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865B1 -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865B1
KR100623865B1 KR1020050017381A KR20050017381A KR100623865B1 KR 100623865 B1 KR100623865 B1 KR 100623865B1 KR 1020050017381 A KR1020050017381 A KR 1020050017381A KR 20050017381 A KR20050017381 A KR 20050017381A KR 100623865 B1 KR100623865 B1 KR 100623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component
failur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683A (ko
Inventor
서석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1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8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hard- or software simulation or using knowledge-based systems, e.g. expert systems, artificial intelligence or interactive algorith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12Input or output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를 온(on)/바이패스(bypass)시킴으로써 상이하게 출력되는 전압 이득값을 분석하여 고장이 발생한 송신단의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한,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 요구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해당 구성요소를 온(on) 또는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고장감지 제어 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 검출 수단;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고장감지 제어 수단으로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이 검출한 전압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 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한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하이 파워 디텍트(HDET) 회로, 송신단 고장 감지, 고장 감지 제어부, 고장 감지 제어 신호

Description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erceiving faults of transmission module and its method}
도 1은 종래의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장감지부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장감지 제어부의 일실시예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단 고장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송신 에이지씨(AGC) 증폭기 320 : 아이에프(IF) 필터
325 : 송신 믹서 330 : 고주파 필터
335 : 전력 증폭기 340 : 고장감지 제어부
350 : 제어부 360 : 전압 검출부
370 : 표시부(LCD) 380 : 입력부(키패드)
390 : 저장부 395 : 안테나
본 발명은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를 온(on)/바이패스(bypass)시킴으로써 상이하게 출력되는 전압 이득값을 분석하여 고장이 발생한 송신단의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한,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성의 메리트(merit)는 점점 사라지고, 좀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기능은 물론,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 음악(일 예로, MP3 : MPEG layer 3) 재생 기능, 지압 기능, 디지털 체온 측정 기능, 혈당량 감지 기능, 초음파 촬영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측정한 체온 또는 혈당량 등과 같은 데이터들을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건강을 용이하게 관리하는 등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통화하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와 같은 부가기능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단에 고장이 생길 확률도 높아졌다.
따라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단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종래에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 송수신단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기술로는 공개특허번호 "특2002-0064419호"의 "무선가입자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 여부를 감 지하기 위해 고장 감지부(도 2 참조)는 각각의 구성요소로 유입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멀티플렉서로 고장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어떤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각 구성요소에서 소모하는 전류만을 감지하였으므로 각 부품의 동작여부만 판단 가능하였으며, 불량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전류소모를 감지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능동소자의 고장여부는 판단 가능하지만, 수동소자의 경우 고장여부의 판단이 불가능하였다.
왜냐하면, 상기 수동소자는 능동소자와 조합되었을 때만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지 상기와 같이 전류만을 이용하여 동작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동소자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동작여부뿐만 아니라 고장정도까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를 온(on)/바이패스(bypass)시킴으로써 상이하게 출력되는 전압 이득값을 분석하여 고장이 발생한 송신단의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한,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 요구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해당 구성요소를 온(on) 또는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고장감지 제어 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 검출 수단;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고장감지 제어 수단으로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이 검출한 전압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한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단 고장 감지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그에 따른 출력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압이 기준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음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에 이상있음을 표시하고 그에 따라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요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가 순차적으로 온(on) 또는 바이패스(bypass)되는 모드 전환 단계; 상기 각 구성요소가 온(on) 및 바이패스(bypass) 됨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 이득값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은,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95),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 요구를 입력받기 위한 입 력부(키패드)(380), 제어부(350)로부터의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해당 구성요소를 온(on) 또는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고장감지 제어부(340),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350)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360),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로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360)가 검출한 전압을 전달받아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350), 상기 제어부(350)가 판단한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LCD)(370), 송신단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과 각 구성요소가 일대일 상응하여 매칭되어 있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390), 하나의 공용 안테나(395)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335)로부터 전달된 RF 신호를 안테나(395)로 송신하고, 안테나(395)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의 전력 증폭을 위하여 전력 증폭기(335)로 전달하기 위한 듀플렉서(385), 송신 에이지씨(AGC) 증폭기(310), 아이에프(IF) 필터(320), 송신 믹서(325), 고주파 필터(330), 및 상기 전력 증폭기(335)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신호는 송신 에이지씨(AGC) 증폭기(310), 아이에프(IF) 필터(320), 송신 믹서(325), 고주파 필터(330), 및 전력 증폭기(335)를 통해 처리되고 최종적으로 듀플렉서(385)를 거친 후 안테나(395)를 통해 송출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고장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는 제 1 고장감지 제어부에서 제 5 고장감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장감지 제어부에서 제 5 고장감지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 중에서 고장진단이 필요한 구성요소인 송신 에이지씨(AGC) 증폭기(310), 아이에프(IF) 필터(320), 송신 믹서(325), 고주파 필터(330), 및 전력 증폭기(335)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장 감지 제어부(340)는 각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50)가 출력하는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각각 연결되어있는 구성요소가 온(on) 및 바이패스(bypass)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의해 온(on) 및 바이패스(bypass)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온(on) 및 바이패스(bypsss)가 됨에 따라 상이한 전압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송신 에이지씨(AGC) 증폭기(310)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력 증폭기(335)를 통해 최종 송신 전력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송신단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23dBm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송신 에이지씨(AGC) 증폭기(310)에 2V의 제어 전압을 인가할 경우, 전력 증폭기(335)에서 출력되는 최종 송신 전력은 23dBm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소정의 범위 안의 값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최종 송신 전력이 상기 소정의 기준을 벗어나는 값인 경우, 제어부(350)는 상기 송신단의 구성요소 중 고장이 발생한 구성요소가 있음을 판단하고 표시부(LCD)(370)를 통해 상기 송신단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감 지하면 제어부(350)는 제 1 고장 감지 제어 신호부터 제 5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차례대로 고장감지 제어부(340)로 출력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 어느 구성요소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상기 저장부(390)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단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과 각 구성요소가 일대일 상응하여 매칭되어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송신단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350)는 상기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360)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출력되는 상이한 전압값과 상기 저장부(390)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어느 구성요소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여 그 결과가 표시부(LCD)(37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키패드)(370)는 다수의 숫자키(문자키)와 메뉴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35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키패드)(37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 요구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LCD)(3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를 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한다. 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상기 입력부(키패드)(370)를 통해 입력받는 내용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LCD)(38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고장여부 및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는 제어부(350)로부터 출력되는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연결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구성요소로 전달하여, 그에 따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온(on) 및 바이패스(bypass)되도록 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에서 상이한 전압값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는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 검출부(360)는 스위칭 다이오드를 이용한 DC(Direct Current) 정류회로로서 송신된 고주파의 전력신호를 정류하여 DC(Direct Current)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하이 파워 디텍트(HDET) 회로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장감지 제어부의 일실시예 회로도이다.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가 전력 증폭기(335)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장감지 제어부(340)는 스위칭 다이오드(D1, D2)와 인버터(U2) 및 인덕터를 포함한다.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는 제어부(360)로부터 출력되는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 증폭기(335)가 온(on) 및 바이패스(bypass)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 증폭기가 온(on)/바이패스(bypass)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제어부(350)로부터 출력되는 고장 감지 제어 신호가 하이값인 경우 스위칭 다이오드 D1에는 하이값이 인가되고, 스위칭 다이오드 D2에는 고장 감지 제어 신호가 인버터 U2를 거쳐 로우값으로 변환되어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칭 다이오드 D1에는 하이값이 인가되고, 스위칭 다이오드 D2에는 로우값이 인가됨에 따라 패스(Path) 2가 도통된다.
상기와 같이 전력 증폭기(335)를 통과하는 패스(Path) 2가 도통됨에 따라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와 패스 2를 통해 연결된 전력 증폭기(335)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온(on) 모드로 설정된다.
한편, 제어부(350)로부터 출력되는 고장 감지 제어 신호가 로우값인 경우 스위칭 다이오드 D2에는 로우값이 인가되고, 스위칭 다이오드 D2에는 고장감지 신호가 인버터를 U2를 거쳐 하이값으로 변환되어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칭 다이오드 D1에는 로우값이 인가되고, 스위칭 다이오드 D2에는 하이값이 인가됨에 따라 패스(Path) 1이 도통된다.
상기와 같이 전력 증폭기(335)를 통과하지 않는 패스(Path) 1이 도통됨에 따라 상기 고장감지 제어부(340)와 패스 1을 통해 연결된 전력 증폭기(335)는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 바이패스(bypass) 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만약 전력 증폭기(33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인가되는 고장감지 신호에 따라 전력 증폭기(335)가 온(on) 및 바이패스(bypass)됨에 따라 전압 검출부(360)를 통해 출력되는 최종 전압 이득값의 차이는 전력 증폭기(335)의 전압 이득값만큼 차이가 난다.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335)의 전압 이득값은 28dB이다. 따라서, 상기 전력 증폭기(335)가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증폭하여 전달시키는 온(on) 모드인지 또는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시키지 않는 바이패스(bypass) 모드인지에 따라 상기 송신단의 최종 전압 이득값은 28dB차이가 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력 증폭기(335)가 온(on) 및 바이패스(bypass)됨에 따라 최종 전압 이득값 차이가 28dB가 아닌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335)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는 상기 전력 증폭기(335)가 온(on) 모드일 때 전달되는 신호를 모두 증폭하여 전달하지 않았거나 아니면 바이패스(bypass) 모드일 때 입력되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일부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 것과 같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은 각 구성요소와 일대일 상응하여 매칭되어 테이블의 형태로 상기 저장부(390)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350)가 상기 저장부(39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온(on)/바이패스(bypass)됨에 따라 상이하게 출력하는 전압 이득값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335)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였듯이, 제어부(350)는 고장 감지 제어 신호 1에서부터 고장 감지 제어 신호 5까지를 차례대로 출력하여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고장여부를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단 고장 감지 방법에 대 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일정한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510) 출력되는 상기 송신단의 최종 송신 전압을 확인한다(520).
상기 최종 송신 전압은 상기 전압 검출부(360)를 통해 전력 신호가 전압으로 변화된 것이다.
상기 확인 결과(520), 송신단의 최종 송신 전압이 소정의 기준 범위 안에 들어가는 경우 송신단의 이상없음을 표시부(LCD)(37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530).
한편, 상기 확인 결과(520), 송신단의 최종 송신 전압이 소정의 기준 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 송신단의 이상있음을 표시부(LCD)(37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540).
상기와 같이 송신단에 이상있음이 표시부(LCD)를 통해 표시되면 이후, 사용자로부터 입력부(키패드)(380)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 고장진단 모드 설정을 요구받는다(550).
상기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 고장진단 모드 설정을 요구받으면, 제어부(350)는 제 1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시작으로 제 5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차례대로 제 1 고장감지 제어부(315)부터 제 5 고장감지 제어부(340)로 출력한다(560).
이후, 상기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이 차례대로 온(on) 모드 및 바이패스(bypass) 모드로 설정된다(570).
이후, 제어부(350)는 상기 송신단의 구성요소가 차례대로 온(on) 모드 및 바이패스(bypass) 모드로 설정됨에 따라 상이하게 출력되는 전압 이득값과 상기 송신단의 구성요소와 전압 이득값이 일대일로 상응하여 매칭되어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한다(580).
이후, 제어부(350)는 고장이 발생한 구성요소를 표시부(LCD)(370)를 통해 표시하여(590) 사용자로 하여금 고장난 구성요소를 교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고장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송신단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송신단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과정에서도 송신단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를 온(on)/바이패스(bypass)시킴으로써 상이하게 출력되는 전압 이득값을 분석하여 이상이 있는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송신단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장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과정에서도 송신단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 요구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해당 구성요소를 온(on) 또는 바이패스(bypass)시키기 위한 고장감지 제어 수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 검출 수단;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고장감지 제어 수단으로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이 검출한 전압을 전달받아 출력하는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 차이를 분석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이 판단한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과 각 구성요소가 일대일 상응하여 매칭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수단은,
    스위칭 회로를 이용한 DC(Direct Current) 정류회로로서 송신된 고주파의 전력신호를 정류하여 DC(Direct Current)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감지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고장감지 제어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기 위한 인버터;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고장감지 제어 신호 및 상기 인버터로부터의 반전된 고장감지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 흐름 경로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스위칭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5.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단 고장 감지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그에 따른 출력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압이 기준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음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에 이상있음을 표시하고 그에 따라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요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고장진단 모드로의 진입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고장 감지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단의 각 구성요소를 순차적으로 온(on) 또는 바이패스(bypass)시키는 모드 전환 단계;
    상기 각 구성요소가 온(on) 및 바이패스(bypass)됨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 이득값을 분석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단 고장 감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단계는,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하이값의 고장감지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온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로우값의 고장감지 제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단 고장 감지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여부 판단 단계는,
    저장 수단의 송신단 각 구성요소의 전압 이득값과 각 구성요소가 일대일 상응하여 매칭되어 있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각 구성요소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단 고장 감지 방법.
KR1020050017381A 2005-03-02 2005-03-02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23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81A KR100623865B1 (ko) 2005-03-02 2005-03-02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81A KR100623865B1 (ko) 2005-03-02 2005-03-02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83A KR20060096683A (ko) 2006-09-13
KR100623865B1 true KR100623865B1 (ko) 2006-09-14

Family

ID=3762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381A KR100623865B1 (ko) 2005-03-02 2005-03-02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705B1 (ko) * 2018-01-18 2022-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 경로 및 소자의 불량을 판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129790A (zh) * 2020-01-15 2021-07-16 深圳市诚信恒佳科技有限公司 一种功率检测电路及led显示屏自检巡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83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0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radio-based devices
US63807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ntennas using switches
US9128160B2 (en) Battery fuel gauge circuit
CN112886988B (zh) 射频系统、射频电路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874045B2 (en) RF circuit and isolation detecting device thereof, and method for measuring a degree of isolation between a first RF circuit and a second RF circuit with respect to a frequency
KR100623865B1 (ko) 송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7023352B2 (en) Voltage-detecting method and related circuits
US727419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of testing device in mobile station
CN106571878B (zh) 一种射频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CN111313986A (zh) 一种测试电路结构及天线测试方法
CN112468179B (zh) 射频电路、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060093783A (ko) 수신단 고장 감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9886286B2 (en)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elf-detecting operation status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CN112710893A (zh) 电子设备和底电流测试设备
KR100552195B1 (ko) 단일칩 고주파 집적회로 증폭부의 오류 검사 장치
KR100270678B1 (ko)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KR1006514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잔량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2039250A (ja)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54563A (ko)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주파수부 검사 과정
CN114487750A (zh) 检测无线通信设备的射频功率放大器的故障的设备和方法
KR20050018067A (ko) 표시장치 파손 경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KR20050019216A (ko) 단말기 이상 표시 장치
KR20020064419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N104009716A (zh) 用作对齐信号源的仪器本地振荡器
RU23573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и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ческой готовности средств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