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704B1 - 주방용 배기후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배기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704B1
KR100557704B1 KR1020030061779A KR20030061779A KR100557704B1 KR 100557704 B1 KR100557704 B1 KR 100557704B1 KR 1020030061779 A KR1020030061779 A KR 1020030061779A KR 20030061779 A KR20030061779 A KR 20030061779A KR 100557704 B1 KR100557704 B1 KR 10055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od
hood body
kitche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987A (ko
Inventor
공병하
Original Assignee
공병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병하 filed Critical 공병하
Priority to KR102003006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7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57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 clean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호텔, 상가건물 또는 백화점등에서 운영되는 대형식당의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등을 포함하는 배기공기를 배기 처리하는 주방용 배기후드가 제공된다.
상기 주방용 배기후드는, 건물내 메인배기닥트와 배기후드사이의 연결닥트에 설치된 배기팬수단과, 상기 연결닥트와 연결되고 조리대 직상부에 배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배기공기를 배기시키는 후드몸체 및, 상기 후드몸체내측으로 배기공기의 통과경로상에 저장되어 연기와 수증기에 포함된 그을음,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을 용해 흡수방식으로 배기공기로부터 여과시키는 여과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용 배기후드나 이에 연결되는 닥트에 부착되기 쉬운 연기,수증기에 포함되는 배기공기의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을 후드몸체내에 저장된 여과수를 통하여 용해 흡수방식으로 여과한후, 청정공기만을 후드와 닥트를 통하여 배기되어 배기후드와 닥트들이 깨끗하게 유지되어 닥트의 청소작업을 최소화시키고 이에 따른 비용발생을 절감시키는 한편, 닥트에 부착된 상기 오염물질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예방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방, 배기후드, 여과수, 청정 배기후드, 청정 배기닥트

Description

주방용 배기후드{A HOOD FOR EXHAUSTING AIR IN THE KITCH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배기후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에서 오염물질 여과수의 처리계통을 도시한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에 설치되는 방울분쇄수단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에 설치되는 여과수 확인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주방용 배기후드 10.... 배기팬수단
12.... 연결닥트 30.... 후드몸체
32.... 상부 후드몸체 34.... 하부 후드몸체
36.... 중간 후드몸체 40.... 전,후 벽
50.... 여과수단 70.... 레벨조정수단
72.... 레벨센서 74.... 펌프
76.... 여과수 공급관 90.... 보조배기팬수단
110.... 방울분쇄수단 130.... 여과수 확인구
A.... 청정공기 C.... 후드몸체내 쳄버공간
G....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공기
T.... 후드내측 배기흡입구
본 발명은 호텔, 상가건물 또는 백화점등에서 운영되는 대형식당의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등을 포함하는 배기공기를 배기시키는 주방용 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식당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수증기등을 포함하는 배기공기가 후드몸체에 저장된 여과수단인 여과수를 통과하여 배기되는 동안, 후드나 닥트에 부착되기 쉬운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이 용해 흡수되고 청정공기만이 후드와 닥트를 통하여 배기될 수 있어 배기후드는 물론, 이와 연결된 닥트들이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어 닥트의 청소작업을 최소화시키고 이에 따른 비용발생을 절감시키는 한편, 후드나 닥트에 부착된 오염물질에 의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호텔, 대형 상가건물 또는 빌딩 및, 백화점내에 위치한 식당 특히, 대형 식당에서는 주방의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등을 배기시키는 배기후드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이와 같은 주방용 배기후드는 통상 호텔, 상가건물(빌딩) 또는 백화점에 설치된 메인 배기닥트와 연결되어 있고, 특히 상기와 같은 건물이나 빌딩등에는 식당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각각의 식당 주방후드는 건물 전체의 배기를 담당하는 메인배기닥트와 연결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대형식당에 설치된 주방용 배기후드는 가정용에 비하여는 조리량이 대량이므로 그 크기가 대형이고, 이와 같은 주방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오염공기, 수증기등이 배기후드와 배기닥트를 통하여 배기 처리되게 된다.
그런데, 대형식당의 주방에서 다량으로 조리할 때, 고기를 구을때 발생되는 연기, 먼지를 포함하고 있는 오염공기 및,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 특히, 기름성분 (입자)을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가 배기후드와 배기닥트를 통하여 배기되기 때문에, 배기후드와 배기닥트의 벽면들에는 다량의 기름성분과 그을음 또는 기타 오염물질(이하, '오염물질'이라 약함)이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배기팬을 통하여 강제로 연기, 오염공기, 수증기등을 배기후드와 배기닥트를 통하여 배기시키지만, 앞에서 설명한 오염물질들은 점차 배기후드와 배기닥트에 부착 누적되면서 최종적으로는 배기후드와 닥트부분을 막게되어 배기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은 배기후드와 이에 연결된 닥트 내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 양이 증가하면, 조리시 화염과 이에 뜨거워진 고온의 배기공기 (연기와 수증기등)가 배기되면서 후드와 닥트내의 온도가 높아지면, 후드나 닥트에 설치된 배기팬의 쇼트발생으로 상기 오염물질이 점화되면서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심한 경우 건물의 대형 화재로 발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드와 닥트 내벽에 부착된 상기 오염물질은 후드와 닥트의 내부온도가 높아지면 열에 의하여 녹아내리면서 떨어져 조리대상의 음식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높은 것이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사용되는 대부분의 배기후드와 배기닥트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제거작업 예를 들어, 작업자가 배기후드와 닥트의 내측으로 들어가서 치구를 이용하여 부착된 오염물질을 긁어내는 제거작업을 하게되고, 결국 지금까지의 주방용 배기후드와 닥트는 그 내부 청정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많은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배기되는 공기, 연기,수증기등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배기후드와 연결된 건물(빌딩)의 메인배기닥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배기후드측에 필터를 설치하지만, 이경우 조리시 발생되는 화염이 필터로 옮겨지면서 화재를 발생시키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고, 필터도 자주 교체해야하고, 필터교체에 따른 비용발생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식당의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수증기등을 포함하는 배기공기가 후드몸체에 저장된 여과수단인 여과수를 통과하여 배기됨으로서, 후드나 닥트에 부착되기 쉬운 연기나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공기에 포함된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이 여과수에서 용해 흡수된 후, 청정공기만이 후드와 닥트를 통하여 배기될 수 있어 배기후드는 물론, 이와 연결된 닥트들이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어 닥트의 청소작업을 최소화시키고 이에 따른 비용발생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당의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수증기가 배기공기와 함께 후드와 닥트로 배기될때, 청정공기만이 후드와 닥트측으로 배기될 수 있어 후드와 닥트에 부착된 오염물질에 의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주방용 배기후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내 메인배기닥트와 배기후드사이의 연결닥트에 설치된 배기팬수단;
상기 연결닥트와 연결되는 상부 후드몸체와 그 하부에 수평 연결되는 하부 후드몸체와, 상기 상,하부 후드몸체사이에 설치된 중간 후드몸체 및 상기 각 후드몸체의 전,후측에 부착되는 전,후 벽을 구비하여 조리대 직상부에 배치되면서 내측으로 배기공기 통과경로를 형성시키어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공기가 배기되도록 구성된 후드몸체; 및
상기 후드몸체의 내측으로 형성된 배기공기 통과경로상에 저장되고, 그을음과 기름성분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공기가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을 용해 흡수방식으로 배기공기로부터 여과시키는 여과수로 구성되는 여과수단;
을 포함하여 배기후드와 닥트들에 청정공기만을 배기토록 구성된 주방용 배기후드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배기후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에서 오염물질 여과수의 처리계통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에 설치되는 방울분쇄수단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에 설치되는 여과수 확인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청정성이 유지되는 주방용 배기후드의 전체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후드(1)는 크게 배기팬수단(10)과 후드몸체(30) 및, 여과수단(50)으로 나누어 지는데, 이들 구성요소 (10)(30)(5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호텔, 대형상가 빌딩,백화점과 같이 대형 식당들이 밀집 설치되는 건물에서는 각각의 식당 주방에 배기후드(1)들이 설치되고, 이와 같은 배기후드(1)들은 연결닥트(12)를 통하여 건물의 메인배기닥트 (2)와 각각 연결되게 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의 상기 배기팬수단 (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기팬수단(10)은 건물내 메인배기닥트(2)와 이와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후드(1)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닥트(12)에 설치되어 있고,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구동원으로 모터를 사용하고 이에 연동하는 팬을 갖춘 팬모터를 사용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기팬수단(10)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또는 수증기가 후드몸체(30)내의 여과수단(50)을 통과하면서 연기에 포함된 그을음이나 수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입자들이 용해 흡수방식으로 여과된후 청정공기(A)만이 연결닥트(12)와 메인닥트(2)로 배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후드몸체(30)의 배기흡입구(T)에서의 배기공기 유속이 적어도 10m/sec 이상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주방용 배기후드의 크기가 커지만 상기 배기유속을 감안하여 배기팬수단(10)의 모터용량을 조정하면 될 것이고, 상기 배기유속에 대하여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의 상기 후드몸체 (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후드몸체(30)는 건물내 메인배기닥트(2)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팬수단(10)이 설치된 연결닥트(12)와 연결되어 있고, 호텔,대형 상가건물, 백화점등의 대형 식당에서 조리대 직상부에 배치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등을 배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후드몸체(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후드몸체(30)는 상부 후드몸체(32), 하부 후드몸체(34), 중간 후드몸체(36) 및 전,후 벽(40)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후드몸체(32)는, 배기팬수단(10)에 구비된 상기 연결닥트(12)와 연결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주방용 배기후드(1)의 커버역활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부 후드몸체(32)는 상기 연결닥트(12)와 연결되는 연결부(32a)와 이에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신장되는 신장부(32b)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 하부 후드몸체(34)는 상기 상부 후드몸체(32)의 신장부(32b) 하단부에 연결되고 약간 경사지게 수평 신장된 신장부(34a)와 상기 신장부(34a)에서 상방으로 배기흡입구(T)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부(34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후드몸체(36)는 상기 상부 후드몸체(32)와 지지대(38)등으로 연결 고정되면서 상기 하부 후드몸체(34)의 수직부(34b)와 배기흡입구(T)를 형성하는 중앙부(36a)와 이에 하방으로 수직 및 약간 경사지게 수평 신장되면서 다음에 설명하는 여과수단(50)에 침지되는 침지부(36b)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시 발생되는 배기공기 즉, 연기 또는 수증기(G)는 하부 후드몸체(34)와 중간 후드몸체(36)사이의 배기흡입구(T)를 통과하여 여과수단(50)에서 연기와 수증기에 포함된 그을음 또는 기름성분등으로 배기후드(1)의 내측벽과 연결닥트(12) 및 메인배기닥트(2)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이 용해 흡수방식으로 배기공기(G)에서 부터 여과 제거된 청정공기(A)만이 연결닥트 (12)의 배기팬수단(10)을 통하여 건물내 메인배기닥트(2)로 배기됨으로서, 종래 배기후드(1)와 연결닥트(12) 및 메인배기닥트(2)에 부착되는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이 없어져 상기 부분(1)(12)(2)들의 청소작업이 필요없고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며, 특히 고온의 오염물질에 의한 닥트(12)(2)내 화재발생을 미연에 예방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드몸체(30)의 각 몸체(32)(34)(36)들은 스텐인레스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대략 1.5mm 정도의 두께로 되어 있어 제작을 위한 후드몸체들의 절곡작업을 수행하며, 아르곤 용접작업을 통하여 긴밀하게 다음에 설명하는 여과수단(50)인 여과수의 누수가 없도록 제작한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후드몸체(32)(34)(36) 전,후방에는 다음에 전,후 벽(40)들이 일체로 용접 고정되고, 이와 같은 후드몸체(32) (34)(36)들과 전,후 벽(40)들은 다음에 설명하는 여과수단(50)이 여과수이므로 누수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용접작업으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시키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후드몸체(32)(34)(36)들 사이에는 견고성을 유지시키는 판상의 지지대(38)들이 연결 고정되게 된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의 상기 여과수단 (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여과수단(50)은, 상기 후드몸체(30)내에 연기와 수증기의 통과경로상에 저장되어 연기와 수증기에 포함된 그을음 또는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을 용해 흡수방식으로 상기 배기공기(G)에서 부터 여과시키도록 제공된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여과수단(50)은, 상기 후드몸체(30)의 하부 후드몸체 (34)와 상부 후드몸체(32)내측으로 상기 중간 후드몸체(36)의 침지부(36b)가 침지되도록 저장되는 여과수로 이루어 지는데, 예를 들어 배기공기(G)에 포함된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이 여과수에 잘 용해되도록 하는 가성소다를 4%로 포함한 여과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고, 이와 같은 가성소다는 악취를 제거하는 다른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여과수(50)를 이용한 오염물질의 여과작동은 여과수(물)과 공기의 농도차이를 이용하여 확산 투석(DIALYSIS)의 방법으로 혼합물질 즉, 그을음과 기름성분등이 포함된 배기공기(G)는 한쪽에서는 계속 침투시키고 반대측에서는 계속적으로 흡입하여 기화시키는 침투(PERMEATION)와 증발(EVAPORATION) 작용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후드몸체(30) 상부의 연결닥트(12)에 설치된 배기팬수단 (10) 즉, 팬모터가 구동되면 여과수단(50)인 가성소다 여과수 상측의 중간 후드몸체 (36)와 상부 후드몸체(32)사이의 공간인 쳄버부분(C)에는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면서 여과수(50)의 분자조직(molecule bonding)에 변형이 생기면서 부글부글 끌어오는 흡입력(VAPORIXATION)이 발생되면서 배기공기(G)즉,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나 수증기에 포함된 그을음, 기름성분, 냄새등은 여과수단(50)인 여과수를 통과하면서 여과수(50)에 용해 흡수되게 되고, 결국 여과수(50)를 통과한 그을음이나 기름성분의 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청정공기(A)만이 배기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후드(1)를 사용하면 배기후드(1)와 연결닥트 (12) 및 메인배기닥트(2)의 벽면에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이 부착되지 않게 되고, 이는 상기 각부분의 청소작업을 필요없게 하면서 오염물질에 의한 닥트내에서의 화재발생도 예방하는 것이다.
그런데, 식당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와 수증기는 고온의 배기공기 (G)에 포함되어 배기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배기공기(G)가 지속적으로 통과하는 여과수(50)의 온도는 주방용 배기후드(1)의 사용시 점차 높아지므로, 배기공기(G)에 포함된 그을음이나 기름성분의 오염물질은 여과수를 통과하면서 그 용해 흡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공기 (G)가 여과수단(50)인 여과수에서 원활하게 용해 흡수되면서 여과되기 위하여는 배기흡입구(T)의 단면적을 감안하여 이곳에서의 배기공기(G)의 배기유속이 적어도 10 m/sec 의 유속을 유지하도록 상기 배기팬수단(10)인 팬모터의 용량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상기 배기팬수단(10)의 위치가 배기후드(1)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배기후드와의 거리나 후드몸체(30)의 각몸체부분들의 크기와 마찰등을 감안하여 상기 배기팬수단(10)의 용량을 조정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에서 추가로 구비되는 방울분쇄수단(1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울분쇄수단(11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드몸체(30)의 내측으로 배기팬수단(10)의 구동으로 배기흡입구(T)를 통하여 흡입되는 배기공기(G)가 후드몸체(30)내에 충진된 상기 여과수단(50)의 여과수를 통과할때, 초기 배기공기(G)가 여과수(50)를 통과할때 발생되는 크기가 큰 여과수방울은 상기 방울분쇄수단(110)을 통과하면서 크기가 작은 미세방울들로 변경되게 한다.
즉, 크기가 큰 초기 여과수방울들이 방울분쇄수단(110)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방울들로 변경되기 때문에, 배기공기(G)에 포함되어 있는 그을음이나 기름성분등이 보다 용이하게 여과수단(50)인 여과수에 용해 흡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방울분쇄수단(110)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드몸체(30)의 하부 및 중간 후드몸체(34)(36)사이에 고정되고 격자망(112a)이 구비된 프레임(112)과 상기 격자망(112a)에 고정되어 배기공기의 여과수 통과시 여과수방울들을 분쇄시키는 분쇄철망(114)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상기 분쇄철망(114)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철망으로 된 수세미형태로 이해하면 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기후드(1)는 여과수단으로 여과수(50)을 사용하고, 이와 같은 여과수(50)에는 그을음, 기름성분이 용해 흡수되기 때문에, 이 여과수(50)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구성들이 필요하다.
즉,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후드(1)는, 여과수(50)가 항상 일정한 레벨(수두)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여과수 레벨조정수단(70)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여과수의 레벨은 실질적으로 배기공기(G)에 포함된 그을음,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을 여과 흡수시키는 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수 레벨조정수단(70)은, 상기 후드몸체(30)의 상부 후드몸체(32) 신장부(32b)에 설치되어 여과수(50)의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센서(72)와, 상기 레벨센서(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T)와 연동되고, 상기 후드몸체(30)의 상부 후드몸체(32)의 상측에 설치된 여과수 공급관(76)과 연결된 펌프(74)로 구성도어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수(50)의 레벨이 줄어들면 레벨센서(72)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CT)를 통하여 펌프(74)를 가동시키면, 여과수 공급관(76)을 통하여 후드몸체(30)내에 여과수(50)가 공급되고, 레벨이 상승하면 레벨감지센서(72)가 작동하여 제어부(CT)를 통하여 펌프(74) 가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레벨센서(72)는 상,하측으로 하이(high) 및 로우(low)용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후드몸체(34)의 수평부 (34a)에는 그을음 또는 기름성분의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오염된 여과수(50)를 배출 처리하는 드레인밸브(78)와 레벨센서(72)의 작동이 오작동되면서 과다하게 여과수(50)가 공급되면 이를 외부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관(80)이 각각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드레인밸브(78)를 전기작동밸브를 사용하여 제어부(CT)에 연결하고 다른 펌프(74)를 연동시키어 드레인작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상기 여과수 공급관(76)을 통하여 청정수를 후드몸체(30)의 내부에 공급하여 여과수가 채워진 후드몸체(30)내의 오염된 부분을 세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2 및 6에서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에 추가로 제공되는 여과수 확인구(1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확인구(130)는, 상기 후드몸체(30)의 외측으로 상기 여과수단인 여과수의 레벨 및 농도상태를 확인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즉, 여과수 확인구(130)는 내측으로 상기 상부 후드몸체(32)의 신장부(32b)에 형성된 여과수 통과구멍(136)와 통하는 여과수공간(132)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외측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일체로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부착 고정되어 있고, 동시에 눈금(13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를 사용할때, 상기 여과수 레벨조정수단(70)의 레벨센서(72)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상기 후드몸체 (30)내에 충진된 여과수단(50)인 여과수의 레벨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여과수 확인구(130)를 통하여 여과수단(50)인 여과수농도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을음을 포함하는 연기나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수증기등의 배기공기(G)가 여과수를 통과하면서 상기 그을음과 기름성분의 오염물질이 여과수에서 용해 흡수되면서 주방용 배기후드(1)를 사용할 수록 상기 여과수의 혼탁도는 심화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여과수단(50)인 여과수의 교체작업을 실시해야 하는데, 확인구(130)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배기후드(1)의 크기가 확대되어 연결닥트(12)에 설치된 배기팬수단 (10)만으로는 배기공기 즉, 그을음을 포함하는 연기나 기름성분을 포함하는 수증기를 원활하게 여과수단(50)인 여과수를 통과시키면서 오염물질의 용해 흡수가 원활하지 않는 경우 후드몸체(30)의 중간 후드몸체(36)와 하부 후드몸체(34)사이의 배기흡입구(T)측에 다른 보조배기팬수단(90)을 설치한 것이다.
이때에도,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닥트(12)측의 배기팬수단(10) 및 배기흡입구(T)측의 보조배기팬수단(90)인 각각의 팬모터는 상기 배기흡입구(T)를 통하는 배기공기(G)의 배기유속이 적어도 10m/sec 이상을 유지하도록 그 용량이 조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1)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닥트(12)와 연결되는 상부 후드몸체(32)와 그 하측의 하부 후드몸체(34)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후드몸체 (36)의 후드몸체들과, 그 전후측에 고정되는 전,후측벽(40)들을 1.5mm 두께의 스텐인레스 예를 들어 SC 304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의 후드몸체(30)를 제작하고, 이를 식당 주방의 조리대 즉, 여러 가스레인지들이 설치된 조리대 직상부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후드몸체(30)의 전체 크기는 폭 1200mm, 길이 500mm 및, 높이 400mm의 크기로 제작하고, 실질적으로 배기공기(G)의 배기유속에 영향을 미치는 한곳의 배기흡입구(T) 단면적은 200mm의 폭과 500mm의 길이로 제작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양측으로 병렬 배치하는데, 상기 배기흡입구(T)의 단면적은 통상 가정집을 제외한 상가, 백화점, 대형 건물등의 식당 주방에서 사용되는 배기후드의 최소크기를 기준으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배기후드의 배기용량은 규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 환경복건성(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의 소비자 보호국(Consumer Protect ion Division)에서는 2002.10.1일자로 주방에서의 밀폐되지 않은 사방이 트인 공간에서는 배기공기량을 Q라 할때, Q = 300 * A (A:배기흡입구의 단면적) cfm 이상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배기흡입구(T)의 단면적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폭*길이를 200mm * 500mm 한 경우, 공기 배기량 Q = 300 * 0.8 feet(200mm) * 1.7 feet(500mm)= 408 cfm이 되고, 따라서 37.9 ㎥/m 의 공기배기량으로 대략 1 분당 38 입방미터 이상의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기흡입구(T)에서의 배기공기 유속은 배기흡입구(T)의 단면적이 200*500 ㎟ 인경우 공기배기량이 37.9 ㎥/m 즉, 0.63㎥/sec 이므로, 배기공기(G)가 배기후드(1)의 쳄버(C) 내벽과 연결닥트(12)를 통과할때 벽면과의 마찰이나 여과수 수두에 의한 손실을 없다고 가정하고, 또한 후드몸체(30) 내측의 쳄버(C)공간과 여과수가 맞닿는 개구부분의 폭과 길이가 각각 300mm, 500mm 으로 한 경우, 상기 여과수단(50)인 여과수를 배기공기(G)가 원활하게 통과하면서 연기 또는 수증기에 포함된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이 여과수에 원활하게 용해 흡수방식으로 여과되기 위하여는 상기 배기흡입구(T)를 통과하는 배기공기(G)의 유속은 적어도 10m/sec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를 감안하여 상기 배기팬수단(10)인 팬모터의 용량을 결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배기흡입구(T)의 단면적이 200*500 ㎡ 이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기공기(G)에 포함된 그을음이나 기름성분의 오염물질을 여과수(50)에서 원활하게 용해 흡수시키어 여과시키기 위한 배기흡입구(T)에서의 배기공기 유속을 10m/sec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경우 상기 배기팬수단(10)은 0.5HP 이상의 용량을 갖는 팬모터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크기의 배기후드(1)를 사용하는 경우 메인배기닥트(2)와 연결된 연결닥트(12)에 배치되고 상기 용량의 배기팬수단(10)인 모터팬을 가동시키면, 주방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등을 포함하는 배기공기(G)는 후드몸체 (30)의 배기흡입구(T)에서 적어도 10m/sec 이상의 유속으로 후드몸체(30)내의 여과수단(50)인 여과수에 침투되고 쳄버(C)측에서는 흡입되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수상측의 후드몸체(30)내 쳄버(C)에는 음압(negative pres sure)이 걸리게 되면서 부글부글 끌어오르면서 여과수의 분자변형으로 청정공기(A)만이 배기되고 배기공기(G)에 포함된 그을음이나 기름성분은 여과수에서 용해 흡수되어 여과된다.
결국, 본 발명의 주방용 배기후드(1)를 사용하면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에 포함된 그을음, 기름성분등의 오염물질이 상기 후드몸체(30)상에 구비된 여과수단(50)인 여과수에 용해 흡수방식으로 여과되면서 청정공기(A)만이 후드몸체 쳄버(C)와 연결닥트(12) 및 메인닥트(2)측으로 배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닥트들의 청소작업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닥트에서의 화재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주방용 배기후드에 의하면, 식당의 주방에서 오염공기, 연기 또는, 기름입자를 포함하는 수증기가 배기팬에 의하여 후드에 저장된 여과수를 통과하면서 배기됨으로서, 배기되는 공기, 연기 또는 수증기에 포함된 기름 또는 그을음등의 오염성분등이 여과수에서 1차로 용해 처리된 후, 청정한 공기만이 배기후드와 닥트를 통하여 배기됨으로서 주방용 배기후드는 물론, 이와 연결된 건물의 배기닥트를 보다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하여, 주방용 배기후드와 이와 연결된 배기닥트 벽면에 오염물질의 부착이 차단되어 청정성이 유지됨으로서, 배기후드와 닥트를 청소하는 별도의 청소작업이 적게되어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염물질이 용해된 주방 배기용 후드내의 여과수를 폐기 처리하고 새로운 청정 여과수를 투입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실용상의 잇점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오염물질이 닥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닥트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팬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쇼트에 의한 화재발생을 예방시키는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2)

  1. 건물내 메인배기닥트(2)와 배기후드사이의 연결닥트(12)에 설치된 배기팬수단(10);
    상기 연결닥트(12)와 연결되는 상부 후드몸체(32)와 그 하부에 수평 연결되는 하부 후드몸체(34)와 상기 상,하부 후드몸체(32)(34)사이에 설치된 중간 후드몸체(36) 및, 상기 각 후드몸체의 전,후측에 부착되는 전,후 벽(40)을 구비하여 조리대 직상부에 배치되면서 내측으로 배기공기 통과경로를 형성시키어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공기(G)가 배기되도록 구성된 후드몸체(30); 및
    상기 후드몸체(30)의 내측으로 형성된 배기공기 통과경로상에 저장되고, 그을음과 기름성분 등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공기(G)가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을 용해 흡수방식으로 배기공기(G)로부터 여과시키는 여과수로 구성되는 여과수단(50);
    을 포함하여 배기후드와 닥트들에 청정공기만을 배기토록 구성된 주방용 배기후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50)인 여과수는, 상기 후드몸체(30)의 상부 후드몸체(32)와 하부 후드몸체(34) 및 전,후 벽(40)의 내측으로 상기 배기공기 통과경로상에 중간 후드몸체(36)의 침지부(36a)가 침지되도록 저장되어 통과하는 배기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용해 흡수방식으로 여과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의 레벨을 조정토록 후드몸체(30)상에 제공하는 여과수 레벨조정수단(70);
    상기 후드몸체(30)의 내측으로 배기공기의 여과수 통과시 여과수방울을 미세방울로 형성시키어 여과수를 통한 배기공기내 오염물질의 여과를 원활토록 하는 방울분쇄수단(110); 및
    상기 후드몸체(30)의 외측으로 여과수의 레벨 및 혼탁도를 확인토록 설치된 여과수 확인구(130);
    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레벨조정수단(70)은, 상기 후드몸체(30)상에 설치된 레벨센서(72) 및, 상기 레벨센서(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T)와 연동되고, 상기 후드몸체(30)상에 설치된 여과수 공급관(76)과 연결된 펌프(74)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몸체(30)에는 오염된 여과수 드레인밸브(78)와 오버플로우관(80)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울분쇄수단(110)은, 상기 후드몸체(30)의 하부 및 중간 후드몸체(34)(36)사이에 고정되고 격자망(112a)이 구비된 프레임(112); 및, 상기 격자망(112a)에 고정되어 배기공기의 여과수 통과시 여과수방울들을 분쇄시키는 분쇄철망(1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여과수 확인구(130)는 여과수의 레벨을 확인하는 눈금(134)을 갖추고 여과수의 혼탁도를 점거하는 것을 가능토록 투명재질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수단(10)은, 상기 후드 몸체(30)의 하부 후드몸체(34)와 중간 후드몸체(36) 및 전,후 벽(40)사이에 형성된 배기흡입구(T)에서의 배기공기 유속이 적어도 10 m/sec 이상을 유지하도록 용량이 조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몸체(30)의 내측으로 배기흡입구(T)측에 설치된 보조배기팬수단(90)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수단(10) 및 상기 후드몸체(30)의 내측 배기흡입구측에 설치된 보조배기팬수단(90)은, 상기 하부 후드몸체(34)와 중간 후드몸체(36) 및 전,후 벽(40)사이에 형성된 배기흡입구(T)에서의 배기공기 유속이 적어도 10 m/sec 이상을 유지하도록 용량이 조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30061779A 2003-09-04 2003-09-04 주방용 배기후드 KR100557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779A KR100557704B1 (ko) 2003-09-04 2003-09-04 주방용 배기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779A KR100557704B1 (ko) 2003-09-04 2003-09-04 주방용 배기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987A KR20050023987A (ko) 2005-03-10
KR100557704B1 true KR100557704B1 (ko) 2006-03-07

Family

ID=3723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779A KR100557704B1 (ko) 2003-09-04 2003-09-04 주방용 배기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55B1 (ko) 2018-09-05 2020-04-23 천봉우 레인지 후드 입구 가리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42B1 (ko) * 2006-04-13 2007-05-18 이신영 수막식 레인지 후드
KR101533798B1 (ko) * 2015-01-14 2015-07-03 연태헌 주방용 후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237A (ja) * 1995-12-26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機能付きレンジフード
KR19990000001A (ko) * 1995-05-18 1999-01-01
JP2000186842A (ja) * 1998-12-22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気浄化装置
KR20010009450A (ko) * 1999-07-09 2001-02-05 오경식 수세식 배기 후드
JP2003240295A (ja) * 2002-02-08 2003-08-27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における廃棄用液体容器の貯液位確認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001A (ko) * 1995-05-18 1999-01-01
JPH09178237A (ja) * 1995-12-26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機能付きレンジフード
JP2000186842A (ja) * 1998-12-22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気浄化装置
KR20010009450A (ko) * 1999-07-09 2001-02-05 오경식 수세식 배기 후드
JP2003240295A (ja) * 2002-02-08 2003-08-27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における廃棄用液体容器の貯液位確認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55B1 (ko) 2018-09-05 2020-04-23 천봉우 레인지 후드 입구 가리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987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5242C2 (ru) Вытяжной колпак и способ вытяжки и/или очистки загрязненных носителей
US20030121419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US20080135041A1 (en) Kitchen ventilator system
JP5878003B2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CN210495755U (zh) 一种一体化组合式废气净化装置
JP5087246B2 (ja) 液体が混入した排気の脱臭装置
KR100557704B1 (ko) 주방용 배기후드
KR102428957B1 (ko) 공기정화장치
JPH11169300A (ja) 無煙調理器
CN214891427U (zh) 多功能空气净化机
KR101109490B1 (ko) 격자형 그리스 필터
KR20190108249A (ko) 공기 집진기
JP415579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JP2006038392A (ja) 空気浄化装置
KR101642369B1 (ko) 주방용 후드의 미세 기름 및 냄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21028A (ko) 주방용 후드
JP2008224137A (ja) 排気処理システム
JP2020075214A (ja) 湿式ガス状物質処理装置及び湿式ガス状物質処理方法
KR102209567B1 (ko) 콘덴서 장착 밀폐형 조리기구
CN212818763U (zh) 一种环保型油烟循环净化器
CN212511336U (zh) 吸油烟机
CN214075681U (zh) 一种用于油烟净化的一体机
CN213912938U (zh) 一种油烟净化装置
CN218065026U (zh) 一种新型厨房油烟净化一体机
KR102426121B1 (ko)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