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924B1 -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924B1
KR100560924B1 KR1020040054056A KR20040054056A KR100560924B1 KR 100560924 B1 KR100560924 B1 KR 100560924B1 KR 1020040054056 A KR1020040054056 A KR 1020040054056A KR 20040054056 A KR20040054056 A KR 20040054056A KR 100560924 B1 KR100560924 B1 KR 10056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power
recep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173A (ko
Inventor
노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54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9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에서 송수신 경로의 고장여부를 별도의 고장 감지 회로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진단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전력을 감지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사용자의 고장 진단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송수신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감지된 송신전력을 참조하고 상기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 진단을 제어하는 이동국 모뎀과; 상기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송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는 송신 변조부와; 상기 수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는 수신 변조부와; 상기 송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송신전력 조정부와; 상기 수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수신전력을 조정하는 수신전력 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고장, 진단, 송신전력, 수신전력, 이동국 모뎀

Description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Trouble}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자기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WLL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고장 감지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 진단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에 있어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6에 있어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 송수신부 11 : 듀플렉서
12 : 송신전력 감지부 20 : 송신 변조부
30 : 수신 변조부 40 : 송신전력 조정부
50 : 수신전력 조정부 60 : 이동국 모뎀
70 : 표시부 80 : 입력부
본 발명은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에서 송수신 경로의 고장여부를 별도의 고장 감지 회로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진단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단에서 송수신 경로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종래의 기술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1998-016365호 발명,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2002-0064419호 발명,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2003-0030680호 발명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1998-016365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자기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1998-016365호 발명은 '휴대폰의 자기 진단 방법' 에 관한 발명으로, 휴대폰의 각 회로부의 동작 수행을 감시하여 에러 발생을 감지하고 해당 발생된 에러에 대응하는 에러식별부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 에러 감지부(10)와, 상기 에러식별부호에 대응하는 에러 메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0)와, 상기 에러 감지부(10)로부터 인가되는 에러식별부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에러 메세지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부(30)에 인가하는 제어 처리부(30)와, 상기 제어 처리부(20)의 제어에 의해 인가되는 에러 메세지를 액정표시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러 감지부(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제어 처리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데이타에 따라 에러 검색 모드로 동작하여 휴대폰내 각 회로부의 에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데, 휴대폰에 구비되는 입력부, 프로그램부, 주파수 합성부 및 송신부 등과 같은 휴대폰내의 각 회로부에 접속되어 해당 각 회로로부터 인가되는 동작 상태 정보를 읽어들임으로써 휴대폰내 각 회로부의 에러 발생을 감지하고, 발생된 에러에 대응되는 에러식별부호를 생성하여 제어 처리부(20)에 인가한다.
다음으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2002-0064419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고장 감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2002-0064419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단 진단을 위한 '무선가입자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각 부품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고장 감지부(121~129)와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30)와 고장 판별 결과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1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장 감지부(121~129)는 각 부품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각각의 소자로 유입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멀티프렉서(130)로 고장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어떤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상기 액정 표시부(1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2003-0030680호 발명을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 진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2003-0030680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송수신 경로 진단을 위해 신호 귀환부(100)와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신호 귀환부(100)는 로컬 오실레이터(106), 믹서(104), 스위치(10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진단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신호 귀환부(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이에 상기 스위치(102)는 듀플렉서(110)에서 안테나(170)로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듀플렉서(110)에서 상기 믹서(104)로 스위칭한다. 그리고 상기 로컬 오실레이터(106)에서 신호를 발생시켜 송신 신호와 혼합한 후, 상기 듀플렉서(110)를 경유하여 수신부(130)에 출력한단. 수 신부(130)에서 송신 신호와 로컬 오실레이터(106)의 혼합된 수신 신호의 전압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송수신단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단의 고장을 진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에러 또는 고장를 감지하기 위한 에러 감지부 또는 고장 감지부나 별도의 회로를 추가로 삽입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였으므로,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지 고장판별만을 위해서 별도의 추가적인 회로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간이나 제조단가를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에서 송수신 경로의 고장여부를 별도의 고장 감지 회로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진단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장 진단 시스템은,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전력을 감지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사용자의 고장 진단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송수신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감지된 송신전력을 참조하고 상기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 진단을 제어하는 이동국 모뎀과; 상기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송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는 송신 변조부와; 상기 수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는 수신 변조부와; 상기 송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송신전력 조정부와; 상기 수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수신전력을 조정하는 수신전력 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장 진단 방법은,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과 초기 송신신호의 기준 송신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과정과; 수신된 수신신호의 인가 수신전력과 상기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에 대응하는 초기 수신신호의 기준 수신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진단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진단 시스템은 신호 송수신부(10), 송신 변조부(20), 수신 변조부(30), 송신전력 조정부(40), 수신전력 조정부(50), 이동국 모뎀(MSM)(60), 표시부(70) 및 입력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10)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전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듀플렉서(11)와 송신전력 감지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듀플렉서(11)는 신호 송신시 송신단의 송신 경로를 통해 전송받은 송신신호를 안테나로 전송하고 신호 수신시 안테나로부터 전송받은 수신신호를 수신단의 수신 경로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송신전력 감지부(12)는 상기 송신 변조부(20)로부터 전송받은 송신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실제 출력하고 있는 송신전력을 감지하고 해당 송신전력 감지 신호를 상기 이동국 모뎀(6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전력 감지부(12)는 상기 듀플렉서(11)와 상기 안테나사이에 위치할 수 도 있고, 또는 상기 듀플렉서(11)와 상기 송신 변조부(20)사이에 위치할 수 도 있다.
상기 입력부(80)는 사용자의 고장 진단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송수신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감지된 송신전력을 참조하고 상기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 진단을 제어한다. 즉,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정밀한 전력제어를 수행하고 있는데,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정확한 수신신호 레벨을 감지하고 그에 맞는 송신전력을 제어하여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송수신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송수신전력 조정부(40,50)를 사용하게 되고, 해당 이동국 모뎀(60)에서는 수신전력 레벨과 송신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송수신전력 조정부(40,50)의 전압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표시한다.
상기 송신 변조부(20)는 상기 송신전력 조정부(4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송 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10)의 듀플렉서(11)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력 증폭기, 고주파 필터, 송신 믹서 및 IF(Intermediate Frequency) 필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 변조부(30)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10)의 듀플렉서(11)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수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고 상기 수신전력 조정부(50)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저잡음 증폭기, 고주파 필터, 수신 믹서 및 IF 필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신전력 조정부(40)는 상기 송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예컨대, 자동 이득 제어 장치(AGC : Automatic Gain Controller)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수신전력 조정부(50)는 상기 수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수신전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예컨대, 자동 이득 제어 장치(AGC)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고장 진단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국 모뎀(60)은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과 초기 송신신호의 기준 송신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여부를 진단한다(S100). 여기서,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는 이동국 모뎀(60), 송신전력 조정부(40), 송신 변조부(20), 신호 송수신부(10)를 통하여 송신신호가 출력되는 경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수신된 수신신호의 인가 수신전력과 상기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에 대응하는 초기 수신신호의 기준 수신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진단한다(S200). 여기서,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는 신호 송수신부(10), 수신 변조부(30), 수신전력 조정부(50), 이동국 모뎀(60)을 통하여 수신신호가 수신되는 경로를 말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S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있어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S1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 진단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입력부(80)로 고장 진단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입력한다.
이에, 이동국 모뎀(60)은 상기 입력부(8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고장 진단 모드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다(S101).
이에 따라,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송신신호와 송신전력 조정 전압을 송신전력 조정부(40)로 인가한다(S102).
이에, 상기 송신전력 조정부(40)는 상기 인가받은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전력 조정 전압에 대응하는 송신전력을 갖도록 해당 송신신호의 송신전력을 조정한다(S103).
그리고, 송신 변조부(20)는 상기 조정된 송신전력을 갖는 송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변조된 송신신호를 신호 송수신부(10)의 듀플렉서(11)로 출력한다(S104).
이에, 상기 듀플렉서(11)는 상기 변조된 송신신호를 안테나로 전송하여 출력한다(S105).
그리고, 송신전력 감지부(12)는 상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커플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송신전력을 감지하고 해당 송신전력 감지 신호를 상기 이동국 모뎀(60)으로 전송한다(S106).
이에 따라,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상기 초기 송신신호의 기준 송신전력 레벨과 상기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 레벨을 비교한다(S107).
이때, 상기 판단 결과(S107), 상기 출력 송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송신전력 레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송신단의 송신 경로 고장 메시지를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한다(S108).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0)에 표시된 송신단의 송신 경로 고장 메시지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107), 상기 출력 송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송신전력 레벨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송신단의 송신 경로 정상 메시지를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한다(S109).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0)에 표시된 송신단의 송신 경로 정상 메시지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인지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S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있어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S2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상기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 레벨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기준 수신출력 레벨을 계산한다(S201).
그런 후,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송신단의 송신 경로를 통해 기지국과 통화를 연결한다(S202).
이에, 상기 듀플렉서(11)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신호 송수신부(10)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변조부(30)로 전송한다(S203).
이에, 상기 수신 변조부(30)는 상기 전송된 수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변조된 수신신호를 수신전력 조정부(50)로 출력한다(S204).
이에 따라, 상기 수신전력 조정부(50)는 변조된 수신신호의 수신전력을 수신전력 조정 전압에 대응하는 수신전력을 갖도록 해당 수신신호의 수신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이동국 모뎀(60)으로 인가한다(S205).
이에,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상기 계산된 수신신호의 기준 수신전력 레벨과 상기 인가받은 수신신호의 인가 수신전력 레벨을 비교한다(S206).
이때, 상기 판단 결과(S206), 상기 인가 수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수신전력 레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수신단의 수신 경로 고장 메시지를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한다(S207).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0)에 표시된 수신단의 송신 경로 고장 메시지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206), 상기 인가 수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수신전력 레벨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국 모뎀(60)은 수신단의 수신 경로 정상 메시지를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한다(S208).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0)에 표시된 수신단의 수신 경로 정상 메시지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인지한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CDMA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밀한 전력 제어가 이루어진다. 정확한 수신신호 강도(-104dBm ~ -25dBm)를 감지하고 그에 맞는 송신전력(-50dBm ~ +23dBm)을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송신전력 조정부의 조정 전압을 이동국 모뎀(60)에서 조정함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수신신호가 만약 -75dBm인 경우 수신단 수신전력 조정부(50)의 전압레벨이 일정한 값을 갖게 된다. 이 전압을 가지고 현재 수신되고 있는 수신신호 레벨(-75dBm)을 알 수 있게 된다. 송신신호의 경우에도 송신단 송신전력 조정부(40)에 일정한 조정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일정한 송신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송수신전력 조정부(40,50)에 인가되는 전압과 수신전력 레벨, 송신전력 레벨의 관계값은 이동국 모뎀(60)에 저장되어 이용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에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는 안테나단에서 그 합이 일정한 값, 예컨대, -73dBm이 되도록 조정된다. 즉, 만약 수신신호가 -75dBm이면 송신신호 레벨은 +2dBm이 되게 된다. 이렇게 송신신호 레벨이 조정되는 방법을 오픈 루프 파워 콘트롤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오픈 루프 파워 콘트롤로 송신신호를 보내게 되지만,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내온 신호를 측정하여 신호레벨이 작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을 높이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고, 반면에 크게 되면 내리라는 명령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려보내게 되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에 따라 송신전력을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클로즈드 루프 파워 콘트롤이라고 한다. 클로즈드 루프 파워 콘트롤이 적용된 송신출력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 송수신 출력의 합이 안테나단에서 일정한 값(-73dBm) 근처에서 조정되게 된다.
한편, 입력부(80)에서의 키입력을 통해 고장 진단 모드로 들어가게 되면 송수신단 고장 진단 모드가 시작된다. 먼저 송신단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송신단 고장 진단에서는 송신전력 조정부(40)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송신단에 아무런 이상이 없게 되면 인가한 전압에 맞는 송신전력이 안테나단을 통해서 송신되게 된다. 이 송신전력의 일부를 커플링하여 송신전력 감지부(12)를 통해 실제 안테나단에서 송신되고 있는 전력 레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송신전력 조정부(40)에 2V의 조정 전압을 인가할 경우 정상적인 경우 23dBm의 송신전력이 출력되게 된다면, 상기 송신전력 감지부(12)에서도 23dBm을 검출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고 23dBm보다 적은 출력전력을 검출하게 되면 송신단에 이상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여부는 표시부(70)를 통해서 표시한다.
그런 후, 송신단 고장 진단이 완료되면 수신단 고장 진단을 시작하게 된다. 수신단 고장 진단을 위해서 기지국과 통화연결을 하게된다. 송신전력 출력을 알게 되면 오픈 루프 파워 콘트롤과 클로즈드 루프 파워 콘트롤의 관계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수신단의 기준 수신전력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송신전력은 송신단 고장 진 단을 통해서 정상적인 출력인지를 알 수 있다. 만약, 송신전력이 +2dBm으로 기지국과 통화 연결되어 있다면, 수신단은 -75dBm으로 수신전력을 인식하고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고 더 낮은 값으로 인식하고 있다면 수신단에 고장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실제 기지국과의 통화시에는 송수신 전력의 합이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 일정한 값(-73dBm)으로 유지되지는 않게 된다. 하지만 어느 정도의 범위를 설정해서 그 설정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수신단 고장으로 판단하는 데에는 충분하다. 송신단이 고장인 경우를 생각해보면, 만약 송신전력이 +23dBm이어야 하는데 상기 송신전력 감지부(12)를 통해서 검출된 송신전력이 +13dBm이면, 송신단에 +10dB의 고장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과 통화 연결시 +12dBm의 송신전력(송신전력 조정부(40)의 조정 전압기준)으로 연결되고 있다면 실제 송신되는 송신전력은 +10dB의 고장이 발생했으므로 +2dBm의 전력으로 송신되게 된다. 송신되는 실제 전력은 +2dBm이므로 수신단에서 계산되어지는 기준 수신전력은 -75dBm이어야 한다. 이 수신전력보다 더 낮은 값으로 인식하게 된다면 수신단에 이상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수신단 고장여부는 표시부(70)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에서 송수신 경로의 고장여부를 별도의 고장 감지 회로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진단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여부를 사용자에게 일려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간이나 제조단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장 진단 시스템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전력을 감지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사용자의 고장 진단 모드로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송수신전력을 조정하고 상기 감지된 송신전력을 참조하고 상기 송수신전력값을 이용하여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 진단을 제어하는 이동국 모뎀과;
    상기 송수신단의 송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송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는 송신 변조부와;
    상기 수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변조하는 수신 변조부와;
    상기 송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송신전력 조정부와;
    상기 수신전력 조정에 따라 해당 수신전력을 조정하는 수신전력 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신호 송신시 송신단의 송신 경로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송신신호를 안테나로 전송하고 신호 수신시 안테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수신신호를 수신단의 수신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듀플렉서와;
    상기 송신신호를 커플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실제 출력하고 있는 송신전 력을 감지하고 해당 송신전력 감지 신호를 상기 이동국 모뎀으로 전송하는 송신전력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진단 시스템.
  3.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과 초기 송신신호의 기준 송신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과정과;
    수신된 수신신호의 인가 수신전력과 상기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에 대응하는 초기 수신신호의 기준 수신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진단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에서 송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은,
    사용자의 고장 진단 모드 전환 명령을 입력받아 송신신호와 송신전력 조정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인가받은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전력 조정 전압에 대응하는 송신전력을 갖도록 해당 송신신호의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송신전력을 갖는 송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변조된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송신신호를 안테나로 전송하여 출력하고 해당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커플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제 송신전력을 감지하고 해당 송신전력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송신신호의 기준 송신전력 레벨과 상기 감지된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 레벨을 비교하여 해당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신단의 송신 경로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진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송신단의 송신 경로 고장여부 표시 단계는,
    상기 출력 송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송신전력 레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송신단의 송신 경로 고장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 송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송신전력 레벨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송신단의 송신 경로 정상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진단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에서 수신 경로 고장 진단 과정은,
    상기 송신신호의 출력 송신전력 레벨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신호의 기준 수신출력 레벨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단의 송신 경로를 통해 기지국과 통화를 연결하고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수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변조된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수신신호의 수신전력을 수신전력 조정 전압에 대응하는 수신전력을 갖도록 해당 수신신호의 수신전력을 조정하여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수신신호의 기준 수신전력 레벨과 상기 인가받은 수신신호의 인가 수신전력 레벨을 비교하여 해당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단의 수신 경로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진단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수신단의 송신 경로 고장여부 표시 단계는,
    상기 인가 수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수신전력 레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수신단의 수신 경로 고장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인가 수신전력 레벨이 상기 기준 수신전력 레벨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단의 수신 경로 정상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진단 방법.
KR1020040054056A 2004-07-12 2004-07-12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56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056A KR100560924B1 (ko) 2004-07-12 2004-07-12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056A KR100560924B1 (ko) 2004-07-12 2004-07-12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173A KR20060005173A (ko) 2006-01-17
KR100560924B1 true KR100560924B1 (ko) 2006-03-14

Family

ID=3711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056A KR100560924B1 (ko) 2004-07-12 2004-07-12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55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66288B2 (en) 2021-02-10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self-test using self-test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3155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66288B2 (en) 2021-02-10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self-test using self-test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173A (ko) 200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6623C1 (ru) Аппаратур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амопроверки аппаратуры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036652B2 (en) Radio access point testing apparatus
EP0785640B1 (en) Method for extending the RSSI range and radio transceiver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is method
US79704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improving call connection
US7353020B2 (en) Radio access point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esting radio access point
JP2007143130A (ja) トランシーバ試験の際にレシーバの過負荷を防止する試験装置及び方法。
US5196808A (en) RF amplifier protector and method
RU215322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амодиагностики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в приемном модуле радиосвязи базовой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ей станции
US6996057B2 (en) Integrated RF loopback test apparatus for redundant data radio transceiver system
KR100560924B1 (ko)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13085084A (ja) 無線通信装置
JP2009038688A (ja) 無線装置
WO2002080413A1 (en) Printing device, diagnosing method for printing device, and diagnosing program for printing device
KR20040033917A (ko)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12119598A (zh) 天线单元、发送系统和用于运行天线单元的方法
US6697648B1 (en) Radio communication booster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JP5189483B2 (ja) 無線装置
JPH11298354A (ja) 制御用無線受信機
KR100623865B1 (ko)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270678B1 (ko)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RU2172563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в приемном вч тракте в системе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цифровой сотовой связи с мдкр
US200301121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ing rate of GPS signal
US6963738B1 (en) Method for evaluating a communication link,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JP3950701B2 (ja) スケルチ動作制御システム
KR20020064419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