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70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700B1
KR100563700B1 KR1020030042933A KR20030042933A KR100563700B1 KR 100563700 B1 KR100563700 B1 KR 100563700B1 KR 1020030042933 A KR1020030042933 A KR 1020030042933A KR 20030042933 A KR20030042933 A KR 20030042933A KR 100563700 B1 KR100563700 B1 KR 10056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connection
fixing memb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928A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7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의 일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단말기에 고정되고 타측이 단말기의 접속구를 개폐하므로써 상기 캡을 단말기로부터 탈착시켰을때 분실될 염려가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걸림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속구에 대응되는 접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돌기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는 캡과, 상기 캡의 회동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갖으며, 상기 캡의 걸림홀을 관통하는 요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캡의 개폐에 따른 회동시에 회동축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캡의 개폐시에 상기 캡의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캡의 접속돌기가 열릴때 발생하는 캡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은 캡의 일측은 접속구를 개폐하고, 타측은 고정부재를 중심축으로 회동되므로써 캡의 오랜 사용에 따른 파손이나 접속불량 등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캡, 접속구, 개폐장치,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nnection hole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캡이 오픈상태인 경우에 고정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20 : 고정부재
30 : 리브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의 일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단말기에 고정되고 타측이 단말기의 접속구 를 개폐하므로써 상기 캡을 단말기로부터 탈착시켰을때 분실될 염려가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상생활에서 늘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면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사용자가 물건을 들고 있거나 독서를 하거나 혹은 자동차를 운전하는 등 양손을 모두 사용하고 있을 때에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이어폰잭 접속구를 구비하여 이어폰잭을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최근에는 데이터 케이블용 접속구 등의 다양한 접속구 및 이를 개폐하는 접속구 개폐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단말기의 일측에 이어폰용 접속구 또는 데이터 케이블용 접속구 등의 접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110)에 착탈되도록 플라스틱류 또는 고무재질로 된 캡(120)이 구비되며, 상기 캡(120)의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캡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돌기(122)가 돌출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로 사용되는 캡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로부터 빼냈을때 단말기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분실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캡(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접속구(110) 표면으로부터 미미하게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어 손으로 잡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손톱을 이용하여 힘겹게 들어올리거나 별도의 예리한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의 일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단말기에 고정되고 타측이 단말기의 접속구를 개폐하므로써 상기 캡을 단말기로부터 탈착시켰을때 분실될 염려가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는 상기 단말기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걸림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속구에 대응되는 접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돌기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는 캡과, 상기 캡의 회동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갖으며, 상기 캡의 걸림홀을 관통하는 요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캡의 개폐에 따른 회동시에 회동축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캡의 개폐시에 상기 캡의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캡의 접속돌기가 열릴때 발생하는 캡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는 캡(10), 고정부재(20) 및 리브(30)를 포함한다.
캡(10)은 단말기의 접속구(5)에 대응되는 크기의 접속돌기(12)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속돌기(12)의 일측으로부터 연이어져 고정부재(20)에 의해 고정되도록 걸림홀(14)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돌기(12)의 일측에는 착탈돌기(16)가 외향돌출 형성되어 접속구(5)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며, 상기 캡(10)의 접속돌기(12)는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에 형성된 걸림홀(14)은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캡(10)의 타측은 한번 절곡되게 형성되어 캡(10)의 착탈시에 단말기에 걸리지 않게되며, 상기 걸림홀(14)은 상기 접속구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는 캡(10)의 걸림홀(14)에 삽입되는 요홈부(22)와, 상기 요홈부의 양측으로 연이어지고 걸림홀(14)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캡(10)을 고정하는 고정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캡(10)의 접속돌기(12)가 열릴때 발생하는 캡(10)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30)는 상기 고정부재(20)가 상기 캡(10)을 압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고정부재(20)를 지지하며, 상기 리브(30)와 단말기의 외부 하우징(7) 사이에 고정부재(20)가 장착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 3은 캡이 오픈상태인 경우에 고정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단말기의 접속구(5)에 장착된 캡(10)이 접속돌기(12)의 일측에 형성된 착탈돌기(16)에 의하여 열려지면, 고정부(24) 일측이 캡(10)에 의하여 눌려지게 되고 타측은 캡(10)을 밀어내게 되며, 맞은편에 대응되는 고정부(24`)의 일측은 캡(10)을 밀어내게 되고 타측은 캡(10)에 의하여 눌려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캡(10)의 일측에 형성된 접속돌기(12)는 접속구를 개폐시키도록 개폐되고, 캡(10)의 타측은 고정부재(20)에 의하여 단말기 내에 고정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캡(110)의 걸림홀(114)은 접속구가 향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0)는 걸림홀(114)을 관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캡(110)이 고정부재(120)를 중심축으로 회동되어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게된다.
이때, 상기 캡(110)이 고정부재(120)를 중심축으로 회동되도록 단말기의 내부에 소정크기의 회동공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캡(110)의 일측은 접속구를 개폐하고, 타측은 고정부재(120)를 중심축으로 회동되므로써 캡(1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는 캡 의 일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단말기에 고정되고 타측이 단말기의 접속구를 개폐하므로써 상기 캡을 단말기로부터 탈착시켰을때 분실할 염려가 없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캡의 일측은 접속구를 개폐하고, 타측은 고정부재를 중심축으로 회동되므로써 캡의 오랜 사용에 따른 파손이나 접속불량 등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5)

  1. 접속구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걸림홀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속구에 대응되는 접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돌기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는 캡과;
    상기 캡의 회동에 대응되도록 탄성력을 갖으며, 상기 캡의 걸림홀을 관통하는 요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캡의 개폐에 따른 회동시에 회동축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캡의 개폐시에 상기 캡의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캡의 접속돌기가 열릴때 발생하는 캡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30042933A 2003-06-28 2003-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KR10056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933A KR100563700B1 (ko) 2003-06-28 2003-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933A KR100563700B1 (ko) 2003-06-28 2003-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928A KR20050001928A (ko) 2005-01-07
KR100563700B1 true KR100563700B1 (ko) 2006-03-28

Family

ID=3721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933A KR100563700B1 (ko) 2003-06-28 2003-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36B1 (ko) * 2009-06-09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928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44547A (ja) 携帯端末装置
JP3542929B2 (ja) 携帯電話無線機のバッテリー嵌合構造
KR1005637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JP4370287B2 (ja) 携帯通信機器の端子カバー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通信機器
JP2005093219A (ja) 外部端子構造
KR1006860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200394685Y1 (ko) 스윙힌지 모듈
JP5040815B2 (ja) 筐体開口部保護構造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JP3678671B2 (ja) 携帯電話無線機のカバー収納構造
KR1009706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KR20022511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켓 보호 장치
KR200261806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덮개 구조
KR1005436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형 접속구 개폐장치
JP4463495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333145A (ja) 携帯機器
KR200424876Y1 (ko)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
KR1005757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549605B1 (ko) 이어폰잭 접속홀의 개폐장치
KR20037068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보호장치
KR100741792B1 (ko) 휴대 단말기
KR200336284Y1 (ko) 셀룰러폰용 이어폰잭의 슬라이드커버
JPH0751815Y2 (ja) 蓋開閉装置
KR200372520Y1 (ko)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외장형 메모리카드 삽입구커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