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085B1 - 조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조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085B1
KR100559085B1 KR1020030021164A KR20030021164A KR100559085B1 KR 100559085 B1 KR100559085 B1 KR 100559085B1 KR 1020030021164 A KR1020030021164 A KR 1020030021164A KR 20030021164 A KR20030021164 A KR 20030021164A KR 100559085 B1 KR100559085 B1 KR 10055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power generation
tan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969A (ko
Inventor
계병식
Original Assignee
계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병식 filed Critical 계병식
Priority to KR102003002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085B1/ko
Priority to PCT/KR2004/000691 priority patent/WO2004088128A1/en
Publication of KR2004008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making use of a d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따른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담수시설에 저장할 때 나 배출할 때 다수의 발전용 수차에 의한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발전하게 한 조력발전장치로서, 해안의 만을 가로막아 바닷물을 주로 채우는 제1수문과 보조적으로 채워지게 제3수문을 형성하면서 수위를 감지하게 제1센서를 설치한 대저수조와, 상기 대저수조 일측에 일정 비율의 크기로 바닷물을 배출하거나 채우는 제2수문과 대저수조와의 수위조절용 제4수문을 구비하면서 수위를 감지하게 제2센서를 설치한 소저수조와, 상기 대저수조와 소저수조의 전면에 형성되고,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어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낙차 형성장치, 발전수차, 발전부,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저수조와 소저수조가 5 : 1의 유량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대수조부와 소저수조의 유량으로 교호로 발전하게 구성하여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따른 조석 간만 차를 이용하여 발전할때에 연속해서 24시간 발전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대저수조, 소저수조, 발전기, 조력발전, 수문

Description

조력발전장치 {A TIDAL POWER PLAN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조력발전장치 4:대저수조
6:소저수조 8:낙차형성장치
10:발전수차 12:발전부
14:제어장치 16:제1수문
18:제3수문 20:제1센서
22:제2수문 24:제4수문
36:제2센서 38:제3센서
40:가이드벽 42:랙기어
44:피니언기어 46:승강부
48:전환모터 50:낙차유도커버
본 발명은 조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따른 조석 간만 차를 이용하여 담수시설에 저장할 때 나 배출할 때 다수의 발전용 수차에 의한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발전하게 한 조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이나 석유 또는 원자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들어내는 발전장치는 화력발전장치와, 수력발전장치 및 원자력발전장치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화력발전장치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화석 연료 자원이 고갈될뿐아니라, 공해의 유발로 환경에 끼치는 피해가 심각하며, 수력발전장치는 넓은 지역을 수몰시켜야 하므로, 지역주민 이주에 따른 사회적 문제와 자연생태계의 파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원자력 발전장치는 핵연료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발전과정에서 발생되는 원자력의 폐기물 및 오염물질등에 의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어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연을 이용한 발전장치로는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장치와,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및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장치가 있다.
이 중에서 종래의 조력발전장치는 만조시 댐에 담수하였다가 간조 시 방류하여 그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기용 터빈을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넓은 범위의 연해나 연안에 거대한 댐을 건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시설비용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바다의 일부를 바다와 차단하게 되므로 생태계를 파괴하고, 많은 어류가 터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어류폐사가 일어나고, 또한, 간조시에만 발전이 가능하여 만조시에는 발전이 불가능함으로, 발전효율면에서 뒤떨어질 뿐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조력발전장치는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조류의 유속과 압력을 이용하여 발전기용 터빈을 회전시키는 조력발전장치는 유속이 느린 곳보다 빠른 장소에 설치해야함으로 설치장소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 조력 발전장치중에는 조석 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저장 호수(댐)에 물을 담수하고 빈 저장 호수(댐)에 물을 방출하면서 그 물의 힘으로 발전기의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방법등이 제안되어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조수간만의 차는 개략적으로 서해안에서 4m에서 8m 이고 남해안과 동해안은 각각 1-3m. 0.2-0.3m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은 우리나라 해안 뿐 만 아니라 일본, 이태리 등에서 가능하다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예컨대 강화대교 하단에 본 발명장치를 이용하여 저비용, 고효율인 친환경의 조력발전 장치를 시설할 수 있다.
또한 조석의 주기는 12시간 25분이므로 바닷물의 방출량을 조절하여 12시간 25분동안 방출할수 있는 호수(댐)와 방출한 물을 받는 담수호(댐)가 필요하다.
한사리와 조금이 있는데 한사리때는 간만의 차이가 약8m 이고, 조금때는 간만의 차가 약4m정도이다.
따라서 만조시 1호수(댐)에 바닷물을 가득 채우고 수문을 닫은 뒤 비어있는 2호수(댐)에 바닷물을 방출 하면서 그때의 유속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때 1호수(댐)와 2호수(댐)의 크기는 1과2= 3:9의 비율로 호수의 크기가 달라야 할것이다.
또한 조금때 약 3-5일간의 담수량의 부족으로 전기생산량이 감소할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1호수(댐)의 크기에 해당하는 3호수(댐)를 설치하여 전기가 남는 심야시간에 2호수(댐)에서 3호수(댐)로 바닷물을 담수하여 1호수(댐)에 부족한 물을 3호수(댐)에서 보충하면 계속적으로 전기의 생산이 가능한 발전소가 된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이 절대적임을 감안할때 원유 수입을 절약하고 무공해의 자원을 활용 함으로서 국가의 이익에 크게 기여하리라 본다.
또한 기존의 발전소는 생산비가 많이 들어 원유를 전량 수입하는 우리나라의 실정에는 생산비가 들어가지 않는 에너지공급을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해안에 여러곳에 설치 할수있어 담수 발전소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 해소와 에너지원의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제안된 본원발명의 목적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따른 조석 간만 차를 이용하여 담수시설에 저장할 때 나 배출할 때 다수의 발전용 수차를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발전하게 한 조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따른 조석 간만 차를 이용하여 발전할때에 연속해서 24시간 발전을 할 수 있는 조력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조석 간만 차를 이용하여 연속해서 24시간 발전하는 경우에 대저수조와 소저수조를 구비하여 서로 교호로 동작할 수 있는 조력발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안의 만을 가로막아 바닷물을 주로 채우는 제1수문과 보조적으로 채워지게 제3수문을 형성하면서 수위를 감지하게 제1센서를 설치한 대저수조와, 상기 대저수조 일측에 일정 비율의 크기로 바닷물을 배출하거나 채우는 제2수문과 대저수조와의 수위조절용 제4수문을 구비하면서 수위를 감지하게 제2센서를 설치한 소저수조와, 상기 대저수조와 소저수조의 전면에 형성되고,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어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낙차 형성장치, 발전수차, 발전부,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저수조와 소저수조가 5 : 1의 유량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대수조부와 소저수조의 유량으로 교호로 발전하게 구성하여 달성할 수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력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조력발전장치(2)는 대저수조(4), 소저수조(6), 낙차형성장치(8), 발전수차(10), 발전부(12), 제어장치(14)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대저수조(4)는 해안의 만을 가로막아 바닷물을 주로 채우는 제1수문(16)과 보조적으로 채워지게 제3수문(18)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대저수조(4)에는 제1센서(20)를 설치하여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담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장치(14)에 정보로 제공하고 있다.
또, 대저수조(4)는 주변에 육지로 둘러쌓이는 만에 통상의 기술로 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육지에 대해 섬의 끝과 끝을 육지와 연결하여 그안에 대저수조(4)와 소저수조(6)를 형성하여 적용함도 가능하다.
소저수조(6)는 대저수조(4)의 일측에 일정 비율의 크기로 담수를 배출하는 제2수문(22)과 대저수조(4)와의 수위조절용 제4수문(24)을 구비하면서 수위를 감지하는 제2센서(3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소저수조(6)는 대저수조(4)의 크기로부터 1/6크기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썰물과 밀물로 바뀌는 사이에 발전을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면 되며, 어느 위치에 한정되어 설치되지는 않는다.
소저수조(6)는 밀물에서 썰물로 바뀌거나 썰물에서 밀물로 바뀌는 1시간 정도의 공백시 이때는 대저수조(4)의 발전을 담당하는 역활을 하는 저수조이다.
낙차형성장치(8)는 대저수조(4)와 소저수조(6)의 전면에 횡으로 썰물과 밀물시 유입되는 바닷물이나 배출되는 담수가 낙차를 가지며 흐르게 설치되고 있다.
상기 낙차형성장치(8)는 밀물과 썰물에 의해 통과하는 바닷물이 일정 높이의 낙차를 두고 발전수차(10)에 떨어지게 설치되고 있다.
또, 낙차형성장치(8)는 대,소저수조(4)(6)에 설치된 제1,2센서(20)(36)와 바다나 대양측에 설치된 제3센서(38)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인지하여 밀물과 썰물의 수위를 감지한 제어장치(14)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승강 작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낙차형성장치(8)는 대저수조(4)와 소저수조(6)의 전면에 일정 높이로 마련된 가이드벽(40)의 랙기어(42)을 따라 승강하게 치합된 피니언기어(44)를 설치하면서 수위를 감지한 제어장치(14)에 의해 구동하게 승강부(46)상에 설치한 승강모터(25)와, 상기 승강부(46)상에 전환모터(48)에 의해 낙차를 발생하게 가변적으로 작동하는 낙차유도커버(50)와, 상기 승강부(46)상의 중심에 지지봉(26)으로 설치되어 낙차유도커버(5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기전력을 발생하게 발전부(12)와 연결 설치된 발전수차(10)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낙차형성장치(8)의 낙차형성커버(50)는 조력발전장치(2)에 적용되는 설비의 크기에 적절한 작용을 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어느 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발전수차(10)는 낙차유도커버(50)를 거쳐 떨어지는 바닷물에 의해 용이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넓은 단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밀물이나 썰물시 바닷물이나 담수의 배출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부(12)와 연결되어 통상의 기술에 의해 발전되게 다수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수차(10)는 날개를 여러개 형성하여 밀물과 썰물시 가해지는 수력에 의해 회전하므로서 발전전류를 발생하게 하고 있으며, 낙차형성장치(8)의 승강부(46)상에 설치된 지지봉(26)에 다수 배치되고 있다.
발전부(12)는 통상기술에 의해 발전수차(10)의 작동에 의해 발전하여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등으로 변환하거나 축전하게 설치되고 있다.
제어장치(14)는 발전부(12)의 작동 감지와 대,소저수조(4)(6)의 수량감지와 낙착형성장치(8)의 가변 제어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시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감지하면서 제1,2,3,4수문(16)(22)(18)(24)을 개폐 제어하고 있다.
발전부(12)의 작동 감지와 대,소저수조(4)(6)의 수량과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을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감지하면서 제1,2,3,4수문(16)(22)(18)(24)을 제어하게 되고 있다.
상기 제1,2,3,4수문(16)(22)(18)(24)은 제어장치(14)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1,2,3,4모터(28)(30)(32)(34)를 작동시켜 개폐 제어되게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4)는 수위를 감지하게 설치된 대저수조(4)의 제1센서(20), 소저수조(6)의 제2센서(36), 낙차형성장치(8)의 바다나 해안 전방측에 설치된 제3센서(38)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인지하여 제1,2,3,4수문(16)(22)(18)(24)을 개폐 제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밀물이나 썰물시 수위변화를 인지한 제어장치(14)가 낙차형성장치(8)의 승강모터(25) 구동을 제어하여 통상의 기술에 의해 피니언기어(44)를 회전시켜 가이드벽(40)의 랙기어(42)을 따라 수위변화시 상,하 이동하여 낙차를 발생시켜 발전수차(10)의 높이를 조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제3센서(38)로 감지된 바닷물의 수위가 제1센서(20)로 감지된 대저수조(4)의 담수 수위 보다 50cm 낮음(썰물시)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제어장치(14)가 인지하게 되면 제1수문(16)을 열어 저장되었던 담수를 5시간에 걸쳐 배출하게 된다.
삭제
상기 제1수문(16)을 통해 배출되는 담수의 수위를 제1,3센서(20)(38)를 통해 감지한 정보에 따라 제어장치(14)는 낙차형성장치(8)의 발전수차(10)가 대,소저수조(4)(6)측에 위치한 낙차형성커버(50)를 타고 바다측으로 배출되는 담수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높이에서 점차적으로 하강하여 위치된다.
이에 따라 낙차형성장치(8)의 낙차형성커버(50)를 넘는 담수는 발전수차(10)를 회전시키게 되며, 발전수차(10)에 의해 발생한 기전력은 발전부(12)의 발전장치나 축전장치, 송전장치등을 통상의 기술에 의해 작동시키게 되는 전류를 축전하거나 직류에서 교류로 전환하는 등 가정에 공급할 수 있게 전환된다.
상기한 발전부(10)의 작동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장치(14)에 의해 통상의 기술에 의해 감지 제어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저수조(4)의 담수가 5시간에 걸쳐 제1수문(16)을 통해 배출이 완료될 즈음해서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1수문(16)을 닫기전인 썰물의 끝 무렵에 소저수조(6)의 제2수문(22)을 1시간에 걸쳐 열어 배출하므로서 썰물에서 밀물로 바뀌는 공백시간에 소저수조(6)의 담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제2센서(36)나 제3센서(38)을 통해 담수나 바닷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낙차형성장치(8)를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발전수차(10)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킨 후 낙차형성커버(50)를 넘게 하므로서 발전수차(10)를 작동시켜 발전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소저수조(6)의 담수 배출이 완료될 즈음해서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어장치(14)는 제3센서(38)와 제1센서(20)를 통해 대저수조(4)의 담수 수위가 밀물 상태인 바닷물의 수위보다 50cm 낮은 수위차를 감지하게 되면 밀물 상태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4)는 제1,3모터(28)(32)를 작동시켜 대저수조(4)의 제1,3수문(16)(18)을 5시간에 걸쳐 바닷물이 담수되게 열어 놓는데, 이때 낙차형성장치(8)는 승강모터(25)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44)에 의해 최대한 하강시킴으로서 바닷물이 신속하게 대저수조(4)에 저장되게 한다.
물론 낙차형성장치(8)의 낙차형성커버(50)는 바닷물이 밀려오는 측인 좌측에 위치하고 있어 바닷물은 이 낙차형성커버(50)를 넘으면서 발전수차(10)를 회전시켜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전력은 발전부(12)에 전달되어 발전을 하게 된다.
상기한 낙차형성장치(8)는 밀물에 의한 수위가 높아갈 수 록 제1,2센서(20)(36)에 의해 감지된 수위변화를 인식하여 가변적으로 높이를 조정하며 지속으로 낙차를 유지하면서 발전수차(1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 상기 대저수조(4)에 밀물이 5시간에 걸쳐 담수되면서 발전되어 만수될 때 즈음해서 제1,3센서(20)(38)를 통해 감지하고 있던 제어장치(14)는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2수문(22)을 열어 바닷물을 1시간정도에 걸쳐 담수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낙차형성장치(8)의 낙차형성커버(50)를 넘는 바닷물에 의해 발전수차(10)를 회전시키게 되어 지속적으로 발전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밀물과 썰물에 걸쳐 대저수조(4)와 소저수조(6)에 대한 바닷물의 담수나 배출은 제1,2,3센서(20)(36)(38)의 정보와 낙차형성장치(8)를 거치게 되고, 이때 제1,2,3,4수문(16)(22)(18)(24)을 열어주어 발전수차(10)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바닷물의 낙차에 의해 회전시켜 지속적으로 발전을 하게 된다.
이를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쳐서 본 발명의 조력발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밀물이 시작되기까지 썰물의 상태에서 대저수저 수위가 최하수위가 될 때까지 5시간 정도 발전을 하고, 최하수위가 되면, 대저수조 (4)는 제1수문 (16)을 막은 상태로 유지하고, 이때 소저수조 (6)는 전에 만수위까지 저장된 물을 바다로 유출하면서 발전을 하게 된다.
(2). 소저수조 (6)로 1시간 동안 발전을 하게 되면 밀물상태가 되면서 바다수위가 높아져 기설정된 낙차 높이가 되므로 대저수조 (4)의 제1수문 (16)를 개방하여 바닷물을 유입시키면서 발전을 개시하게 되면서 소저수조 (6)의 발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제2수문 (22) 닫아 저수위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3). 바닷물이 대저수조 (4)에 유입되면서 밀물동안 5시간 정도 발전을 하면, 바다와 대저수조의 수위낙차의 차가 없게 되므로 발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1수문 (16)을 막게된다.
밀물과 썰물이 바뀌는 차는 1시간 정도 소요되며, 이 썰물상태가 될 때까지 밀물인 상태에서 제1수문 (16)는 닫치는 동시에 제2수문 (22)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때 소저수조 (6)가 바닥상태에서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발전을 하게 되고, 1시간정도면 바닷물과 소저수조 (6)의 수위의 차가 거의 없게 되는 정도까지 발전을 하게 된다.
이때 제 3수문 (18) 및 제 4수문 (24)을 잠시 개방하여 대저수조가 바다의 수위가 거의 일치하는 경우 제 4수문 (24)을 통하여 소저수조 (6)로 유입되므로 결국 바다, 대저수조, 소저수조의 수위가 거의 일치되면 제 3수문 (18) 및 제 4수문 (24)을 닫는다.
(4). 상기와 같이 1시간 정도 소저수조의 유량으로 발전을 하면, 다음은 썰물이므로 바다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바다수위가 낮아져 대저수조 (4)의 수위가 낙차높이가 되면, 대저수조 (4)의 제1수문 (16)를 개방하여 유출되는 유량으로 발전을 개시하고, 소저수조 (6)는 만수위 상태에서 제2수문 (22)을 닫아 대기하게 된다.
(5). 다음에 대저수조 (4)의 물이 5시간정도 유출되면서, 수위낙차가 미달되므로 발전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제1수문 (16)를 닫고 다음 밀물시간이 되는 1시간 동안 소저수조 (6)의 만수위된 유량을 제2수문 (22)를 열어 발전을 개시하는 것으로 상기 (1)의 상태가 되어 반복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결국 대저수조 (4)의 유량으로 5시간 정도 발전을 시키게 되고, 밀물과 썰물이 바뀌는 시점인 1시간정도는 소저수조 (6)의 유량으로 발전을 하여 거의 24시간 발전을 기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대저수조 및 소저수조의 유량을 교대로 사용하여 발전을 하는 동안에 발전을 중지하고 있는 대저수조 (4) 또는 소저수조 (6)에서 다음과 같이 하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2)의 경우와 같이 수위가 불일치하는 경우에 대저수조가 발전을 하지 아니하는 동안 제3수문 (18) 를 개방하여 바닷물과 수위를 일치시킨 후 닫고, 소저수조는 발전을 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 4수문 (24)를 개방시켜 대저수조의 수위와 일치되게 한후 제4수문 (24)를 닫아 다음 가동을 대비하게 하여 반복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조력발전장치는 서해안의 간만의 차가 8m정도 발생하기 때문에 최적지이며, 서해안선의 굴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무수한 대,소 섬들이 산재해 있어 육지와 연결하기 쉬운 지리적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육지와 바다 깊이가 완만해서 물을 가두는데 유리하며, 저수조에 수문이 2개씩 두고 있어 수문하나를 먼저막고, 그 건설한 수문을 열어 놓고 또 다른 수문을 건설하게 됨으로 물을 일시에 가두는 방법으로 시공하면 되며, 이로 인한 자연환경에 일체 영향을 주지 않으며, 대저수조 크기와 비례됨으로 대용량의 발전 출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간만의 차가 크면서 리아스식 해안이 잘 발달된 국가의 해안, 특히 만이나 섬과 육지와의 사이를 대저수조와 소저수조, 낙차형성장치등의 조력발전장치를 갖춤으로서 썰물과 밀물에 관계없이 계속 발전을 하게 하므로서 대용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에 따른 조석 간만 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경우에 연속해서 24시간 발전을 할 수 있어 도중에 전기생산을 중단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멈춰야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대저수조는 주변에 육지로 둘러 쌓이는 만에 통상의 기술로 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육지에 대해 섬의 끝과 끝을 육지와 연결하여 그안에 대저수조와 소저수조를 자연적인 해안 지역에 적용하므로서 토목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조력발전장치에 소저수조를 이용 썰물과 밀물간 바뀌는 공백시간에도 발전을 하게 하므로서 계속적으로 발전설비를 가동할 수 있어 발전량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생하는 기술로 발전설비 산업상 매우에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해안의 만을 가로막아 바닷물을 주로 채우는 제1수문(16)과 보조적으로 채워지게 제3수문(18)을 형성하면서 수위를 감지하게 제1센서(20)를 설치한 대저수조(4)와,
    상기 대저수조(4) 일측에 일정 비율의 크기로 바닷물을 배출하거나 채우는 제2수문(22)과 대저수조(4)와의 수위조절용 제4수문(24)을 구비하면서 수위를 감지하게 제2센서(36)를 설치한 소저수조(6)와,
    상기 대저수조(4)와 소저수조(6)의 전면에 형성되고,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어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낙차 형성장치(8), 발전수차 (10), 발전부 (12), 제어부 (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저수조 (4)와 소저수조 (6)가 5 : 1의 유량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대수조부 (4)와 소저수조 (6)의 유량으로 교호로 발전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력발전장치.
  2. 삭제
KR1020030021164A 2003-04-03 2003-04-03 조력발전장치 KR10055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64A KR100559085B1 (ko) 2003-04-03 2003-04-03 조력발전장치
PCT/KR2004/000691 WO2004088128A1 (en) 2003-04-03 2004-03-26 A tidal powe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64A KR100559085B1 (ko) 2003-04-03 2003-04-03 조력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969A KR20040086969A (ko) 2004-10-13
KR100559085B1 true KR100559085B1 (ko) 2006-03-10

Family

ID=3312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164A KR100559085B1 (ko) 2003-04-03 2003-04-03 조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59085B1 (ko)
WO (1) WO2004088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662B1 (ko) * 2005-05-09 2007-02-09 주식회사 삼안 조력발전소의 발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20604B1 (ko) * 2007-08-20 2009-10-08 주식회사 삼안 조력발전소의 최적 발전 모의운영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5044B1 (ko) * 2011-05-04 2013-04-17 천호산업(주) 해력 발전장치
WO2014204101A1 (ko) * 2013-06-19 2014-12-24 Park Soon Suck 조력 발전장치의 시공방법
CN112283005B (zh) * 2020-10-26 2022-05-17 武汉欧立德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功能的中小电站智能优化发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847A (en) * 1975-10-20 1977-08-02 Diggs Richard E Tidewater power plant
KR900007665Y1 (ko) * 1987-04-24 1990-08-23 류병희 조력발전 장치
JPH09323171A (ja) * 1996-06-03 1997-12-16 Hitachi Ltd スポット溶接設備および構造物の製作方法
KR100250442B1 (ko) * 1997-12-22 2000-04-01 정선종 자연언어 정보 검색의 어의 모호성 해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8128A9 (en) 2005-04-07
KR20040086969A (ko) 2004-10-13
WO2004088128A1 (en)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5065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water current into electricity
JP4947800B2 (ja) 発電装置および発電方法
WO2010095464A1 (ja) 低水位差大流量発電装置
KR101039080B1 (ko) 유조선형 조력발전장치
KR20130053120A (ko) 양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 장치 및 그 방법
JP3220944U (ja) 海水発電装置
GB2460340A (en) Low head tidal barrage system
KR100559085B1 (ko) 조력발전장치
CN114060207A (zh) 一种海上蓄水与潮汐蓄水双用发电站及其工作方法
Lemonis et al. Wave and tidal energy conversion
WO1999002783A1 (en) System for protecting coastal land from rise of surface of the sea
GB2145165A (en) Pumped storage system at tidal power site
Charlier Re-invention or aggorniamento? Tidal power at 30 years
KR20100058079A (ko) 공기와 수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120013472A (ko) 가변 증속 기능을 가진 파력발전기
CN208845299U (zh) 水力能源转换发电设备及其系统
KR101211321B1 (ko)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장치
CN1065320C (zh) 浮箱浮动式的发电装置
KR100618433B1 (ko)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255044B1 (ko) 해력 발전장치
GB2430470A (en) A method of harnessing tidal power to generate electricity
RU27323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от приливов
KR102287189B1 (ko) 에너지 발전 및 저장 시스템
RU2789702C1 (ru) Прибрежная волн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GB2309268A (en) Tidal power scheme uses pontoons in locks between first and second storage basins to produce electri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