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633Y1 -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633Y1
KR200186633Y1 KR2019990029120U KR19990029120U KR200186633Y1 KR 200186633 Y1 KR200186633 Y1 KR 200186633Y1 KR 2019990029120 U KR2019990029120 U KR 2019990029120U KR 19990029120 U KR19990029120 U KR 19990029120U KR 200186633 Y1 KR200186633 Y1 KR 200186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unit
control device
ligh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익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장승익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익, 김영권 filed Critical 장승익
Priority to KR2019990029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 조도에 따라 터널의 입출구의 램프및 완화부의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시켜 운전자의 시야를 밝게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터널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제1조도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전압과 미리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에 따라 터널등의 점등 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터널의 출구부에 설치되는 제2 조도센서와, 터널 전체의 소비전력과 각 터널등의 전류을 감지하는 출력전류 감지부와, 상기 출력전류 감지부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터널의 램프에러 메세지를 발생하여 에러감지부와, 양방향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상기 에러감지부에서 발생된 에러메시지를 처리한 후 원격으로 통제실 및 조치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전송되온 조치자의 조치신호를 처리한 후 제어부로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AUTOMATIC CONTROLLING APPARATUS FOR TUNNEL LIGHT}
본 고안은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 조도에 따라 터널의 입출구의 램프및 완화부의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켜 운전자의 시야를 밝게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면허 소지자와 자동차의 대수가 급신장으로 도로 교통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도로의 교통혼잡이나 정체가 발생하게 되었고, 넓은 도로망이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산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도로망의 확충에 따른 터널공사가 많아지고 있다. 이때 터널내부는 터널이 아닌 도로보다 어둡게 되고, 특히 시야가 좋은 도로에 있다가 터널내부로 들어서게 될 때 소정시간동안 시야가 어두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터널내부에 설치되는 터널등의 제어가 복잡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널등 제어장치를 보인 블럭도이다. 여기서, 이 터널등 제어장치는 조도센서(11), 전원부(13), 제어부(15), 키보오드(17), 표시부(19), 및 저장부(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도센서(11)는 일반적인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날씨, 예를 들어 맑음, 흐름, 비, 또는/및 눈 기타 등등, 에 따라 발생된 빛량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포토 다이오드의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조도전압을 제어부(15)에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전원부(13)는 백업할 수 있는 통상의 베터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보오드(17)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터널등(200)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다수의 키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19)는 터널등(200)의 현재 제어상태를 화면 및 발광소자의 점등/소등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통상의 액정표시소자및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부저음을 이용하여 터널등(200)의 에러를 청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21)는 설정시간 및 현재시간을 저장하는 롬(미도시됨)과 이 설정시간과 조도센서(11)로 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터널등(200)의 점동 또는/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램(미도시됨)으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는 조도센서(11)의 조도전압, 저장부(21)의 설정 시간, 및 키보오드(17)의 키입력신호를 받아 터널등(200)를 점등 또는/및 소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이와같이 구비된 일반적인 터널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날씨에 따라 가변되는 빛양을 전류로 변환하고,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조도센서(11)의 전압과 저장부(21)에 저장된 시간을 받은 제어부(15)는 이 전압과 시간에 따라 터널등(200)의 점등 또는/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 제어신호를 받은 터널등(2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된다. 즉, 맑은날1, 맑은날 2, 흐린날1, 흐린날2, 및 야간단계에 따라 터널등(200)의 점등 수를 제어하고
한편, 사용자가 키보오드(17)의 키를 점등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터널등(200)의 점등 수를 제어하고, 이때 터널등(200)의 점등 수및 점등되는 터널등(200)이 액정표시소자및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또한, 점등되어야 한 터널등(200)이 점등되지 않은 경우 부저음을 이용하여 청각적으로 터널등(200)의 에러를 이용자에게 인식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널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터널이 긴경우 터널 입구의 조광과 터널 출구의 조광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터널등의 점등 갯수가 터널의 입구부와 동일하고, 조치자가 반드시 표시부를 항시 지켜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터널의 상하행선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제1 조도센서와 출구부에 설치되는 제2 조도센서로 나뉘어서 입구부와 출구부에 설치되는 터널등을 별도로 점소등할수 있으며, 프린터 및 관제소에서 이 터널등의 제어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며, 터널등의 에러발생시 자동으로 조치자에서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는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터널 전체의 소비전력 및 단계별 전류 전압을 체크하여 온라인 통신으로 관제소로 전송됨으로서, 한 눈에 터널의 모든 상황을 볼 수 있으며, 에러시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제1 조도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전압과 미리 저장부에 저장된 시간에 따라 터널등의 점등 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터널의 출구부에 설치되는 제2 조도센서와, 터널등의 전체 소비전력과 단계별 전류를 감지하는 출력전류 감지부와, 상기 출력전류 감지부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출력전류 감지부의 전류에 따라 터널등의 에러 메세지를 발생하여 에러감지부와, 양방향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상기 에러감지부에서 발생된 에러메시지를 처리한 후 원격으로 관제소 및/또는 조치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전송되온 조치자의 조치신호를 처리한 후 제어부로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터널을 보인 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 제어장치 111 : 인터페이스부
113, 115 : 제1 및 제2 조도센서 117 : 전원부
119 : 제어부 121 : 출력전류 감지부
123 : 에러감지부 125 : 키보오드
127 : 표시부 129 : 저장부
200 : 터널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의 설치를 보인 도로서, 터널의 입구부와 출력부에 각각 별도의 제1 조도센서(113)및 제2 조도센서(115)를 설치하고, 이 제1 조도센서(113)및 제2 조도센서(115)의 출력측에는 제1 조도센서(113)및 제2 조도센서(115)로 부터 공급된 조도전류들을 받아 터널등의 에러및 터널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자동 제어장치(100)가 설치된다.
도 3은 상기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여기서, 이 터널등 제어장치는 인터페이스(111), 제1 조도센서(113), 제2 조도센서(115),전원부(117), 제어부(119), 출력전류 감지부(121), 에러감지부(123), 키보오드(125), 표시부(127), 저장부(129)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방향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부(111)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로 부터 다수의 터널등(200)을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를 검파하고, 이 주파수에 실린 제어신호를 받아 처리한 후 제어부(119)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터널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제1 조도센서(113)및 터널의 출구부에 설치되는 제2 조도센서(115)는 일반적인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날씨, 예를 들어 맑음, 흐름, 비, 또는/및 눈 기타 등등, 에 따라 발생된 빛량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제1 수광부및 제2 수광부(미도시됨)의 전류를 조도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제어부(119)에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전원부(117)는 백업할 수 있는 통상의 베터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터널등(200)에 접속되어 각각의 터널등(200)의 소비전력과 단계별 전류을 감지하여 총소비전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출력전류 감지부(121)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에러감지부(123)는 상기 출력전류 감지부(121)의 전류에 따라 터널등(200)의 에러를 감지하여 에러메시지를 발생한 후 제어부(119)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키보오드(12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터널등(200)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다수의 키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127)는 터널등(200)의 현재 제어상태를 화면 및 발광소자의 점등/소등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통상의 액정표시소자및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29)는 터널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시간을 저장하는 롬(미도시됨)과 이 설정시간과 제1및 제2 조도센서(113)(115)로 부터 공급되는 조도전압에 따라 터널등(200)의 점동 또는/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램(미도시됨)으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9)는 제1 및 제2 조도센서(113)(115)의 조도전압, 저장부(129)의 설정시간, 및 키보오드(125)의 키입력신호를 받아 터널등(200)를 점등 또는/및 소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이와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날씨에 따라 가변되는 빛양을 전류로 변환하고,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제1 조도센서(113)및 제2 조도센서(115)의 제1 조도전압및 제2 조도전압과 저장부(129)에 저장된 설정시간을 받은 제어부(119)는 이 제1 조도전압 및 제2 조도전압과 설정시간에 따라 터널등(200)의 점등 또는/및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 제어신호를 받은 터널등(2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된다. 즉, 맑은날1, 맑은날 2, 흐린날1, 흐린날2, 및 야간단계 등 15단계로 터널등(200)의 점등 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터널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조도의 차가 미약하고, 날씨가 매우 맑으며, 주간인 경우 다수의 터널등(200)가 격수로 점등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점등되는 터널등(200)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출력전류 감지부(121)로 공급되고, 출력전류 감지부(121)는 이 전류을 감지하며, 이 전류는 제어부(119)로 공급된다. 제어부(119)는 각각의 터널등(200)의 전류를 합산하여 총 소비전력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전류는 매시마다 표시부(127)에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출력전류 감지부(121)의 전류는 에러감지부(123)에 공급하고, 에러감지부(123)는 각 터널등(200)의 전류에 따라 터널등(200)의 에러를 감지하며, 에러가 발생된 터널등(200)의 에러메시지를 발생하고, 이 에러메시지는 제어부(119)에 공급된다.
이 제어부(119)는 이 에러메시지를 인터페이스부(111)로 공급하고, 인터페이스부(111)는 이 에러메시지를 원격 전송가능하도록 처리한 후 관제소 및/또는 조치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시킨다. 이 에러메시지를 받은 조치자는 에러가 발생된 터널등(200)의 점등 및/또는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치신호를 이동단말기를 통해 전송한다.
그리고, 이 조치신호를 받은 인터페이스부(111)는 이 조치신호를 처리한 후 제어부(119)로 공급하고, 이 처리된 조치신호를 받은 제어부(119)는 조치신호에 따라 에러가 발생된 터널등(200)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 제어신호를 받은 터널등(200)은 조치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한편, 사용자가 키보오드(125)의 키를 점등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터널등(200)의 점등 수를 제어하고, 이때 터널등(200)의 점등 수및 점등되는 터널등(200)이 액정표시소자및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터널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별도의 조도센서를 설치하여 터널의 긴경우 터널의 입구부와 출구부의 날씨의 차를 인식하고, 그 날씨의 차와 미리 저장된 설정시간에 따라 터널등의 점등수를 결정함으로서, 터널의 내부 조도를 날씨에 따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에러등이 발생된 터널등의 수를 원격으로 조치자에게 전송하고, 조치자의 조치신호를 원격으로 수신하여 터널등을 제어함으로서, 터널등의 에러를 빠른시간에 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터널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제1조도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전압과 미리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시간에 따라 터널등의 점등 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의 출구부의 조도을 전류로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조도전압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2조도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등의 전체의 소비전력 및 단계별 전류를 감지하는 출력전류 감지부와, 상기 출력전류 감지부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터널등의 이 전류에 따라 상기 터널등의 에러 메세지를 발생하는 에러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방향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상기 에러감지부에서 발생된 에러메시지를 처리한 후 원격으로 상기 관제소 및/또는 조치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전송되온 조치자의 조치신호를 처리한 후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KR2019990029120U 1999-12-22 1999-12-22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KR200186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20U KR200186633Y1 (ko) 1999-12-22 1999-12-22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20U KR200186633Y1 (ko) 1999-12-22 1999-12-22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633Y1 true KR200186633Y1 (ko) 2000-06-15

Family

ID=1960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120U KR200186633Y1 (ko) 1999-12-22 1999-12-22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63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396B1 (ko) 2005-02-03 2006-08-31 전창배 터널순응조명등용 전원공급장치
KR100647743B1 (ko) 2004-07-26 2006-11-23 장승익 터널 조명등 원격 제어시스템
KR100823323B1 (ko) 2006-08-17 2008-04-21 박철순 지하 차도 내 제반 시설의 원격 관제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40272B1 (ko) 2006-12-11 2008-06-20 이현우 터널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41408B1 (ko) 2009-04-01 2010-02-10 (주)뷰트론 터널 led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제어 및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43B1 (ko) 2004-07-26 2006-11-23 장승익 터널 조명등 원격 제어시스템
KR100618396B1 (ko) 2005-02-03 2006-08-31 전창배 터널순응조명등용 전원공급장치
KR100823323B1 (ko) 2006-08-17 2008-04-21 박철순 지하 차도 내 제반 시설의 원격 관제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40272B1 (ko) 2006-12-11 2008-06-20 이현우 터널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41408B1 (ko) 2009-04-01 2010-02-10 (주)뷰트론 터널 led 시선 유도등 시스템의 제어 및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6633Y1 (ko)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CN102934155B (zh) 灯箱照明方法
EP1035628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mergency lighting units and installations
KR100984747B1 (ko) 교통신호등의 보행자 신호조작장치
KR200385296Y1 (ko) 주위 밝기와 일출 일몰에 따라 밝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조명제어장치
KR100427951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점소등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11452B1 (ko) 자동 점멸 가로등
KR100647743B1 (ko) 터널 조명등 원격 제어시스템
KR100985856B1 (ko) 일괄 제어 및 단독 감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100566371B1 (ko) 보안등 자동점멸 제어장치
KR100351493B1 (ko) 가로등 점소등용 무선양방향 자동점멸기
KR20110017605A (ko) 터널등의 색온도 제어장치
KR100490951B1 (ko)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원격통신 가로등 관리장치와 그가로등 관리장치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방법
KR100392058B1 (ko) 동영상 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밝기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2277B1 (ko) 구조신호 발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293217Y1 (ko) 가로등 원격제어장치
KR100704461B1 (ko)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점소등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86713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KR200205214Y1 (ko) 가로등 점소등용 무선양방향 자동점멸기
KR100630816B1 (ko) 무선전화시스템을 이용한 가로등 점검방법
KR0153810B1 (ko) 가로등 자동 점소등 제어장치와 무선 시간송신장치
KR101702396B1 (ko)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KR200186634Y1 (ko) 가로등 자동 제어시스템
CN209132948U (zh) 共享模式的下雨提醒系统
KR200428194Y1 (ko) 가로등 및 보안등의 자동점멸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