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928B1 -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0928B1 KR100560928B1 KR1020030075017A KR20030075017A KR100560928B1 KR 100560928 B1 KR100560928 B1 KR 100560928B1 KR 1020030075017 A KR1020030075017 A KR 1020030075017A KR 20030075017 A KR20030075017 A KR 20030075017A KR 100560928 B1 KR100560928 B1 KR 1005609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pack
- hook
- main body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의 후크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배터리팩의 밀착력을 높이고 착탈을 편리하도록 한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10)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 홀더부(20)와, 상기 홀더부(2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치된 후크부(30)와, 상기 홀더부(20)의 일측에 돌설된 고정돌기(40) 및, 상기 후크부(30)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도록 일측은 상기 고정돌기(4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부(30)에 고정된 인장스프링(50)을 포함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력을 높여 전원공급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편리하게 배터리팩의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후크, 유동식, 홀더, 스프링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이 본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배터리팩이 본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팩 20 : 홀더부
30 : 후크부 32 : 후크
34 : 연결봉 40 : 고정돌기
50 : 인장스프링 60 : 판스프링
본 발명은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팩의 후크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배터리팩의 밀착력을 높이고 착탈을 편리하도록 한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팩(2)이 착탈된다.
이러한 배터리팩(2)의 장착시에는 우선, 배터리팩(2) 하단의 후크(2a)를 본체(1) 배면 하부의 결합홈(1a)에 삽입시킨 후 배터리팩(2)을 본체(1) 배면에 밀착시키고, 본체(1)의 노브록킹(3)을 이용하여 배터리팩(2)의 걸림홈(2b)을 구속시켰다.
상기 배터리팩(2)의 후크(2a)는 배터리팩(2)이 본체(1)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팩(2)을 손쉽게 착탈시키기 위해 배터리팩(2)과 일체로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팩(2) 후크(2a)는 본체(1) 배면에 착탈시 소정의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되므로 배터리팩(2)의 착탈이 반복됨에 따라 마모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고정식 후크(2a)가 구비된 배터리팩(2)은 본체(1)와 결합력이 우수하지 않아 배터리팩(2)으로부터의 원활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단말기에 외부 충격이 인가되면 배터리팩(2)이 본체(1)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2a) 등이 쉽게 파손되는 폐단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배터리팩과 본체의 결합을 견고히 하여 밀착력을 높이고, 배터리팩의 착탈을 편리하도록 한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치된 후크부와, 상기 홀더부의 일측에 돌설된 고정돌기 및 상기 후크부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도록 일측은 상기 고 정돌기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부에 고정된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는 하나 이상의 후크가 연결봉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후크부의 연결봉이 안치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거치대가 단독 또는 복수개로 결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치된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도록 상단은 후크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배터리팩의 일측면에 내삽된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10)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 홀더부(20)와, 상기 홀더부(2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치된 후크부(30)와, 상기 홀더부(20)의 일측에 돌설된 고정돌기(40) 및, 상기 후크부(30)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도록 일측은 상기 고정돌기(4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부(30)에 고정된 인장스프링(50)을 포함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후크부(30)는 하나 이상의 후크(32)가 연결봉(34)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34)의 일측에는 걸림돌기(36)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3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34)의 상측면에 돌설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6a)가 연결봉(34)의 하측면에 돌설된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6)가 연결봉(34)의 상측면에 돌설될 경우, 걸림돌기(36)와 상기 고정돌기(40)를 연결하는 인장스프링(50)은 일단부의 고리(50a)가 상기 걸림돌기(36)에 결합되도록 일측이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6a)가 연결봉(34)의 하측면에 돌설될 경우, 직선형의 인장스프링(52)을 사용하며 이 경우 상술한 인장스프링(50)에 비해 연결봉(34)을 회전시키기 위한 신축력은 저하된 반면 조립성이 향상된다.
다시말해, 상기 인장스프링(50, 52)의 형상은 걸림돌기(36)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기술적 효과는 동일하다 할 것이다.
상기 홀더부(20)는 상기 후크부(30)의 연결봉(34)이 안치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거치대(22)가 단독 또는 복수개로 결합된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10)의 하측에는 상기 후크부(30)가 배터리팩(10)의 일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도록 소정 깊이 함몰된 안착부(24)를 형성되고, 이 안착부(24) 상면에 홀더부(30)가 부착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배터리팩(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접촉단자(12)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즉, 상기 홀더부(20)의 거치대(22)에 후크부(30)의 연결봉(34)이 삽입되어 후크부(30)가 회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40) 및 걸림돌기(36)에 인장스프링(50)의 양측단 고리(50a, 50b)가 각각 걸리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장스프링(50)은 상기 고정돌기(40)와 걸림돌기(36)의 사이에서 자체 탄성계수만큼의 압축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상기 걸림돌기(36)가 구비된 연결봉(34)은 상기 고정돌기(40) 측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30)는 하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로써 배터리팩(10)의 하부에 구비되게 된다.
첨부도면 도 4에서는 이러한 배터리팩(10)이 본체(1)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후크부(3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측으로 함몰된 대응홈(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응홈(5)의 하측벽에는 후크(3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배터리팩(10)이 본체(1)에 착탈되는 과정을 측단면도를 통해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의 후크(32)를 본체(1) 배면의 결합홈(5a)에 삽입시킨 후, 상기 후크(32)를 회전축으로 삼아 배터리팩(10)의 상부를 본체(1) 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14)이 본체(1)의 노브록킹(3)과 탄성적으로 결합하게 되고 노브록킹(3)의 구속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팩(10)은 본체(1)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장스프링(50)의 압축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있던 후크(32)는 상기 배터리팩(10)이 본체(1)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본체(10)의 결합홈(5a)에 걸려 상기 연결봉(34)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최초의 신장길이(L)로부터 소정 길이(L'-L)만큼 더 신장된 길이(L')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장스프링(50)에는 최초 길이(L)로 복원하려는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걸림돌기(3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고, 걸림돌기(36)의 회전력은 연결봉(34)과 함께 후크(32)를 배터리팩의 외측 방향(도 6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봉(34)을 중심으로 한 배터리팩(10)은 본체(1)의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결과적으로 배터리팩(10)과 본체(1)와의 밀착력을 높여주는 것이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상기 배터리팩(10)을 본체(1)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배터리팩(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선, 록킹노브(3)를 일시적 으로 후퇴시킨다.
그런후, 구속력이 제거된 배터리팩(10)을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리면, 상기 배터리팩(10)의 하부에서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인가된 후크(32)는 본체(1)의 결합홈(5a)을 밀어 올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결봉(34)을 중심으로 한 지렛대 원리에 의해 배터리팩(10)의 일측을 들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팩(10)이 본체(1)로부터 순간적으로 이격됨에 따라 배터리팩(10)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8 및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10)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 홀더부(20)와, 상기 홀더부(2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치된 후크부(30) 및, 상기 후크부(30)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도록 상단은 후크부(3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에 내삽된 판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판스프링(60)은 배터리팩(10)의 안착부(24)에 형성된 삽입홈(62)에 견고하게 내삽 고정되며, 이때 판스프링(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30)가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터리팩(10)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 로 배터리팩(10)의 착탈시 편리함을 제공하고 배터리팩(10)과 본체(1)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데, 도 10 및 도 11에서는 이러한 배터리팩의 장착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의 후크(32)를 본체(1) 배면의 결합홈(5a)에 삽입시킨 후, 상기 후크(32)를 회전축으로 삼아 배터리팩(10)의 상부를 본체(1) 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14)이 본체(1)의 노브록킹(3)과 탄성적으로 결합하게 되고 노브록킹(3)의 구속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팩(10)은 본체(1)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60)에 의해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던 후크(32)는 상기 배터리팩(10)이 본체(1)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본체(10)의 결합홈(5a)에 걸려 일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최초 상태로 복원하려는 판스프링(60)은 상기 걸림돌기(3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고, 이러한 걸림돌기(36)의 회전력은 연결봉(34)과 함께 후크(32)를 배터리팩(10)의 외측 방향(도 11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봉(34)을 중심으로 한 배터리팩(10)의 일측은 본체(1)의 배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배터리팩(10)과 본체(1)와의 밀착력을 높여주는 것이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상기 배터리팩(10)을 본체(1)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11과 같이 배터리팩(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우선, 록킹노브(3)를 일시적으로 후퇴시킨다.
그런후, 구속력이 제거된 배터리팩(10)을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올리면, 상기 배터리팩(10)의 하부에서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인가된 후크(32)는 본체(1)의 결합홈(5a)을 밀어 올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결봉(34)을 중심으로 한 지렛대 원리에 의해 배터리팩(10)의 일측을 들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팩(10)이 본체(1)로부터 순간적으로 이격됨에 따라 배터리팩(10)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배터리팩의 결합력을 높여 전원공급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편리하게 배터리팩의 착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간단한 사출작업을 통해 후크부와 홀더부를 제작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10) 장치에 있어서,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 홀더부(20);상기 홀더부(2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치된 후크부(30);상기 홀더부(20)의 일측에 돌설된 고정돌기(40); 및상기 후크부(30)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도록 일측은 상기 고정돌기(4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부(30)에 고정된 인장스프링(5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후크부(30)는 하나 이상의 후크(32)가 연결봉(34)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34)의 일측에는 상기 인장스프링(50)의 일단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36)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홀더부(20)는 상기 후크부(30)의 연결봉(34)이 회전가능하게 안치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거치대(22)가 단독 또는 복수개로 결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1) 배면에 장착되는 배터리팩(10) 장치에 있어서,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된 홀더부(20);상기 홀더부(2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치된 후크부(30); 및상기 후크부(30)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도록 상단은 후크부(3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에 내삽된 판스프링(6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5017A KR100560928B1 (ko) | 2003-10-27 | 2003-10-27 |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5017A KR100560928B1 (ko) | 2003-10-27 | 2003-10-27 |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9938A KR20050039938A (ko) | 2005-05-03 |
KR100560928B1 true KR100560928B1 (ko) | 2006-03-14 |
Family
ID=3724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5017A KR100560928B1 (ko) | 2003-10-27 | 2003-10-27 |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09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8902A (ko) | 2014-07-15 | 2016-0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전자 장치 |
-
2003
- 2003-10-27 KR KR1020030075017A patent/KR1005609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9938A (ko) | 2005-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7507076A (ja) | 自浄式コネクタ | |
JPH0756916B2 (ja) | 携帯用電子機器 | |
CN104717411A (zh) | 摄像设备及其把持部 | |
JP3012642B1 (ja) | バッテリ保持構造と該バッテリ保持構造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 |
US6206187B1 (en) | Electronic device retention case | |
KR100560928B1 (ko) | 유동식 후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치 | |
JPH0438619Y2 (ko) | ||
JPH1128175A (ja) | 便器構造 | |
JP4159646B2 (ja) | ヒンジ装置およびフリップならびに携帯式電話機 | |
KR101034134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구조 | |
JP2001094650A (ja) | 携帯電子機器用ストラップの取付構造 | |
JP2508597B2 (ja) | ツ―ルアダプタ | |
CN217334301U (zh) | 一种舷外机电池固定装置及舷外机 | |
JP2001007556A (ja) | 開口閉鎖用キャップおよびそのキャップを用いる機器本体 | |
JP3448331B2 (ja) | 仕掛け収容ケース | |
KR200299004Y1 (ko) |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탈착장치 | |
CN211306211U (zh) | 一种电动工具 | |
KR200380028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 |
KR100634646B1 (ko) | 장탈착 클립을 구비한 선쉐이드 리테이너 | |
JP3053674B2 (ja) | 電池収納装置 | |
JP3001569U (ja) | 魚釣用リ−ル | |
KR200355865Y1 (ko) |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착탈장치 | |
KR200162182Y1 (ko) | 고정형 무선전화기의 수납케이스 홀더 | |
JPH07333934A (ja) | 電子機器 | |
KR200372520Y1 (ko) |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외장형 메모리카드 삽입구커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