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018B1 -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018B1
KR100569018B1 KR1020040027135A KR20040027135A KR100569018B1 KR 100569018 B1 KR100569018 B1 KR 100569018B1 KR 1020040027135 A KR1020040027135 A KR 1020040027135A KR 20040027135 A KR20040027135 A KR 20040027135A KR 100569018 B1 KR100569018 B1 KR 100569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casting
stopper
hous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898A (ko
Inventor
조수근
최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01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4Low pressure casting, i.e. making use of pressures up to a few bars to fill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7/0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ouring of molten metal from a casting melt-hold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Fluids (AREA)

Abstract

주조 후, 주조물의 단면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트리밍 프레스공정에서도 주조물의 단면에 찍힘 등의 제품불량요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 상에 소재의 안착상태를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도록;
주조 후 사상라인에서,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대 일측에 장착되는 에어분사유닛과, 상기 에어분사유닛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라인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압라인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의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로딩검출장치에 있어,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는 공간부와 이 공간부를 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공압라인과 연결되는 공압통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스톱퍼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타측에는 상기 스톱퍼 홀의 하부 위치에 공압 배출구 및 노즐팁 홀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에 끼워져 삽입되는 샤프트의 상단에 안착블록이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하부 일측에는 스톱퍼 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안착 핀; 상기 안착 핀의 샤프트 상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 상부에 안착 핀과 함께 설치되어 안착 하우징에 대하여 안착 핀에 상향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링;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 핀의 하단면에 대응하는 시일링; 상기 안착 하우징의 스 톱퍼 홀을 통하여 장착되어 선단이 안착 핀의 스톱퍼 홈에 끼워지는 스톱퍼; 상기 안착 하우징의 노즐팁 홀에 장착되는 노즐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사상라인, 버어, 로딩검출장치, 안착, 에어분사유닛

Description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A LOADING DETECTION DEVICE OF WORKING TABLE}
도 1은 일반적인 주조물의 사상라인에서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한 사상라인의 공정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5와 도 6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 로딩검출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의 구성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의 부분 분해 단면도,
도 9는 도 7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로딩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조 후, 주조물에 잔존하는 주물사(砂)를 제거하고 버어(Burr) 및 탕구 등을 제거하는 주조공장의 후처리 사상라인에서, 작업대 상에 소재의 안착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나 실린더 블록과 같은 주조물은 저압주조 또는 중력주조 후, 소재에 잔존하는 주물사(砂)를 제거하고 버어(Burr) 및 탕구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조 후처리과정으로 사상라인을 거치게 된다.
상기 사상라인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조물(1)에 대하여 탈사기(100)를 이용하여 주물사(砂)를 탈사하는 탈사공정(S1)과, 탕구절단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주조물(1)의 탕구(3)를 제거하는 탕구절단공정(S2), 트리밍 프레스(300)를 이용하여 상기 주조물(1)에 대한 과대한 버어(Burr)를 제거하기 위한 트리밍 프레스(Trimming Press)공정(S3), 및 NC 엔드밀(400; NC Endmil)을 이용하여 상기 주조물(1)에 대한 미세한 버어(Burr)를 제거하기 위한 엔드밀 공정(S4)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주조물(1)에 대한 사상라인에서는 상기 탈사기(100; Sand Core Knock-Out M/C), 탕구절단기(200; Ingate Cut-Off M/C), 트리밍 프레스(300; Trimming Press), NC 엔드밀(400; NC Endmill) 등의 설비에 대하여 주조물(1)을 견 고하게 고정해주기 위한 작업대(5)가 구비되며, 상기 주조물(1)은 작업대(5)에 클램핑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5) 상에는 주조물(1)이 정확하게 안착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조물(1)의 안착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로딩검출장치(10)가 각각 구비되는데, 종래 로딩검출장치(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5) 상에 안착되는 주조물(1)의 단면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5)의 일측에 장착되는 끝이 뾰족한 테이퍼 형상의 에어분사유닛(6)과, 상기 에어분사유닛(6)에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라인(7)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압라인(7)내 압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8)로 출력하는 압력센서(9)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공압라인(7)을 통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장착된 에어분사유닛(6)에 공압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압라인(7)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은 에어분사유닛(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 때, 상기 공압라인(7)내에 형성되는 압력을 압력센서(9)가 검출하여 제어기(8)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8)에 기 설정되는 설정압력은 상기 에어분사유닛(6)을 통하여 공압이 배출되는 경우의 공압라인(7) 내에 압력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제어기(8)는 설정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공압라인(7)을 통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장 착된 에어분사유닛(6)에 공압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주조물(1)의 단면이 상기 에어분사유닛(6)의 분사구(11)를 막아 공압라인(7)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이 에어분사유닛(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공압라인(7)내에 저항압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압력센서(9)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기(8)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8)에 설정되는 상기 설정압력은 상기 에어분사유닛(6)을 통하여 공압이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의 공압라인(7) 내에 압력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제어기(8)는 설정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로딩검출장치(10)는 에어분사유닛(6)의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주조물(1)의 단면상태가 평평하지 않은 경우, 작업대(5)에 주조물(1)이 안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에어분사유닛(6)을 통한 에어의 누출로 주조물(1)의 안착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사상라인의 트리밍 프레스공정(S3)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주조물(1)에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에어분사유닛(6)의 선단에 닿는 주조물(1)의 단면상에 찍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 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 후, 주조물의 단면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트리밍 프레스공정에서도 주조물의 단면에 찍힘 등의 제품불량요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 상에 소재의 안착상태를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는 주조 후 사상라인에서,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대 일측에 장착되는 에어분사유닛과, 상기 에어분사유닛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라인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압라인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의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로딩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는 공간부와 이 공간부를 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공압라인과 연결되는 공압통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스톱퍼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타측에는 상기 스톱퍼 홀의 하부 위치에 공압 배출구 및 노즐팁 홀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에 끼워져 삽입되는 샤프트의 상단에 안착블록이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하부 일측에는 스톱퍼 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안착 핀; 상기 안착 핀의 샤프트 상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 상부에 안착 핀과 함께 설치되어 안착 하우징에 대하여 안착 핀에 상향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링;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 핀의 하단면에 대응하는 시일링; 상기 안착 하우징의 스톱퍼 홀을 통하여 장착되어 선단이 안착 핀의 스톱퍼 홈에 끼워지는 스톱퍼; 상기 안착 하우징의 노즐팁 홀에 장착되는 노즐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의 구성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의 부분 분해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10)는 주조 후 사상라인에서, 작업대(5) 상에 안착되는 주조물(1)의 안착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상기 작업대(5) 일측에 장착되는 에어분사유닛(6)과, 상기 에어분사유닛(6)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라인(7)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압라인(7)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9), 및 상기 압력센서(9)의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주조물(1)의 안착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10)에서, 상기 에어분사유닛(6)은 크게 안착 하우징(20), 안착 핀(30), 복원링(40), 시일링(50), 스톱퍼(60), 노즐팁(7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 하우징(20)은 작업대(5)의 일측에 장착되는데, 그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는 공간부(21)와 이 공간부(21)를 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공압라인(7)과 연결되는 공압통로(2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외주면에는 양측에 상기 공간부(21)와 연결되는 스톱퍼 홀(23)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타측에는 상기 스톱퍼 홀(23)의 하부 위치에 공압 배출구(24) 및 노즐팁 홀(25)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안착 하우징(20)을 작업대(5)의 일측에 볼트(13)로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홀(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 핀(30)은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공간부(21)에 끼워져 삽입되는 샤프트(31)와 상기 샤프트(31)의 상단에 안착블록(32)이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31)의 하부 일측에는 스톱퍼 홈(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 핀(30)의 안착블록(32)은 그 상부면이 상기 주조물(1)의 단면에 대한 원형의 안착면(34)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둘레의 하부에는 스커트부(35)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상단면에 대응하여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 핀(30)의 샤프트(31) 상에 형성되는 스톱퍼 홈(33)은 샤프트(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복원링(40)은 상기 안착 핀(30)의 샤프트(31) 상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공간부(21) 상부에 안착 핀(30)과 함께 설치되는데, 그 재질은 탄성을 갖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 하우징(20)에 대하여 안착 핀(30) 에 상향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공간부(21)는 하부 일구간이 상기 안착 핀(30)의 샤프트(31)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27)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삽입부(27)와 일체로 그 상부 일구간은 샤프트 삽입부(27)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복원링(40)이 설치되는 복원링 삽입부(28)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일링(50)은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공간부(21) 하부인 샤프트 삽입부(27)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 핀(30)의 샤프트(31) 하단면에 대응하여 주조물(1) 안착 시, 내부 공압통로(22)를 밀폐시켜 공압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일링(50)은 그 재질이 탄성을 갖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O 링(O-Ring)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60)는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스톱퍼 홀(23)을 통하여 장착되어 그 선단이 안착 핀(30)의 스톱퍼 홈(33)에 끼워져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톱퍼(60)는 안착 하우징(20)의 스톱퍼 홀(23)에 체결되는 체결부(61)와, 상기 체결부(6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핀(30)의 스톱퍼 홈(33)에 끼워져 위치되는 스톱퍼 핀부(62)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팁(70)은 안착 하우징(20)의 노즐팁 홀(25)에 장착되는데,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노즐팁 홀(25)에 장착된 상태로, 그 내부에는 상기 안착 하우징(20)에 형성되는 공압 배출구(24)와 연결되는 공압 배기구(7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10)의 작동은 저압주조 또는 중력주조 등에 의해 주조된 주조물(1)에 잔존 하는 주물사(砂)를 제거하고 버어(Burr) 및 탕구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조 후처리과정인 사상라인으로 투입되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사기(100; Sand Core Knock-Out M/C), 탕구절단기(200; Ingate Cut-Off M/C), 트리밍 프레스(300; Trimming Press), NC 엔드밀(400; NC Endmill) 등의 설비에 대하여 주조물(1)을 견고하게 고정해주기 위하여 작업대(5)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주조물(1)이 작업대(5)에 정확하게 안착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공압라인(7)을 통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장착된 에어분사유닛(6)에 공압이 제공하는 상태에서,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압라인(7)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은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내부 공압통로(22)로 공압이 공급되어 안착 하우징(20)의 공압 배출구(24) 및 노즐팁(70)의 공압 배기구(71)를 통하여 바로 외부로 배출되며, 이 때, 상기 공압라인(7)내에 형성되는 압력을 압력센서(9)가 검출하여 제어기(8)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력센서(9)에서 검출된 공압라인(7)의 내부 압력은 상기 제어기(8)에 설정된 설정압력보다 낮으며, 상기 제어기(8)는 설정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공압라인(7)을 통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장착된 에어분사유닛(6)에 공압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주조물(1)의 단면이 상기 안착블록(32)의 안착면(34)에 접촉하여 안착 핀(30)의 샤프트(31)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31)는 복원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아래로 이동하여 그 하단면이 시일링(50)에 접촉하여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안착 하우징(20)의 내부에서는 상기 샤프트(31)의 하단면과 시일링(50)의 상호 가압 접촉에 의해 그 내부의 공압통로(22)가 밀폐되어 공압이 노즐팁(7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압라인(7) 내에는 저항압이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9)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기(8)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력센서(9)에서 검출된 공압라인(7)의 내부 압력은 상기 제어기(8)에 설정된 설정압력보다 높으며, 상기 제어기(8)는 설정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작업대(5) 상에 주조물(1)이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안착블록을 통하여 주조물의 단면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되며, 트리밍 프레스공정에서 주조물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주조물의 단면상에 찍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불량요인을 배제함과 동시에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신뢰성있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주조 후 사상라인에서,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작업대 일측에 장착되는 에어분사유닛과, 상기 에어분사유닛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라인 상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압라인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의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주조물의 안착상태를 판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로딩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는 공간부와 이 공간부를 하단으로 연결하여 상기 공압라인과 연결되는 공압통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스톱퍼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타측에는 상기 스톱퍼 홀의 하부 위치에 공압 배출구 및 노즐팁 홀이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는 안착 하우징;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에 끼워져 삽입되는 샤프트의 상단에 안착블록이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하부 일측에는 스톱퍼 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안착 핀;
    상기 안착 핀의 샤프트 상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 상부에 안착 핀과 함께 설치되어 안착 하우징에 대하여 안착 핀에 상향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링;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 핀의 하단면에 대응 하는 시일링;
    상기 안착 하우징의 스톱퍼 홀을 통하여 장착되어 선단이 안착 핀의 스톱퍼 홈에 끼워지는 스톱퍼;
    상기 안착 하우징의 노즐팁 홀에 장착되는 노즐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하우징의 공간부는
    하부에 상기 안착 핀의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삽입부와 일체로 그 상부에는 상기 복원링이 설치되는 복원링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하우징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안착 하우징을 작업대의 일측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핀의 안착블록은
    그 상부면이 상기 주조물의 단면에 대한 원형의 안착면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 둘레의 하부에는 스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 하우징의 상단면에 대응하여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 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핀의 샤프트 상에 형성되는 스톱퍼 홈은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원링은
    그 재질이 탄성을 갖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은
    그 재질이 탄성을 갖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며, O 링(O-Ring)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안착 하우징의 스톱퍼 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핀의 스톱퍼 홈에 끼워져 위치되는 스톱퍼 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은
    상기 안착 하우징의 노즐팁 홀에 장착된 상태로, 그 내부에는 상기 공압 배출구와 연결되는 공압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KR1020040027135A 2004-04-20 2004-04-20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KR100569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135A KR100569018B1 (ko) 2004-04-20 2004-04-20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135A KR100569018B1 (ko) 2004-04-20 2004-04-20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898A KR20050101898A (ko) 2005-10-25
KR100569018B1 true KR100569018B1 (ko) 2006-04-07

Family

ID=3728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135A KR100569018B1 (ko) 2004-04-20 2004-04-20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489B1 (ko) * 2008-06-16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절단장치
KR101480822B1 (ko) * 2012-12-03 2015-01-22 주식회사 센트랄 트리밍 금형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460A (en) * 1980-08-01 1982-02-19 Nippon Steel Corp Load testing method for guide roll segment of continuous casting plant
KR920000416A (ko) * 1990-06-22 1992-01-29 로버트 에이취 존슨 주조노즐과 기체(基體)의 주조 표면 사이의 간격 감시장치 및 그 감시 방법
KR20020017028A (ko) * 2000-08-28 2002-03-07 이구택 쌍롤형 박판주조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460A (en) * 1980-08-01 1982-02-19 Nippon Steel Corp Load testing method for guide roll segment of continuous casting plant
KR920000416A (ko) * 1990-06-22 1992-01-29 로버트 에이취 존슨 주조노즐과 기체(基體)의 주조 표면 사이의 간격 감시장치 및 그 감시 방법
KR20020017028A (ko) * 2000-08-28 2002-03-07 이구택 쌍롤형 박판주조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898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16087A (ja) 真空ホールドダウン
WO2005030435A1 (ja) クランプ装置
KR100569018B1 (ko) 주조 후처리 라인의 작업대용 로딩검출장치
JP2008006572A (ja) 筒穴を有する鋳造物のクランプ治具
US7607872B2 (en) Method for machining a molded part and machine tool therefor
US5586596A (en) Die cast vent block
CN210464829U (zh) 一种检测缸体外壳泄漏装置
KR200326434Y1 (ko) 사출 금형의 인서트 감지장치
KR100756981B1 (ko) 사상 설비 착좌 장치
CN210090016U (zh) 一种旁通阀开启压力及泄露量检验试验台
JP2005096026A (ja) ワーク取付装置
JP2019195876A (ja) ワークの着座確認装置
KR101277826B1 (ko) 유압클램프
JP2009233760A (ja) 治具パレット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4232495B2 (ja) ワーク着座検知装置および検知方法
KR100405704B1 (ko) 피어싱 홀 버어 제거장치
JPH05131257A (ja) 型締め異常検出装置
JP2004354152A (ja) リークテスタ用治具
KR101245927B1 (ko) 쿨런트 침입방지가 가능한 공작물 밀착 확인 장치
KR100936382B1 (ko) 공압을 이용한 공작물 착좌 확인 장치
KR101480822B1 (ko) 트리밍 금형장치 및 방법
JPH0354833Y2 (ko)
CN112676872B (zh) 高精度活塞用治具
JP2016131995A (ja) ダイカスト金型
KR100779829B1 (ko) 머시닝 센터의 팰릿 착좌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