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742B1 -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보상챔버를 갖는 몰드유니트,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과, 이러한 몰드유니트가 구비된 성형기 - Google Patents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보상챔버를 갖는 몰드유니트,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과, 이러한 몰드유니트가 구비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742B1
KR100563742B1 KR1020037002354A KR20037002354A KR100563742B1 KR 100563742 B1 KR100563742 B1 KR 100563742B1 KR 1020037002354 A KR1020037002354 A KR 1020037002354A KR 20037002354 A KR20037002354 A KR 20037002354A KR 100563742 B1 KR100563742 B1 KR 10056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old unit
joint
element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786A (ko
Inventor
비안치니세드릭
Original Assignee
시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델 filed Critical 시델
Publication of KR2003004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29C2033/205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mould clamping by membranes, e.g. inflatable membrane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3Clamping means
    • B29C2049/5633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3Clamping means
    • B29C2049/5635Avoiding mould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6Locking means
    • B29C2049/5661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6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요소(22)와 그 지지요소(18)로 구성되는 두 요소 사이에 지지요소(18)로부터 성형요소(22)가 벌어지도록 하는 압력하의 유체가 주입되는 보상챔버(56)로 구성되는 몰드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상챔버(56)가 연장편(52)이 구비된 주연의 조인트(44)를 갖는 멤브레인(42)으로 구성되고, 멤브레인(42)이 두 요소(22, 18)중의 하나에 대하여 접촉하며 조인트(44)의 연장편(52)이 두 요소(18, 22)중의 다른 하나에 대하여 밀폐되게 접촉함을 특징으로 한다.
몰드유니트, 멤브레인, 보상챔버.

Description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보상챔버를 갖는 몰드유니트,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과, 이러한 몰드유니트가 구비된 성형기 {MOLDING UNIT COMPRISING A COMPENSATION CHAMBER DELIMITED BY A MEMBRANE, MEMBRANE FOR SAME AND MACHINE EQUIPPED WITH SUCH A UNIT}
본 발명은 압력하에 플라스틱 물질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유니트, 특히 압력하에 플라스틱 물질의 제품을 취입성형하기 위한 성형기용 몰드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몰드유니트는 상대측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몰드의 폐쇄위치와 성형된 제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개방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두 몰드부분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몰드유니트의 이들 각 부분은 동시에 두 요소, 즉 지지요소와 성형요소를 구성하기도 한다. 지지요소는 성형기에 대하여 연결되는 반면에, 성형요소는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어 마모의 경우, 또는 상이한 형상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이들 두 몰드부분은 폐쇄위치에서 서로 잠그어진다. 이러한 폐쇄위치에서, 두 몰드부분은 성형제품의 정확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대측에 대하여 완벽하게 결합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몰드유니트의 가동형인 두 몰드부분이 기계적인 장치에 의하여 잠그어져 있다하여도, 제조상의 허용공차와 잠금기구의 작동에 필요한 유동(遊動)은 성형에 필요한 압력의 효과하에서 두 몰드부분이 서로 약간은 벌어지도록 한다.
특허문헌 FR-A-2,659,265에는 두 몰드부분으로 구성된 몰드유니트가 기술되어 있는 바, 이들 각 몰드부분이 지지요소와 성형요소를 구성한다. 두 몰드부분은 힌지로 연결되어 상대측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두 몰드부분 중의 하나는 지지체에 고정적으로 착설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하나의 몰드부분은 이들이 연결된 연결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체에 착설된다. 폐쇄곡선을 이루는 씰링 조인트가 가동형 몰드부분과 지지체 사이에 대향된 두 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의 시스템은 조인트가 그 지지체에 대한 성형요소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에 있다하여도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성형요소와 그 지지체에 대향된 두 면과 함께, 조인트는 성형요소를 그 지지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하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폐쇄챔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몰드의 두 지지체가 상대측에 대하여 고정결합되었을 때, 몰드의 두 몰드부분은 이들이 벌어지지 않고 상대측에 대하여 큰 힘으로 가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취입성형기에 사용되는 취입성형유니트에서는 완전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보상력의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밀봉 조인트를 압축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 시스템을 이용함이 없이 두 몰드부분이 성형제품의 정확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대측에 대하여 완벽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취입성형기의 효율을 더욱 개선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 발명은 성형요소와 그 지지요소로 구성되는 두 요소 사이에 지지요소로부터 성형요소가 벌어지도록 하는 압력하의 유체가 주입되는 보상챔버로 구성되는 몰드유니트를 제공하는 바, 보상챔버가 연장편이 구비된 주연의 조인트를 갖는 멤브레인으로 구성되고, 멤브레인이 두 요소중의 하나에 대하여 접촉하며 조인트의 연장편이 두 요소중의 다른 하나에 대하여 밀폐되게 접촉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유니트의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몰드유니트가 각각 지지요소에 의하여 고정되는 성형요소를 포함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보상챔버가 적어도 하나의 성형요소와 이에 결합되는 지지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후퇴위치로부터 다른 성형요소의 방향의 전진위치로 성형요소를 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두 결합된 요소가 상대측에 대하여 대향되고 원통형의 원호형으로 배열되는 활동면으로서 각각 내면과 외면을 가지며 이들의 중간에 보상챔버가 삽입되어 압력하에서 연장편이 제1활동면인 외면에 형성된 홈에 대하여 접촉하는 반면에 멤브레인이 제2활동면인 내면에 대하여 배치된다.
- 제1활동면인 외면이 연장편의 접촉주연부 둘레에 홈을 가지며, 이에 대하여 조인트가 보상챔버내의 고압효과하에 외측을 향하여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 조인트가 제1활동면인 외면에 형성된 홈에 고정된다.
- 압력하의 유체공급원에 연결되는 도관이 조인트의 연장편이 접촉하는 면을 향하여 연장편의 접촉주연부의 내부로 개방된다.
- 몰드유니트가 몰드의 여러 영역에 해당하는 여러 보상챔버를 형성하도록 두개의 동일한 두 요소 사이에 배열되는 수개의 멤브레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몰드유니트용의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바, 이 멤브레인이 그 주연변부에 몰드유니트의 한 요소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는 연장편 조인트를 가지고, 멤브레인이 두 요소 사이에 압력보상챔버를 형성하도록 몰드유니트의 다른 요소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멤브레인의 주연부 조인트의 연장편이 멤브레인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다.
- 단면에서, 주연부 조인트는 V 또는 U 형을 이루는 외형형태를 보인다.
- 멤브레인은 유연성의 밀봉물질로 구성된다.
- 멤브레인과 주연부 조인트는 단일편으로 구성된다.
- 멤브레인은 유연성 물질로 성형되는 보강직물지로 구성된다.
- 멤브레인은 그 평면에서 연신되는 것에 대하여 동일한 저항력을 갖는다.
- 보강직물은 연신에 대한 저항력이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조직을 갖는다.
끝으로, 본 발명은 열가소성 물질의 제품을 취입성형하기 위한 취입성형기를 제공하는 바, 이 취입성형기는 상기 특징들의 어느 하나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몰드유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유니트의 단면을 보인 것으로 몰드유니트가 휴지상태에 있음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몰드유니트의 단면을 보인 것으로 보상수단이 작용할 때의 몰드유니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의 조인트의 연장편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된 보상수단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취입몰드유니트의 일부를 분해표시한 사시도.
도 1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의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취입성형기에 사용될 수 있게 된 몰드유니트(10)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성형기는 사전에 사출성형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프리폼이 사용되어 성형되는 압출-취입성형기 또는 인발-성형기일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몰드유니트에 이용될 수 있다.
몰드유니트(10)는 축선 A1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측에 대하여 힌지연결된 두 몰드부분(12)(14)으로 구성된다. 각 몰드부분은 지지요소(16)(18)와 성형요소(20)(22)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성형요소(20)(22)는 각각 두 부분, 즉, 해당 지지요소에 연결된 다이 홀더(24)(26)와, 다이 홀더와 함께 하나의 유니트를 구성하고 몰드가 폐쇄되었을 때 성형될 대상물의 형상을 결정하는 스탬프(32)가 형성된 다이(28)(3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스탬프(32)는 예를 들어 몰드유니트(10)의 축선에 일치하는 축선 A0를 가지고 단면이 사각형인 대상물을 성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두 부분, 즉, 다이와 다이 홀더로 구성되는 성형요소의 구조는 예를 들어 대상물의 형상을 결정하는 스탬프를 고정하는 다이를 교체할 때 성형기의 냉각회로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냉각유체순환라인을 다이 홀더의 내측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FR-A-2,733,176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일체로 구성된 성형요소(20)(22)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다이 홀더(24)(26)와 다이(28)(30)의 지지요소(16)(18)는 그 형상이 축선 A0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통형의 형상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허문헌 FR-A-2,650,265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각주(角柱)의 형상을 갖는 몰드유니트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몰드유니트의 두 몰드부분(12)(14)은 몰드의 두 다이(28)(30)가 서로 접촉하는 접합면 P에 대하여 서로 대칭을 이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 P는 축선 A0를 포함하며, 두 몰드부분(12)(14)이 관절연결되는 축선 A1은 접합면 P의 연장선 상에 포함된다. 실제로 두 지지요소(16)(18)는 축선 A1과 A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평면내에 연장되고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축선 A1을 따라서, 좋기로는 몰드유니트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된 연결축(도시하지 않았음)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관절연결 탭(34)(36)으로 구성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축선 A0에 대하여 몰드유니트의 대향측에서 지지요소(16)(18)는 각각 축선 A1과 A0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잠금요소(도시하지 않았음)가 관통될 수 있는 잠금탭(38)(40)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잠금시스템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FR-A-2,846,802에 기술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형 성형요소로 불릴 수 있는 일측 성형요소(20)는 이 성형요소가 전혀 움직임없이 고정되는 지지요소(16)와 함께 하나의 유니트를 구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가동형 성형요소로 불릴 수 있는 타측 성형요소(22)는 지지요소(18)에 고정되어 접합면 P에 수직인 방사상 방향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체압력보상수단이 가동형 성형요소(22)와 그 지지요소(18) 사이에 제공되어 몰드유니트가 폐쇄되고 잠그어졌을 때 가동형 성형요소를 고정형 성형요소측으로 가압함으로서 두 성형요소가 이들의 접합면을 따라 상태측에 대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보상수단은 주연에 연장편 형태의 조인트(44)가 형성된 유연성 멤브레인(42)으로 구성된다.
멤브레인(42)은 지지요소(18)의 원호형 오목면의 내면(45)과 가동형 성형요소(22)의 원호형 볼록면의 외면(46) 사이에 배치되고 몰드유니트내에 배치되었을 때 멤브레인이 원통형의 원호형상을 따라 연장된다. 도 3과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동형 성형요소(22)의 외면(46)은 멤브레인(42)이 성형요소와 지지요소의 상대운동에 간섭하지 않고 이들 두 요소 사이에도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깊이가 멤브레인(42)의 두께에 일치하는 요입부(48)를 갖는다. 따라서, 이 요입부(48)의 형상은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팽창되었을 때 만곡형 모서리부분을 갖는 장방형의 형상을 보이는 멤브레인(42)의 형상과 일치한다.
요입부(48)의 둘레에서, 성형요소(22)의 외면(46)에는 홈(50)이 형성되어 이에 멤브레인(42)의 조인트(44)가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홈(50)은 조인트(44)의 폐쇄윤곽에 일치하고 멤브레인의 형상에 일치하는 폐쇄윤곽을 이룬다. 홈(50)의 깊이는 요입부(48)의 깊이 보다 깊다.
단면으로 보았을 때, 조인트(44)는 연장편의 형태이고, 연장편(52)이 멤브레인의 평면에 대하여 내측으로, 즉, 멤브레인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단면으로 보았을 때 이 조인트는 멤브레인의 중심을 향하는 U 또는 V의 형상을 이룬다. 연장편(52)은 성형요소(22)의 외면(46)에 대하여, 특히 이러한 외면(46)에 형성된 홈(50)의 기부에 대하여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연장편(52)은 변형가능하며, U 또는 V의 형상의 정점(頂点)은 힌지의 일부를 형성한다.
아울러, 가동형 성형요소(22)는 다이 홀더(26)에 홈(50)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즉, 성형요소(22)에 면접촉하는 조인트(44)의 내측부에서 외면(46)의 요입부(48)측으로 개방된 중공형의 도관(54)을 갖는다. 이 도관(54)은 압력하의 유체공급원(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열가소성 물질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취입성형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몰드유니트의 경우, 이러한 압력하의 유체공급원은 제품의 취입성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압력하의 공기공급원과 동일한 잇점을 가질 것이다.
도 1은 폐쇄되어 있으나 몰드의 스탬프(32)에 의하여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부에 압력이 가하여지기 전의 몰드유니트를 보인 것이다.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이 제공되어 멤브레인(42)과 성형요소(22)의 요입부(48) 사이에 형성되는 보상챔버(56)내에 압력이 가하여지지 않은 경우 가동형 성형요소(22)는 그 지지요소(18)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력은 비교적 가벼우며 몰드유니트의 개방 및 폐쇄시에 지지요소(18)에 대하여 성형요소(22)가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계산될 것이다. 요입부(48)와 홈(50)에 의하여, 멤브레인(42)과 조인트(44)는 가동형 성형요소(22)와 그 지지요소(18) 사이에 물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조인트는 홈(50)의 기부와 지지요소(18)의 내면(45) 사이에서 가볍게 물릴 수 있다. 또한, 조인트(44)가 이와 같이 물리는 경우 이러한 조인트의 연장편(52)은 매우 가벼운 힘으로 가볍게 변형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상수단은 몰드유니트의 폐쇄에 대하여 전혀 장애가 되지 않는다.
몰드유니트가 폐쇄되었을 때, 조인트(44), 멤브레인(42) 및 성형요소(22)의 외면(46)에 향성된 요입부(48)에 의하여 구성된 보상챔버(56)측으로 도관(56)을 통하여 압력하의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챔버(56)내에 충분한 압력을 가함으로서, 조인트(44)는 그 연장편(52)이 홈(50)의 기부에 밀착되는 한편 멤브레인(42)에 연결된 조인트의 부분이 멤브레인(42)과 같이 지지요소(18)의 냐면(45)에 밀착되게 변형된다. 이와 같이 연장편형태의 조인트(44)는 보상챔버(56)내의 압력효과에 의하여 성형요소(22)가 그 지지요소(18)로부터 가볍게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보상챔버(56)의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확장된다. 특히 홈(50)은 이러한 압력의 효과로 조인트가 방사상 방향으로 크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특히, 이는 조인트를 내부구조물로 보강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물론, 지지요소의 잠금기구와 지지요소의 잠재적인 변형은 비교적 가벼운 확장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보상챔버(56)내의 압력은 큰 힘으로 가동형 성형요소(22)가 고정형 성형요소(20)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하고 두 성형요소의 접합면에서 이들 성형요소가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
멤브레인(42)과 그 연장편 형태의 조인트(44)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성의 밀봉물질을 성형하여 단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물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같은 다른 중합체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은 실리콘으로 피복된 직물지로 보강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지는 모든 방향의 견인력에 대하여, 즉 직물지가 모든 방향에서 연신되는 것에 대하여 동일한 저항력을 보이므로서 멤브레인의 모서리부분에서 변형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직물지의 예는 미국특허 제5,351,722호 및 특허문헌 EP-A-0,263,392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된 예에서, 멤브레인은 지지요소에 대하여 접촉하는 반면에 연장편 형태의 조인트는 성형요소에 대하여 가압된다. 물론 단순한 기계적인 수정을 통하여 멤브레인이 성형요소에 대하여 접촉하는 반면에 조인트의 연장편이 지지요소에 대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하에 유체를 공급하는 도관은 성형요소의 외면측으로 개방되지 않고 지지요소의 내면측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몰드유니트는 단 하나의 보상챔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상챔버는 그 크기에 있어서 조인트의 평면에서 돌출되는 면이 몰드에 의하여 한정된 캐비티에서 돌출된 면 보다 크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제품의 성형을 위하여 사용된 압력과 보상챔버를 위한 압력이 동일한 경우에도 보상챔버에 의하여 발생된 몰드의 두 요소의 결합력이 제품의 성형에 의하여 나타나는 확장력 보다 크게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도시된 예의 멤브레인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의 멤브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병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유니트의 경우, 보상챔버는 병의 동체에 대하여 병목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상챔버는 하나가 아닌 수개의 보상챔버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수개의 보상챔버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이한 압력유체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몰드유니트의 각 부분에 각각 압력보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Claims (23)

  1. 성형요소(22)와 그 지지요소(18)로 구성되는 두 요소 사이에 지지요소(18)로부터 성형요소(22)가 벌어지도록 하는 압력하의 유체가 주입되는 보상챔버(56)로 구성되는 몰드유니트에 있어서, 보상챔버(56)가 연장편(52)이 구비된 주연의 조인트(44)를 갖는 멤브레인(42)으로 구성되고, 멤브레인(42)이 두 요소(22, 18)중의 하나에 대하여 접촉하며 조인트(44)의 연장편(52)이 두 요소(18, 22)중의 다른 하나에 대하여 밀폐되게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몰드유니트가 각각 지지요소(16, 18)에 의하여 고정되는 성형요소(20, 22)를 포함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보상챔버(56)가 적어도 하나의 성형요소(22)와 이에 결합되는 지지요소(18) 사이에 배치되어 후퇴위치로부터 다른 성형요소(20)의 방향의 전진위치로 성형요소(22)를 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결합된 요소(18, 22)가 상대측에 대하여 대향되고 원통형의 원호형으로 배열되는 활동면으로서 각각 내면(45)과 외면(46)을 가지며 이들의 중간에 보상챔버(56)가 삽입되어 압력하에서 연장편(52)이 제1활동면인 외면(46)에 형성된 홈(50)에 대하여 접촉하는 반면에 멤브레인(42)이 제2활동면인 내면(45)에 대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제1활동면인 외면(46)이 연장편(52)의 접촉주연부 둘레에 홈(50)을 가지며, 이에 대하여 조인트(44)가 보상챔버(56)내의 고압효과하에 외측을 향하여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조인트(44)가 제1활동면인 외면(46)에 형성된 홈(5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6. 제3항에 있어서, 압력하의 유체공급원에 연결되는 도관(54)이 조인트(44)의 연장편(52)이 접촉하는 면을 향하여 연장편(52)의 접촉주연부의 내부로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7. 제1항에 있어서, 몰드유니트가 몰드의 여러 영역에 해당하는 여러 보상챔버를 형성하도록 두개의 동일한 두 요소 사이에 배열되는 수개의 멤브레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8.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의 주연부 조인트(44)의 연장편(52)이 멤브레인(42)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9. 제8항에 있어서, 주연부 조인트(44)의 단면이 V 또는 U 형을 이루는 외형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10.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이 유연성의 밀봉물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11.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과 주연부의 조인트(44)가 단일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이 유연성 물질로 성형되는 보강직물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13. 제1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이 그 평면에서 연신되는 것에 대하여 동일한 저항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14. 제12항에 있어서, 보강직물지가 연신에 대한 저항력이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조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
  15.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그 주연변부에 몰드유니트의 일측 요소에 대하여 접촉하는 연장편형태의 조인트(44)를 가지고, 멤브레인(42)이 두 요소 사이에 압력보상챔버(56)를 형성하도록 몰드유니트의 타측 요소에 대하여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16. 제15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의 주연부 조인트(44)의 연장편(52)이 멤브레인(42)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주연부 조인트(44)의 단면이 V 또는 U 형을 이루는 외형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18. 제15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이 유연성의 밀봉물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19. 제18항에 있어서, 멤브레인(42)과 주연부의 조인트(44)가 단일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20. 제18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유연성 물질로 성형되는 보강직물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21. 제15항에 있어서, 멤브레인이 그 평면에서 동일하게 연신되는 것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22. 제20항에 있어서, 보강직물지가 연신에 대한 저항력이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조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
  23. 열가소성 물질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취입성형기에 있어서, 이 성형기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몰드유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성형기.
KR1020037002354A 2000-08-31 2001-07-24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보상챔버를 갖는 몰드유니트,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과, 이러한 몰드유니트가 구비된 성형기 KR100563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1097A FR2813231B1 (fr) 2000-08-31 2000-08-31 Unite de moulage comportant une chambre de compensation delimitee par une membrane, membrane pour une telle unite et machine munie d'une telle unite
FR00/11097 2000-08-31
PCT/FR2001/002407 WO2002018115A1 (fr) 2000-08-31 2001-07-24 Unite de moulage comportant une chambre de compensation delimitee par une membrane, membrane pour une telle unite et machine munie d'une telle un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786A KR20030045786A (ko) 2003-06-11
KR100563742B1 true KR100563742B1 (ko) 2006-03-24

Family

ID=885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354A KR100563742B1 (ko) 2000-08-31 2001-07-24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보상챔버를 갖는 몰드유니트,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과, 이러한 몰드유니트가 구비된 성형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048531B2 (ko)
EP (1) EP1315606B1 (ko)
JP (1) JP2004507381A (ko)
KR (1) KR100563742B1 (ko)
CN (1) CN1232389C (ko)
AT (1) ATE305846T1 (ko)
AU (1) AU2001279898A1 (ko)
BR (1) BR0113536A (ko)
CA (1) CA2419402C (ko)
DE (1) DE60113860T2 (ko)
ES (1) ES2248371T3 (ko)
FR (1) FR2813231B1 (ko)
MX (1) MXPA03001768A (ko)
WO (1) WO2002018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9033B4 (de) * 1999-06-25 2009-05-07 Khs Corpopla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Behältern
US6966764B2 (en) * 2002-02-05 2005-11-22 Ultra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top block assembly and neck finish components of a blow molding machine
FR2883794B1 (fr) * 2005-04-04 2007-06-15 Sidel Sas Dispositif de moulage ajustable en hauteur pour le moulage de recipients thermoplastiques de hauteurs diverses
FR2912952B1 (fr) 2007-02-27 2013-08-16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moulage pour la fabrication de recipients en materiau thermoplastique
ES2421564T3 (es) * 2007-10-31 2013-09-03 Graham Packaging Co Máquina de moldeo por soplado y mecanismos asociados
DE102008018785A1 (de) * 2008-04-10 2009-10-15 Khs Corpoplast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Behältern
FR2930189B1 (fr) * 2008-04-21 2013-02-01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moulage de recipients comprenant des moyens de reglage des dimensions volumiques de la cavite de moulage
US8025499B2 (en) 2008-11-03 2011-09-27 Rohr, Inc. Multi-segment tool and method for composite formation
DE102010012502B4 (de) 2010-03-11 2015-03-19 Khs Corpoplast Gmbh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Behältern
DE102010039802A1 (de) * 2010-08-26 2012-03-01 Krones Aktiengesellschaft Blasform
FR2969955B1 (fr) * 2011-01-04 2013-02-01 Serac Group Dispositif de soufflage de recipients
DE102011013124A1 (de) 2011-03-04 2012-09-06 Krones Aktiengesellschaft Sterile Blasformmaschine mit unsteriler Medienzuführung
DE102011013125A1 (de) * 2011-03-04 2012-09-06 Krones Aktiengesellschaft Blasmaschine mit Reinraum und sterilisierbar verbundenen Bauteilen
BR112013031386B1 (pt) * 2011-06-09 2021-02-09 Amcor Limited compensação de máquina de hidrapak usando cilindro isolador
DE102011052863B4 (de) * 2011-08-19 2022-12-22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zu Kunststoffbehältnissen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von Blasformteilen an Blasformträgerschalenteilen
DE102011052865A1 (de) * 2011-08-19 2013-02-21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zu Kunststoffbehältnissen mit Druckkissen
FR3002479B1 (fr) * 2013-02-28 2015-03-27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commande d'une chambre de compensation d'une unite de moulage de recipients"
IT201800001700A1 (it) * 2018-01-23 2019-07-23 Gea Procomac Spa Apparato e processo di formatura in asettico di contenitori a partire da preforme in materiale termoplastico
FR3089446A1 (fr) * 2018-12-10 2020-06-12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un récipient par soufflage ou étirage-soufflage
IT201900007220A1 (it) * 2019-05-24 2020-11-24 Gea Procomac Spa Stampo di formatura di un contenitore a partire da una preforma in materiale termoplastico e relativo processo di formatura
EP4217176A1 (en) * 2020-09-25 2023-08-02 Lego A/S A mold tool for injection mold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9264A (en) * 1971-06-09 1974-08-13 Holstein & Kappert Maschf Molding apparatus
DE2453696C2 (de) * 1974-11-13 1976-12-09 Kloeckner Werke Ag Spritzgiessmaschine mit einer formschliess- und formzuhaltevorrichtung
FR2659265B1 (fr) * 1990-03-06 1992-06-26 Sidel Sa Procede de dispositif pour fabriquer des recipients en matieres thermoplastiques par soufflage ou etirage-soufflage.
DE4212584A1 (de) * 1992-04-15 1993-10-21 Krupp Corpoplast Masch Vorspanneinrichtung
FR2733176B1 (fr) * 1995-04-19 1997-06-27 Sidel Sa Dispositif pour fabriquer des recipients en une matiere thermoplastique par soufflage ou etirage-soufflage
IT1287480B1 (it) * 1996-09-24 1998-08-06 Unifill Int Ag Apparato per il riscaldamento di una coppia di fogli di materiale termoformabile
CA2239192C (en) * 1998-05-29 2007-07-24 Wentworth Mould And Die Company Limited Universal mould carrier with improved air flow compensation
FR2790703B1 (fr) * 1999-03-08 2006-08-04 Sidel Sa Unite de moulage comportant des moyens de compensation perfectionnes et machine d'extrusion-soufflage munie d'une telle unite de moulage
DE19929033B4 (de) * 1999-06-25 2009-05-07 Khs Corpopla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Behäl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8115A1 (fr) 2002-03-07
CA2419402C (fr) 2007-07-03
DE60113860D1 (de) 2006-02-16
BR0113536A (pt) 2003-07-15
CN1232389C (zh) 2005-12-21
FR2813231A1 (fr) 2002-03-01
ATE305846T1 (de) 2005-10-15
AU2001279898A1 (en) 2002-03-13
US7048531B2 (en) 2006-05-23
KR20030045786A (ko) 2003-06-11
CA2419402A1 (fr) 2002-03-07
MXPA03001768A (es) 2003-09-10
EP1315606A1 (fr) 2003-06-04
EP1315606B1 (fr) 2005-10-05
CN1449325A (zh) 2003-10-15
US20040013762A1 (en) 2004-01-22
ES2248371T3 (es) 2006-03-16
JP2004507381A (ja) 2004-03-11
DE60113860T2 (de) 2006-07-06
FR2813231B1 (fr)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742B1 (ko)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보상챔버를 갖는 몰드유니트, 몰드유니트용 멤브레인과, 이러한 몰드유니트가 구비된 성형기
US6729868B1 (en) Device for blow moulding containers
KR100278011B1 (ko) 열가소성 용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2950757B (zh) 用挤压垫使塑料材料预成型件成型为塑料材料容器的设备
GB2085797A (en) Molding hollow plastics articles
CN103052494A (zh) 吹制成型模具和用于生产挤出吹制成型的塑料制品的方法
JP3404403B2 (ja) 改良されたブーツおよびかかるブーツの作成方法
JP3336477B2 (ja) プリフォーム保持治具
US5503886A (en) Reverse lip blow molding
US5411391A (en) Prestress device
US20100047375A1 (en) Moulding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ntainers made from a thermoplastic material
US5629032A (en) Blow-molding apparatus
FR2662631A1 (fr) Machine pour le soufflage d'emballages en pet bi-oriente ainsi que le procede de soufflage mis en óoeuvre.
WO2013099073A1 (ja) ブロー成形装置および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方法
JPH0449023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
US68149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of a blown container
JPH0485018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511999A (ja) 絞り出し式容器
US9789643B2 (en) Device for blow molding containers
CN112105491B (zh) 吹塑模具和吹塑设备
JP2000246789A (ja) 延伸ブロー成形による広口容器の底部成形方法
KR100271975B1 (ko) 냉장고도어의포켓지지부제조방법
JPH04138241A (ja) 把手付き中空容器の成形方法
JP2732112B2 (ja) ベローズおよびベローズ製造用金型装置
KR920700885A (ko) 취입 성형된 다중벽 물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