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62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626B1
KR100970626B1 KR1020030037119A KR20030037119A KR100970626B1 KR 100970626 B1 KR100970626 B1 KR 100970626B1 KR 1020030037119 A KR1020030037119 A KR 1020030037119A KR 20030037119 A KR20030037119 A KR 20030037119A KR 100970626 B1 KR100970626 B1 KR 10097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cap
mobile communic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953A (ko
Inventor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626B1/ko
Priority to CNB2003101235434A priority patent/CN1270503C/zh
Publication of KR2004010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하여 레버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접속구를 여닫는 캡이 회동하므로써 상기 접속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는 상기 접속구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는 캡과,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캡을 회동시키는 레버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은 레버의 회동을 이용하여 캡을 회동시켜 접속구를 개폐시키므로써 이어폰잭이 접속구에 꽉 끼어 빼기 곤란한 경우나, 이어폰잭과 접속구의 간격이 커서 이어폰잭이 잘 빠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캡의 재질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때가 덜 묻고 잘지워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캡, 레버, 탄성부재, 스프링, 접속구, 이어폰잭, 개폐장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Open-closed device of connector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구 개폐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닫혀진 상태를 단말기의 외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닫혀진 상태를 단말기의 내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열린 상태를 단말기의 외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열린 상태를 단말기의 내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20 : 레버
30 : 가이드홈 40 : 탄성부재
50 : 고정돌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력에 의하여 레버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접속구를 여닫는 캡이 회동하므로써 상기 접속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PCS나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상생활에서 늘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면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사용자가 물건을 들고 있거나 독서를 하거나 혹은 자동차를 운전하는 등 양손을 모두 사용하고 있을 때에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 이어폰잭 접속구를 마련하고, 이 접속구에 이어폰잭을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최근에는 데이터 케이블용 접속구 등의 다양한 접속구가 형성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 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단말기의 하우징(110)일측에 이어폰잭 접속용 접속구(112)를 마련하고, 이 접속구(112) 주변의 하우징(110)에 자리홈(114)을 요설하며, 이의 자리홈(114)에 유연하거나 탄력이 있는 플라스틱류 또는 고무재질로 된 캡(120)을 마련하고, 캡(120)의 일측 고정부(122)를 자리홈(114)의 일측에 고정함으로써 나머지 덮개부(124)를 상,하로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때 캡(120)을 들어올린 후 이어폰용 잭을 접속구(112)에 삽입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캡(120)의 상하 회동시 굴곡되는 운동 부위가 손상되거나 변형이 가해지고 탄력이 떨어져서 본래의 형태로 복귀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캡(120)이 이어폰 접속구(112)로부터 들떠 틈새가 발생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캡(12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110)과 표면이 일치하거나 하우징(110) 표면으로부터 미미하게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어 손으로 잡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손톱을 이용하여 힘겹게 들어올리거나 별도의 예리한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캡(120)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사람의 때가 묻기 쉬우므로 쉽게 더러워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력에 의하여 레버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상기 접속구를 여닫는 캡이 회동하여 상기 접속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게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는 상기 접속구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는 캡과;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캡을 회동시키는 레버와;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부재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상기 단말기의 접속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일측은 상기 캡의 일측에 연이어지고, 상기 레버의 중앙에는 회동축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바깥으로 외향돌출되는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레버의 돌기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구 개폐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는 캡(10), 레버(20), 가이드홈(30), 탄성부재(40) 및 고정돌기(50)를 포함한다.
캡(10)은 이동통신 단말기(1)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에 형성된 이어폰잭 접속구(5)에 대응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레버(20)의 일측에 연이어져 레버(2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이어폰잭 접속구(5)를 개폐시킨다.
레버(20)는 그 일측이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캡(10)의 일측에 연이어지고, 레버(20) 중앙부에는 회동축(24)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가이드홈(30)을 관통하여 단말기(1)의 외측면 바깥으로 외향돌출되는 누름돌기(26)가 형성된다.
즉, 상기 회동축(24)은 레버(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홈(28)을 관통하여 단말기(1)의 내측면에 고정되므로써 캡(10)이 회동할 수 있는 축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누름돌기(26)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홈(30)을 따라 이동되므로써 상기 레버(20)가 회동되고 상기 레버(20)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캡(10)이 회동하게 된다.
가이드홈(30)은 단말기(1)의 이어폰잭 접속구(5)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상하 방향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탄성부재(40)는 단말기(1)의 내측면에 장착되는데, 그 일단은 상기 레버(20)로부터 소정간격 상부로 이격된 고정돌기(50)에 고정되고, 타단은 레버(2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의 타단과 레버(20)의 연결이 원활하도록 레버(20)의 상단에 소정크기의 연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돌기(50)는 상기 레버(20)로부터 소정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단말기(1)의 내측면에 소정크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탄성부재(40)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 3은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닫혀진 상태를 단말기의 외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닫혀진 상태를 단말기의 내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열린 상태를 단말기의 외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접속구 개폐장치에 의해 접속구가 열린 상태를 단말기의 내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잭을 연결하기 위하여 단말기(1)의 외측면에 노출된 레버(20)의 누름돌기(26)를 가이드홈(30)을 따라 하방으로 누르 면, 탄성부재(40)는 상기 레버(20)의 하방향 이동에 따라 하방향으로 늘어나게되고, 레버(20)는 회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되며, 상기 레버(20)의 회동에 따라 캡(10)이 회동하게 되어 접속구(5)가 오픈된다.
상기와 같이 접속구(5)가 오픈되면 이어폰잭(미도시)을 이어폰잭 접속구(5)에 연결하여 사용하게되며, 상기 이어폰잭(미도시)의 연결상태에 의해 캡(10)이 닫혀지지 않고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잭(미도시)의 사용을 마치면, 상기 탄성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부재(40)가 상방향으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레버(20)의 누름돌기(26)도 가이드홈(3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상기 레버(20)가 회동축(26)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캡(10)이 회동하게 되어 이어폰잭 접속구(5)를 다시 덮게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부재가이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어폰잭 접속구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케이블용 접속구 등의 다양한 접속구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는 탄성력에 의하여 레버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써 상기 접속구를 여닫는 캡이 회동하여 상기 접속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의 회동을 이용하여 캡을 회동시켜 접속구를 개폐시키므로써 이어폰잭이 접속구에 꽉 끼어 빼기 곤란한 경우나, 이어폰잭과 접속구의 간격이 커서 이어폰잭이 잘 빠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캡의 재질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때가 덜 묻고 잘지워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5)

  1.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는 접속구가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접속구를 개폐하는 캡과;
    일단이 상기 캡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회동축을 갖는 레버와;
    일단이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상기 누름돌기를 하방으로 누르면 탄성력에 의하여 늘어나고, 상기 누름돌기를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기 단말기의 접속구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누름돌기가 형성된 상기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KR1020030037119A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KR10097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119A KR100970626B1 (ko)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CNB2003101235434A CN1270503C (zh) 2003-06-10 2003-12-26 移动通信终端连接口的打开/关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119A KR100970626B1 (ko)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953A KR20040105953A (ko) 2004-12-17
KR100970626B1 true KR100970626B1 (ko) 2010-07-15

Family

ID=3451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119A KR100970626B1 (ko) 2003-06-10 2003-06-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0626B1 (ko)
CN (1) CN1270503C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220U (ko) * 1998-08-01 2000-03-06 윤종용 휴대폰의 이어폰 커버장치
KR20020024908A (ko) * 2000-09-27 2002-04-03 구자홍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30009630A (ko) * 2001-07-23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폰 잭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220U (ko) * 1998-08-01 2000-03-06 윤종용 휴대폰의 이어폰 커버장치
KR20020024908A (ko) * 2000-09-27 2002-04-03 구자홍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30009630A (ko) * 2001-07-23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폰 잭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953A (ko) 2004-12-17
CN1574855A (zh) 2005-02-02
CN1270503C (zh)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1086A1 (en) Battery cover latching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60082809A (ko) 이동 통신 단자용 리드 및 이동 통신 단자
KR100791760B1 (ko) 전자기기의 외부 접속단자 개폐장치
KR1009706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KR2003264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200326418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1003978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폰 잭 개폐장치
KR100559550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레일커버장치
KR1005637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속구 개폐장치
KR100539882B1 (ko) 전자 기기의 단자 커버 장치
KR200266286Y1 (ko)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접속구 마개 설치 구조
EP1521336B1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040107153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및 방법
KR20037068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보호장치
KR100810220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KR200172349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충전 단자장치
KR1005436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형 접속구 개폐장치
KR10102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 접속부 개폐장치
KR20060004224A (ko)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333145A (ja) 携帯機器
KR1006087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235265Y1 (ko) 휴대폰 리셉터클 개폐장치
KR200270459Y1 (ko) 이동단말기의 슬라이드식 리셉터클 커버장치
KR20022511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켓 보호 장치
KR200261806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덮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