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029B1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029B1
KR100563029B1 KR1019990009596A KR19990009596A KR100563029B1 KR 100563029 B1 KR100563029 B1 KR 100563029B1 KR 1019990009596 A KR1019990009596 A KR 1019990009596A KR 19990009596 A KR19990009596 A KR 19990009596A KR 100563029 B1 KR100563029 B1 KR 10056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ssembly
frit
hole
secondary battery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913A (ko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029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목적 : 알루미늄 재질에 적합한 전극 단자를 설치하여, 구성 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구성 : 알루미늄 재질로 캡 플레이트(62)를 제작하고, 부극 단자(64)의 외부 인출 구조를 캡 플레이트에 구멍(66)을 형성하여 인출하며, 그 구멍에 프리트(68)를 채워 융착한다. 프리트는 알루미늄 재질의 용융 온도 이하인 500∼600℃에서 용융되는 것으로, 실리콘(Si)과 티탄(Ti)과 알칼리금속의 혼합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캡 어셈블리(60)를 전극부(4)와 전해액이 수납된 캔(2)의 상측 단부에 결합한다.
효과 : 상기한 캡 어셈블리는 구성이 단화화되고, 전지 내부의 유효 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고용량의 전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전지를 경량화할 수 있다.
알루미늄, 캡 플레이트, 부극, 단자, 프리트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Cap assembly used i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각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캔 4-전극부
24-부극 탭 60-캡 어셈블리
62-캡 플레이트 64-부극 단자
66-구멍 68-프리트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을 단순화하고 전지 내부의 유효 공간을 확보하여 용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외관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 전지로 구분되고 있다.
도 2는 각형 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캔(2)은 내부에 부극과 세퍼레이터 및 정극이 함께 권취된 전극부(4)를 수납하고, 그 상부에 캡 어셈블리(6)를 설치하여 외장 케이스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이차전지의 외장 케이스는 근래 들어 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극부(4)는 상·하부에 절연판(8)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캡 어셈블리(8)는 캔(2)의 상부에 용접되는 정극 플레이트(10)의 가운데에 절연체(12) 및 가스켓(14)을 개재하여 부극 플레이트(16)를 설치하고, 정극 플레이트와 부극 플레이트의 중심을 관통하는 리벳(18)을 이용하여 어셈블리된다.
캡 어셈블리(6)에는 주입구(20)가 형성되어 전해액 주입 후 플러그에 의해 밀봉되고, 전지 내압 상승 및 폭발에 대한 안전대책으로 안전변(22)을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캡 어셈블리(6)는 전극부(4)에서 인출된 부극 탭(24)이 리벳(18)에 용접됨에 의해 부극 단자로 사용된다. 또 캔(2)은 전극부(2)에서 인출된 정극 탭(도시생략) 혹은 전극부(2)의 최외곽 정극과 직접 접촉함에 의해 정극 단자로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차전지를 보면, 캡 어셈블리(6)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아 제조 및 조립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이차전지는 캡 어셈블리(6)의 구성 부품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은 관계로, 상대적으로 전지의 용량을 결정하는 전극부(4)의 유효 설치 공간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캡 어셈블리(6)는 정극 플레이트(10)와 부극 플레이트(16)를 결합하며 동시에 전지의 내·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벳(18) 구조에 의거하여, 구성이 복잡해지고 내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줄이고, 전지 내부의 전극부가 설치될 유효 공간을 늘여 용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재질로 캡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전극 단자의 외부 인출 구조를 캡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여 인출하며, 그 구멍에 프리트(frit)를 채워 융착하므로, 구성 부품을 단순화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프리트는 알루미늄 재질의 용융 온도 이하인 500∼600℃에서 용융되는 것으로, 실리콘(Si)과 티탄(Ti)과 알칼리금속의 혼합물로 된다. 이렇게 구성된 캡 플레이트는 캔의 내부에 전극부와 전해액을 수납한 후, 그 상측 단부에 결합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극 단자를 조립하는 방법으로, 알루미늄으로 된 캡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의 중심에 전극 단자를 배치한 다음 상기 구멍에 프리트 파우더를 채워 넣고 500∼600℃로 가열하여 프리트를 용융하며 다시 냉각하여 실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캡 어셈블리는 구성이 단화화되고, 전지 내부의 유효 공간을 증대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고용량의 전지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차전지는 각형 리튬이온전지를 일 예로 설명한다. 리튬이온전지는 부극 활물질로
Figure 111999002442260-pat00001
,
Figure 111999002442260-pat00002
Figure 111999002442260-pat00003
중에서 적어도 1종이 함유된 리튬-천이금속산화물을 사용하고, 정극 활물질로 탄소 및 탄소복합체를 사용한다.
전극 기재에 활물질을 도포 및 충전하여 형성된 부극 및 정극은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절연된 상태에서 맨드렐을 이용하여 롤 상으로 권취되고 그 후 압착되어 전극부(4)를 구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전극부(4)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캔(2) 내부에 수납되고, 그 캔(2)의 상측 단부에는 캡 어셈블리(60)가 결합되어 밀봉되므로 외장 케이스를 구성한다.
캡 어셈블리(60)는 캔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그 캔(2)의 상측에 용접되는 캡 플레이트(62)와 그 중심에 설치되는 부극 단자(64)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전극부(4)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극 탭(24)을 외장 케이스의 외부로 연결하기 위하여 부극 단자(64)를 설치함에 있어, 캡 어셈블리(60)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그 자체의 두께를 줄이는 방안으로, 캡 플레이트(62)에 구멍(66)을 형성하고, 여기에 프리트(68)를 채워 융착함으로써 부극 단자(64)를 고정하고 있다.
부극 단자(64)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혹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 것으로, 캡 플레이트(62)와 절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프리트(68)는 실리콘과 티탄과 알카리금속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특히 제조 공정에서 알루미늄 재질로 된 캡 플레이트(62)의 용융점을 고려하여 500∼600℃에서 용융되는 것으로 한다.
캡 어셈블리(60)는 제조 단계에서, 부극 단자(64)를 캡 플레이트(62)의 구멍(66) 중심에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파우더 상태의 프리트(68)를 채워 넣은 다음, 상기 캡 플레이트(62)를 500∼600℃ 분위기의 노(盧)에 투입하여 프리트(68)를 용융하고 다시 냉각하므로 융착 및 실링되어 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캡 어셈블리(60)는 종래의 복잡한 구조를 제거하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캡 어셈블리(60)는 캔(2) 내부에 전극부(4)를 수납하고 부극 탭(24)과 부극 단자(64)를 용접하여 연결한 다음, 그 캔(2)의 상측 개구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진다. 전극부(4)는 상·하부에 절연판(8)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캔(2)은 전극부(4)의 정극 탭(도시생략)과 연결되거나 혹은 전극부(4) 최외곽의 정극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캡 어셈블리(60)는 주입구(70)를 구비하여 전해액 주입 후 플러그에 의해 밀봉되어진다. 또 전지 내압 상승 및 폭발에 대한 안전대책으로 안전변(72)을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은 알루미늄 재질에서 전극 단자의 외부 연결을 구현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캡 어셈블리의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지 내부에서 캡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전극부가 설치될 유효 공간을 확대할 수 있고, 그 결과로 전지의 용량을 증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공정을 단축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알루미늄으로 된 캡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구멍과, 그 구멍의 중심에 배치되는 전극 단자와, 상기 구멍에 채워져 융착된 프리트를 포함하고, 프리트는 실리콘과 티탄과 알칼리금속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리트는 500∼600℃에서 용융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캡 플레이트는 정극이고, 전극 단자는 부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전극 단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혹은 스테인 레스 스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6. 알루미늄으로 된 캡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구멍의 중심에 전극 단자를 배치하고 상기 구멍에 프리트 파우더를 채워 넣은 후에 500∼600℃로 가열하여 프리트를 용융하며 다시 냉각하여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조립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프리트는 실리콘과 티탄과 알칼리금속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조립방법.
KR1019990009596A 1999-03-22 1999-03-2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056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596A KR100563029B1 (ko) 1999-03-22 1999-03-2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596A KR100563029B1 (ko) 1999-03-22 1999-03-2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913A KR20000060913A (ko) 2000-10-16
KR100563029B1 true KR100563029B1 (ko) 2006-03-24

Family

ID=1957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596A KR100563029B1 (ko) 1999-03-22 1999-03-2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859B1 (ko) 2010-07-12 2012-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052410B1 (ko) * 2011-01-10 2011-07-28 주식회사 태성포리테크 음극 단자 수지접합형 전지용 전극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2369B1 (ko) * 2011-01-10 2011-07-28 주식회사 태성포리테크 양극 단자 용접결합형 전지용 전극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783A (ja) * 1994-08-30 1996-03-1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鉛蓄電池の極柱封口部
JPH09289001A (ja) * 1996-04-23 1997-11-0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JPH1131523A (ja) * 1997-02-19 1999-02-02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21323A (ko) * 1998-09-28 2000-04-25 장용균 리튬이온 전지의 밀봉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783A (ja) * 1994-08-30 1996-03-1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鉛蓄電池の極柱封口部
JPH09289001A (ja) * 1996-04-23 1997-11-0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JPH1131523A (ja) * 1997-02-19 1999-02-02 Sony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21323A (ko) * 1998-09-28 2000-04-25 장용균 리튬이온 전지의 밀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913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2060B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259364B1 (en) Rechargeable battery
US8753765B2 (en) Secondary battery
CN110400895A (zh) 电池模组、二次电池及其顶盖组件
US6159630A (en) Safety vent for storage battery or cell
JP5037527B2 (ja) 二次電池
KR101523064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20030059678A1 (en) Cap assembly and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cap assembly
JP4128648B2 (ja) 密閉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06329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0563029B1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446153B1 (ko)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이러한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9990084564A (ko) 각형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KR101453782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322062B1 (ko) 이차전지의캔
KR100490547B1 (ko) 보호 수단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53729B1 (ko) 이차전지의 외장 케이스
JP3902427B2 (ja) 蓄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20150051516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319112B1 (ko) 이차 전지
KR100544106B1 (ko) 이차전지의 캔
EP4350850A2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100563038B1 (ko) 밀폐전지
KR100739951B1 (ko) 이차전지
KR100528899B1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