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917B1 -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917B1
KR100558917B1 KR1020040055448A KR20040055448A KR100558917B1 KR 100558917 B1 KR100558917 B1 KR 100558917B1 KR 1020040055448 A KR1020040055448 A KR 1020040055448A KR 20040055448 A KR20040055448 A KR 20040055448A KR 100558917 B1 KR100558917 B1 KR 10055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ffer
waiting
color selection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421A (ko
Inventor
한상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9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47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conveyed separate articles
    • B05B13/0452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conveyed separate articles the conveyed articles being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47Apparatus or installatio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 buffer container or an accumulator between the supply source and the applic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도공정 이전에 컬러선택버퍼의 인출부에서의 컬러별 인출효율을 높이며, 리페어 차량의 서열 복원을 위한 운용시스템 및 그 알고리즘을 수립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장공장 내에서, 상도공정 이전에 컬러선택버퍼의 인출부에서의 컬러별 인출효율을 높이며, 동시에 컬러선택버퍼 내에 별도의 패스트 트랙 라인(FT라인; FAST TRACK LINE)을 운용하여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 순서를 신속하게 복원하여 컬러선택버퍼의 차량인출에 적용함으로써, 도장공장의 라인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선택버퍼, 패스트 트랙 라인, 도장공장, 리페어 차량

Description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A MANAGEMENT SYSTEM OF COLOR SELECTION BUFF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장공장에서의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도장공장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컬러선택버퍼의 차량인출을 위한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공장 내에서, 상도공정 이전에 컬러선택버퍼의 인출부에서의 컬러별 인출효율을 높이며, 동시에 검사장에서 중도공정 이후의 검사결과 비정상 차량이 리페어(REPAIR) 공정을 거치는 경우,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 순서를 효과적으로 복원하여 컬러선택버퍼의 차량인출에 적용하기 위한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공정에 있어, 차체의 도장은 고도의 방청과 미관을 요구하기 때문에, 일반의 도장과 비교할 때 복잡한 공정을 가지고 있으며, 방청을 주목적으로 한 전처리, 전착 공정과 미관을 목적으로 한 중도 공정, 상도 공정이 기본이다.
즉, 상기 차체 도장공장의 각 공정은 차체가 완성된 후, 차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음과 함께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높이는 것으로, 도 3를 통하여 살펴보면, 차체 내외판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이나 유지분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철판면의 내식성 및 전착 도료와의 부착성을 좋게하는 인산염 피막을 형성하는 전처리공정(S100)과, 상기 전처리공정(S100)의 건조로를 통과한 차체를 전착 도료 중에 전몰시켜 외판은 물론 차체 내부까지 균일하게 도장함으로서 방청과 표면광택의 인자가 되는 전착(하도)공정(S110)과, 이음부에 실러를 도포하는 실링공정(S120) 및 도료의 내 치핑성, 평활성, 내후성 등을 갖게 하는 중도공정(S130) 및 미관상의 색상 및 광택감을 주는 상도공정(S140)을 통하여 도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에 도장이 완료되면, 육안검사를 통하여 차체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검사(S150) 및 외관검사(S150)를 통하여 도장표면의 먼지, 오물, 스크래치 등을 검사하며, 수정이 필요하면, 상도공정(S140)을 통하여 재도장하거나, 폴리싱 작업 등의 수정공정(S160)을 통하여 수정한 후, 의장공장으로 투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장공장의 각 공정 중에서, 상기 중도공정(S130)과 상도공정(S140) 사이에는 컬러선택버퍼(C/S 버퍼; Color Selection Buffer)를 두어 중도 도장이 완 료된 차량이 상도부스 투입 전에 대기하도록 하여 상도부스에서 도장 자동기의 컬러변경을 위한 세정작업으로 발생되는 도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컬러별 그룹핑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 이전에는 상기 중도공정(S130)을 거친 차체의 도장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장(S170)이 구성되며, 상기 검사장(S170)에서 정상이 아닌 즉, 불량 판정된 차량을 리페어(REPAIR) 작업하여 다시 공급하기 위한 리페어장(S180)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운용은 그 인출부에서 컬러별 인출효율을 높이고자 작업자가 수동으로 인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작업자의 컨디션, 작업능력에 따라 상도공정에 투입되는 컬러 변동률이 크게 발생하고, 도장공장과 상도부스의 생산환경의 변화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컬러별 그룹핑을 할 수가 없었다.
즉, 인입 및 인출이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함으로써 차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힘들어 컬러별 그룹핑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설비고장 등의 생산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며, 심한 경우, 상도부스 투입시에 불필요한 공피치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중도공정(S130)을 거친 후, 도장이 불량한 차량을 검사장(S170)에서 검사한 결과에 따라 리페어장(S180)으로 이송하여 리퍼어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리페어 차량의 라인투입에 의해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 내에는 그 서열 순서가 흐트러져 도장공장 내 각 라인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도공정 이전에 컬러선택버퍼의 인출부에서의 컬러별 인출효율을 높이며, 리페어 차량의 서열 복원을 위한 운용시스템 및 그 알고리즘을 수립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장공장 내에서, 상도공정 이전에 컬러선택버퍼의 인출부에서의 컬러별 인출효율을 높이며, 동시에 컬러선택버퍼 내에 별도의 패스트 트랙 라인(FT라인; FAST TRACK LINE)을 운용하여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 순서를 신속하게 복원하여 컬러선택버퍼의 차량인출에 적용함으로써, 도장공장의 라인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은
도장공장의 중도공정과 상도공정 사이에 검사장과 리페어장 및 컬러선택버퍼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컬러선택버퍼는 상기 리페어장으로부터 투입되는 리페어 차량만을 이송하는 패스트 트랙(FT) 라인과, 상기 검사장으로부터 바로 투입되는 정상 차량만을 이송하는 제1,2,3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리페어장의 일측에 구성되어, 차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담고있는 바코더를 읽어 그 신호를 출력하는 제1바코더 스캐너; 상기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과 버퍼인출 대기단의 일측에 각각 구성되어, 차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담고있 는 바코더를 읽어 그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2, 제3바코더 스캐너; 상기 제1바코더 스캐너로부터의 입력되는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바코더 스캐너로부터의 입력되는 버퍼진입 대기단 상의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와 비교하여 컬러선택버퍼 내 진입라인을 결정하여 진입 제어하며, 상기 제3바코더 스캐너로부터의 입력되는 버퍼인출 대기단 상의 인출대기차량의 각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서열이 가장 빠른 차량의 해당라인을 선택하여 해당 인출대기차량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해당라인의 스톱퍼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은 검사장에서 해당 차량의 검사를 시작하여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해당 차량의 도장상태가 정상인 경우, 해당 차량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이송하여 대기시키고, 상기에서 해당 차량의 도장상태가 불량인 경우, 리페어장으로 이송하여 리페어 작업을 거치도록 한 후,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해당 리페어 차량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이송하여 대기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에 대기중인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인 경우, 상기 컬러선택버퍼 내 패스트 트랙 라인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제공되는 리페어 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패스트 트랙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까지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대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컬러선택버퍼 내 제1,2,3라인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제공되는 정상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진입라인을 선택하여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해당 진입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까지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대기시키는 제5단계;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에 이어,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의 각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컬러선택버퍼의 인출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인출대기차량이 컬러선택버퍼의 인출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대기시키고, 조건을 만족하면 컬러선택버퍼의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 중에서 서열이 가장 빠른 차량의 해당 라인을 선택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선택된 해당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을 인출하고, 인출된 차량의 서열정보를 삭제하는 제7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장공장에서의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구성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은 도장공장의 중도공정(S130)과 상도공정(S140) 사이에 구성되는 검사장과 리페어장 및 컬러선택버퍼(C/S 버퍼)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는 상기 리페어장으로부터 투입되는 리페어 차량만을 이송하는 패스트 트랙 라인(FTL)과, 상기 검사장으로부터 바로 투입되는 정상 차량만을 이송하는 제1,2,3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리페어장의 일측에는 차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담고있는 바코더를 읽어 그 신호를 출력하는 제1바코더 스캐너(1)가 구성되고,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P1)과 버퍼인출 대기단(P2)의 각 일측에는 차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담고있는 바코더를 읽어 그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2, 제3바코더 스캐너(2,3)가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기(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기(4)는 제1바코더 스캐너(1)로부터의 입력되는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바코더 스캐너(2)로부터의 입력되는 버퍼진입 대기단(P1) 상의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와 비교하여 컬러선택버퍼(C/S 버퍼) 내 진입라인을 결정하여 진입 제어하며, 상기 제3바코더 스캐너(3)로부터의 입력되는 버퍼인출 대기단(P2) 상의 인출대기차량의 각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서열이 가장 빠른 차량의 해당라인을 선택하여 해당 인출대기차량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해당라인의 스톱퍼(S)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운용방법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S10)로, 중도공정(S130)에서 중도 도장작업이 완료한 차량을 검사장으로 투입하여 해당 차량의 도장상태를 검사하고,(S11) 상기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2)
상기 제1단계(S10)에 이어, 제2단계(S20)에서는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정상인 경우, 해당 차량을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P1)으로 이송하여 대기시키게 된다.(S21)
상기에서,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불량한 경우, 해당 차량을 리페어장으로 이송하여 해당 차량의 리페어 작업을 거치도록 하게 되며,(S22) 상기 리페어 작업을 완료한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제1바코더 스캐너(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후, 해당 리페어 차량을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P1)으로 이송하여 대기시키도록 공급라인으로 공급하게 된다.(S23)
그리고 제3단계(S30)에서는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P1)에 대기중인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다시 수신하게 된다.(S31)
이어서, 먼저 저장된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와 상기 수신한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비교하게 된다.(S32)
이 때, 상호 비교결과를 통하여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33)
그 다음, 제4단계(S40)에서는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 내 패스트 트랙 라인(FTL)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P1)으로 제공되는 리페어 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41)
여기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패스트 트랙 라인(FTL)의 버퍼인출 대기단(P2)까지 순차적으로 진행시켜 이송하게 되며,(S42) 상기 조건 을 만족하지 못하면, 조건 만족시까지 진입대기차량을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P1)에 그대로 대기시키게 된다.(S43)
그리고 제5단계(S50)는, 상기 제3단계(S30)에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이 아닌 경우에 진행되며,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 내 제1,2,3라인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P1)으로 제공되는 정상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51)
상기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진입대기차량이 진입할 진입라인을 순서에 따라 선택한다.(S52)
이어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선택된 해당 진입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P2)까지 순차적으로 진행시켜 이송한다.(S53)
상기 단계(S51)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조건 만족시까지 진입대기차량을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P1)에 그대로 대기시키게 된다.(S54)
제6단계(S60)에서는 상기 제4단계(S40) 혹은 제5단계(S50)가 완료된 상태에서, 컬러선택버퍼(C/S 버퍼) 내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P2)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의 각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인출조건과 비교하게 된다.(S61)
상기 단계(S61)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인출대기차량이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인출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한다.(S62)
상기 단계(S62)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컬러선택버퍼(C/S 버퍼) 내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P2)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 중에서 서열이 가장 빠른 차량의 해당 라인을 인출라인으로 선택하게 된다.(S63)
상기 단계(S62)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조건 만족시까지 인출대기차량을 컬러선택버퍼(C/S 버퍼)의 버퍼인출 대기단(P2)에 그대로 대기시키게 된다.(S64)
이러한 제6단계(S60)에 이어, 제7단계(S70)에서는 상기 단계(S62)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선택된 해당 인출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P2)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을 인출하여 상도공정(S140)으로 공급하게 된다.(S71)
그리고 상기 인출된 차량의 서열정보를 완전히 삭제하여 종료하게 된다.(S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의하면, 도장공장 내에서, 상도공정 이전에 컬러선택버퍼의 인출부에서의 컬러별 인출효율을 높이며, 동시에 컬러선택버퍼 내에 별도의 패스트 트랙 라인(FT라인; FAST TRACK LINE)을 운용하여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 순서를 신속하게 복원하여 컬러선택버퍼의 차량인출에 적용함으로써, 도장공장의 라인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컨디션, 작업능력에 상관없이 상도공정에 투입되는 컬러 변동률이 최소화하며, 리페어 차량의 라인투입에 의해 상기 컬러선택버퍼(C/S 버퍼) 내에는 서열 순서가 흐트러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도장공장 내 각 라인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도장공장의 중도공정과 상도공정 사이에 검사장과 리페어장 및 컬러선택버퍼를 각각 구성하되;
    상기 컬러선택버퍼는 상기 리페어장으로부터 투입되는 리페어 차량만을 이송하는 패스트 트랙(FT) 라인과, 상기 검사장으로부터 바로 투입되는 정상 차량만을 이송하는 제1,2,3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리페어장의 일측에 구성되어, 차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담고있는 바코더를 읽어 그 신호를 출력하는 제1바코더 스캐너;
    상기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과 버퍼인출 대기단의 일측에 각각 구성되어, 차체의 일측에 부착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담고있는 바코더를 읽어 그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2, 제3바코더 스캐너;
    상기 제1바코더 스캐너로부터의 입력되는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바코더 스캐너로부터의 입력되는 버퍼진입 대기단 상의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와 비교하여 컬러선택버퍼 내 진입라인을 결정하여 진입 제어하며, 상기 제3바코더 스캐너로부터의 입력되는 버퍼인출 대기단 상의 인출대기차량의 각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서열이 가장 빠른 차량의 해당라인을 선택하여 해당 인출대기차량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해당라인의 스톱퍼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2. 도장공장의 중도공정과 상도공정 사이에 구성되는 리페어장의 일측에 구성되는 제1바코더 스캐너와, 패스트 트랙 라인을 포함하는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과 버퍼인출 대기단 일측에 각각 구성되는 제2,제3바코더 스캐너와, 상기 제1,제2,제3바코더 스캐너로부터의 입력되는 차량의 서열정보를 이용하여 라인별 스톱퍼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인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검사장에서 해당 차량의 검사를 시작하여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해당 차량의 도장상태가 정상인 경우, 해당 차량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이송하여 대기시키고, 상기에서 해당 차량의 도장상태가 불량인 경우, 리페어장으로 이송하여 리페어 작업을 거치도록 한 후,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해당 리페어 차량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이송하여 대기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에 대기중인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상기 제2단계에서 저장된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인 경우, 상기 컬러선택버퍼 내 패스트 트랙 라인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제공되는 리페어 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패스트 트랙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까지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못 하면 대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컬러선택버퍼 내 제1,2,3라인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제공되는 정상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진입라인을 선택하여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해당 진입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까지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대기시키는 제5단계;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에 이어,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의 각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컬러선택버퍼의 인출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인출대기차량이 컬러선택버퍼의 인출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대기시키고, 조건을 만족하면 컬러선택버퍼의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 중에서 서열이 가장 빠른 차량의 해당 라인을 선택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선택된 해당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을 인출하고, 인출된 차량의 서열정보를 삭제하는 제7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중도공정을 완료한 차량을 검사장으로 투입하여 해당 차량의 도장상태를 검사하는 제1-1단계;
    상기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정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2단계;로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정상인 경우, 해당 차량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이송하여 대기시키는 제2-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해당 차량의 중도도장 상태가 불량인 경우, 리페어장으로 이송하여 해당 차량의 리페어 작업을 거치도록 하는 제2-2단계;
    상기 제2-2단계에 이어, 상기 리페어 작업을 완료한 해당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를 제1바코더 스캐너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2-1단계로 리턴시키는 제2-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에 대기중인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다시 수신하는 제3-1단계;
    제2단계에서 저장된 리페어 차량의 서열정보와 상기 제3-1단계에서 수신한 진입대기차량의 서열정보를 비교하는 제3-2단계;
    상기 제3-2단계에서의 비교결과를 통하여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인가를 판단하는 제3-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인 경우, 상기 컬러선택버퍼 내 패스트 트랙 라인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제공되는 리페어 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4-1단계;
    제4-1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패스트 트랙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까지 순차적으로 진행시켜 이송하는 제4-2단계;
    상기 제4-1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조건 만족시까지 진입대기차량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에 그대로 대기시키는 제4-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진입대기차량이 리페어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컬러선택버퍼 내 제1,2,3라인의 버퍼수가 상기 버퍼진입 대기단으로 제공되는 정상차량의 제공 대수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5-1단계;
    상기 5-1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진입대기차량이 진입할 진입라인을 순서에 따라 선택하는 제5-2단계;
    상기 제5-2단계에 이어, 상기 진입대기차량을 선택된 해당 진입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까지 순차적으로 진행시켜 이송하는 제5-3단계;
    상기 제5-1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조건 만족시까지 진입대기차량 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진입 대기단에 그대로 대기시키는 제5-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에 이어, 컬러선택버퍼 내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의 각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컬러선택버퍼의 인출조건과 비교하는 제6-1단계;
    상기 제6-1단계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인출대기차량이 컬러선택버퍼의 인출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제6-2단계;
    상기 제6-2단계에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컬러선택버퍼 내 각 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 중에서 서열이 가장 빠른 차량의 해당 라인을 인출라인으로 선택하는 제6-3단계;
    상기 제6-2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조건 만족시까지 인출대기차량을 컬러선택버퍼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그대로 대기시키는 제6-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상기 제6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선택된 해당 인출라인의 버퍼인출 대기단에 대기중인 인출대기차량을 인출하여 상도공정으로 공급하는 제7-1단계;
    상기 제7-1단계에서, 인출된 차량의 서열정보를 완전히 삭제하는 제7-2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40055448A 2004-07-16 2004-07-16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5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48A KR100558917B1 (ko) 2004-07-16 2004-07-16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48A KR100558917B1 (ko) 2004-07-16 2004-07-16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21A KR20060006421A (ko) 2006-01-19
KR100558917B1 true KR100558917B1 (ko) 2006-03-10

Family

ID=3711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448A KR100558917B1 (ko) 2004-07-16 2004-07-16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286A (ko) * 2007-10-09 2009-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컬러선택버퍼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50B1 (ko) * 2008-03-13 2014-04-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도장공장의 버퍼 운영시스템 및 방법
CN103043136A (zh) * 2012-11-29 2013-04-17 安徽徽宁电器仪表集团有限公司 一种仪表板的装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286A (ko) * 2007-10-09 2009-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컬러선택버퍼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21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vel et al. Using the Kanban in a job shop environment
Kanji Can total quality management help innovation?
Becker Lean manufacturing and the Toyota production system
Lavoie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pull control mechanisms for unreliable homogenous transfer lines
JPS59175948A (ja) トランスフアマシン用加工制御装置
KR100558917B1 (ko) 컬러선택버퍼의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5043289A3 (en) Associative memory with entry groups and skip operations
KR20170104198A (ko) 지능형 통합 공구관리시스템
CN107153962A (zh) 车辆保养维修报价方法及系统
KR100765601B1 (ko) 컬러선택버퍼의 차량 인입 및 인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87665A (ja) 製品履歴管理システムおよび製品履歴管理方法
KR100569101B1 (ko) 컬러선택버퍼의 차량인출시스템 및 그 방법
JPH0857376A (ja) ワーク加工システム
Siasos et al. The benefits of Lean through a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an existing production line
KR102644433B1 (ko) 도장 공장의 통합 버퍼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382350B1 (ko) 도장공장의 버퍼 운영시스템 및 방법
JP3989427B2 (ja) 車両の組立ライン
JPS61108079A (ja) 自動車の品質管理システム
JP3174073B2 (ja) ワークの加工方法
KR20090036286A (ko) 컬러선택버퍼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3454839B2 (ja) 熱処理設備
KR20230135763A (ko) 차량 이미지 스캐닝을 이용한 자동세차 시스템
KR100482610B1 (ko) 버퍼링 제어를 이용한 차량 흐름 제어방법
KR20050104716A (ko) 도장차체 자동창고의 차량인출방법
JPS62191275A (ja) 車両ワ−クの自動再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