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419A -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419A
KR20020064419A KR1020010004856A KR20010004856A KR20020064419A KR 20020064419 A KR20020064419 A KR 20020064419A KR 1020010004856 A KR1020010004856 A KR 1020010004856A KR 20010004856 A KR20010004856 A KR 20010004856A KR 20020064419 A KR20020064419 A KR 20020064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detection signal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리텔
Priority to KR102001000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4419A/ko
Publication of KR2002006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 단말기의 중요 부분을 이동국 모뎀(MSM)에서 자가 진단하고, 고장 유무와 고장 부분을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고장 여부 및 고장 부분을 알 수 있도록 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대응하는 부품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고장 감지부, 입력되는 감지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고장 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멀티플렉서에 상기 감지신호 선택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고정 여부와 고장 부분을 판별하며, 고장 판별 결과를 액정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이동국 모뎀을 구비하고, 각각의 고장 감지부의 감지 신호(감지신호1 ~ 감지신호9)와 미리 설정된 정상 상태의 신호값을 대응하게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임의의 감지 신호와 그에 상응하는 정상 상태의 신호값이 다를 경우, 해당 제품이 비정상 상태임을 액정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고장 여부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elf diagnosis in a WLL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 단말기의 자가 진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WLL단말기의 중요 부분을 이동국 모뎀(MSM)에서 자가 진단하고, 고장 유무와 고장 부분을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고장 여부 및 고장 부분을 알 수 있도록 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LL시스템은 무선채널을 통신매체로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이동통신망과 유사한 특성을 갖지만, 이동성이 없으므로 WLL망의 전파환경이 이동통신망의 전파환경보다는 훨씬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시경로(line-of-sight) 환경이 확보되어 전파 경로손실이 20dB/decade 정도로 작아 동일한 송신전력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점 대 점 방식의 고정 통신이기 때문에 저전력 송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아울러 핸드오프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과 망의 설계가 이동통신망보다는 훨씬 간단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현재 WLL시스템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일반적인 WLL시스템의 망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가입자 접속장치(WLL 단말기),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WLL교환국, 기지국 운용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 WLL단말기라 부르는 가입자 접속장치는, 크게 RF 처리부, 디지털 처리부, 가입자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다.
상기 RF 처리부는 수신장치, 송신장치, 이득제어장치 및 시간 및 주파수 합성기 등으로 구성되어 듀플렉서를 통하여 안테나와 접속된다.
아울러 디지털 처리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트랜스코더 블록, CDMA 모뎀으로 구성되어, CDMA 디지털 신호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가입자 인터페이스부는 ISDN 가입자와의 물리적 접속을 위해 ISDN U-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WLL 단말기는, 자가 진단 기능이 없기 때문에 고장 발생시 어느 부분에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즉시 알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고장 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WLL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WLL 단말기의 중요 부분을 이동국 모뎀(MSM)에서 자가 진단하고, 고장 유무와 고장 부분을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주도록 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WLL 단말기의 중요 부분을 이동국 모뎀(MSM)에서 자가 진단하고, 고장 유무와 고장 부분을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고장 여부 및 고장 부분을 알 수 있도록 한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업-컨버터),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다운-컨버터), 상기 송신 및 수신 믹서에 각각 발진 주파수를 제공해주는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로 이루어진 WLL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대응하는 부품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고장 감지부와;
입력되는 감지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고장 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상기 감지신호 선택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고정 여부와 고장 부분을 판별하며, 고장 판별 결과를 액정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이동국 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업-컨버터),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다운-컨버터), 상기 송신 및 수신 믹서에 각각 발진 주파수를 제공해주는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로 이루어진 WLL단말기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에 대응되게 구비된 각각의 고장 감지부의 감지 신호와 미리 설정된 정상 상태의 신호값을 대응하게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임의의 감지 신호와 그에 상응하는 정상 상태의 신호값이 다를 경우, 해당 제품이 비정상 상태임을 액정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WLL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장 감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WLL 단말기의 자가 진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129 .....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
130 ..... 멀티플렉서
140 ..... 이동국 모뎀(MSM)
150 ..... 액정 표시부(LCD)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WLL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1은 송신 데이터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중간주파수 송신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2는 상기 중간주파수 송신기(101)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를 대역 필터링하는 대역필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3은 제어 전압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4는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103)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위상 동기시켜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5는 상기 PLL부(104)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상기 대역필터(102)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를 혼합하여 고주파수를 출력하는 송신 믹서(업-컨버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06은 상기 송신 믹서(105)에서 출력되는 고주파(RF)를 특정대역만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1 고주파 쏘(SAW) 필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7은 상기 제1 고주파 쏘필터(106)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드라이브 증폭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8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107)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09는 상기 전력 증폭기(108)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수를 손실 없이 후단의 듀플렉서(110)로 전달하고, 역방향 신호는 차단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10은 상기 아이솔레이터(109)에서 출력되는 송신 고주파수는 안테나(111)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안테나(111)에서 수신된 고주파수는 수신단으로 전달해주는 상기 듀플렉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12는 상기 듀플렉서(110)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를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 성분만을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13은 상기 저잡음 증폭기(112)에서 출력된 고주파수에서 특정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제2 고주파 쏘필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14는 상기 제2 고주파 쏘필터(113)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와 상기 PLL부(104)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를 출력하는 수신 믹서(다운-컨버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15는 상기 수신 믹서(114)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중간주파수 증폭기(115)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16은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기(115)를 통한 중간주파수에서 특정 대역만을 필터링하는 중간주파수 쏘필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17은 상기 중간주파수 쏘필터(116)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중간주파수 수신기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실제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단말기(WLL단말기)에서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 상기 송신 믹서(105)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1을 출력하는 제1 고장 감지부(121)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107)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2를 출력하는 제2 고장 감지부(122)와, 상기 전력 증폭기(108)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3을 출력하는 제3 고장 감지부(123)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112)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4를 출력하는 제4 고장 감지부(124)와, 상기 수신 믹서(114)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5를 출력하는 제5 고장 감지부(125)와, 상기 중간주파수 증폭기(115)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6을 출력하는 제6 고장 감지부(126)와, 상기 중간주파수 수신기(117)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7을 출력하는 제7 고장 감지부(127)와, 상기 중간주파수 송신기(101)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8을 출력하는 제8 고장 감지부(128)와, 상기 PLL부(104)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9를 출력하는 제9 고장 감지부(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감지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121 ~ 129)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30)와; 상기 멀티플렉서(130)에 상기 감지신호 선택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13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고정 여부와 고장 부분을 판별하며, 고장 판별 결과를 액정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이동국 모뎀(MSM)(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WLL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WLL단말기에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국 모뎀(MSM)을 통해 출력되는 송신 신호는 중간주파수 송신기(101)에서 기저대역 중간주파수로 처리되고, 대역필터(102)를 통해 필터링된 후 송신 믹서(105)(업-컨버터)에서 PLL부(104)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혼합되어 고주파(RF)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RF신호는 제1 고주파 쏘필터(106)에서 필터링된 후 드라이브 증폭기(107)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되고, 전력 증폭기(108)에서 전력 증폭된 후 아이솔레이터(109), 듀플렉서(110)를 순차 경유하여 안테나(111)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다음으로 수신 과정을 살펴보면, 안테나(111)에서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110)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112)로 전달되고, 저잡음 증폭기(112)는 전달되는 수신 고주파수를 잡음을 배제한 상태에서 신호 성분만을 증폭한다. 이렇게 증폭된 수신 신호는 제2 고주파 쏘필터(113)에서 필터링된 후 수신 믹서(114)에서 상기 PLL부(104)에서 출력되는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중간주파수로 변환된다. 상기 수신 믹서(114)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는 중간주파수 증폭기(115)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되고, 중간주파수 쏘필터(116)를 통해 필터링된 후 중간주파수 수신기(117)에서 기저대역 중간주파수로 처리된 후 상기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된다.
이렇게 동작하는 WLL단말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1 고장 감지부(121)에서 송신 믹서(105)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1을 출력하고, 제2 고장 감지부(122)에서 드라이브 증폭기(107)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2를 출력하며, 제3 고장 감지부(123)에서 전력 증폭기(108)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3을 출력하며, 제4 고장 감지부(124)에서 저잡음 증폭기(112)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4를 출력한다.
또한, 제5 고장 감지부(125)에서 수신 믹서(114)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5를 출력하고, 제6 고장 감지부(126)에서 중간주파수 증폭기(115)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6을 출력하며, 제7 고장 감지부(127)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수신기(117)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7을 출력하고, 제8 고장 감지부(128)에서 상기 중간주파수 송신기(101)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8을 출력하고, 제9 고장 감지부(129)에서 PLL부(104)의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감지신호9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121 ~ 129)는, 각각의 감지 대상 부품에 가해지는 전원 전압의 변동으로 해당 부품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신호를 출력한다.
즉, 각각의 부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소모전류와 고장에 의한 비정상적인 동작일 때 소모되는 전류는 다르므로 이러한 전류 변화에 따른 전압차를 이용하여 고장 여부를 감지한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상기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121 ~ 129)의 일 실시예 구성도로서,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121 ~ 129)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리액턴스(L1)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품의 출력신호만이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2는 도 1의 드라이브 증폭기(107)의 고장 유무를 감지하는 제2 고장 감지부(122)의 일 실시예로써, "감지신호2"는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107)의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드라이브 증폭기(107)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소모 전류가 30mA라고 가정하고, 송신단 전압(TX VCC)을 3.3Vdc, 저항(R1)값을 10ohm으로 설정하면, "감지신호2"의 전압은 약 3Vdc가 된다. 그러나 드라이브 증폭기(107)의 고장으로 인하여 전류를 소모하지 않으면 상기 "감지신호2"는 3.3Vdc가 되고,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107)의 고장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감지신호2"는 약 2Vdc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이상 유무를 감지하려는 각각의 부품은 소모 전류가 다르므로 정상일 때의 감지 전압을 3Vdc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도 2의 저항(R1)값을 각각의 부품 소모 전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감지된 "감지신호2"는 상기 멀티플렉서(130)에 전달된다.
즉, 상기 멀티플렉서(13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121 ~ 129)에서 각각 감지된 감지신호(예를 들어, "감지신호1 ~ 감지신호9")가 서로 다른 입력포트를 통해 각각 입력된다.
다음으로 이동국 모뎀(140)은 상기 멀티플렉서(130)에 입력되는 신호가 선택적으로 자신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선택신호는 4비트의 조합으로 발생하며 그 경우는 다음과 같다.
0001, 0010, 0011, 0100, 0101, 0110, 0111, 1000, 1001
이렇게 이동국 모뎀(140)에서 발생되는 선택신호는 순차적으로 멀티플렉서(130)에 입력되고, 상기 멀티플렉서(130)는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감지신호(감지신호1 ~ 감지신호9)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선택신호가 0001인 경우 "감지신호1"을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0010인 경우 "감지신호2"를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0011인 경우 "감지신호3"을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0100인 경우 "감지신호4"를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0101인 경우 "감지신호5"를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0110인 경우 "감지신호6"을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0111인 경우 "감지신호7"을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1000인 경우 "감지신호8"을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주고, 선택신호가 1001인 경우 "감지신호9"를 선택하여 이동국 모뎀(140)에 전달해준다.
그러면 이동국 모뎀(140)은 상기와 같은 선택을 통해 입력되는 임의의 감지신호의 전압값과 미리 기준으로 설정된 전압값(3Vdc)을 비교하여 해당 부품의 상태를 판별한다.
여기서 해당 부품의 상태를 판별하는 방법은 주지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감지신호와 기준값을 개별적으로 비교하여 해당 부품의 상태를 판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여러 개의 감지신호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부품의 상태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신호1, 감지신호2, 감지신호3의 감지전압이 모두 0Vdc일 경우 상기 3개의 부품이 전부 불량이기보다는 송신부 레귤레이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을 한다. 또한 감지신호4, 감지신호5, 감지신호6의 감지전압이 모두 0Vdc일 경우 마찬가지로 수신부 레귤레이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두 가지 제품 상태 판별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아니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첫 번째 제품 판별 방법을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품 상태 판별 결과 임의의 부품이 불량 상태, 즉 비정상 상태로 판별되면 액정 표시부(LCD)(150)를 제어하여 해당 제품이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실시예2>
첨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WLL 단말기의 자가 진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121 ~ 129)를 통해 해당 제품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1)와, 상기 제1 내지 제9고장 감지부(121 ~ 129)의 감지신호(감지신호1 ~ 감지신호9)가 정상 전압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2 ~ S110)와, 상기 단계 S102 ~ S110의 확인 결과 임의의 제품이 불량 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액정 표시부(150)에 표시해주는 단계(S111 ~ S11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먼저 단계 S101에서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121 ~ 129)를 통해 해당 제품의 상태를 감지한다.
그런 후 단계 S102에서 감지신호1이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1에서 LCD(150)에 송신 믹서(업-컨버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1이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03에서 감지신호2가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2에서 LCD(150)에 드라이브 증폭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2가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04에서 감지신호3이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3에서 LCD(150)에 전력 증폭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3이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05에서 감지신호4가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4에서 LCD(150)에 저잡음 증폭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4가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06에서감지신호5가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5에서 LCD(150)에 수신 믹서(다운-컨버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5가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07에서 감지신호6이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6에서 LCD(150)에 중간주파수 증폭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6이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08에서 감지신호7이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7에서 LCD(150)에 중간주파수 수신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7이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09에서 감지신호8이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8에서 LCD(150)에 중간주파수 송신기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8이 정상전압(3Vdc)일 경우에는 단계 S110에서 감지신호9가 정상전압(3Vdc)인가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19에서 LCD(150)에 PLL부가 불량임을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WLL단말기의 자가 진단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생산시 보드의 고장 유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점으로 고장 부분을 정확하게 액정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으므로, 고장 수리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점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단말기 사용중 실제적인 고장인지 아닌지를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도모해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업-컨버터),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다운-컨버터), 상기 송신 및 수신 믹서에 각각 발진 주파수를 제공해주는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로 이루어진 WLL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대응하는 부품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고장 감지부와;
    입력되는 감지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고장 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 상기 감지신호 선택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고정 여부와 고장 부분을 판별하며, 고장 판별 결과를 액정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이동국 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9 고장 감지부는,
    대응하는 제품의 출력신호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리액턴스와, 상기 리액턴스(L1)의 일 측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품의 동작 상태에 따라 소모하는 전류변화에 대응하여 전원 전압(VCC)의 변동값을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저항으로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3.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업-컨버터),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다운-컨버터), 상기 송신 및 수신 믹서에 각각 발진 주파수를 제공해주는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로 이루어진 WLL단말기의 고장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송신기, 송신 믹서, 드라이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수신 믹서, PLL부, 중간주파수 증폭기, 중간주파수 수신기에 대응되게 구비된 각각의 고장 감지부의 감지 신호(감지신호1 ~ 감지신호9)와 미리 설정된 정상 상태의 신호값을 대응하게 비교하는 제1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임의의 감지 신호와 그에 상응하는 정상 상태의 신호값이 다를 경우, 해당 제품이 비정상 상태임을 액정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감지신호1이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송신 믹서(업-컨버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2가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드라이브 증폭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3이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전력 증폭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4가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저잡음 증폭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5가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수신 믹서(다운-컨버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6이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중간주파수 증폭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7이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중간주파수 수신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8이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중간주파수 송신기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와, 상기 감지신호9가 정상 상태의 신호값과 다를 경우, PLL부가 불량임을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방법.
KR1020010004856A 2001-02-01 2001-02-01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4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856A KR20020064419A (ko) 2001-02-01 2001-02-01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856A KR20020064419A (ko) 2001-02-01 2001-02-01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419A true KR20020064419A (ko) 2002-08-09

Family

ID=2769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856A KR20020064419A (ko) 2001-02-01 2001-02-01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44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919A (ko) * 2015-04-02 2016-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조직에 대한 마이크로파 포커싱 및 열 이미징 방법 및 장치
US10222396B2 (en) 2016-06-24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nd device for detecting and visually representing an impact ev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919A (ko) * 2015-04-02 2016-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조직에 대한 마이크로파 포커싱 및 열 이미징 방법 및 장치
US10222396B2 (en) 2016-06-24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nd device for detecting and visually representing an impact ev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5850A (en) Self-testing transceiver
KR100862127B1 (ko) 송신기의 부하 임피던스 불량 검출 시스템
US8918060B2 (en) 2G, 2.5G RF loopback arrangement for mobile device self-testing
US63807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ntennas using switches
KR100346184B1 (ko) 안테나의 귀환 손실을 특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996057B2 (en) Integrated RF loopback test apparatus for redundant data radio transceiver system
CN106330346B (zh) 射频拉远单元及其测试方法
CN101176283B (zh) 基站、接收装置和接收机故障诊断方法
KR100299025B1 (ko) 기지국에서송수신기의장애진단방법및장치
WO2002080413A1 (en) Printing device, diagnosing method for printing device, and diagnosing program for printing device
WO2000072482A1 (en) Detecting failures in a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64419A (ko)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자가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03557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 중계기의 이상 발진 검출 장치
KR20040088638A (ko) 수신전용 패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감도를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4460810B2 (ja) 切換式ダイバーシティシステムの検査回路装置および方法
KR100595707B1 (ko) 듀얼모드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스위치 장치 및 방법
US6421332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input and output levels of base station transmit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172563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в приемном вч тракте в системе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цифровой сотовой связи с мдкр
KR100270678B1 (ko) 무선송수신 단말기의 송신부 고장경보장치
KR101307033B1 (ko)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이상유무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0645295B1 (ko) 광 중계기 감시 장치
KR1003965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52140A (ko) 기지국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JPH118658A (ja) ディジタルマイクロ波送信機
KR20000032957A (ko)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이용한 기지국의 수신 경로 점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