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371B1 -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371B1
KR100566371B1 KR1020050079623A KR20050079623A KR100566371B1 KR 100566371 B1 KR100566371 B1 KR 100566371B1 KR 1020050079623 A KR1020050079623 A KR 1020050079623A KR 20050079623 A KR20050079623 A KR 20050079623A KR 100566371 B1 KR100566371 B1 KR 10056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security
signal
f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석
Original Assignee
(주)동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테크 filed Critical (주)동원테크
Priority to KR102005007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입력부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유지시켜 각 부로 공급하는 정전압부와; 발진부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에 의해 기준시간을 발생시키고, 보안등 자동점멸을 위한 시간설정 및 보정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소등시간을 계산하고, 장치의 각 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보안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휴대용 시험 및 프로그램 주입기와의 사이에서 광변조된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적외선 송수신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보안등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외부장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보안등 점멸 제어장치에 있어서, LED를 포함하는 상황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보안등의 작동상태 및 설정조건의 입력 및 조작과정이 상기 상황표시부의 LED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황별로 디스플레이되는 LED의 점멸속도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등, LED, 누전, 전류검출

Description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Automatic turn on/off control device for a security lamp}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제어부 101: 적외선 송수신부
102: AC입력부 103: 정류부
104: 정전압부 105: 제1 발진부
107: AC출력부 109: 메모리부
110: 누전감지부 111: 제2 발진부
113: 상황표시부 114: 전원트립부
115: 위성수신 정보분석부 116: 위성 베이스 밴드부
본 발명은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아 보안등을 자동으로 점멸제어하며, 작동상태의 확인 및 설정정보의 외부조작이 용이한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등은 야간에 시민의 자유로운 활동을 도모하기 위한 조명수단으로서, 일몰 후 조명이 필요한 지역에 대단위 시스템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보안등 시스템은 전파방식, 썬 스위치 방식, 직접작동 방식, 통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그 점등/소등이 제어된다.
전파방식은 중앙의 보안등 통제소로부터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전파신호를 보안등 상부의 안테나로 전송함으로써 보안등의 점등/소등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또한, 썬 스위치방식은 보안등 내부에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일 몰 후 소정 일조량 이하로 감지되면 자동으로 점등되었다가, 소정 일조량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 외에도, 직접 차단기를 통해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직접작동 방식이 있으며, 일출·일몰시간을 미리 설정해 놓고 타이머의 시간을 통해 자동으로 점등/소등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 방식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들을 적절히 혼용하여 작동시키는 통합식 제어방식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에 있어서 보안등의 타이머의 점등/소등 시각을 관리자가 별도로 일일히 수작업을 통해 입력하거나 수정하여야 하므로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 방법들에 의한 보안등 제어장치들은, 관리자에 의해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조작의 확실성 및 편리성을 도모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위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안등의 작동조건 등 설정 데이터의 입력 및 변경이 용이하고 확실한 방법으로 관리가 수행될 수 있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자나 작업자등이 보안등에서 문제가 있는 위치를 신속하게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등의 누전상태를 외부에 알리고 빨리 조치를 취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막도록 하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위성수신을 통한 시각보정이 가능한 보안등 자동점멸기는 AC입력부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유지시켜 각 부로 공급하는 정전압부와; 발진부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에 의해 기준시간을 발생시키고, 보안등 자동점멸을 위한 시간설정 및 보정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소등시간을 계산하고, 장치의 각 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보안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휴대용 시험 및 프로그램 주입기와의 사이에서 광변조된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적외선 송수신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보안등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외부장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보안등 점멸 제어장치에 있어서, LED를 포함하는 상황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보안등의 작동상태 및 설정조건의 입력 및 조작과정이 상기 상황표시부의 LED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황별로 디스플레이되는 LED의 점멸속도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성으로부터 전파, 즉 L1및 L2 밴드 반송파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으며, 수신된 전파를 증폭, 필터링 및 중간주파수(IF: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Converter) 하기위한 믹서(Mixer), 중간주파수 증폭기(IF Amplifier) 등으로 구성된 위성 베이스 밴드부;와 상기 위성 베이스 밴드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현제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지점의 현재시각(세계표준시), 위도, 경도, 고도등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인제어부로 보내는 위성수신 정보분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안등 안정기 고압펄스부에서 이상 전압이 검출되면 펄스가 발생되는지를 검지하여 상기 메인제어부로 보내는 펄스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펄스감지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에 따라 안정기 불량, 램프 불량을 정확히 판단하여 상기 외부 장치 제어부에 릴레이 오프 신호를 보내고 상황표시부에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표시로 LED점멸 속도를 다른 상태와는 다른 속도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철주에 180V이상의 전압이 생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누전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 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외부장치 제어부를 통하여 수초단위로 릴레이 접점을 온/오프 동작을 교번으로 반복시켜 출력측 램프의 점멸이 반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수신을 통한 시각보정이 가능한 보안등 자동점멸기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성수신을 통한 시각보정이 가능한 보안등 자동점멸기는 AC입력부(102), 정류부(103), 정전압부(104), 제1 발진부(105), 메인제어부(100), 메모리부(109), 적외선 송수신부(101), 외부장치 제어부(106), AC 출력부(107)로 이루어진 회로구성에 보안등의 작동상태 및 설정조건의 입력 및 조작과정 등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황표시부(예를 들면, LED 장치를 포함함)(113)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AC입력부(102)는 110/220VAC 60Hz 교류 전원전압을 공급 받아 소정의 전류 저감장치를 거쳐 5-10V AC로 변환 하여 정류부(103)로 보낸다.
상기 정류부(103)는 상기 AC 입력부(102)에서 인가 받은 전원 전압(5-10V)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정전압부(104)로 보낸다.
상기 정전압부(104)는 상기 정류부(103)에서 공급된 직류전원을 AC입력부(102)의 외부 환경에 의해 전압변동이 발생되더라도 12V 또는 5V등의 안정된 전압을 유지하며, 직류전원이 필요한 각 회로에 인가한다.
상기 제 1 발진부(105)는 상기 메인제어부(100)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안정된 주파수를 공급한다.
참조부호 111은 제 2 발진부를 나타낸 것이다. 제 2 발진부(111)는 위성 베이스 밴드부(Base Band)(116)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안정된 주파수(19.2MHz)를 공급한다. 참조부호 115는 위성수신 정보분석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신된 위성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시간,위도,경도, 고도등을 파악하고 전달한다.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전원이 인가되면 안테나를 거처 위성 베이스 밴드부(116), 위성수신 정보분석부(115)로부터 시간, 위도, 경도, 고도등을 수신하고, 메모리부(EEPROM)(109)로부터 자동점멸기의 점등/소등에 필요한 설정정보인 일출/일몰시간의 오프셋치, 심야시간 소등/점등, 심야 소등/점등 기간 설정 등의 데이터 내용을 확인하여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장소에 점등/소등에 필요한 신호를 외부 장치제어부(106)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누전감지부(110), 전류검출부(117), 펄스검지부(108)등에서 검출한 신호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내용이 누전 불량이면 외부장치 제어부(106)에 릴레이 동작을 교번으로 반복시켜 출력 램프가 계속 점멸하게 명령하고, 안정기 불량, 램프 불량이면 외부장치 제어부(106)에 소등 명령을 하며, 출력 제어부의 릴레이 접점이 계속 붙어 있으면 전원트립부(114)을 통하여 강제로 누전차단기(도시안됨)를 트립 전원을 차단을 명령하고, 상황표시부(113)의 LED를 각각 다르게 점멸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내용은 상기 메모리부(EEPROM)(109)에 저장되어 정전 복구시에도 피드백(feedback) 받아 똑같이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적외선 송수신부(101)로부터 들어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동 점등/소등신호이면 그에 따른 신호를 외부장치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가 점등/소등에 필요한 설정 정보일 경우 내부 데이터를 변경한 후 상기 메모리부(EEPROM)(109)에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메인제어부(100)에서 매일 변화하는 일출/일몰시간과 비교하여 외부장치 제어부(106)로 출력하며, 정전 복구시에는 위성수신 정보분석부(115)에서 시간, 위도, 경도, 고도를 수신받아 설치지역의 일출/일몰 시간 , 오프셋치등을 계산하고, 상기 메모리부(EEPROM)(109)에서 데이터를 피드백 받아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장소의 점등/소등에 필요한 신호를 빨리 갱신하여 외부장치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또한 적외선 신호가 내부 프로그램 내용을 휴대용 주입기(도시안됨)로 전송을 요구할 때는 (년, 월, 일), (시, 분, 초), (설치지역), (금일 점등시간, 분), (금일 소등시간, 분), (심야 소등시간, 분), (심야 점등시간, 분), (심야소등/점등 시작 월/일), (심야 소등/점등 끝 월/일), (부하 용량) 등의 순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수동 스위치(112)부터 들어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점등 신호이면 상기 외부장치 제어부(106)에 출력을 보내 AC출력부(107)의 릴레이 접점을 온하게 하고, 소등신호이면 외부장치 제어부(106)에 출력을 보내 AC출력부(107)의 릴레이 접점을 오프하게 한다.
한편, 현재시각(세계 표준시),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신호를 상기 위성정보 분석부(115)로부터 상기 메인제어부(100)에서 각각 사용하는 용도를 설명한다.
현재시각은, 정확한 시, 분, 초, 년, 월, 일이 입력되어 자동점멸기의 시간을 항상 정확하게 일치시키고, 수신 불가능 시에는 상기 메인제어부(100)는 자체적으로 정확한 시간을 유지한다. 또한, 년, 월, 일의 데이터는 정확한 일출/일몰시간 계산에 사용된다. 또한, 위도 및 경도는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지역의 정확한 위도, 경도를 상기 위성정보 분석부(115)로부터 입력받아 현재시각과 함께 설치지역의 정확한 일출/일몰시간을 결정하고, 자동점멸기 자신의 정확한 좌표는 표찰 고유번호로 입력된다. 또한 고도는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지역의 고도를 상기 위성정보 분석부(115)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메인제어부(100)에서 계산된 일출/일몰시간에 대한 오프셋치를 자동으로 계산한다. 고도의 높낮이에 따라 시민박명시간등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고도를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프셋치를 자동 조정한다.
한편 시민 박명은 해가 지고 나서 약 30분까지, 또는 해가 뜨기 전 약30분간을 일컫는 말로서, 이시기는 비록 해는 지평선 아래에 있지만 대기에 의한 태양빛의 산란 때문에 인공적인 조명 없이 인간이 활동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하늘이 밝은 상태를 말한다. 박명시간이 약 30분이라지만 보안등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지역의 표고(높이) 따라 달라져서 높은 곳은 시간이 좀더 길고 낮은 곶은 짧다. 따라서 시민박명시간 때문에 갖은 위도/경도 상에 위치한 지형이라고 일출/일몰시간이 조금식 달라 일출/일몰 시간에 대한 오프셋치를 ± 59까지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출고시 정하거나 작업자가 설정하였다.
이러한 3가지 데이터, 즉 현재시각, 위도 및 경도, 고도를 수신 받아 관리자가 휴대용 주입기 등으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아무나 설치만 하면 설치된 지점에 가장 적절한 일출/일몰시간에 자동점멸기가 점등/소등 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EEPROM)(109)는 적외선 송수신부(101)에서 들어온 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부(100)에서 분석하여 일출/일몰에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일출 시간 오프셋치 ±59분), (일몰 시간 오프셋치 ±59) (심야 소등 시간, 분), (심야 점등 시간, 분), (심야 소등/점등 시작 년, 월), (심야 소등/점등 끝 년, 월), (누전 설정 유무), (부하용량 선택 (50W, 100W, 무,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메인제어부(100)가 필요시 피드백하여 사용 하며, 자체 진단결과 내용 램프불량, 안정기 불량, 누전상태, 접점 불량등의 내용을 상기 메인제어부(100)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고 정전 복구시 그 데이터를 피드백하여 준다. 전원이 차단(정전)시에도 밧데리 없이도 저장된 데이터는 지워지지 않는 비 휘발성 소자이다.
상기 전류검출부(117)는 상기 외부장치 제어부(106)를 통하여 릴레이 접점이 통전되면 안정기를 통해 램프가 점등되고, 부하 용량에 따라 소정의 유도 전압을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감지된 전압을 상기 메인제어부(100)로 인가하면 상기 메인제어부(100)에서는 유도된 전압을 기초로 출력단의 안정기 램프의 이상 유. 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부하 용량은 자동점멸기 설치시 휴대용 프로그램 주입기(도시안됨)로 미리 설정하여 둔다 (예) 50W, 100W, 선택 없음등). 그러나 방전등의 경우 램프와 안정기내부의 고압펄스발생부가 소손이 되면 유도 되는 전압이 똑같 양으로 검출되어 안정기 고압펄스부 불량인데도 램프 불량으로 상기 메인제어부(100)에서 판반 되어 유지보수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여기에 펄스검지부(108)를 두어 이와 같은 이상 전압이 검출되면 펄스가 발생되는 지를 검지하여 상기 메인제어부(100)으로 보내면 메인제어부(100)은 안정기 불량, 램프 불량을 정확히 판단하고, 외부 장치 제어부(106)에 릴레이 오프 신호를 보내고 상황표시부(113)에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표시로 LED점멸 속도를 다르게 점멸시킨다. 예) 안정기 불량(1번속도), 램프 불량(2번 속도). 또한 릴레이 접점이 융착이 발생되어 밤 뿐만 아니라 낮에도 계속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트립부(114)에서 강제로 누설전류를 흐르게 하여 (약 30mA이상) AC입력부(102)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트립시켜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막는다, 이때 점검자가 누전차단기를 통전상태로 만들면 상황표시부(113)는 그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가 LED점멸 속도를 (3번 속도)다르게 하여 점멸시켜 LED속도 (1번 속도), (2번 속도), (3번 속도)만으로도 관리자나 작업자등이 문제가 있는 위치를 신속하게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누전감지부(110)는 철주에 누전이 되어 흐르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제어부(100)로 신호를 인가한다. 통상 전봇대에서 가공으로 전선을 통해 철주에 상부 가공된 홀을 통해 철주 내부에 전선이 들어와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1.5 - 2.2 위치에서(보안등 자동점멸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냄, 보통 지방 자치단체의 조례로 1.5m에서 2.2m 높이의 사이 설치하게 한다) 가공된 홀을 통해 철주 밖으로 나와 자동점멸기 입력부에 체결 된다. 자동점멸기 후단인 안정기, 램프로 통하는 전선은 누전이 되어도 자동점멸기에 설치된 누전차단기가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방지 한다. 그러나 자동점멸기 전단에서 철주 인입부와 사이에서 누전사태가 발생되면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감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이에 철주에 180V이상의 전압이 생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제어부(100)에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메인제어부(100)은 외부장치 제어부(106)를 통하여 수초단위로 릴레이 접점을 온/오프 동작을 교번으로 반복시켜 출력측 램프의 점멸이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누전상태를 외부로 알려 빨리 누전이 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막는다. 이와 동시에 상황표시부(113)에 점검에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표시램프 LED 속도를 다르게 점멸시킨다. 예) (4번 속도).
상기 설명에서 1번 속도 내지 4번 속도는 LED의 점멸속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편의상 기술한 것이다.(LED를 3색 LED를 사용하여 표시 할 수 있다. 3색LED는 빨강, 녹색 및 황색을 나타내며, 작동구분은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A) 자동점멸기 위성수신이 유무 : 녹색점등: 정상, LED소등: 위성수신불가. B) 누전 불량: 적색 3초 점등, 4초 소등하며 계속 점멸. C) 램프 불량: 황색 3초 점등, 4초 소등하며 계속 점멸. D) 안정기 불량: 황색 3초점등, 녹색 3초 점등하며 계속 점멸. E) 점멸기 접점불량: 황색 3초 점등, 적색 3초 점등하며 계속 점멸.).
상기 적외선 송수신부(101)는 휴대용 프로그램 주입기(도시안됨)에서 원격송신되는 광변조된 적외선 신호을 수신하여 이를 메인제어부(100)로 데이터를 보내거나, 메인제어부(100)로부터 신호을 적외선 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여 휴대용 프로그램 주입기로 송신하도록 한다.
상기 위성 베이스 밴드부(116)는 고도 약 20,000Km상공에 있는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부분으로 기본 주파수 10.23MHz의 154배한 L1밴드 반송파인 1.57542㎓ 주파수와 120배한 L2밴드, 반송파인 1.2276㎓ 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 받아 증폭, 필터링 및 중간주파수(IF: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 (Converter) 하기위한 믹서(Mixer), 중간주파수 증폭기(IF Amplifier) 등으로 구성되어(SAW 필터, LNA(Low Noise Filter) 등을 포함함)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위성수신 정보분석부(115)로 보낸다.
상기 위성수신 정보분석부(115)는 상기 위성 베이스 밴드부(116)의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지점의 현재시각(세계표준시), 위도, 경도, 고도등으로 구분하여 메인제어부(100)로 보낸다.
한편, 상기에서 사용한 방법은 시간 계수부는 메인 제어부에 조금 차지하게 되며, 외부에 따로 두지는 않았다. 일단 위성에서 시간을 받아 그때부터 정확한 시간을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진행하며 위성 베이스 밴드부(16) 및 위성수신 정보분석부(15)의 시간을 계속하여 업데이트 한다. 약 1초 단위로 시각 보정을 한다. 설치시나 정전이 복구 되면 항상 위성 수신을 하여 정확한 시간을 받아야만 하며. 항상 위성 신호를 의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에 의하면, LED를 구비한 상황표시부를 통해 보안등의 동작상태등을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여, 보안등의 점검 및 작동 조작의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에 의하면, 펄스검지부를 통해 보안등의 안정기 불량, 램프 불량을 정확히 판단하고, 전원트립부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와 같은 보안등의 불량상태를 상황표시부를 통해 신속하게 발견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에 의하면, 자동점멸기 전단에서 철주 인입부와 사이에서 누전사태가 발생된 경우에도 철주에 180V이상의 전압이 생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누전상태를 외부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등의 안전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AC입력부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유지시켜 각 부로 공급하는 정전압부와;
    발진부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에 의해 기준시간을 발생시키고, 보안등 자동점멸을 위한 시간설정 및 보정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소등시간을 계산하고, 장치의 각 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보안등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와;
    휴대용 시험 및 프로그램 주입기와의 사이에서 광변조된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적외선 송수신부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보안등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외부장치 제어부와;
    LED를 포함하는 상황표시부를 더 구비하여, 보안등의 작동상태 및 설정조건의 입력 및 조작과정이 상기 상황표시부의 LED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황별로 디스플레이되는 LED의 점멸속도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전파, 즉 L1및 L2 밴드 반송파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으며, 수신된 전파를 증폭, 필터링 및 중간주파수(IF: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Converter) 하기위한 믹서(Mixer), 중간주파수 증폭기(IF Amplifier) 등으로 구성된 위성 베이스 밴드부;와
    상기 위성 베이스 밴드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현제 자동점멸기가 설치된 지점의 현재시각(세계표준시), 위도, 경도, 고도등으로 구분하여 상기 메인제어부로 보내는 위성수신 정보분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보안등 안정기 고압펄스부에서 이상 전압이 검출되면 펄스가 발생되는지를 검지하여 상기 메인제어부로 보내는 펄스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펄스감지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에 따라 안정기 불량, 램프 불량을 정확히 판단하여 상기 외부 장치 제어부에 릴레이 오프 신호를 보내고 상황표시부에 점검이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표시로 LED점멸 속도를 다른 상태와는 다른 속도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철주에 180V이상의 전압이 생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누전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외부장치 제어부를 통하여 수초단위로 릴레이 접점을 온/오프 동작을 교번으로 반복시켜 출력측 램프의 점멸이 반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KR1020050079623A 2005-08-29 2005-08-29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KR10056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623A KR100566371B1 (ko) 2005-08-29 2005-08-29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623A KR100566371B1 (ko) 2005-08-29 2005-08-29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371B1 true KR100566371B1 (ko) 2006-03-31

Family

ID=3718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623A KR100566371B1 (ko) 2005-08-29 2005-08-29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95B1 (ko) 2007-04-23 2008-11-2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광판 기능을 갖는 시계
KR100884619B1 (ko) 2008-12-02 2009-02-20 (주)세광산업조명 Led 경관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95B1 (ko) 2007-04-23 2008-11-2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광판 기능을 갖는 시계
KR100884619B1 (ko) 2008-12-02 2009-02-20 (주)세광산업조명 Led 경관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134B1 (ko)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고효율 안정기 및 이를 이용한보안등/가로등 제어 시스템
US6841944B2 (en) Luminaire diagnostic and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system
US4945280A (en) Independent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self-diagnosis
KR101510223B1 (ko) Led 조명용 컨버터와 전력량계를 일체로 구비한 보안등 점멸기
KR100566371B1 (ko)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US6734642B1 (en)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lighting networks
KR100281222B1 (ko) 유무선송수신형가로등콘트롤러
JP4077171B2 (ja) 照明灯動作情報収集方法および照明灯動作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204652B1 (ko) 다등용 일체형 안정기 및 다등용 일체형 안정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184755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터널등 조도 원격 제어시스템
KR100491890B1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누전 및 불량 등기구의 위치검색장치와 그 방법
JP2002075670A (ja) 航空障害灯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KR20150000646A (ko) Led 조명용 컨버터 일체형 보안등 점멸기
KR200186633Y1 (ko)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CN206684947U (zh) 交通安全指示系统
KR20100124041A (ko) 자가진단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제어 분전함 장치
KR200354473Y1 (ko)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KR200178347Y1 (ko) 자동차 교통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050093045A (ko)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CN107885111A (zh) 基于车窗玻璃自动爆裂装置的远程监控逃生系统
KR100650117B1 (ko) 보안등 주간강제 소등장치
WO2008117072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rea lighting
CN213240550U (zh) 一种每个光束独立显示工作状态及信号强度的激光探测器
KR100314683B1 (ko) 플렉스 프로토콜 신호를 이용한 가로등, 보안등의 점소등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59290A (ko) 센서를 이용한 도로조명등 고장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