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13Y1 -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713Y1
KR200186713Y1 KR2020000001368U KR20000001368U KR200186713Y1 KR 200186713 Y1 KR200186713 Y1 KR 200186713Y1 KR 2020000001368 U KR2020000001368 U KR 2020000001368U KR 20000001368 U KR20000001368 U KR 20000001368U KR 200186713 Y1 KR200186713 Y1 KR 200186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ower
control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일
Original Assignee
이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일 filed Critical 이영일
Priority to KR2020000001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각종 가로등 및 보안등의 점멸기가 대형광고보드의 동작시간을 제어가능하게 한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의 조명기기 자체의 제어반에 손쉽게 부착 가능하게 하여 무선신호통제국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가로등을 점멸하게 하며 또한 보안등의 유무사항(전류,전압,누전)을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보안등의 유무사항을 무선신호통제국 컴퓨터 및 휴대폰단말기에 문자 수신받아 확인할 수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A wireless data transmitter system handphon make use lighting.}
본 고안은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상의 각종 가로등 및 보안등의 점멸기와 대형 광고보드 점등과 소등을 무선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가로등 들의 작동상태 즉 전류,전압,누전 상태를 먼거리에 있는 가로등설치 장소까지 가지않고 무선신호통제국에서 무선으로 가로등에 설치된 장치들을 작동시켜 전류, 전압, 누전 등을 검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등을 포함한 각종 가로등 및 대형의 광고보드는 각각 독립적인 동작운영 시스템으로 인해 단일 통제가 불가능 하였고 대기의 기상 변화에 따라 잦은 오동작으로 인해 전력의 낭비가 과다하였으며 비상시 일률적인 등화관제가 불가능함이 현실인 것이다.
여기서 독립적인 동작운영 시스템이란, 점멸기기 주변의 광량을 이용하여 센서의 사용으로 제어하거나 자체 구비된 제어타이머에 의해 일정시간의 점멸동작을 담당하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 광센서의 사용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공기중의 부유하는 먼지에 의해 광량이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며 또한 외부의 갑작스런 광량의 변화(예컨데 자동차의 전조등이나 기후변화등)에 대처할 능력이 없어 오동작이 자주 유발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타이머를 이용한 점멸동작은 자체적으로 시간의 보정을 할 수가 없어 시간차가 발생시 불 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우려되었으며 시간 설정을 하기 위해서 점멸기기의 상대로 일일이 보정조치를 함으로 인해 인력의 소요는 물론 과다한 작업 시간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네온사인류의 대형 광고물의 경우에는 대낮의 일정 시간에는 그 작동을 필요치 않으므로 관계 기관에서 시간적 규제를 행함이 일반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결할 양으로 본 원이 출원한 출원번호 제 96-010818호의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조명기구 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 무선신호통제국에서 송출되는 라디오주파수신호를 공급받아 이를 신호처리하여 수자정보데이터를 검출한 뒤 상기 수자정보데이터가 약정된 수자일 경우 복수의 신호출력단자를 통하여 복수의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무선호출기: 상기 무선호출기의 복수의 신호출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신호전압에 따라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조명기구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무선신호통제국에서 무선호출기의 고유호출번호(예컨데012-111-2222)에 대응되는 라디오주파수신호를 송출한 뒤 전원'온'동작을 위해 약정된 수자정보데이터(예컨데00001)에 대응되는 라디오주파수신호를 송출하면 무선호출기는 전술한 라디오주파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라디오주파수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수자정보데이터를 검출하여 전술한 수자정보데이터가 전원'온'오프 동작을 위해 약정된 수자임을 인식하여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출력단자에 출력함으로써 신호입력부의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출력단자를 통하여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전원제어부는 마그네틱스위칭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마그네틱스위칭부의 마그네틱접점이 소자되거나 여자됨에 따라 보안등이 점등되거나 소등되게 한 구성으로써 전술한 고유호출번호(예컨데012-111-2222)에 대응되는 라디오주파수신호를 송출한 뒤 전원'온'동작을 위해 약정된 수자정보데이터를 두개 구비하여 하나는 점등용 이고(예컨데0001)다른 하나는 소등할 때 송출하는(예컨데0002)이와같이 두개를 구비하여 소등과 점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조명기구 전원제어장치는 단순히 무선신호통제국에서 전파를 통해 점등과 소등 역활만 할 뿐 먼거리에 있는 보안등에 직접가지 않고서는 보안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보안등 관리자가 일일이 점검해야하는 문제점을 감안 할 때 인력이나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이미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먼거리에 있는 보안등에 무선신호를 보내 보안등을 점멸 및 소등하게 하며 또한 보안등의 유무사항(전류,전압,누전)을 데이터 무선으로 수신받아 보안등의 유무사항을 무선신호통제국의 휴대폰단말기 및 컴퓨터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 2도는 제 1도에 도시된 전원제어부의 동작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무선신호통제국 2. 휴대폰
3. 중앙처리장치 4. 전원제어부
5. 제어구동부 9. 전력감지계측장치
제 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로서 중앙통제장치(3)의 (20)은 CPU (21)은 프로그램 ROM (22)는 RAM이고 (23)은 모뎀이다.
먼저 참고로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음성 통화용으로 사용하다가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휴대폰의 음성데이터 선택모드를 조작하여 음성 모드에서 데이터 모드로 변경하여 데이터 입력/조회/수정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본 고안은 무선신호통제국에서 송출되는 방송파신호를 공급받아 이를 신호처리하여 수자정보 데이터를 검출한 복수의 신호출력단자를 통하여 복수의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휴대폰: 이 휴대폰으로 부터 출력된 수자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입력된 데이터와 기 저장된 코드데이터와 비교분석 한 후 약정된 수자임을 확인하여 가로등 등의 동작 및 기타 사항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3):
상기 중앙처리장치(3)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원제어부(4),
상기 전원제어부(4)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가로등(8)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릴레이 동작하는 제어구동부와(5): 이 제어구동부(5)의 제어에 따라 조명기구로 공급된 전원을 감지하여(전압,전류,누전등)그 감지값을 중앙처리장치(3)로 출력하는 전력감지계측장치(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감지계측장치는 전력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되고 이 감지된 신호는 콘덴서(미도시)및 OP앰프로 이루어진 앰프(31)로 인가되어 직류 증폭된다.
그리고 이 앰프(31)에 의해 DC 증폭된 전압은 전력감지 IC(32)로 입력됨으로써 소정의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읽어들인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화 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관한 블록도로서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폰(2)과 중앙처리장치(3)와 전원제어부(4)와 제어구동부(5)와 전력계측장치(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구동부(5)는 전원제어부(4)에서 구동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여자 또는 소자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구동부(5)는 릴레이 동작하여 부하단으로 전원 공급을 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휴대폰은 구역 및 권역에 따라 가로등의 점멸을 달리하기 위하여 상기 약정된 수자정보 데이터를 다수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휴대폰을 통하여 가로등의 작동 상황과 가로등의 전류, 전압, 누전, 상태를 무선신호통제국의 컴퓨터나 휴대폰에 1일1회 약정된 시간에 문자송신 하는데 그 약정된 시간을 달리할 수 있도록 즉 1일 24시간중 어느시간(원하는시간)에나 무선신호통제국에서 방송파를 송출하여 휴대폰을 통해 중앙처리장치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전류, 전압, 누전값을 무선신호통제국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에 프로그램(ROM)이 입력되어 있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무선신호 통제국(1)에서 송출된 방송파 신호를 안테나(10)를 통하여 수신받아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휴대폰(2)과 휴대폰에서 그 방송파를 입력받아 그 입력된 데이터를 기 저장된 코드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수자정보 데이터가 약정된 수자일 경우 전원공급 하거나 차단하거나 가로등(8)의 원격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와:
상기 휴대폰에서 출력된 신호 전압을 중앙처리장치(3)를 통하여 공급받아 제어구동부(5)에 선택적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4)와 제어구동부(5)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차단기(6)를 통하여 공급되는 소정값의 상용교류 전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제어구동부와 배선용 차단기를 통하여 상기한 상용교류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가로등.
상기 상용교류전원을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하는(전류,전압,누전)전력감지계측장치(9)와, 이 전력감지계측장치에서 얻어지는 디지털데이터값를 중앙처리장치(3)에서 읽어들인 디지털데이터값을 1일1회 약정된 시간이 되면 중앙처리장치의 프로그램 입력된 휴대폰 고유번호(무선신호통제국 휴대폰번호)와 상기 데이터값(전류,전압,누전)을 휴대폰에(가로등에 내장된 휴대폰)출력하며 휴대폰은 이 데이터를 방송파에 싣고 안테나로부터 중공으로 송신하면 무선신호통제국의 컴퓨터나 휴대폰단말기에 수자로 데이터값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감지계측장치(9)에서 얻어지는 디지털데이터값을 중앙처리장치(3)에서 읽어들이고 그 읽어들인 데이터를 휴대폰(2)으로 출력하면 휴대폰은 데이터를 중공으로 송신하는데 있어서 1일1회 같은시간이(약정된시간)되면 중앙처리장치(3)에서 그 데이터값을 휴대폰(2)을 통해 안테나로부터 중공으로 그쪽(무선신호통제국)으로 송신하도록 중앙처리장치(3)에 프로그램(ROM)이 입력되어 있다.
즉 매일1회씩 약정된 시간에 보안등의 데이터값을 무선신호통제국으로 상황보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매일1회 약정된 시간을 달리할 수 있도록 1일 24시간중 어느 시간에나 무선신호통제국에서 시간프로그램을 제어하여 그 데이터값을 무선신호통제국(1)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에 프로그램(ROM)이 입력되어 있다.
예를들어 1일24시간 중에서 매일 16시30분에 무선신호통제국(1)에서 보안등의 상황(전류,전압,누전)을 보고 받고자 할 경우 무선신호통제국(1)에서 휴대폰(보안등에 설치된휴대폰)고유번호(예컨데011-222-3333)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한뒤 16:30분에 송출을 위해 약정된 수자정보데이터(예컨데001630)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하면 휴대폰은 전술한 방송파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3)에 보내 중앙처리장치는 그 데이터가 약정된 수자임을 인식하여 중앙처리장치에서 16:30분에 이쪽(보안등)데이터값(전류,전압,누전)을 송신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3)에 입력된 프로그램(ROM)을 제어한다.
또한 매일1회 16:40분에 무선통제국에서 보안등의 상황(전류,전압,누전)을 보고 받고자 할 경우 상술한 휴대폰 고유번호를 송출한뒤 16:40분에 송출을 위해 약정된 수자정보데이터(예컨데001640)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하면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중앙처리장치는 그 데이터가 약정된 수자임을 인식하여 중앙처리장치에서 16:40분에 이쪽(보안등)데이터값(전류,전압,누전)을 송신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3)에 입력된 프로그램(ROM)을 제어한다.
상술한 수자정보데이터를 설명하면 전술한 수자정보데이터 중에서 00은 암호이고 16은 시간이고 40은 분이다. 이와같이 무선신호통제국에서 보안등에 설치된 휴대폰 고유번호 예컨데011-222-3333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한뒤 예컨데16시30분에 송출을 위해 약정된 암호 두가지와 시간과 분 4자리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하면 휴대폰은 전술한 방송파신호 즉 암호와 무선신호통제국에서 매일1회 상기한 데이터값을 수신받고자 하는 시간과 분을 송출하여 휴대폰을 통해 중앙처리장치에 보내면 중앙처리장치는 전력감지장치에서 읽어들인 전류,전압,누전 값을 무선신호 통제국으로 송출되게 하는 약정된 시간을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의 동작예를 제 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3)는 무선신호 프로그램제어 온 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가 아니오 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위 단계(S1)를 반복한다.
만약 위단계의 판단(S1)결과가 예 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프로그램제어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 위 단계(S2)의 판단결과가 아니오 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위 단계(S2)를 반복한다.
만약 위 단계(S2)의 판단결과가 예 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전술한 프로그램제어신호 송신시간'온'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S3) 위 단계(S3)의 판단결과가 '예'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내부에 구성된 CPU. ROM. RAM들이 상호 정보교환하여 송신시간 프로그램을 제어하면(S4)전력감지계측장치에서 읽어드린 데이터값(전류.전압.누전)을 다른시간으로 매일1회 상기 프로그램제어에 의하여 약정된 시간에 중앙처리장치는 그 데이터값을 휴대폰으로 출력하여 휴대폰은 무선신호통제국(1)에 송출한다.
이 후 중앙처리장치(3)는 무선신호 주파수기능이'온'인지를 판단하는 초기단계(S1)로 진행한다.
그런데 만약 위 단계(S3)의 판단결과가'예'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전술한 프로그램제어 신호가 전원 '온'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S5)위 단계(S5)의 판단결과가 '예'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전원제어부(4)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제어부(4)에 구동전원이 공급됨에 따라서 제어구동부(5)에 소정값 구동전원을 공급한다(S6).
제어구동부(5)는 제어구동부(5)의 릴레이접점(미도시)이 여자된다.
따라서 제어구동부(5)의 릴레이접점이 여자됨에따라 차단기(6)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을 배선용차단기(7)를 통하여 보안등(8)으로 공급되고 상용교류전원을 공급받은 보안등(8)은 점등된다.
이 후, 중앙처리장치(3)는 무선신호 주파수기능이 온 인지를 판단하는 초기단계(S1)로 진행한다.
또한 만약 위 단계(S5)의 판단결과가 '예'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상술한 전원제어신호가 전원 '오프'제어신호 인지를 판단한다(S7) 위 단계(S7)의 판단결과가 '예'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제어구동부(5)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한다(S8)제어구동부(5)에 구동전원이 차단됨에 따라서 제어구동부(5)의 릴레이접점이 소자된다.
제어구동부(5)의 릴레이접점이 소자됨에 따라 차단기(6)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이 차단되고 보안등(8)은 소등된다.
이 후 중앙처리장치(3)는 무선신호 전원제어기능이 '온'인지를 판단하는 초기단계(S1)로 진행된다.
만약 위 단계(S7)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중앙처리장치(3)는 전원제어신호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로 진행한다.
따라서 보안등(8)을 점등시키고자 할 때는 무선신호통제국(1)에서 휴대폰(2)의 고유번호 (예컨데 011-222-3333)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한뒤 전원'온'동작을 위해 약정된 수자정보데이터(예컨데00001)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하면 휴대폰(2)은 상술한 방송파신호를 수신받아 중앙처리장치(3)에 출력하면 중앙처리장치에서는 신호처리하여 수자정보데이터를 검출하여 상술한 수자정보데이터가 전원'온'동작을 위해 약정된 수자임을 인식하여 전원'온'신호를 전원제어부(4)에 출력 함으로써 전원'온'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전원제어부(4)는 전술한 바와같은 동작을 거쳐 보안등(8)을 점등하게 된다.
또한 보안등을 소등시키고자 할 때 무선신호통제국(1)에서 휴대폰(2)의 고유번호(예컨데 011-222-3333)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한뒤 전원'오프'동작을 위해 약정된 수자정보데이터(예컨데00002)에 대응되는 방송파신호를 송출하면 휴대폰(2)는 전술한 방송파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파를 중앙처리장치(3)에 출력하면 중앙처리장치에서 그 출력된 수자정보데이터를 검출하여 상술한 수자정보데이터가 전원 오프 동작을 위해 약정된 수자임을 인식하여 전원 '온'신호를 전원제어부(4)에 출력함으로써 전원 '온'제어신호를 공급받은 전원제어부(4)는 전술한바와 같은 동작을 거쳐 보안등(8)을 소등하게 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보안등을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시킬 경우에는 동일한 고유번호를 갖는 복수의 휴대폰을 상술한 복수의 보안등에 설치하면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는 가로등이나 보안등 또는 대형 광고물에 각각 설치하여 휴대폰를 이용하여 모든 제어대상인 가로등이나 보안등 같은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획일적인 통제를 가능 하게 하고 또한 임의의 특정지역별로 고유번호를 동일하게 지정함으로써 부분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모든 점등 및 소등을 정확한 시간에 통제함으로써 유사시 등화관제 훈련과 같은 시기에 통제가 일시적으로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각 경찰청이나 도, 시, 군, 읍, 면별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과 또한 상술한 가로등이나 보안등 대형 광고물 등의 유무사항 즉 작동상태(점등 및 소등 전압,전류,누전)를 1일 1회 약정된 시간이 되면(그 약정된 시간은 무선신호통제국에서 1일 24시간중 어느 시간이나 변경할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에 프로그램 입력되어 있다) 전력계측장치에서 얻어지는 디지털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읽어들인 그데이터값을 중앙처리장치에서 2매일이나 무선신호통제국의 휴대폰으로 송신 함으로서 무선신호통제국의 컴퓨터나 휴대폰단말기에서 수자로 데이터값을 확인 할 수 있어 종래에 보안등등 관리자가 일일이 보안등 등의 유무사항을 점검해야 하는 문제점을 감안할 때 인력이나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실정을 감안하면 본원은 전술한 보안등등 유무사항을 무선통제국에서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농촌지역의 논 밭 및 시설하우스 등 농작물에 모타펌프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양수(농작물에 물주는 작업)에 있어서도 그 모타펌프에 본 고안의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를 설치하여 먼거리에 있는 모타펌프설치 장소까지 가지않고 무선신호통제국에서 상기 모타펌프를 제어가능하게 함으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등을 감안할 때 즉 다 방면으로 유익한 고안이라 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Claims (3)

  1.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무선신호통제국에서 송출되는 방송파신호를 공급받아 이를 신호처리하여 수자정보데이터를 검출한 복수의 신호출력단자를 통하여 복수의 신호전압을 출력하는 휴대폰:
    상기 휴대폰(2)으로부터 출력된 수자정보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입력된 수자정보데이터와 프로그램입력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한 후 약정된 수자임을 확인하여 보안등의 작동사항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모뎀(23)과 CPU(20)와 ROM(21)과 RAM(23)이 설치된 중앙처리장치(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원제어부(4)와:
    상기 전원제어부(4)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가로등에 공급되여 전원을 선택적으로 릴레이 동작하는 제어구동부(5)와:
    상기 제어구동부(5)의 제어에따라 가로등으로 공급된 전원을 감지하여 전압,전류.누전 데이터값을 신호처리하여 그 데이터값을 상기 중앙처리장치(3)로 출력하는 전력감지계측장치(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구역 및 권역에 따라 보안등의 점멸을 달리하기 위하여, 수자정보데이터를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3)는 매일 1회 약정된 시간이 되면 전력감지계측장치(9)에서 읽어드려 디지털 전류, 전압, 누전, 상태를 상기 휴대폰(2)을 통해 중공으로 송신하면 무선신호통제국(1)의 컴퓨터나 휴대폰단말기에서 수자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KR2020000001368U 2000-01-14 2000-01-14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KR200186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368U KR200186713Y1 (ko) 2000-01-14 2000-01-14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368U KR200186713Y1 (ko) 2000-01-14 2000-01-14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713Y1 true KR200186713Y1 (ko) 2000-06-15

Family

ID=1963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368U KR200186713Y1 (ko) 2000-01-14 2000-01-14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7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249A (ko) * 2001-11-06 2001-12-08 김병두 가로등 및 그 선로의 원격감시 시스템
KR100458309B1 (ko) * 2002-12-04 2004-11-26 김철호 가로등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1392B1 (ko) 2006-11-29 2007-02-09 필컴퍼니주식회사 무선보안과 관제 기능을 갖는 조명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249A (ko) * 2001-11-06 2001-12-08 김병두 가로등 및 그 선로의 원격감시 시스템
KR100458309B1 (ko) * 2002-12-04 2004-11-26 김철호 가로등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1392B1 (ko) 2006-11-29 2007-02-09 필컴퍼니주식회사 무선보안과 관제 기능을 갖는 조명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1379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hrough seco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field intensity of received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through first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0186713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가로등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
US20040254725A1 (en) System for locating and addressing the lights of a beacon network
JP2954082B2 (ja) 携帯電話機
US20210105885A1 (en) Apparatus for a luminair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luminaire
KR20120000146A (ko)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200186633Y1 (ko) 터널등 자동 제어장치
KR100584401B1 (ko) 휴대폰에서최적의수신감도방향표시방법
KR100238729B1 (ko) 양방향 통신기기에서 배터리 수명 연장장치 및 방법
EP1127415B1 (en) Battery economis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351493B1 (ko) 가로등 점소등용 무선양방향 자동점멸기
US20190075445A1 (en) Emergency Call Radio System
KR0135181Y1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조명기구전원제어장치
KR20000050857A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소비성 전력기기 제어시스템
KR100630816B1 (ko) 무선전화시스템을 이용한 가로등 점검방법
KR200415578Y1 (ko) 다기능 가로등 점멸기
JPH09294169A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KR940009500B1 (ko) 가로등의 점소등 수신기 회로 및 점소등 방법
JPH1011699A (ja) 簡易バス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
IT1254595B (it) Sistema per la rice-trasmissione di informazioni tra stazioni fisse e mobili.
KR100374411B1 (ko) 광고판 램프 감시장치
KR100245437B1 (ko) 스크린이 장착된 휴대 무선 장치
KR100547729B1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전계 강도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110874A (ko) 조명 장치 및 그의 조명 제어 방법
KR101702396B1 (ko)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