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998B1 -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 Google Patents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998B1
KR100563998B1 KR1020030061448A KR20030061448A KR100563998B1 KR 100563998 B1 KR100563998 B1 KR 100563998B1 KR 1020030061448 A KR1020030061448 A KR 1020030061448A KR 20030061448 A KR20030061448 A KR 20030061448A KR 100563998 B1 KR100563998 B1 KR 10056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less
strength
steel
t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897A (ko
Inventor
모토요시다카시
다나베히로토
아나이이사오
히로시게이쓰로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40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28082A/ja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고, 전봉 용접부 근방에서 인성이 저하하지 않는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 강도 1700MPa 이상의 고강도를 갖는 단면 형상이 환형 또는 각형인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강 중에 존재하는 Si 함량을 (Mn/8)-0.07 ~ (Mn/8)+0.07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용접부의 인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강관의 조성은, 강 중에 C: 0.22% ~ 0.35%, Si: 0.10% ~ 0.30%, Mn: 0.5% ~ 1.50%, P: 0.025% 이하, S: 0.01% 이하, Al: 0.010% ~ 0.050%, B: 2ppm ~ 35ppm, Ti: 0.005 ~ 0.05%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고주파 담금질에 의해 9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하고, 구오스테나이트 입도 번호를 6번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봉 강관, Si 함량, 내충격성, 용접부 강도비, 마르텐사이트, 구오스테나이트

Description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HIGH SHOCK RESISTANT ELECTRIC RESISTANCE WELDED STEEL TUBE}
도 1은 업셋 용접부의 인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구오스테나이트 입도와 충격 굽힘 시험시의 균열 발생 유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임팩트 빔(impact beam) 범퍼용 재료, 범퍼 보강용 재료 등의 충격 흡수 부재로서 이용되는 단면 형상이 환형 또는 각형인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에 관한 것이다. 강관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원형인 강관을 의미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단면 형상이 환형 또는 각형인 강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환형이라 함은 원, 타원 등을 포함하고, 각형이라 함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단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어 임팩트 빔 등의 충격 굽힘을 받는 부재로서 사용되는 고강도 전봉 강관에 대해서는, 강도뿐만 아니라 충격 에너지 흡수 특성을 좌우하는 인성이 물론 필 요하다. 이를 위하여 일본 특개평7-1837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이러한 특성들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강관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종래품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전봉 강관 제조를 위한 전봉 용접부 근방에서 강도와 인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체 부분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전봉 용접부 근방에서 인성이 저하하지 않는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봉 용접부 근방의 샤피 흡수 에너지 특성을 측정한 결과, 샤피 흡수 에너지 특성이 저하한 부분의 파단면에는 Si, Mn을 함유하는 산화물이 잔류하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성분들이 인성 저하의 한 원인이라는 점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Si와 Mn 사이에 특정 관계가 성립할 경우에, 용접부 근방에서의 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장 강도 1700MPa 이상의 고강도를 갖고, 또한 강 중에 존재하는 Si 함량을 (Mn/8)-0.07 ~ (Mn/8)+0.07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 형상이 환형 또는 각형인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을 요지로 한다. 특히, 강 중에 질량비로, C: 0.22% ~ 0.35%, Si: 0.10% ~ 0.30%, Mn: 0.5% ~ 1.50%, P: 0.025% 이하, S: 0.01% 이하, Al: 0.010% ~ 0.050%, B: 2ppm ~ 35ppm, Ti: 0.005 ~ 0.05%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시킨 조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b: 0.005% ~ 0.050%, V: 0.005% ~ 0.070%, Cu: 0.005% ~ 0.5%, Cr: 0.005% ~ 0.5%, Mo: 0.1% ~ 0.5%, Ni: 0.1% ~ 0.5%, Ca: 0.01% 이하, 희토류 원소(REM): 0.1% 이하의 그룹에서 선택된 임의의 선택 성분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고주파 담금질에 의해 9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형성시키고, 구오스테나이트 입도 번호를 6번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봉 용접부에 발생하는 Si, Mn을 함유하는 산화물이 용접부의 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라고 생각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Si 함량을 (Mn/8)-0.07 ~ (Mn/8)+0.07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산화물을 전봉 용접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고, 후술하는 실시예의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700MPa 이상의 높은 인장 강도를 유지하면서 용접부의 인성 저하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면 형상이 환형 또는 각형인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은, C와 Mn을 첨가한 강으로부터 전봉 강관을 제조하고 이를 급랭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하고, 170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달성한 강관이다. 그 기본적인 조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 중에 C: 0.22% ~ 0.35%, Si: 0.10% ~ 0.30%, Mn: 0.5% ~ 1.50%, P: 0.025% 이하, S: 0.01% 이하, Al: 0.010% ~ 0.050%, B: 2ppm ~ 35ppm, Ti: 0.005 ~ 0.05%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우선, 기본적인 조성 중의 각 성분의 수치 한정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C는 마르텐사이트 자체를 강화하여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 성분이고, 170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22%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잉으로 첨가하면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취화하고 담금질 시에 파괴의 원인이 되는 담금질 균열을 초래하므로, C의 함량을 0.35% 이하로 한다.
Si, Mn, Ti는 모두 담금질 시의 오스테나이트로부터의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촉진하는 성분이고, Si: 0.01% ~ 0.30%, Mn: 0.5% ~ 1.50%, Ti: 0.005% ~ 0.05%의 각 수치 한정 범위보다도 적으면 담금질성이 저하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잔류 페라이트가 생기고, 소기의 재료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수치 한정 범위를 초과하면, 담금질 균열이나 편석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용접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용접부 강도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n 함량을 낮게 설정하는 편이 좋으며, 1.4%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i와 N은 고정됨으로써,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B는 페라이트 석출을 제어하는 성분이지만, 강 중에 가스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N과 결합하여 BN이 되면 그 효과가 상실되므로, 2ppm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35ppm을 초과하면 편석 개재물이 된다. P와 S는 편석 개재물이 되고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취화하므로, P: 0.025% 이하, S: 0.02%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Al은 탈산제로서, 0.010% 미만에서는 탈산 효과가 불충분하고, 0.050%를 초과하면 산화물이 결정간 개재물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필수 성분 외에, Nb: 0.005% ~ 0.050%, V: 0.005% ~ 0.070%, Cu: 0.005% ~ 0.5%, Cr: 0.005% ~ 0.5%, Mo: 0.1% ~ 0.5%, Ni: 0.1% ~ 0.5%, Ca: 0.01% 이하, 희토류 원소(REM): 0.1% 이하의 그룹에서 선택된 임의의 선택 성분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Nb와 V는 마르텐사이트 조직 중에 석출물을 생성하여 전위의 통과를 방해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키는 석출 강화 성분이다. Cu, Cr, Mo, Ni는 마르텐사이트 결정 중에 고용되어 전위의 통과를 방해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키는 고용 강화 성분이다. 또한, Cr, Mo는 석출 강화 성분으로서도 작용한다. 이 성분들은 강도 증가에 기여하지만,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과잉으로 첨가되면 편석 개재물이 형성되므로, Nb: 0.005% ~ 0.050%, V: 0.005% ~ 0.070%, Cu: 0.005% ~ 0.5%, Cr: 0.005% ~ 0.5%, Mo: 0.1% ~ 0.5%, Ni: 0.1% ~ 0.5%가 적당하다.
Ca와 희토류 원소(REM)는 개재물의 형태 제어에 기여하는 성분이지만, 과잉의 첨가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파괴의 원인이 되는 유해한 편석을 초래하므로, Ca: 0.01% 이하, REM: 0.1% 이하가 적당하다. 희토류 원소(REM)로서는, 예를 들어 Y, La, Ce, Sm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은, 오스테나이트로부터의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촉진하기 위하여, Si: 0.10% ~ 0.30%, Mn: 0.5% ~ 1.50%를 필수적으로 함유시키고, 인장 강도 1700MPa 이상의 고강도를 달성한 강관이다. 그리고, Si와 Mn을 (Mn/8)-0.07 ≤ Si ≤ (Mn/8)+0.07의 식을 만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봉 용접부의 인성 저하를 방지한 점이 최대의 특징이다. 도 1은 업셋 용접부의 인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Si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에, 상대 샤피 흡수 에너지가 최대가 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대 샤피 흡수 에너지는, -40℃에서의 Si=Mn/8인 성분의 샤피 흡수 에너지를 1로 하였을 경우의 Si=(Mn/8)+α(α=-0.30~+0.30)인 성분의 샤피 흡수 에너지의 상대치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강 중에 C, Mn을 첨가하여 1700MPa 이상의 고강도화를 도모한 강관은, 저강도의 강관에 비하여 융점이 낮고, 전봉 용접 시에 용융시키는 금속의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의 점성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용접부의 산화물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Si 함량을 상기 범위와 같이 제어하여 산화물을 배제시키는 것이, 용접부의 인성 저하 방지에 특히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주파 담금질에 의해 95% 이상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하고, 또한 구오스테나이트 입도 번호 6번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저온 충격 굽힘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도 2는 구오스테나이트 입도가 다른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인장 강도 1700MPa)에 대하여 충격 굽힘 시험을 실시하여 균열 발생 유무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구오스테나이트 입도 번호 6번 이상의 미세 결정으로 함으로써, 강관의 저온 충격 굽힘 특성이 우수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결정의 세립화는, 예를 들면 담금질 온도의 저온화, 담금질 전의 조직의 세립화, Nb, V, Ti 등의 첨가 원소의 효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오스테나이트 입도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오스테나이트 입계 현출액에 의해 모재의 구오스테나이트 입계를 현출시킨 후에, 절단법 또는 화상 해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단면 형상은 환형 또는 각형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단면이 각형인 각형 강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전봉 용접 공정 후에 성형 롤을 이용하여 각(角)성형하는 방법과 강대로부터 연속적으로 굽힘 성형을 시행하여 전봉 용접 시에 각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초고강도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판 두께를 얇게 설계하면, 용접 시의 업셋량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되고, 산화물 잔류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산화물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Si 함량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산화물을 배제하고 용접 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부의 인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어 임팩트 빔 등이 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경우, 모서리부로의 부하가 변부(邊部)로의 부하에 비하여 큰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대하여, 전자의 제조 방법의 경우, 성형 롤을 통과하기 전에 용접부를 검지하고, 용접부가 모서리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후자의 제조 방법의 경우, 굽힘 성형을 행하여 각성형을 시행하므로, 용접부가 모서리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모서리부가 용접부에 위치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재의 높은 에너지 흡수 성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각형 강관으로 함으로써, 동일 단면적의 환형 강관보다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특허는 단면을 각형으로 한 각형 강관을 채용함으로써, 환형 강관보다 더욱 에너지 흡수 능력을 높이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각종 조성의 전봉 강관을 제조하였고, 인장 강도, 용접부 강 도/본체 부분의 인장 강도의 비, 저온 충격 굽힘 시의 균열의 유무 등을 측정하여 표 내에 기재하였다. 또한, α=Si-Mn/8의 값 및 구오스테나이트 입도 번호도 표 내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5와 비교예 1 ~ 비교예 3은 환형의 전봉 강관, 실시예 6, 실시예 7 및 비교예 4는 정방형 단면의 각형 전봉 강관의 예이다.
Figure 112003033020364-pat00001
또한, 표 내의 조성은 질량%(단, B는 질량ppm임)을 나타내고, 잔부는 Fe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저온 충격 굽힘란의 ○는 -60℃의 저온 조건하에서의 충격 굽힘 시험을 시행한 경우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강관, ×는 균열이 발생한 강관을 의미한다. 또한, 성분 함유량의 공백은 무첨가를 의미한다.
특히, 실시예 3에 있어서는, Mn 함량이 1.4% 미만이므로, 다른 환형 강관의 실시예보다 용접부 강도비가 증가되어 있다.
또한, 표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실시예 6과 실시예 7의 최대 충격 흡수 에너지량은 실시예 1 ~ 실시예 5에 비하여 약간 증가하였다. 이는 단면 계수가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면 형상이 환형 또는 각형인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은, 강도와 인성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전봉 용접부 근방에서 강도 및 인성이 저하하지 않으며, 도어 임팩트 빔 범퍼용 재료, 범퍼 보강용 재료 등의 충격 흡수 부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4)

  1. 질량%로, C: 0.22% ~ 0.35%, Si: 0.10% ~ 0.26%, Mn: 0.5% ~ 1.50%, P: 0.025% 이하, S: 0.01% 이하, Al: 0.010% ~ 0.050%, B: 2ppm ~ 35ppm, Ti: 0.005 ~ 0.05%를 함유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Mn/8)-0.07 ≤ Si ≤ (Mn/8)+0.07를 만족하고, 인장 강도가 1700MPa 이상이고, 단면 형상이 환형 또는 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강 중에 질량%로, Nb: 0.005% ~ 0.050%, V: 0.005% ~ 0.070%, Cu: 0.005% ~ 0.5%, Cr: 0.005% ~ 0.5%, Mo: 0.1% ~ 0.5%, Ni: 0.1% ~ 0.5%, Ca: 0.01% 이하, 희토류 원소(REM): 0.1% 이하의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고주파 담금질에 의해 95% 이상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하고, 또한 구오스테나이트 입도 번호 6번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KR1020030061448A 2002-12-25 2003-09-03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KR100563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4010A JP2003328082A (ja) 2002-03-08 2002-12-25 高耐衝撃性電縫鋼管
JPJP-P-2002-00374010 2002-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897A KR20040057897A (ko) 2004-07-02
KR100563998B1 true KR100563998B1 (ko) 2006-03-29

Family

ID=3258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448A KR100563998B1 (ko) 2002-12-25 2003-09-03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63998B1 (ko)
CN (1) CN1312006C (ko)
CA (1) CA24417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2640B (zh) * 2014-04-26 2017-03-15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35MnB钢及其制备方法
CN104117824A (zh) * 2014-07-22 2014-10-29 上海加宁新技术研究所 超高压无缝合金钢管的制造方法
KR101665819B1 (ko) 2014-12-24 2016-10-13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 강재, 내구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US10961599B2 (en) 2016-07-20 2021-03-30 Hyundai Motor Company Lightweight door beam, composition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929772B (zh) * 2017-03-14 2019-04-23 河北工业大学 一种钢棒用钢及其制备方法和钢棒
CN113308648B (zh) * 2021-05-14 2022-11-15 唐山钢铁集团高强汽车板有限公司 一种冷轧马氏体钢基板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078A (ja) * 1992-07-09 1994-03-22 Sumitomo Metal Ind Ltd 低降伏比高強度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79945A (ja) * 1992-12-15 1994-06-28 Nippon Steel Corp 延性の優れたCr−Mo系超高張力電縫鋼管
JP3683378B2 (ja) * 1997-04-30 2005-08-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靱性高延性鋼管の製造方法
JPH1150148A (ja) * 1997-08-06 1999-02-23 Sumitomo Metal Ind Ltd 高強度高耐食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
JP3921808B2 (ja) * 1998-04-30 2007-05-3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法
JP3563988B2 (ja) * 1999-02-01 2004-09-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液圧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鋼管
JP4288441B2 (ja) * 2000-03-22 2009-07-0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靭性、延性、溶接性に優れた高張力継目無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9922A (zh) 2004-07-07
CA2441720C (en) 2009-12-15
CN1312006C (zh) 2007-04-25
CA2441720A1 (en) 2004-06-25
KR20040057897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0579B2 (en) High tensile strength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weld heat-affected zone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934405B1 (ko) 고강도 후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고강도 강관
KR100343052B1 (ko) 인성이 뛰어나고 항복강도가 325MPa 이상인 극후H형 강
JP5385760B2 (ja) 耐震性に優れた冷間成形角形鋼管
KR20060012310A (ko) 에어백 시스템용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51497A (ko) 음향 이방성이 작고 용접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장력 강판및 그 제조 방법
JP2001164338A (ja) 耐遅れ破壊特性の優れた自動車用超高強度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88436B1 (ko) 극저온용 고장력 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809524B2 (ja) 超低降伏比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352749A1 (en) Steel material for high heat input welding
JP3045856B2 (ja) 高靱性Cu含有高張力鋼の製造方法
KR20190103244A (ko) 필릿 용접 조인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6988836B2 (ja) 超低降伏比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97007729A (es) Junta soldada que tiene excelente resistencia a la fatiga
JP4998708B2 (ja) 材質異方性が小さく、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63998B1 (ko) 고내충격성 전봉 강관
JP4924047B2 (ja) 表面残留応力の絶対値が150N/mm2以下の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H0873983A (ja) 溶接継手の疲労強度に優れた溶接構造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88312B2 (ja) 高強度高靭性鋼板
KR101096992B1 (ko) 내진성이 우수한 건축 구조용 780㎫급 저항복비 원형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JP3854543B2 (ja) 溶接部靭性の優れた鋼材及び構造物
US20050034795A1 (en) Highly impact-resistant steel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602396B2 (ja) 溶接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板
JP2003328082A (ja) 高耐衝撃性電縫鋼管
KR102357082B1 (ko)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