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296B1 -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296B1
KR100570296B1 KR1020040015181A KR20040015181A KR100570296B1 KR 100570296 B1 KR100570296 B1 KR 100570296B1 KR 1020040015181 A KR1020040015181 A KR 1020040015181A KR 20040015181 A KR20040015181 A KR 20040015181A KR 100570296 B1 KR100570296 B1 KR 10057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front cover
kimchi
main body
kimchi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666A (ko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2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두 개의 저장실을 갖는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발생하는 여유 공간에 수납부를 형성해 곡식이나 일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는, 본체의 내부에 두 개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기계실을 구비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기계실의 전방에 하부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수납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를 상하로 분리 절단하여 그 중에서 하부 프론트 커버를 도어로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는,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고, 기계실의 소음과 진동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응축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 베이스 패널의 크기를 줄여 제작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는 김치저장고의 프론트 커버를 분리하여 활용함으로써,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전방 개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김치저장고, 수납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Closet for kimchi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김치저장고 측면 단면도
도 2는 종래 수납부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저장고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본체 120 : 저장실
130 : 하부 수납부 140 : 상부 프론트 커버
142 : 자석 스위치 144 : 램프
146, 154 : 홈 150 : 하부 프론트 커버
152 : 브라켓 152a, 156 : 돌기
158 : 자석
본 발명은 두 개의 저장실을 갖는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발생하는 여유 공간에 수납부를 형성해 곡식이나 일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는 문을 자주 여닫는 과정에서 냉장고 내부 온도가 심하게 변하므로 김치의 보존 기간이 짧으며, 김치의 특성 상 알맞은 숙성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온도는 일반 냉장식품보다 저온이므로 일반 냉장고에는 장기간 보존하기가 어려워 김치저장고를 따로 사용한다.
이러한 김치저장고는 도어 개폐 방식에 따라 도어가 상부면에 힌지로 부착되어 있는 상부 개폐식과, 도어가 서랍 형태로 이루어진 서랍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상부 개폐식 김치저장고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일반적인 김치저장고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수납부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저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도어(2)와, 상기 도어(2)에 의해 개폐되고 증발관(3) 및 단열재(4)에 둘러싸인 저장실(5)과, 상기 본체(1) 내의 후방 하부로 위치한 기계실(6)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전방 상단부에는 기기의 동작을 위한 조작부(7)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저장실(5)에는 김치를 수용하는 저장용기(8)가 들어가 있으며, 상기 기계실(6) 안에는 압축기(9)와 응축기 및 블로어 등의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김치저장고는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로, 저장실의 하부 에 위치한 기계실의 전방에는 많은 공간이 남게 되었다.
즉,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하부는 수평을 유지하여 설치되고, 내부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기계실은 차지하는 면적이 한정되므로, 김치저장고가 커질수록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는 많은 공간이 남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김치저장고는 이러한 여유 공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고, 이렇게 기계실 공간이 크면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응축기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패널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제작비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하부의 여유공간에 일반 수납부를 구비한 김치저장고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를 구비한 김치저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60)와, 상기 본체(6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도어(20)와, 상기 도어(20)에 의해 개폐되는 상부 저장실(30)과, 상기 본체(60) 내의 후방 하부로 위치한 기계실(50)과, 상기 본체(60)의 하부에 상기 기계실(50)의 전방으로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좌우로 개구를 갖는 하부 수납부(40)와, 상기 하부 수납부(40)를 개폐하도록 좌우에 형성된 각각의 도어(4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수납부(40)는 냉각장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일반적인 물품들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고, 좌우로 움직이면서 개폐되는 것으로 김치저장고의 어느 한 측면을 벽쪽으로 설치하게 되면 다른 쪽 측면에서 하부 저장실 전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저장실(30)은 증발관(32)과 단열재(31) 에 둘러싸여 냉각기능을 갖는 저장용기(33)를 수용하고 있고, 상기 본체(60)의 전방 상단부에는 김치저장고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65)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기계실(50) 안에는 압축기(51)를 비롯한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납부(40)는 상기 기계실(50)의 좌측 즉, 정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위치하고 가이드레일(42)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된다.
그러나, 이러한 김치저장고의 경우에도 상기 하부 수납부(40)는 서랍식으로 이를 별도로 제작했으므로 비용이 상승하였고, 이 하부 수납부(40)를 개폐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2) 등을 김치저장고 내부케이스에 별도 형성해야 했으므로 제작과정이 복잡했다.
또한, 통상 김치저장고는 다른 가전제품들처럼 벽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좌우측에 냉장고와 같은 주방 가전제품이나 싱크대가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전면으로만 여유 공간이 생기는 것이 보통이었는데, 상기 하부 수납부(40)는 측면에 여유 공간이 있어야만 개폐가 가능했고, 특히 김치저장고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욱 여유 공간이 많이 필요했으므로 매우 불편하여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전방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을 활용하지 못했고, 소음과 진동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제작비 상승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여유공간에 수납부를 형성한 김치저장고를 제안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며 개폐구조가 매우 불편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전방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김치저장고의 하부 외관 커버를 문으로 형성해 상기 수납공간이 전방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는,
본체의 내부에 두 개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기계실을 구비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기계실의 전방에 하부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수납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를 상하로 분리 절단하여 그 중에서 하부 프론트 커버를 도어로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의 일측 하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된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돌기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에 홈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상부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에 결합되도록 상부 프론트 커버의 하부에는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되는 쪽으로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상하부 모서리 내측에는 각각 자석을 설치해 상기 본체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된 자석이 탈부착함에 따라 자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의 하부 일측에 자석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자석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램프를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의 하부 중앙에 설치하며, 상기 본체에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좌우면에는 가스켓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저장고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는 본 발명에 의한 김치저장고를 보인 것으로, 내부에 저장실(120)을 구비한 본체(110)의 하부에는 저장공간을 갖는 하부 수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납부(130)를 전방으로 개폐하도록 도어(150)가 형성된다.
즉, 저장실(120)의 하부이자, 미도시된 기계실의 전방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을 하부 수납부(130)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 수납부(13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50)는 상기 본체(110)의 프론트 커버(140,150)를 상하로 분리 절단하여 그 중에서 하부 프론트 커버(150)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 프론트 커버(140)는 종래와 같이 본체(110)의 외관을 형성하고, 하부 프론트 커버(150)는 일측면이 브라켓(152)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면에 자석(158)이 구비되어 본체(110)에 탈부착함으로써, 상기 하부 수납부(130)를 개폐하는 도어(150)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수납부(130)는 냉각기능을 갖지 않는 공간으로 곡물이나 소형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김치저장고의 본체(110)와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결합 구조를 부분 확대도에 의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A와 C에 도시한 것은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연결 부분을 보인 것으로,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상부에는 돌기(156)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40)의 하부에는 홈(146)을 형성해 결합하며, 상기 본체(110)의 하단부에는 일단에 돌기(152a)가 형성된 브라켓(152)을 설치하고 이에 결합하도록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하부에는 홈(154)을 형성한다.
즉, 본체(110)의 일측 하부에는 돌기(152a)를 갖고 절곡 형성된 브라켓(152)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에 홈(154)을 형성해 상기 브라켓(152)의 돌기(152a)에 끼움으로써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하부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상부에는 돌기(156)를 형성해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40)의 하단에 형성된 홈(146)에 끼움으로써 결합을 완성한다.
그리고, B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되는 쪽으로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상하부 모서리 내측에는 각각 자석(158)을 설치해 상기 본체(110)에 탈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4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램프(144)를 설치하는데,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140)의 하부 일측에 자석 스위치(14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된 자석(158)이 탈착함에 따라 상기 램프(144)가 온/오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150)의 좌우면에는 가스켓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두 개의 저장실(120)을 갖는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발생하는 여유 공간에 하부 수납부(130)를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고, 기계실 공간이 좁아지므로 소음과 진동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응축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 베이스 패널의 크기를 줄여 제작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수납부(13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50)는 김치저장고 본체(110)의 프론트 커버(140,150)를 상하로 분리 절단하여 그 중에서 하부 프론트 커버(150)를 활용함으로써,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전방 개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저장실을 갖는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내부에 발생하는 여유 공간에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곡식이나 소형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고, 기계실의 소음과 진동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응축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계실 베이스 패널의 크기를 줄여 제작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는 김치저장고의 프론트 커버를 분리하여 활용함으로써,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전방 개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부 개폐식 도어를 갖는 두 개의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구비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전방에 형성된 하부 수납부를 갖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프론트 커버를 상하로 분리 절단하여 그 중에서 하부 프론트 커버를 도어로 사용하되;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를 회전식 도어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 하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된 브라켓이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의 돌기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돌기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상부 프론트 커버의 하부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반대편인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상하부 모서리 내측에는 각각 자석을 설치해 도어의 회전 개폐에 따라 시 상기 본체에 도어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상부 모서리에 설치된 자석이 탈부착함에 따라 자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의 하부 일측에 자석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자석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램프를 상기 상부 프론트 커버의 하부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접촉하는 상기 하부 프론트 커버의 좌우면에는 가스켓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KR1020040015181A 2004-03-05 2004-03-05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KR10057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181A KR100570296B1 (ko) 2004-03-05 2004-03-05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181A KR100570296B1 (ko) 2004-03-05 2004-03-05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666A KR20050089666A (ko) 2005-09-08
KR100570296B1 true KR100570296B1 (ko) 2006-04-12

Family

ID=3727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181A KR100570296B1 (ko) 2004-03-05 2004-03-05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2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666A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99552A (ja) 冷却貯蔵庫
KR20080079112A (ko) 냉장고
JP2013195030A (ja) 冷蔵庫
JP2010203735A (ja) 冷蔵庫
RU2009107201A (ru) Холодильник
JP6594454B2 (ja) 冷蔵庫
KR100570296B1 (ko)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JP2009019793A (ja) 冷蔵庫
JP5254067B2 (ja) 冷蔵庫
JP2017161143A (ja) 冷蔵庫
JP2010032119A (ja) 冷蔵庫
JP2005069533A (ja) 冷蔵庫
JP2005221211A (ja) 冷蔵庫
KR20110040572A (ko) 주방가구용 빌트인 냉장고
KR101803625B1 (ko) 냉장고
JP2005282897A (ja) 冷蔵庫
KR100483069B1 (ko)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JP2007064553A (ja) 冷蔵庫
KR100402602B1 (ko) 양면개폐가 가능한 냉장고
JP7096229B2 (ja) 貯蔵庫
JP2001004262A (ja) 冷蔵庫
JPH102662A (ja) 冷蔵庫
JP2007040600A (ja) 冷蔵庫
KR100577426B1 (ko) 냉장고
JP2021092375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