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396B1 -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96B1
KR101702396B1 KR1020160091904A KR20160091904A KR101702396B1 KR 101702396 B1 KR101702396 B1 KR 101702396B1 KR 1020160091904 A KR1020160091904 A KR 1020160091904A KR 20160091904 A KR20160091904 A KR 20160091904A KR 101702396 B1 KR101702396 B1 KR 10170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current value
sensor
lamp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전
신중섭
Original Assignee
이앤에이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앤에이치(주) filed Critical 이앤에이치(주)
Priority to KR1020160091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5B37/0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등주에 램프 및 안정기가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마다 설치되어 램프의 점등 및 소등 여부와 안정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RF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로부터 제공받은 감지기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의 RF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조명장치의 안정기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상기 안정기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주기적으로 안정기로 흐르는 전류의 값에 대한 변동폭을 측정하여 램프의 온/오프를 판단하며, 상기 전류값의 변동폭 기준범위가 복수 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전류값의 변동폭이 원래의 변동폭 기준범위와 다른 기준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안정기가 교체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안정기의 교체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제어부와, 상기 장치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RF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Smart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wireless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일부 부품이 다른 규격으로 교체되더라도 이를 고장으로 오인식하지 않고, 제어부에서 부품의 교체 여부를 인식하고 교체된 부품의 규격 및 새롭게 교체된 부품의 규격에 맞게 램프의 온/오프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지능적인 조명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불필요한 인력투입 없이 자체적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한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가로등과 같은 다수의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조명장치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조명장치를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통신수단에는 RF, TCP/IP, 전력선통신(PLC) 등 다양한 통신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 제어시스템은 통신수단이 구비된 각각의 조명장치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각각의 조명장치는 고장여부를 통신수단을 통해 관제서버(센터)로 고장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관제서버에서 조명장치의 고장여부를 인식하고 고장난 조명장치가 있는 곳으로 관리기사가 출동하여 조명장치를 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관리기사가 조명장치를 수리할 때 원래 안정기의 규격과 다른 안정기로 교체될 수 있는데, 다른 규격의 안정기가 설치되면 조명장치는 동작할지 모르지만 안정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대폭 증가한다. 즉, 조명장치의 수리과정에서 원래의 규격과 다른 안정기로 교체되면 안정기의 출력 전류가 달라지는데, 이때 안정기의 출력 전류가 달라지더라도 조명장치는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정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조명장치는 동작하고 있는데 안정기의 출력 전류가 달라짐에 따라 해당 조명장치를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명장치가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관리기사가 해당지역으로 출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시스템 전체로 봤을 때 굉장히 비효율적이며 비용(인건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10-0779358호(조명등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관리방법)에는 조명등, 조명등에 연결되는 안정기, 안정기를 통해 조명등으로 흐르는 전류 세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전류센서, 전류센서에서 측정된 전류 세기가 입력되면 미리 셋팅된 조명등 정격전류와 전류 세기를 비교 분석하는 마이컴, 마이컴에서 비교 분석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리모콘의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마이컴에 연결되는 양방향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는 리모콘의 액정화면에 출력된 정보에 따라 조명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 시 리모콘으로 조명등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전류센서를 이용하여 안정기를 통해 조명등으로 흐르는 전류 세기를 측정하기는 하나, 안정기에 이상이 있어 안정기를 교체할 때 다른 규격의 안정기로 교체되는 경우 안정기의 규격이 바뀌었는지 전혀 인지할 수 없어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밖에 다른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963895호, 등록특허 제10-1407244호, 등록특허 제10-0760296호, 공개특허 제10-2015-0110860호 가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모두 새로운 규격의 안정기로 교체된 것을 인지하고 그에 따른 교체정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구성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고, 이와 관련된 기술사상을 암시하는 내용이 없기 때문에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KR0779358 10 KR0963895 10 KR1407244 10 KR0760296 10 KR2015-0110860 1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리과정에서 안정기 교체시 원래의 규격과 다른 규격의 안정기로 교체되더라도 바뀐 안정기의 규격을 인식하고, 바뀐 안정기의 규격대로 새로이 램프의 온/오프를 판단함으로써 안정기가 교체되더라도 램프의 온/오프 판단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등주에 램프 및 안정기가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마다 설치되어 램프의 점등 및 소등 여부와 안정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RF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중계기와, 상기 중계기로부터 제공받은 감지기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의 RF무선통신 모듈은 상기 조명장치의 안정기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상기 안정기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주기적으로 안정기로 흐르는 전류의 값에 대한 변동폭을 측정하여 램프의 온/오프를 판단하며, 상기 전류값의 변동폭 기준범위가 복수 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전류값의 변동폭이 원래의 변동폭 기준범위와 다른 기준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안정기가 교체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안정기의 교체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제어부와, 상기 장치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는 RF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리과정에서 안정기 교체시 원래의 규격과 다른 규격의 안정기로 교체되더라도 바뀐 안정기의 규격을 인식하고, 바뀐 안정기의 규격대로 램프의 온/오프를 스스로 판단함으로써 안정기가 교체되더라도 램프의 온/오프 판단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인력투입 없이 자체적으로 문제해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무선통신 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출력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시간에 따른 출력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이용한 안정기의 교체여부 판단의 흐름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감지기에 LED알림패널을 더 포함하여 긴급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조명제어 시스템은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일부 부품이 다른 규격으로 교체될 경우, 이를 고장으로 오인식하여 조명장치가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관리기사가 해당지역으로 출동하는 불필요한 인력투입이 이루어졌던 바,
본 발명을 통해서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일부 부품이 다른 규격으로 교체되더라도 이를 고장으로 오인식하지 않고, 제어부에서 부품의 교체 여부를 인식하고 교체된 부품의 규격 및 새롭게 교체된 부품의 규격에 맞게 램프의 온/오프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지능적인 조명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자체적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한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주에 램프(110) 및 안정기(120)가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100)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100)마다 설치되어 램프(110)의 점등 및 소등 여부와 안정기(120)의 상태를 확인하고 RF무선통신 모듈(210)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기(200)와, 상기 감지기(200)의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중계기(300)와, 상기 중계기로(300)부터 제공받은 감지기(200)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제서버(500)로 전송하는 수집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조명장치(100)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조명장치(100)에는 램프(110)와 안정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110)는 등주에 설치되어 가로등 또는 보안등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램프(110)의 종류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LED램프(11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기(120)는 램프(110)와 연결되어 전류증가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감지기(200)는 복수의 조명장치(100)마다 설치되어 램프(110)의 점등 및 소등 여부와 안정기(12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이러한 데이터는 RF무선통신 모듈(210)에 의해 1차적으로 중계기(300)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중계기(300)(repeater)는 통신 시스템의 중간에서 약해진 신호를 받아 증폭, 재송신하거나, 찌그러진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고 타이밍을 조정, 또는 재구성하여 송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중계기(300)는복수의 감지기(200)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다시 다른 중계기(300)로 보내거나 수집기(40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집기(400)는 중계기(300)로부터 제공받은 감지기(200)의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관제서버(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집기(400)의 전송방법으로는 TCP/IP, CDMA, WIFE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통신료를 절감하기 위해 TCP/IP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제서버(500)는 수집기(400)와 통신하면서 감지기(200)를 통해 감지된 램프(110), 안정기(120) 및 RF무선통신 모듈(210)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는다. 특히 안정기(120)의 교체정보를 전송받고, 램프(110)의 온/오프에 대한 정보도 전송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200)의 RF무선통신 모듈(2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원제어부(211), 센서부(212), 장치제어부(213), RF송수신부(2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211)는 조명장치(100)의 안정기(120)에 연결되어 상기 안정기(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공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전원공급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센서부(212)는 전원제어부(211)에서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을 통해 램프(110)의 ON/OFF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전류센서로 센서부(212)가 이루어지거나 전류센서를 포함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제어부(213)는 센서부(212)가 주기적으로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의 변동폭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장치제어부(213)에는 전류값의 변동폭 기준범위 복수 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데, 장치제어부(213)는 센서부(212)가 측정한 전류값의 변동폭이 원래의 기준범위와 다른 기준범위에 해당하면 안정기(120)가 교체된 것으로 인지하여 안정기(120)의 교체정보가 RF송수신부(214)를 통해 관제서버(5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RF송수신부(214)는 무선 RF(Radio Frequency)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장치(100)에 설치된 감지기(200)가 중계기(300)와 수집기(400)를 거쳐 최종적으로 관제서버(500)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12)의 출력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12)는 AC 및 DC 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출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전압의 1/2 값을 기준으로 0.3V ~ Vdd-0.3V 범위 내에서 변동한다. 즉, 센서부(212)의 출력값은 구동전압의 1/2 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사인파를 형성한다(AC 전류일 경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12)의 시간에 따른 출력 그래프로서, 도 4에는 센서부(212)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전원제어부(211)에서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 전류값(ADC값: 아날로그 출력을 ADC를 이용하여 디지털로 변환한 값)이 나타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145초 부근까지 측정된 전류값의 변화가 없어 안정기(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보고, 램프(110)가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145초 이후 부근부터 사인파와 유사하게 전류값이 변동하고, 이러한 전류값의 변동으로부터 안정기(120)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램프(110)가 온(On)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로등 및 보안등은 램프(110)의 종류에 따라 안정기(120)의 규격이 서로 상이한데, 일반적으로 75W, 125W, 250W 출력(소비전력)의 안정기(120)들이 사용된다. 각각의 안정기(120)에서 공급되는 전류값은 각 안정기(120)의 소비전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결과적으로 이는 안정기(120)의 소비전력이 달라짐에 따라 도 4에서 측정된 전류값의 변동폭(A)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250W 안정기(120)의 출력 전류값의 변동폭이 200이라고 하면, 125W 안정기(120)의 출력 전류값의 변동폭은 100, 75W 안정기(120)의 출력 전류값의 변동폭은 50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값의 변동폭을 미리 설정하여 놓고, 센서부(212)에서 측정된 안정기(120)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설정된 변동폭보다 크면 램프(110)가 온(ON)된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부(212)에서 측정된 안정기(120)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설정된 변동폭보다 작으면 램프(110)가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램프(110)의 온/오프를 판단할 수 있다.
250W 안정기(120)를 예로 들면, 장치제어부(213)에 기준이 되는 전류값의 변동폭이 200으로 설정되고, 센서부(212)에서 측정된 안정기(120)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200보다 크면 램프(110)가 온(ON)된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부(212)에서 측정된 안정기(120)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200보다 작으면 램프(110)가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12)를 이용하여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고, 이로써 램프(110)의 온/오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값의 변동폭은 안정기(120) 입력단의 입력 전압 및 전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노이즈 등으로 인하여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이 되는 전류값의 변동폭에 오차범위를 10% 정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50W 안정기(120)는 기준이 되는 전류값의 변동폭이 200이지만 오차범위 10%를 반영하여 센서부(212)에서 측정된 안정기(120)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180 이상이면 램프(110)가 온(ON)된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부(212)에서 측정된 안정기(120)의 전류값의 변동폭이 180 미만이면 램프(110)가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12)를 이용한 안정기(120)의 교체여부 판단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제어부(213)에는 75W 안정기(120)에 해당하는 전류값 변동폭 50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범위 1, 150W 안정기(120)에 해당하는 전류값 변동폭 100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범위 2, 200W 안정기(120)에 해당하는 전류값 변동폭 200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범위 3 이렇게 3개의 전류값의 변동폭에 대한 기준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212)가 주기적으로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정기(120)의 출력 전류를 ADC값으로 획득하고, 이러한 ADC값으로부터 전류값의 변동폭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각 변동폭 기준범위는 10%의 오차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장치제어부(213)는 안정기(120)의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안정기(120)의 교체여부에 대한 정보(교체정보)를 관제서버(5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수리과정에서 안정기(120) 교체시 원래의 규격과 다른 규격의 안정기(120)로 교체되더라도 바뀐 안정기(120)의 규격을 인식하고, 바뀐 안정기(120)의 규격대로 새로이 램프(110)의 온/오프를 판단함으로써 안정기(120)가 교체되더라도 램프(110)의 온/오프 판단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장치제어부(213)는 보정(Calibration)을 더 수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보정은 센서부(212)가 측정한 전류값의 변동폭이 원래의 변동폭 기준범위와 다른 변동폭 기준범위에 해당하면 새로운 변동폭 기준범위를 임시로 설정하고, 소정 시간 내에서 무작위 시간 간격으로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의 변동폭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정과정을 적용하는 이유는 전류값의 변동폭의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1~5초 범위 시간 내에서 임의의 횟수만큼 무작위한 시간 간격으로 전류값을 읽어들일 수 있는데, 무작위한 시간 간격을 적용한 이유는 외부 노이즈 또는 충격으로 인한 전류값을 잘못 읽어들이는 순간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아닌 임의의 순간에 발생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상황을 감지하려면 임의의 무작위한 시간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 수행함으로써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류값의 변동폭 기준범위는 외부 노이즈 등의 변수로 인해 항상 고정된 값이 아닌 변수를 반영하여 오차범위를 최소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전류값의 변동폭 기준범위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보정하는 과정을 통해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은 관제서버(500)에 RF무선통신 모듈(210)의 펌웨어에 대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이때 장치제어부(213)는 관제서버(500)로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보낸 후, 관제서버(500)로부터 업데이트된 RF무선통신 모듈(210)의 펌웨어를 전송받아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가로등 또는 보안등에 설치되는 RF무선통신 모듈(210)이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펌웨어를 자동을 설치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때 RF무선통신 모듈(210)은 제1 메모리 영역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RF무선통신 모듈(210)의 기존 펌웨어는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장치제어부(213)가 관제서버(500)로부터 업데이트된 RF무선통신 모듈(210)의 펌웨어를 전송받아 설치할 때, 업데이트된 RF무선통신 모듈(210)을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 다음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업데이트 설치가 오류없이 완료되면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펌웨어를 제1 메모리 영역으로 복사한 후 제2 메모리 영역에 남아 이는 펌웨어를 제거한다.
펌웨어가 업데이트 설치를 진행하는 도중 오류가 발생하면 관제서버(500)로부터 새로이 펌웨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다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메모리부를 제1 메모리 영역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2 메모리 영역에 업데트된 펌웨어를 별도로 다운받아 저장해 놓으면 업데이트 설치를 진행하는 도중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관제서버(5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지 않아도 된다.
아울러 도 6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기(200)가 관제서버(500)에서 제공하는 긴급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LED알림패널(220)을 더 포함할 경우, 주변의 교통정보 및 폭염주의, 황사주의 등과 같은 재난상황을 조명장치(100)를 통해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려주어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LED알림패널(220)의 문구는 교통센터 및 국가 재난상황실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관제서버(500)에서 특정지역의 조명장치(100)에 설치된 감지기(200)로 전송해주는 것이다. 이때 전송방법은 감지기(200)의 구성요소인 RF무선통신 모듈(210)의 RF송수신부(214)에 의해 전송이 이루어지며 특정 위치(지역)에 있는 감지기(200)에만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LED알림패널(220)은 교통정보 및 재난상황 이외에도 조명장치(100)의 고장 유무 및 고장상태 등을 표시하여 현장으로 출동한 관리기사가 고장 난 조명장치(100)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신속하게 파악하고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은 수리과정에서 안정기(120) 교체시 원래의 규격과 다른 규격의 안정기(120)로 교체되더라도 바뀐 안정기(120)의 규격을 인식하고, 바뀐 안정기(120)의 규격대로 램프(110)의 온/오프를 판단함으로써 안정기(120)가 교체되더라도 램프(110)의 온/오프 판단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조명장치 110 : 램프
120 : 안정기 200 : 감지기
210 : RF무선통신 모듈 211 : 전원제어부
212 : 센서부 213 : 장치제어부
214 : RF송수신부 220 : LED알림패널
300 : 중계기 400 : 수집기
500 : 관제서버

Claims (7)

  1. 등주에 램프(110) 및 안정기(120)가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장치(100),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100)마다 설치되어 RF무선통신 모듈(210)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감지기(200), 상기 감지기(200)의 데이터 신호를 증폭전송하는 중계기(300), 상기 감지기(200)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제서버(500)로 전송하는 수집기(400)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200)의 RF무선통신 모듈(210)은
    상기 조명장치(100)의 안정기(12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211); 상기 전원제어부(211)에서 상기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센서부(212); 상기 센서부(212)가 주기적으로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의 값에 대한 변동폭을 측정하여 램프(110)의 온/오프를 판단하며, 상기 전류값의 변동폭 기준범위가 복수 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212)가 측정한 전류값의 변동폭이 원래의 변동폭 기준범위와 다른 기준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안정기(120)가 교체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안정기(120)의 교체정보를 상기 관제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제어부(213)와, 상기 장치제어부(213)에 연결되고, 상기 관제서버(500)와 통신하는 RF송수신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치제어부(213)는,
    상기 센서부(212)가 측정한 전류값의 변동폭이 원래의 변동폭 기준범위와 다른 변동폭 기준범위에 해당하면 새로운 변동폭 기준범위를 임시로 설정하고, 소정 시간 내에서 무작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의 변동폭을 측정하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측정된 상기 안정기(120)로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의 변동폭을 상기 새로운 변동폭 기준범위로 설정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변동폭 기준범위가 10%의 오차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213)는 상기 새로운 변동폭 기준범위를 기준으로 램프(110)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500)는 RF무선통신 모듈(210)의 펌웨어에 대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상기 장치제어부(213)는 서버(500)로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신호를 보낸 후, 상기 관제서버(500)로부터 업데이트된 RF무선통신 모듈(210)의 펌웨어를 전송받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RF무선통신 모듈(210)은
    제1 메모리 영역과 제2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RF무선통신 모듈(210)의 기존 펌웨어는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장치제어부(213)가 관제서버(500)로부터 업데이트된 RF무선통신 모듈(210)의 펌웨어를 전송받아 설치할 때, 먼저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 다음 설치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200)는 관제서버(500)에서 제공하는 긴급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LED알림패널(2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LED알림패널(220)은 RF무선통신 모듈(210)에 의해 특정 위치에 있는 감지기(200)에만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KR1020160091904A 2016-07-20 2016-07-20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KR10170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04A KR101702396B1 (ko) 2016-07-20 2016-07-20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04A KR101702396B1 (ko) 2016-07-20 2016-07-20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396B1 true KR101702396B1 (ko) 2017-02-03

Family

ID=5815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04A KR101702396B1 (ko) 2016-07-20 2016-07-20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96B1 (ko) 2007-05-18 2007-09-19 주식회사 신영이엔티 작동 상태 음성 통보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100779358B1 (ko) 2006-11-21 2007-11-23 신정훈 조명등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관리방법
KR20090083789A (ko) * 2008-01-30 2009-08-04 (주)인트모아 유에스엔 기반 가로등 원격관리시스템
KR20130130925A (ko) * 2012-05-23 2013-12-03 (주) 코콤 스마트 엘이디 조명
KR20150110860A (ko) 2014-03-20 2015-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의 펌웨어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58B1 (ko) 2006-11-21 2007-11-23 신정훈 조명등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관리방법
KR100760296B1 (ko) 2007-05-18 2007-09-19 주식회사 신영이엔티 작동 상태 음성 통보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20090083789A (ko) * 2008-01-30 2009-08-04 (주)인트모아 유에스엔 기반 가로등 원격관리시스템
KR100963895B1 (ko) 2008-01-30 2010-06-17 (주)인트모아 유에스엔 기반 가로등 원격관리시스템
KR20130130925A (ko) * 2012-05-23 2013-12-03 (주) 코콤 스마트 엘이디 조명
KR101407244B1 (ko) 2012-05-23 2014-06-13 (주) 코콤 스마트 엘이디 조명
KR20150110860A (ko) 2014-03-20 2015-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량의 펌웨어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134B1 (ko)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고효율 안정기 및 이를 이용한보안등/가로등 제어 시스템
RU2551109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7825602B2 (en) Outdoor lighting system with controlled luminance
KR101175996B1 (ko)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2541B1 (ko) 스마트 가로등,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1294684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로등 원격 제어시스템
KR20190063834A (ko) 스마트 가로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08060B1 (ko) Plc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보안등의 디밍제어 및 원격제어 통합관리 시스템
CN102934155B (zh) 灯箱照明方法
KR100836533B1 (ko) 조명기기용 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90322232A1 (en) Brightness-ajustable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090089731A (ko) 가로등 관제 시스템
KR101623808B1 (ko) 가로등 불량 표시장치
KR20150119700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공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02396B1 (ko)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KR20140004854A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스마트 가로등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216970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KR100509785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20160125697A (ko) 가로등 제어 장치 및 제어 서버
KR102208981B1 (ko)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실외 조명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04652B1 (ko) 다등용 일체형 안정기 및 다등용 일체형 안정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645919B1 (ko) 전류센서를 이용한 조명장치 제어시스템
KR101923620B1 (ko) IoT 스마트 LED 가로등 무선 제어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20120044710A (ko) 코일식 디밍 가로등기구 제어를 위한 무선 디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가로등주
KR100985856B1 (ko) 일괄 제어 및 단독 감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