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563A -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563A
KR20090054563A KR1020070121291A KR20070121291A KR20090054563A KR 20090054563 A KR20090054563 A KR 20090054563A KR 1020070121291 A KR1020070121291 A KR 1020070121291A KR 20070121291 A KR20070121291 A KR 20070121291A KR 20090054563 A KR20090054563 A KR 2009005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st signal
coupling
receiving
radi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563A/ko
Publication of KR2009005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안테나와, 각 안테나와 송수신단을 연결하는 수신 경로들을 테스트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불필요한 휴대 단말기의 테스트 구조를 억제하고, 적절한 테스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개의 안테나, RF 잭, 커플러, 송수신기, 무선주파수부, 테스트

Description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RADIO FREQUENCY UNIT OF POTABLE DEVICE INCLUDING A ANTENNAS AND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안테나와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수신 경로들의 적합성을 검사하기 위한 RF잭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테스트 구조를 억제하면서 적절한 경로 적합성을 검사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저장 가능성 및 다양한 활용성 측면이 매우 뛰어나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 중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음성통화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용자 및 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초기에 배터리 및 기타 소자들의 안정화를 위하여 그 크기가 매우 커서 휴대용 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무게와 크기가 매우 큰 편이 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자의 개발과 배터리의 개발에 힘입어 무게와 크기가 매우 작아졌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 또한 매우 얇아지고 있다. 즉, 현재의 휴대 단말기는 경박단소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휴대 단말기는 많은 사람에게 판매하기 위하여 대량 생산 공정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의 대량 생산 공정은 불량률 및 기타 단말기의 제품성 등을 검사하기 위하여 테스트 과정을 포함한다. 테스트 과정은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서, 온도나 충격 등에 대한 안정성, 배터리 안정성, 신호 감도 등의 적절성 등에 관한 검사를 수행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테스트 과정에서 필요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등에 필요한 기구 구조물이 부가적으로 더 부착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술한 테스트 과정을 위한 기구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불필요한 구조물이다. 이에 따라, 테스트 과정을 위해 필요한 기구 구조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수신 경로 상에 배치되는 구조물을 최소화함으로써, 테스트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적절성을 제공하는 한편 단말기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에 있어서,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를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부에 공급된 신호를 커플링한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신부; 및 상기 테스트 신호 및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은,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 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에 있어서, 제1 안테나와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제1 송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테스트 신호를 커플링하여 커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커플링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안테나와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검사 방법은 테스트용 기구 구조물을 최소화함으로써 테스트 진행을 위한 적절한 구조를 제공하는 한편 단말기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 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주파수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장치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은 와이브로 통신, HSDPA 통신, WiMax 통신, Bluetooth 통신, WCDMA 통신, WLAN 통신 등 다양한 이동통신 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분야라면 어떠한 통신 분야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테스트부는 무선주파수부의 완전성 또는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테스트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주파수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 상 수신감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영역을 보완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수신하는 신호는 특성상 송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전파의 세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기지국은 송신하는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사인파를 조합한 파장으로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이 송신하는 신호는 거리에 따라 전파의 세기가 줄어드는 한편, 송신되는 파장의 특성에 따라 산과 골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휴대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신호는 거리에 따라 약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위치적으로 특정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급격하게 약화되는 지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복수개의 안테나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100)는 안테나 간 적절한 이격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수신되는 특정 신호의 골 영역을 다른 신호의 골 영역이 대체함으로써, 신호의 급격한 세기 저하로 인한 끊김 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는 테스트부(200)에 의해 다양한 테스트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테스트부(200)가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주파수부의 특성을 검사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테스트부(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주파수부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테스트부(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주파수부에 일정한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신호 공급부와, 공급된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부(200)의 신호 공급부는 무선주파수부 내에 형성된 신호 경로 등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 신호를 무선주파수부 일측에 전달한다. 그리고 테스트부(200)는 신호 검출부를 이용하여 전달된 테스트 신호가 무선주파수부 내의 신호 경로를 따라 이동한 지점을 예측하여, 예측 지점의 신호를 검출한다. 테스트부(200)는 신호 공급부에서 전달한 테스트 신호와 검출된 신호의 크기 등을 비교하여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테스트부(200)의 검사를 위한 휴대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및 모뎀(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무선주파수부(110)와 모뎀(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의 단말기 기능 지원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통화 기능 및 파일 재생 기능 등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단말기의 대기화면 메뉴 화면 및 기타 기능 활성화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 단말기의 운영체제와 단말기의 기타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나 기타 기능사용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모뎀(120)의 제어에 따라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또한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뎀(120)은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 신하거여 복조 및 복호하거나, 외부로 전송할 신호를 변조 및 암호화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모뎀(120)은 기타 휴대 단말기(100)를 운영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뎀(120)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타 휴대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무선주파수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1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테스트부(200)가 테스트 신호를 공급하는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를 RF 잭으로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안테나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모뎀(120)이 생성한 신호를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제1 송수신부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송신부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각 안테나와 연결된 수신부들 중 하나의 수신부에 RF 잭을 형성하여 테스트 신호를 공급하고, 다른 수신부에서는 RF 잭에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를 커플링한 커플링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기술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1 송수신부는 송신부 구성을 제외한 제1 수신부 구성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함으로, 모뎀(120)에 생성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구조인 송신부의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부 구조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며 내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1 송수신부(105)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107) 및 송수신기(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동일한 특성을 가지되 각 안테나에 도달하는 신호의 시간 또는 파장이 다른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는 송신기능을 담당하는 송신 모듈(1031)과, 각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각각 담당하는 두개의 제1 수신 모듈(1032) 및 제2 수신 모듈(10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수개의 안테나를 하나의 수신 모듈이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도 있으므로, 송수신기(103)의 수신 모듈은 하나의 통합모듈로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제1 송수신부(105)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모뎀(120)이 생성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송수신부(105)는 제1 신호 수신을 위한 제1 안테나(111), 제1 안테나(111)에 직렬로 접속되는 RF 잭(113), RF 잭(113)에 직렬로 연결되며 전달되는 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 전단 모듈(115), 제1 전단 모듈(115)과 송수신기(103)의 송신 모듈(1031) 사이를 연결하는 송신 경로(117), 제1 전단 모듈(115)과 송수신기(103)의 제1 수신 모듈(103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수신 경로(119), 제1 수신 경로(119)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플러(coupler)(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송수신부(105)는 모뎀(120)이 외부로 전송한 신호를 전달하거나, 외부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활성화된다. 다시 말하여, 모뎀(120)이 외부로 전송할 신호를 전달하면, 송수신기(103)의 송신 모듈(1031)은 모뎀(120)이 전달한 신호를 송신 경로(117), 제1 전단 모듈(115)의 송신라인 및 제1 안테나를 거쳐 외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외부로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신호는 제1 안테나(111)에 수신되어 제1 전단 모듈(115)의 수신라인, 제1 커플러(112)가 배치된 제1 수신 경로(119)를 거쳐 송수신기(103)의 제1 수신 모듈(1032)을 통하여 모뎀(120)에 전달된다.
제2 수신부(107)는 제1 송수신부(105)가 수신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 또는 파장이 다른 제2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2 수신부(107)는 제2 안테나(114)를 이용하여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2 커플러(116), 제2 전단 모듈(101), 제2 수신 경로(118)를 거친 후, 송수신기(103)의 제2 수신 모듈(1033)을 통하여 모뎀(12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 구조에 대하여 테스트 신호를 전달 및 검출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의 제1 송수신부(105)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송수신부(105) 테스트 과정은 먼저, RF 잭(113)에 테스트부(200)의 신호 공급부를 연결하고, 송수신기(103)의 제1 수신 모듈(1032)에 테스트부(200)의 신호 검출부를 연결한다. 여기서 테스트부(200)의 신호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테스트 신호는 제1 전단 모듈(115)에서 제1 수신 모듈(1031)로 이어지는 경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신호로서, 일정 세기를 가지는 테스트 신호가 될 수 있다. 일정 세기는 휴대 단말기의 종류나 제1 안테나의 크기 등 휴대 단말기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테스트부(200)는 기 설정된 신호를 RF 잭(113)에 공급한다. 그러면 RF 잭(113)에 공급된 테스트 신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단 모듈(115)의 수신 라인, 제1 커플러(112)가 배치된 제1 수신 경로(119)를 거쳐 송수신기(103)의 제1 수신 모듈(1032)에 전달된다. 이후, 테스트부(200)는 제1 수신 모듈(1032)에 전달된 테스트 신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신호가 기 설정된 값 예를 들면 기 설정된 감도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테스트부(200)는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송수신부(105) 중 제1 수신 모듈(1032)과 제1 안테나(111) 간의 신호 경로가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부(200)는 제1 전단 모듈(11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RF 잭(113)에 공급하는 신호를 제1 수신 모듈(1032)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테스트부(200)는 제1 전단 모듈(115)의 스위치가 디폴트(Default)로 제1 수신 모듈(1032)과 연결되도록 수신 라인이 형성되었을 경우, 별도의 제1 전단 모듈(115)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고, 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모뎀(120)에서 생성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자 할 때, 제1 전단 모듈(11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제1 안테나(111)와 송신 경로(117)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테스트 과정은 제1 송수신부(105)의 테스트 과정 수행 시, RF 잭(113)을 통하여 설정된 신호를 공급하고, 제1 수신 모듈(1032)에 전달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제1 송수신부(105)의 제1 수신 모듈(1032)로 통하는 경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부의 제2 수신부(107)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수신부(107) 테스트 과정은 먼저, 테스트부(200)의 신호 공급부가 제1 송수신부(105)의 RF 잭(113)에 기 설정된 테스트 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테스트부(200)의 신호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테스트 신호는 제1 커플러(112)에 공급된 후, 제1 커플러(112)에 의해 커플링 된다. 그러면 이 커플링 신호는 제2 커플러(116)에 공급되고, 이후 제2 전단 모듈(101)에서 제2 수신 모듈(1033)로 이어지는 경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수신부(107)를 테스트하기 위해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는 제1 커플러(112)가 커플링하는 커플링 계수에 따라 그 세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종류나 제2 안테나의 크기 등 휴대 단말기 특성을 고려하여 그 세기가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RF 잭(113)에 공급된 테스트 신호는 제1 전단 모듈(115)의 수신 라인 및 제1 커플러(112)가 배치되는 제1 수신 경로(119)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테스트 신호는 제1 커플러(112)의 커플링 계수에 따라 일정 세기의 커플링 신호로 커플링 된다. 그러면, 제1 커플러(112)가 커플링한 커플링 신호는 제2 커플러(116)에 공급 된다. 예를 들면, 테스트 신호가 99 크기를 가지며, 제1 커플러(112)가 1/99 커플링 계수를 가지는 경우, 제1 커플러(112)에 의해 커플링 되는 커플링 신호는 1 크기를 가지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 신호의 크기를 설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플링 계수 및 입력 신호 값을 일정 단위가 없는 아라비아 숫자로 기재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커플러(112)는 커플링 계수가 로그(log) 단위의 -30dB인 경우 입력되는 신호를 30dB 크기로 다운 스케일링 즉, 2-10 크기로 커플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제1 커플러(112)는 RF 잭(113)을 통하여 입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대부분은 제1 수신 경로(119)를 따라 이동하도로 하는 한편, 일정 크기의 신호로 커플링 하여 커플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커플러(116)에 공급한다.
제2 커플러(116)는 제1 커플러(11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제2 안테나(11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합산(Combine)하여 제2 수신 모듈(1033)에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테스트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제2 안테나(114)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2 커플러(116)는 제1 커플러(112)로부터 수신된 커플링 신호를 제2 전단 모듈(101)에 전달한다.
제2 전단 모듈(101)은 제2 커플러(116)로부터 수신된 커플링 신호를 스위칭 하여 제2 수신 경로(118)에 전달한다. 제2 전단 모듈(101)의 스위칭 동작은 실제 제2 안테나(114)를 통하여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나, 테스트 과정에서는 테스트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테스트부(200)는 제1 전단 모듈(115)의 스위치들을 직접 제어하거나,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 또는 제어부 기능을 포함하는 모뎀(120)을 제어하여 제1 전단 모듈(1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수신 경로(118)는 제2 전단 모듈(10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전달된 커플링 신호를 제2 수신 모듈(1033)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2 수신 모듈(1033)에 연결된 테스트부(200)의 신호 검출부는 제2 수신 모듈(1033)에 전달된 커플링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스트부(200)는 RF 잭(113)에 공급되는 테스트 신호, 제1 커플러(112)의 커플링 계수, 제2 수신 모듈(1033)에 수신되는 커플링 신호를 종합하여 제2 수신부(107)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테스트부(200)는 테스트 신호를 커플링 하여 생성된 커플링 신호의 세기와 제2 수신부(107)를 거쳐 제2 수신 모듈(1033)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의 크기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일 경우, 제2 수신부(107)를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부(200)는 제1 수신 모듈(1032)에서 검출된 신호와 제2 수신 모듈(1033)에서 검출된 신호 값의 감도 차이가 일정 수죽 예를 들면 30dB 미만이면 제1 송수신부(105)와 제2 수신부(107) 간의 동작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수신 모듈(1033)에서 검출되는 신호 값은 제1 커플러(112)에 의해 커플링 되는 크기를 적용한 값이 될 것이다. 한편, 제1 수신 모듈(1032)과 제2 수신 모듈(1033)에서 검출한 신호들 간의 차이는 휴대 단말기를 대량 생산 하는 과정에서 양산된 휴대 단말기의 감도를 일정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즉, 테스트부(200)는 특정 휴대 단말기의 제1 수신 모듈 감도와 제2 수신 모듈의 감도 차이를 일정 값이 되도록 유지함으로써, 무선주파수부의 감도에 대한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양산된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에서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부(200)의 검사 라인이 연결되는 RF 잭(113)을 하나만 형성하게 됨으로, 휴대 단말기 외관에 불필요한 RF 잭(113)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양산된 휴대 단말기(100)의 제1 안테나(111)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제1 커플러(112)에 의해 커플링 된 후, 제2 커플러(116)에 공급되어 실질적으로 제2 수신부(107)가 수신하는 신호는 제2 안테나(114)가 수신하는 제2 신호 에 제1 신호의 커플링된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커플러(112)의 커플링 계수를 충분히 크게 하여 제2 수신부(107)에 전달되는 커플링 신호 값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2 수신부(107)가 수신하는 제2 신호에 비하여 커플링 신호는 무시할 수 있는 매우 작은 값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커플러(112)에 의해 커플링 되는 커플링 신호는 제2 수신부(107)의 수신 감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송수신부(105)에 RF 잭(113)을 연결하여 테스트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는 한편, 제2 수신부(107)에는 제1 송수신부(105)에 흐르는 신호를 커플링한 신호를 테스트 신호로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라 하더라도 RF 잭(113)을 제1 송수신부(105)에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 말기 외관을 단소하게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에 대한 폭넓은 이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 설계의 용이성과 생산 자동화 설비의 간결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조에서는 안테나를 2개 이용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조는 안테나의 개수에 관계없이, 각 안테나에 연결되는 신호 경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RF 잭(113)이 형성된 경로에 커플러를 설치하고, 설치된 커플러가 커플링한 커플링 신호를 다른 안테나 경로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RF 잭(113)은 하나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RF 잭이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송수신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는 송신 모듈이 없이 수신 모듈만을 포함하는 제2 수신부의 제2 커플러가 배치되는 위치에 RF 잭이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는 제2 수신부의 제2 수신 경로 상에 제1 커플러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커플러가 커플링한 신호는 제1 송수신부의 RF 잭이 위치한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커플러에 공급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 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테스트부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수신부 구성의 검사 과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수신부 구성의 검사 과정을 위한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Claims (12)

  1.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에 있어서,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를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부에 공급된 신호를 커플링한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신부; 및
    상기 테스트 신호 및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상기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
    상기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 신호 또는 상기 제1 신호를 스위칭 하는 제1 전단 모듈;
    상기 제1 전단모듈이 스위칭한 테스트 신호 또는 제1 신호를 상기 송수신기에 전달하는 제1 수신경로; 및
    상기 제1 수신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테스트 신호를 커플링 하여 커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모듈과 접속되는 송신 경로; 및
    상기 송신 경로에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의 모뎀이 생성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 경로에 전달하는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1 수신 경로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신호 또는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에 공급된 테스트 신호는
    상기 제1 전단 모듈, 상기 제1 수신경로, 상기 제1 커플러 및 상기 제1 수신 모듈로 형성된 패스로 전달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1 안테나에 수신되는 제1 신호와 수신되는 시간 또는 파장이 다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에 접속되며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커플러;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커플링 신호를 스위칭 하는 제2 전단 모듈; 및
    상기 제2 전단 모듈과 접속되어 상기 커플링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송수신기에 전달하는 제2 수신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2 수신 경로와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신호는
    상기 테스트 신호 접속 단자와 상기 제1 전단 모듈을 거쳐 상기 제1 커플러, 상기 제1 커플러에 접속되어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커플러, 제2 전단 모듈, 제2 수신 경로를 포함하는 패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9.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에 있어서,
    제1 안테나와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제1 송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테스트 신호를 커플링 하여 커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커플링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안테나와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공급하는 과정은
    상기 테스트 신호를 상기 제1 송수신부에 형성된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에 공급하는 과정;
    상기 테스트 신호 공급 단자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테스트 신호를 스위칭 하는 제1 전단 모듈, 제1 전단 모듈과 연결된 제1 커플러, 제1 커플러에 연결된 제1 수신 경로를 포함하는 패스를 거쳐 제1 수신 모듈로 상기 테스트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
    상기 제1 수신 모듈에 전달된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신호와 상기 테스트 신호를 비교하여 일정 값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은
    상기 테스트 신호를 커플링한 커플링 신호를 제2 수신부의 제2 커플러, 제2 커플러와 연결되어 상기 커플링 신호를 스위칭 하는 제2 전단 모듈, 제2 전달모듈과 연결된 제2 수신 경로를 거쳐 제2 수신 모듈에 전달하는 과정;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전달된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테스트 신호와 상기 제1 커플러의 커플링 계수 및 상기 제2 수신 모듈에 검출된 검출 신호를 비교하여 일정 값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모듈로부터 검출된 신호와 상기 제2 수신 모듈로부터 검출된 신호 값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내 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방법.
KR1020070121291A 2007-11-27 2007-11-27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KR20090054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91A KR20090054563A (ko) 2007-11-27 2007-11-27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91A KR20090054563A (ko) 2007-11-27 2007-11-27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563A true KR20090054563A (ko) 2009-06-01

Family

ID=4098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291A KR20090054563A (ko) 2007-11-27 2007-11-27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5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012B1 (ko) * 2017-01-23 2018-05-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화 구조를 갖는 위성 송수신부
US11528081B2 (en) 2018-08-08 202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012B1 (ko) * 2017-01-23 2018-05-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화 구조를 갖는 위성 송수신부
US11528081B2 (en) 2018-08-08 202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85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versity service antenna in portable terminal
US81504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tenna diversity
US9294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ntenna in portable terminal
CN107135019B (zh) 天线切换装置和移动终端
EP34576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US20090017800A1 (en) Fm transmitter control
KR101339849B1 (ko) 휴대단말에서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4048178A1 (zh) 一种移动终端及其通信方法
US20110065392A1 (en) Wireless device and signal path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JP2006129358A (ja) 無線通信モジュール、通信端末、およびインピーダンス整合方法
CN104918208A (zh) 移动终端配对方法及移动终端
JP2007274518A (ja) 携帯端末及び該携帯端末におけるアンテナ切替方法
US8929960B2 (en) Voice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110103625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US8897786B2 (en) Servic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20090054563A (ko)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US20200113007A1 (en) Servic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CN108828315B (zh) 移动终端扬声器阻抗测量电路、扬声器电路及移动终端
US10181832B1 (en) Multimode transmit power control loop,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a detected operating level of amplified power output
CN111491343A (zh) 通信设备、用于通信设备的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854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매칭 방법
CN114448533A (zh) 接收链路的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181693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1878301A1 (en) Fm transmitter control
CN115118301A (zh) 射频电路和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