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678B1 -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678B1
KR100270678B1 KR1019980035827A KR19980035827A KR100270678B1 KR 100270678 B1 KR100270678 B1 KR 100270678B1 KR 1019980035827 A KR1019980035827 A KR 1019980035827A KR 19980035827 A KR19980035827 A KR 19980035827A KR 100270678 B1 KR100270678 B1 KR 10027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voltage
current
failur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297A (ko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67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송수신기의 송신부의 고장상태를 파악하여 경보를 발생하여 고장상태를 알리는 송신부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송수신 단말기에서 수신전계강도(RSSI)가 양호하게 표시되는 상태에서도 송신키를 눌러 호접속을 시도하여 2번이상 실패하는 경우 송신부로 전원공급 시 흐르는 전류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최소전력송출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값과 비교하여 최소전력송출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값보다 작을경우 송신장치의 고장상태로 판단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본 발명은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송수신기의 송신부의 고장상태를 파악하여 경보를 발생하여 고장상태를 알리는 송신부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송수신 단말기는 수신부의 동작여부는 LCD와 같은 표시장치에 수신전계강도의 레벨이 표시되어 수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수신부 100과 송신부 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테나 116은 송신할 무선데이터를 공중을 통해 방사하고, 공중으로 방사된 무선데이터를 수신한다. 듀플렉스 101은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을 분할한다. 저잡음 증폭기 102는 상기 듀플렉스 101로부터 수신주파수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믹서 103으로 출력한다. 국부발진기 104는 발진주파수를 채널에 맞게 발생시킨다. PLL부 112는 상기 국부발진기 104에서 원하는 주파수가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제1믹서 103은 상기 저잡음 증폭기 10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국부발진기 104로부터 발생한 발진주파수에 의해 다운시켜 제1 중간주파신호를 생성하여 제1밴드패스필터 105로 출력한다. 제1밴드패스필터 105는 상기 제1중간주파신호를 입력하여 특정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제1자동이득제어기 106은 상기 특정대역의 신호를 이득을 조절하여 BBA(Baseband Analog) 113으로 출력한다. BBA 113은 상기 자동이득제어기 106으로부터 이득조절된 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처리하거나 송신신호를 기저대역으로 처리하여 제2자동이득제어기 111로 출력 한다. 제2 자동이득제어기 111은 BBA 113으로부터 출력된 기저대역신호를 받아 출력전력을 맞추기 위해 이득을 제어하여 제2밴드패스필터 110으로 출력한다. 제2밴드패스필터 110은 상기 이득제어된 신호를 대역필터링하여 특정대역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제2믹서 109는 대역필터링된 신호를 상기 국부발진기 104로부터 발생한 국부발진주파수에 의해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구동증폭기 108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증폭기 108은 상기 고주파로 변환된 신호를 전력증폭기 107의 입력레벨에 맞도록 증폭하여 전력증폭기 107로 출력한다. 전력증폭기 107은 상기 구동증폭기 108로부터 출력된 송신신호를 원하는 전력 레벨증폭하여 듀프렉스 101로 출력한다. 듀플렉스 101은 상기 전력증폭기 107로부터 증폭된 송신신호를 안테나 116을 통해 공중으로 방사한다. 그리고 이와같이 송수신단말기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수신부 100과 송신부 200에 각각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DC-DC컨버터 114를 통해 레귤레이터 115를 거쳐 수신부 100과 송신부 200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송수신단말기는 사용자가 LCD에 표시되는 RSSI(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or)레벨을 확인한 후 단말기의 수신가능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LCD에 디스플레이되는 RSSI가 크게 나타나더라도 송수신단말기의 송신부의 이상이 있으면 기지국에서의 페이징 메시지에 대하여 단말기가 응답하는 억세스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보낼 수 없기 때문에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의 고장인지 아니면 기지국의 장비 고장인지 또는 주위환경상의 장애인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송수신단말기에서 송신부의 고장유무를 검출하여 알람을 발생하는 고장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전원장치의 DC-DC컨버터의 출력에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저항을 연결하여 이 저항의 전류의 변화에 따른 전압을 증폭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미리 입력된 최소전력 송출시의 전류와 비교하여 그 최소전류보다 적을 시 고장으로 인식하여 알람메세지를 표시하도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의 고장경보를 위한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하메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 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밞여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의 구성도이다.
DC-DC컨버터 114의 전원출력단에 저항 301이 연결되어 레귤레이터 115에 연결되고, 상기 저항 301에 저항 302가 연결되어 연산증폭기 305의 한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연산증폭기 305의 한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 303이 연결되고, 상기 DC-DC컨버터 114의 전원출력단에 저항 304가 연결되어 상기 연산증폭기 305의 다른 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연산증폭기 305의 출력단이 멀티플렉서 306의 한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멀티플렉서 306의 출력단이 MSM(Mobil Station Modem) 307에 연결되며, 상기 MSM 307이 디스플레이부 308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귤레이터 115의 출력전원이 송신부 200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의 고장경보를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전원키(Power key)를 동작시키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DC-DC컨버터 114를 통해 하향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때 DC-DC컨버터 114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저항 301을 통해 흐르게되며, 상기 저항 30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전류의 변화에 따라서 예를들어 0.01V 내지 0.06V로 미세하게 변화하게 된다. 이 전압은 저항 302(R1)을 통해 연산증폭기 305의 한단자로 인가되며, 상기 연산증폭기 305의 출력전압은 저항 302(R1) 및 저항 303(R2)의 비에 의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V1은 DC-DC컨버터 114로부터 출력되어 저항 301을 통과한 전압이고, V2는 DC-DC컨버터 114로부터 출력된 전압이다.
그리고 MSM 307은 최소전력 송출시(송신시 가장 전류소모가 작을시) 저항 301에 흐르는 전류값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값을 내부메모리에 등록하여 송신부 고장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전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신전계강도(RSSI), 배터리의 전압(VBATT), 온도(Temperature), 송신시 전류소모를 체크하기 위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선택신호 ADsel0와 ADsel1를 MUX 306의 선택단자로 출력하게 되는데, 송신시 전류소모를 체크하기 위한 선택신호는 사용자가 송신키(Send Key)를 입력하여 2번이상 접속의 실패가 있을 경우 출력한다. 이때 상기 연산증폭기 305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MUX 306으로 인가되며, 상기 MUX 306은 MSM 307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신호 ADsel0와 ADsel1에 의해 연산증폭기 305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선택하여 MSM 307로 출력한다. 그러면 MSM 307은 상기 연산증폭기 305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내장되어 있는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런후 MSM 306은 이 디지털 변환된 전압값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송신부 200에서 최소 전력 송출시 흐르는 전류값에 대한 디지털신호와 비교하여 이 보다 작을 경우 송신부 200이 고장임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 308에 고장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같이 송신시 전류를 체크하여 송신부 200의 고장상태를 디스플레이부 308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401단계에서 사용자가 송신을 하고자 송신키를 누르게되면 MSM 307은 402단계로 진행하여 2번이상 패일(Fail:호시도 실패)이 되었는가 검사하여 2번이상 패일이 되지 않았으면 4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MSM 307은 통화접속을 시도하고 4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MSM 307은 패일(호시도실패)이 되었는가 검사하여 패일이 되었으면 401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러나 상기 패일이 되지 않았으면 405단계로 진행하여 MSM 307은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402단계에서 2번이상 호시도가 실패하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MUX 306으로 선택신호 ADsel0, ADsel1를 출력하여 연산증폭기 30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연산증폭기 305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MUX 306에 의해 선택되어 MSM 307로 인가된다. 그러면 407단계에서 MSM 307은 상기 연산증폭기 305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런후 408단계에서 MSM 307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와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최소전력 송출시의 전압값을 비교하여 최소전력 송출시의 전압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403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접속을 재시도하고, 최소전력 송출시의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4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9단계에서 MSM 307은 송신부 200이 고장상태임을 디스플레이부 308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송수신 단말기에서 수신전계강도(RSSI)가 양호하게 표시되는 상태에서 호접속이 되지 않을시 송신장치의 고장상태로 판단하여 표시하므로, 자신의 단말기 상태를 인식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하여 통신이 두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컨버터와,
    상기 DC-DC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송신부로 공급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하여 고장경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 고장경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부는,
    상기 DC-DC컨버터의 전원출력단에 저항 301과 저항 302가 직렬 연결되어 연산증폭기의 한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연산증폭기의 한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 303이 연결되고, 상기 DC-DC컨버터 114의 전원출력단에 저항 304가 연결되어 상기 연산증폭기 305의 다른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연산증폭기 305의 출력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301은 상기 송신부로 전원공급 시 전류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신키를 눌러 2회이상 통화접속을 실패할 때 상기 송신부로 전원공급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송신부의 고장유무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5.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컨버터와,
    상기 DC-DC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송신부로 공급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저항과,
    상기 전류검출저항으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압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하여 고장경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 고장경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신키를 눌러 2회이상 통화접속을 실패할 때 상기 송신부로 전원공급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송신부의 고장유무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7.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컨버터와,
    상기 DC-DC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송신부로 공급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저항과,
    상기 전류검출저항으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압을 소정의 선택신호 ADsel0와 ADsel1에 의해 전압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MUX와,
    상기 송신부로 전원공급시 흐르는 전류소모를 체크하기 위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선택신호 ADsel0와 ADsel1를 상기 MUX의 선택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MUX로부터 선택된 전압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하여 고장경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 고장경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신키를 눌러 2회이상 통화접속을 실패할 때 상기 송신부로 전원공급시 흐르는 전류값을 전압으로 변환한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송신부의 고장유무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KR1019980035827A 1998-09-01 1998-09-01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KR10027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827A KR100270678B1 (ko) 1998-09-01 1998-09-01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827A KR100270678B1 (ko) 1998-09-01 1998-09-01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97A KR20000018297A (ko) 2000-04-06
KR100270678B1 true KR100270678B1 (ko) 2000-11-01

Family

ID=1954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827A KR100270678B1 (ko) 1998-09-01 1998-09-01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436B1 (ko) * 2004-07-23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부 오작동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436B1 (ko) * 2004-07-23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부 오작동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97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739B1 (ko) 무선전화장치
EP1110310B1 (en) System for improving the dynamic range of transmitter power measurement in a cellular telephone
CN101578793B (zh) 无线通信的分布式频谱感测方法和装置
EP0772947A2 (en) Antenna and feeder cable tester
CN102684612A (zh) 一种控制低噪声放大器的线性度的方法及装置
KR100299025B1 (ko) 기지국에서송수신기의장애진단방법및장치
KR100270678B1 (ko)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WO2002080413A1 (en) Printing device, diagnosing method for printing device, and diagnosing program for printing device
US7606543B1 (en) Signal quality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particularly useful for mobile telephones
KR20040033917A (ko)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6697648B1 (en) Radio communication booster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KR100918693B1 (ko) 광 중계기 게인 자동 세팅 및 불요파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623865B1 (ko)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6950653B2 (en) Scanning tone remote adapter for land-mobile radio dispatch for use with dispersed dispatch stations
WO2004114542A1 (ja) 通信システム
KR100560924B1 (ko)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4563A (ko)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KR100676879B1 (ko) 고립도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020064419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US8193858B2 (en) Setting an output level of an amplifier apparatus
JP2003158462A (ja) 無線受信装置
KR1003965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52140A (ko) 기지국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0164365B1 (ko) 시분할교신방식의 무선기기를 위한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2387A (ko)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간섭도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