도로 조관기(11a)에 공급된다.
이러한 로타리형 루퍼(20)가 철판띠(13)를 회권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핀치 로울러(27)가 측정 로울러(28)의 설정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철판띠(13)를 이송하게 되고, 양측 로울러(27)(28)의 속도 차이만큼 회전 드럼(2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철판띠(13)가 외측 감김 로울러군(24)에 권취하게 됨과 동시에 안내 드럼(26)에 의하여 내측 감김 로울러군(23)에도 권취가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리형 루퍼(20)는 직경 조절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구조가 휠씬 단순하고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다. 또한, 'U'자형 굴곡부(19)에 대응하는 안내 드럼(26)을 구비하기 때문에 철판띠(13)가 변형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타리형 루퍼(2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철판띠(13)를 핀치 로울러(27)로 밀어서 공급하기 때문에 밀려 입력되는 철판띠(13)가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안내 드럼(26)을 휘돌아 방향이 전환되는 철판띠(13)를 가이드하는 부재가 구비되지 않아서 철판띠(13)가 안내 드럼(26)의 외주면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외측 감김 로울러군(24)과 내측 감김 로울러군(23)에 회권되는 철판띠(13)를 수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수직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지 않아서 철판띠(13)가 다수회 회권된 경우에 철판띠(13)가 외측 감김 로울러군(24) 또는 내측 감김 로울러군(23)을 벗어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아울러, 상기 로타리형 루퍼(20)는 핀치 로울러(27)와 회전 드럼(25)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두 개의 구동모터가 각각 필요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나아가, 상기 로타리형 루퍼(20)는 기대판(21)을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제조하고자 하는 금속 파이프와 철판띠의 조건에 따라 기대판(21)의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해 주어야 하지만 상기 로타리형 루퍼(20)는 무거운 중량체이기 때문에 그 조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 드럼부를 기대판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규격과 재질의 철판띠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로타리형 루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측 드럼부와 내측 드럼부를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로타리형 루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드럼부로부터 내측 드럼부로 철판띠를 유도 하는 유도 로울러에 마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철판띠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로타리형 루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루타리형 루퍼는,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를 회권하는 외측 드럼부와, 상기 외측 드럼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판띠를 회권하는 내측 드럼부와, 상기 외측 드럼부에 회권된 철판띠를 상기 내측 드럼부로 유도하는 유도 로울러부 및, 상기 내측 드럼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판띠를 출측부로 공급하는 중앙 드럼부를 포함하는 로타리형 루퍼에 있어서, 상기 외측 드럼부와 내측 드럼부는 각각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소정의 기대판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드럼부는 상기 기대판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를 포함하여, 상기 중앙 드럼부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로울러를 통하여 상기 출측부로 배출되는 상기 철판띠가 상기 입측부로부터 상기 외측 드럼부에 공급되는 상기 철판띠와 평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드럼부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대판에 설치된 외측 드럼과, 상기 외측 드럼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외측 로울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드럼부는 상기 기대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도 로울러부의 유도 로울러는 상기 외측 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드럼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철판띠를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드럼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드럼부까지 소정 간격 및 소정 곡률로 설치되어,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드럼부와, 상기 유도 로울러부와, 내측 드럼부 및, 중앙 드럼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출측부로 공급되고, 상기 외측 드럼부가 정회전함에 따라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로울러에 회권됨과 동시에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경유하여 공급된 상기 철판띠가 상기 내측 드럼부에도 회권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로타리형 루퍼는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통과하는 상기 철판띠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도 로울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마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로타리형 루퍼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대판에 설치된 외측 드럼과, 상기 외측 드럼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외측 로울러들을 포함하는 외측 드럼부; 상기 외측 드럼의 내측에서 상기 기대판에 고정 설치된 내측 드럼과, 상기 내측 드럼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철판띠가 회권되는 내측 로울러들을 포함하는 내측 드럼부; 상기 내측 드럼부의 내측에서 상기 기대판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 드럼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판띠를 출측부로 공급하는 중앙 드럼부; 상기 외측 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드럼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철판띠를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로울러로 유도하도록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드럼까지 소정 간격 및 소정 곡률로 설치된 유도 로울러부; 및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통과하는 상기 철판띠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도 로울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마찰 수단;를 포함하여,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드럼부와, 상기 유도 로울러부와, 내측 드럼부 및, 중앙 드럼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출측부로 공급되고, 상기 외측 드럼부가 정회전함에 따라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로울러에 회권됨과 동시에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경유하여 공급된 상기 철판띠가 상기 내측 로울러에도 회권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타리형 루퍼는 상기 외측 드럼과 내측 드럼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 드럼부는, 그 일면이 상기 기대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면에는 상기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 조절부는, 소정의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스크루; 및 상기 중앙 드럼부의 타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 스크루와 상응하는 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 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 구간 왕복이동 운동을 하여 상기 중앙 드럼부가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타리형 루퍼는 유도 로울러부와 내측 로울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로울러부로부터 상기 내측 로울러로 공급되는 상기 철판띠를 상기 내측 로울러 쪽으로 바이어싱하는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텐션 조절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레버의 일단에 상기 철판띠에 접하도록 설치된 텐션 로울러; 상기 레버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 로울러의 회동에 저항하는 바이어싱력을 제공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바이어싱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바이어싱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철판띠의 텐션 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드럼부는 상기 외측 드럼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설치된 외측 수직 로울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드럼부는 상기 내측 드럼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설치된 내측 수직 로울러를 포함하여, 회권되는 상기 철판띠가 각각 상기 외측 수직 로울러와 상기 내측 수직 로울러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철판띠가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로타리형 루퍼에서 철판띠가 공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로타리형 루퍼(100)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외측 드럼부(30)와, 외측 드럼부(30)의 내측에 설치된 내측 드럼부(40)와, 내측 드럼부(40)의 내측에서 기대판(92)에 소정 각도 회동 가 능하게 설치된 중앙 드럼부(50)와, 외측 드럼부(30)로부터 내측 드럼부(40)까지 철판띠(13)를 유도하는 유도 로울러부(60) 및, 유도 로울러부(60)를 통과하는 철판띠(13)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철판띠(13)는 언코일러(미도시)로부터 공급되어 입측부(80)와, 외측 드럼부(30)와, 유도 로울러부(60)와, 내측 드럼부(40), 및 중앙 드럼부(5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출측부(85)로 배출된다.
상기 입측부(8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된 입측 이송 로울러(81)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철판띠(13)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입측 수직 로울러(82)와, 실린더에 의하여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며 철판띠(13)와 밀착하는 입측 밀착 로울러(8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측 이송 로울러(81)는 입측부(8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한 쌍씩 수평으로 설치되어 철판띠(13)를 가이드한다. 입측 수직 로울러(82)는 철판띠(13)가 입측부(80)를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에서 철판띠(13)를 가이드 한다. 입측 밀착 로울러(83)는 외측 드럼(31)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철판띠(13)가 수직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출측부(85)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된 출측 이송 로울러(86)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철판띠(13)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출측 수직 로울러(87)와, 실린더에 의하여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며 철판띠(13)와 밀착하는 출측 밀착 로울러(8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측 이송 로울러(86)는 출측부(85)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한 쌍씩 수평으로 설치되어 철판띠(13)를 가이드한다. 출측 수직 로울러(87)는 철판띠(13)가 출측부(85)를 이탈하지 않도록 측면에서 철판띠(13)를 가이드 한다. 출측 밀착 로울러(88)는 외측 드럼(31)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철판띠(13)가 수직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외측 드럼부(30)는 구동 모터(도 5의 91)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대판(92)에 설치된 외측 드럼(31)과, 상기 외측 드럼(31)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외측 로울러들(33)을 포함한다. 외측 드럼부(30)는 입측부(80)로부터 철판띠(13)를 공급받아 외측 로울러들(33)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주면에 회권하고, 유도 로울러부(60)를 통하여 내측 드럼부(40)에 공급한다.
상기 외측 드럼(31)은 기대판(9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외측 드럼(31)과 기대판(92)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중앙 드럼부(50)가 기대판(92)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입측부(80)를 통하여 공급되는 철판띠(13)와 출측부(85)로 배출되는 철판띠(13)를 서로 평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상기 외측 드럼(31)은 구동 모터(9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다. 외측 드럼(31)의 후면에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럼링(34)이 고정 설치된다. 드럼링(34)의 내주면에는 기대판(92)에 그 축이 고정된 지지 로울러(34b)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드럼링(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드럼링(34)의 외주면에는 드라이빙 레일(34a)이 설치된다. 드라이빙 레일(34a)은 구동 모터(91)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드라이빙 기어(34c)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즉, 구동 모터(91)의 구동력은 구동 드라이빙 기어(34c)와 드라이빙 레일(34a) 및 드럼링(34)을 통하여 외측 드럼(31)에 전달되어 외측 드럼(31)을 회전시킨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정회전'이라 함은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고, '역회전'이라 함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드럼부(30)는 외측 드럼(31)의 회전수와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 감지 수단(35)을 구비한다. 회전 감지 수단(35)은 외측 드럼(31)에 설치되어 소정의 광선을 발(發)하는 광선부(35a)와, 기대판(92)에 설치되어 광선부(35a)의 광선을 감지하는 광센서(35b)를 포함한다. 즉, 외측 드럼(31)이 회전됨에 따라 광센서(35b)가 광선을 감지하여 회전수와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광센서(35b)에서 측정된 회전수와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일 회전당 철판띠(13)의 회권 길이를 계산하고, 외측 드럼(31)이 역회전하여 철판띠(13)를 배출할 경우에는 역회전해야 하는 역회전수를 연산한다.
상기 외측 로울러(33)는 외측 드럼(31)에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외측 드럼(31)이 회전됨에 따라 철판띠(13)를 회권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로울러(33)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한 쌍의 외측 수직 로울러(32)가 설치된다. 외측 수직 로울러(32)는 외측 로울러(33)에 회권되는 철판띠(1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외측 수직 로울러(32)는 회권되는 철판띠(13)의 폭에 따라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측 수직 로울러(32) 중 어느 하나는 외측 드럼(31)에 고정 설치되고, 나 머지 어느 하나는 외측 스크루봉(32a)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너트(32b)에 설치되어 외측 스크루봉(32a)이 회전됨에 따라 왕복 이동을 한다.
상기 외측 스크루봉(32a)은 외측 스크루봉(32a)과 결합된 외측 스프라켓(32c) 및, 외측 스프라켓(32c)을 회전시키는 외측 체인(32d)에 의하여 회전된다. 즉, 외측 체인(32d)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한 쌍의 외측 수직 로울러(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참조부호 32e는 외측 체인(32d)의 텐션을 조절하는 보조 스프라켓이다.
상기 유도 로울러부(60)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로울러(33)를 경유한 철판띠(13)가 자연스럽게 내측 드럼부(40)로 유도되도록 소정 곡률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유도 로울러부(60)는 외측 드럼(31)에 설치되어 외측 드럼(31)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유도 로울러부(60)는 외측 드럼(31)과 함께 회전되며 외측 로울러(33)와 내측 로울러(42)에 철판띠(13)를 동시에 회권한다. 즉,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드럼(31)이 회전됨에 따라 외측 로울러(33)에 철판띠(13)가 회권됨과 동시에 외측 로울러(33)에 여러 겹수로 회권된 철판띠(13) 중에서 안쪽에 회권된 철판띠(13)부터 유도 로울러부(60)를 경유하여 내측 로울러(42)에 회권된다.
상기 내측 로울러(42)로 공급되어 회권된 철판띠(13)는 경사부(44)를 경유하여 중앙 드럼부(50)에 공급된다. 즉, 조관기(미도시)에 설치된 인출 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철판띠(13)를 인출함에 따라 내측 로울러(42)의 안쪽에 회권된 철판띠(13)부터 경사부(44) 및 중앙 드럼부(50)를 경유하여 출측부(85)에 공급된 다.
이러한 과정에서, 구동 모터(91)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출측부(85)쪽으로 공급되는 철판띠(13)의 인출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외측 드럼(31)을 회전시키면 외측 로울러(33)와 내측 로울러(42)에 철판띠(13)가 회권되어 저장된다.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된 철판띠(13)의 길이에서 출측부(85)로 배출된 철판띠(13)의 길이를 뺀 만큼의 철판띠(13)가 루퍼(100)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타리형 루퍼(100)는 유도 로울러(61)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마찰 수단(70)을 구비한다. 마찰 수단(7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도 로울러(61)가 배치된 상기 곡률과 상응하는 형상의 마찰 패드(71)와, 마찰 패드(71)를 유도 로울러(61)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73)를 구비한다.
상기 마찰 패드(71)는 유도 로울러(61)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철판띠(13)에 마찰을 가함으로써 철판띠(13)가 적정량만큼 내측 로울러(42)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철판띠(13) 자체의 탄성이나 외측 드럼(31)의 회전 상태가 불안정한 요인 등으로 인하여 철판띠(13)가 과도하게 내측 로울러(4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마찰 패드(71)는 외측 드럼(31)이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철판띠(13)가 유도 로울러부(6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73)는, 외측 드럼(31)에 고정된 고정판(73a)과, 고정판(73a)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73b), 및 고정판(73a)의 너트공(73c)에 삽입되어 이동판(73b)을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스크루(73d)를 포함한다. 즉, 이동 스크루(73d)의 회전에 의해 이동판(73b)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동판(73b)의 이동에 의해 마찰 패드(71)가 가압되어 철판띠(13)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판(73b)과 마찰 패드(71)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73e)이 설치된다. 탄성 수단(73e)은 과도한 마찰력이 철판띠(1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도 로울러부(60)를 경유한 철판띠(13)는 내측 로울러(42)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터리형 루퍼(100)는 유도 로울러부(60)를 경유한 철판띠(13)에 소정의 텐션을 가하는 텐션 조절부(65)를 구비한다.
상기 텐션 조절부(65)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축(65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레버(65b)와, 철판띠(13)의 하부에서 철판띠(13)에 접하도록 레버(65b)의 일단에 설치된 텐션 로울러(65c)와, 레버(65b)의 타단에 설치되어 텐션 로울러(65c)의 회동에 저항하는 바이어싱력을 제공하는 피스톤 부재(65d), 및 피스톤 부재(65d)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바이어싱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 로울러(65c)는 철판띠(13)가 바깥쪽으로 움직이면 하측으로 움직이면서 철판띠(13)를 상측으로 바이어싱한다. 즉, 레버(65b)가 회동되어 피스톤 부재(65d)의 로드가 늘어나면서 철판띠(13)를 상측으로 바이어싱한다. 상기 로드는 철판띠(13)가 다시 원상태로 되면 원래의 위치로 회복된다.
상기 바이어싱 센서는 이러한 피스톤 부재(65d)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그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서 구동 모터(91)의 구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철판띠(13)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드럼부(40)는, 도 3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대판(92)에 고정 설치된 내측 드럼(43)과, 내측 드럼(43)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내측 로울러(42)들을 포함한다. 내측 드럼부(40)는 유도 로울러부(60)를 경유하여 공급된 철판띠(13)를 중앙 드럼부(50)로 공급한다.
상기 내측 드럼(43)은 기대판(92)의 외측 드럼부(30)의 내측에 설치된다. 내측 로울러(42)는 내측 드럼(43)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외측 드럼부(30)와 유도 로울러(61)를 통하여 공급된 철판띠(13)를 회권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로울러(42)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한 쌍의 내측 수직 로울러(45)가 설치된다. 내측 수직 로울러(45)는 내측 로울러(42)에 회권되는 철판띠(1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내측 수직 로울러(45)는 회권되는 철판띠(13)의 폭에 따라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내측 수직 로울러(45) 중 어느 하나는 내측 드럼(43)에 고정 설치되고, 나머지 어느 하나는 내측 스크루봉(45a)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너트(45b)에 설치되어 내측 스크루봉(45a)이 회전됨에 따라 왕복 이동을 한다.
상기 내측 스크루봉(45a)은 내측 스크루봉(45a)과 결합된 내측 스프라켓(45c) 및, 내측 스프라켓(45c)을 회전시키는 내측 체인(45d)에 의하여 회전된다. 즉, 내측 체인(45d)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한 쌍의 내측 수직 로울러(4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참조부호 45e는 내측 체인(45d)의 텐션을 조절하는 보조 스프라켓이다.
상기 내측 드럼부(40)를 경유한 철판띠(13)는 로울러를 경사지게 설치한 경사부(44)를 거쳐서 중앙 드럼부(50)에 공급된다. 상기 경사부(44)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 드럼부(40)와 중앙 드럼부(50)의 사이에서 철판띠(13)를 중앙 드럼부(50)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상기 중앙 드럼부(50)는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51)와, 중앙 드럼(53)을 기대판(92)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중앙 드럼부(50)는 기대판(9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출측부(85)로 배출되는 철판띠(13)를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되는 철판띠(13)와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로울러(51)는,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내측 로울러(42)와 경사부(44)를 경유한 철판띠(13)를 출측부(85)로 공급한다.
상기 회동 조절수단은 중앙 드럼(53)의 일면에 설치되어 회동의 중심을 이루는 회동 중심부(54)와, 중앙 드럼(53)의 타면에 설치되어 회동각을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55)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 중심부(54)는, 기대판(92)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축핀(54a)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핀홀이 형성된 제1 고정편(54b)과, 상기 핀홀과 상응하는 핀홀이 형성되고 중앙 드럼(53)에 고정된 제2 고정편(54c), 및 상기 제1,2 고정편(54b)(54c)의 핀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축핀(54a)을 포함한다. 제1 고정편(54b)과 제2 고정편(54c)은 축핀(54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핀(54a)은 지면에 대해 45°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축핀(54a)은 중앙 드럼부(50)가 좌상(左上) 방향과 우하(右下)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해 45°로 설치된다. 도 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중앙 드럼부(50)는 기대판(92)에 수직으로 위치한 것을 나타내고, 실선으로 표시된 중앙 드럼부(50)는 우하 방향으로 45°회동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회동 조절부(55)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의 지지대(55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스크루(55b)와, 중앙 드럼(50)의 타면에 고정되며 회동 스크루(55b)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고정 너트(55c)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 스크루(55b)는 끝단이 지지대(55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 스크루(55b)는 고정 너트(55c)에 형성된 너트(55d)와 상응하는 나사산을 외주면에 구비한다.
상기 고정 너트(55c)는 중앙 드럼(53)의 타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회동 스크루(55b)와 상응하는 너트(55d)가 형성된다. 즉, 회동 스크루(55b)가 회전하면 고정 너트(55c)가 소정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즉, 회동 스크루(55b)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 너트(55c)가 이동을 하고, 회동 스크루(55b)가 회동을 하면 중앙 드럼(53)도 회동을 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 드럼(53)이 기대판(92)에 수직으로 된 경우에는 가이드 로울러(51)를 경유하여 출측부(85)로 공급되는 철판띠(13)가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되는 철판띠(13)와 평행하지 않고 소정 각도(θ1)를 이루게 된다. 상기 θ1이 클수록 철판띠(13)가 손상될 가능성이 크고 소음도 크게 발생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 드럼부(50)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되는 철판띠(13)와 가이드 로울러(51)를 경유하여 출측부(85)로 공급되는 철판띠(13)가 평행하게 된다. 중앙 드럼부(50)의 회동각은 철판띠(13)의 폭, 강성, 탄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된 철판띠(13)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로울러(33)의 일부와, 유도 로울러(61)와, 내측 로울러(42)의 일부와, 및 가이드 로울러(51)를 경유하여 출측부(85)로 공급한다. 철판띠(13)는 조관기(미도시)에 설치된 인출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하여 인출되어 출측부(85)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 드럼부(50)를 소정 각도 회동 시켜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된 철판띠(13)와 출측부(85)로 공급되는 철판띠(13)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 각도는 철판띠(13)의 폭, 탄성, 강성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철판띠(13)를 상기 로타리형 루퍼(100)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구동 모터(91)를 구동시켜 외측 드럼(31)을 정회전,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91)의 구동력은 구동 드라이빙 기어(34c)와, 드럼링(34)의 외주면에 설치된 드라이빙 레일(34a)과, 외측 드럼(31)에 고정 설치된 드럼링(34)을 통하여 외측 드럼(31)에 전달된다.
철판띠(13)가 출측부(85)로 배출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외측 드럼(31)이 회전되면 철판띠(13)는 외측 로울러(33)에 회권되고, 이와 동시에 내측 로울러(42)에도 회권된다. 즉, 외측 드럼(31)에 설치된 유도 로울러부(60)가 외측 드럼(31)과 함께 회전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로울러(33)에 철판띠(13)가 회권됨과 동시에, 외측 로울러(33)에 여러 겹수로 회권된 철판띠(13) 중에서 안쪽에 회권된 철판띠(13)부터 유도 로울러부(60)를 경유하여 내측 로울러(42)에 회권된다.
상기 내측 로울러(42)에 공급되어 회권된 철판띠(13)는 경사부(44)를 경유하여 중앙 드럼부(50)에 공급된다. 즉, 조관기(미도시)에 설치된 인출 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철판띠(13)를 인출함에 따라 내측 로울러(42)의 안쪽에 회권된 철판띠(13)부터 경사부(44) 및 중앙 드럼부(50)를 경유하여 출측부(85)에 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마찰 수단(70)은 유도 로울러부(60)를 경유하여 내측 로울러(42)로 공급되는 철판띠(13)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적정량의 철판띠(13)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텐션 조절부(65)는 공급되는 철판띠(13)의 양이 과다하여 철판띠(13)가 바깥쪽으로 움직이면 철판띠(13)를 내측 로울러(42)쪽으로 바이어스한다. 이와 동시에 바이어싱 센서(미도시)는 피스톤 부재(65d)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그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91)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외측 드럼(3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철판띠(13)의 저장이 완료되면 외측 드럼(3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외측 드럼(31)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인출 모터에 의한 인출 속도만큼 철판띠(13)가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된다. 즉, 입측부(80)로부터 공급된 철판띠(13)는 외측 로울러(33)와, 유도 로울로(61)와, 내측 로울러(42), 및 가이드 로울러(5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출측부(85)로 공급된다. 이 때, 외측 로울러(33)의 안쪽에 회권된 철판띠(13)부터 내측 로울러(42)로 공급되고, 내측 로울러(42)의 안쪽에 회권된 철판띠(13)부터 가이드 로울러(51)로 공급된다.
이어서, 언코일러(미도시)에 권취된 철판띠(13)가 일정량 이하로 줄어들면 새로운 철판띠의 선단을 공급 중인 철판띠(13)의 끝단과 용접하기 위해서 외측 드럼(31)을 역회전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출측부(85)로 배출되는 철판띠(13)의 배출 속도와 동일하게 외측 드럼(31)을 역회전시키면 내측 로울러(42)와 외측 로울러(33)에 회권된 철판띠(13)가 출측부(85)로 공급되고, 입측부(80)를 통한 철판띠(13)의 유입은 정지된다. 마찰 수단(70)은 유도 로울러부(60)를 경유하는 철판띠(13)를 가압함으로써 철판띠(13)가 유도 로울러부(60)를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내측 로울러(42)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철판띠(13)의 유입이 정지되기 때문에 새로운 철판띠(13)의 선단을 공급 중인 철판띠(13)의 끝단과 용접할 수 있다. 즉, 용접 때문에 작업 공정이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형 루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중앙 드럼부를 기대판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규격과 재질의 철판띠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외측 드럼부와 내측 드럼부를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셋째, 외측 드럼부로부터 내측 드럼부로 철판띠를 유도하는 유도 로울러에 마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철판띠의 손상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Claims (9)

  1.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를 회권하는 외측 드럼부와, 상기 외측 드럼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판띠를 회권하는 내측 드럼부와, 상기 외측 드럼부에 회권된 철판띠를 상기 내측 드럼부로 유도하는 유도 로울러부 및, 상기 내측 드럼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판띠를 출측부로 공급하는 중앙 드럼부를 포함하는 로타리형 루퍼에 있어서,
    상기 외측 드럼부와 내측 드럼부는 각각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소정의 기대판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드럼부는,
    그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가이드 로울러가 설치되며, 그 일면이 상기 기대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면에 상기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 조절부는,
    소정의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스크루; 및
    상기 중앙 드럼부의 타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 스크루와 상응하는 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 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 구간 왕복이동 운동을 하여 상기 중앙 드럼부가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중앙 드럼부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로울러를 통하여 상기 출측부로 배출되는 상기 철판띠가 상기 입측부로부터 상기 외측 드럼부에 공급되는 상기 철판띠와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드럼부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대판에 설치된 외측 드럼과, 상기 외측 드럼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외측 로울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드럼부는 상기 기대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도 로울러부의 유도 로울러는 상기 외측 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드럼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철판띠를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드럼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드럼부까지 소정 간격 및 소정 곡률로 설치되어,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드럼부와, 상기 유도 로울러부와, 내측 드럼부 및, 중앙 드럼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출측부로 공급되고,
    상기 외측 드럼부가 정회전함에 따라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로울러에 회권됨과 동시에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경유하여 공급된 상기 철판띠가 상기 내측 드럼부에도 회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통과하는 상기 철판띠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도 로울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마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4. 구동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대판에 설치된 외측 드럼과, 상기 외측 드럼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외측 로울러들을 포함하는 외측 드럼부;
    상기 외측 드럼의 내측에서 상기 기대판에 고정 설치된 내측 드럼과, 상기 내측 드럼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철판띠가 회권되는 내측 로울러들을 포함하는 내측 드럼부;
    상기 내측 드럼부의 내측에서 상기 기대판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설치된 가이드 로울러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 드럼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철판띠를 출측부로 공급하는 중앙 드럼부;
    상기 외측 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 드럼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철판띠를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로울러로 유도하도록 상기 외측 로울러로부터 상기 내측 드럼까지 소정 간격 및 소정 곡률로 설치된 유도 로울러부; 및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통과하는 상기 철판띠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도 로울러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마찰 수단;를 포함하여,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드럼부와, 상기 유도 로울러부와, 내측 드럼부 및, 중앙 드럼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출측부로 공급되고,
    상기 외측 드럼부가 정회전함에 따라 상기 입측부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상기 외측 로울러에 회권됨과 동시에 상기 유도 로울러부를 경유하여 공급된 상기 철판띠가 상기 내측 로울러에도 회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드럼과 내측 드럼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드럼부는,
    그 일면이 상기 기대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면에는 상기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 조절부는,
    소정의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스크루; 및
    상기 중앙 드럼부의 타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 스크루와 상응하는 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 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소정 구간 왕복이동 운동을 하여 상기 중앙 드럼부가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로울러부와 내측 로울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로울러부로부터 상기 내측 로울러로 공급되는 상기 철판띠를 상기 내측 로울러 쪽으로 바이어싱하는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레버의 일단에 상기 철판띠에 접하도록 설치된 텐션 로울러;
    상기 레버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 로울러의 회동에 저항하는 바이어싱력을 제공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피스톤 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바이어싱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바이어싱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철판띠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드럼부는 상기 외측 드럼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설치된 외측 수직 로울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드럼부는 상기 내측 드럼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설치된 내측 수직 로울러를 포함하여,
    회권되는 상기 철판띠가 각각 상기 외측 수직 로울러와 상기 내측 수직 로울러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형 루퍼.
KR1020040047201A 2003-06-25 2004-06-23 로타리형 루퍼 KR10057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7020A JP3954049B2 (ja) 2003-06-25 2004-06-24 ロータリー型ルー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634 2003-06-25
KR20030041634 2003-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378A KR20050001378A (ko) 2005-01-06
KR100571544B1 true KR100571544B1 (ko) 2006-04-17

Family

ID=3721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201A KR100571544B1 (ko) 2003-06-25 2004-06-23 로타리형 루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71544B1 (ko)
MY (1) MY141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73B1 (ko) 2014-12-02 2015-03-16 주식회사 풍산테크 메탈 스트립 어큐뮬레이터
KR101695102B1 (ko) * 2015-08-07 2017-01-10 주식회사 신한정공 스트립 어큐뮬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665B1 (ko) * 2009-05-26 2012-10-22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속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연 속도 제어 장치
KR102369381B1 (ko) 2019-06-13 2022-03-02 주식회사 디엠씨 버티컬 스트립 어큐물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73B1 (ko) 2014-12-02 2015-03-16 주식회사 풍산테크 메탈 스트립 어큐뮬레이터
KR101695102B1 (ko) * 2015-08-07 2017-01-10 주식회사 신한정공 스트립 어큐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378A (ko) 2005-01-06
MY141777A (en)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1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tch wrapping a plurality of tubes
JPH05131565A (ja) 細幅帯状体の巻き付け装置
KR100571544B1 (ko) 로타리형 루퍼
CN110709186A (zh) 用于焊接设备或钎焊设备的线材矫直装置
JP3954049B2 (ja) ロータリー型ルーパ
US4895011A (en) Continuously balance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elongate materials
EP15958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emporarily storing linear body
KR100313474B1 (ko) 로터리식 루퍼
KR102369381B1 (ko) 버티컬 스트립 어큐물레이터
KR100655476B1 (ko) 로타리형 루퍼
KR100473194B1 (ko) 스트립의 저장 및 배출장치
US4436296A (en) Feeder device for folding machines
KR100765042B1 (ko)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0599421B1 (ko) 스트립의 저장 및 배출장치
CN100357046C (zh) 旋转型打环装置
AU201826575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supply of a filament
JP2005280941A (ja) 線材巻取り装置
JPS6132226B2 (ko)
KR200303927Y1 (ko) 스트립의 저장 및 배출장치
US5443221A (en) Take-out arbor for a strip accumulator
JPH0788554A (ja) ストリップ巻取機のサイドガイド設備
RU20951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нтрирования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40039920A (ko) 스트립의 저장 및 배출장치
KR102408093B1 (ko) 수상용 펜스 권취장치
FI118259B (fi) Menetelmä ja laite rainan ohjaa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