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388B1 - 교반기 - Google Patents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388B1
KR100557388B1 KR1020040026956A KR20040026956A KR100557388B1 KR 100557388 B1 KR100557388 B1 KR 100557388B1 KR 1020040026956 A KR1020040026956 A KR 1020040026956A KR 20040026956 A KR20040026956 A KR 20040026956A KR 100557388 B1 KR100557388 B1 KR 10055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tirring shaft
contents
rod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162A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동우 인터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 인터콤 filed Critical (주)동우 인터콤
Priority to KR1020040026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38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내용물을 보다 확실하게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덩어리 상태로 뭉쳐진 내용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는, 상측에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하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지그재그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성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봉과; 상기 교반봉의 끝단부를 연결하며,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반기, 교반,날개, 파쇄

Description

교반기{agita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교반기의 파쇄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반조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200 : 교반축
300 : 구동모터
400 : 교반봉
500 : 교반날개
600 : 파쇄수단
610 : 원통체
611 : 수진 단턱면
612 : 승강면
613 : 회전링체 삽입부
620 : 지지체
630 : 회전링체
621 : 파쇄봉
700 : 탄성수단
본 발명은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내용물을 보다 확실하게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덩어리 상태로 뭉쳐진 내용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시켜 폐기하거나 또는 발효시켜 퇴비화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교반기의 종래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8534호가 있다.
상기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내에서 회전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교반봉 및 상기 교반봉을 상기 교반축에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봉을 이용하여 교반시키는 작용을 어느 정도는 수행하기는 하나 보다 확실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지 못하 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가 덩어리로 뭉쳐져 있는 경우에 이를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내용물을 보다 확실하게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덩어 리 상태로 뭉쳐진 내용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한 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는, 상측에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하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지그재그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성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봉과; 상기 교반봉의 끝단부를 연결하며,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교반기의 파쇄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는, 교반조(100)와, 교반축(200)과, 구동 모터(300)와, 교반봉(400)과, 교반날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조(100)는 상측에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10)와, 하측에 배출구(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조(100)의 일측에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그 이유는 교반시 내용물이 서서히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 교반축(200)은 상기 교반조(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 모터(300)는, 상기 교반조(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축(200)을 정/역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교반봉(400)은,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지그재그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성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교반날개(500)는, 상기 교반봉(400)의 끝단부를 연결하며,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교반축(200)에 설치되어 이의 회전시 상기 내용물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파쇄수단(600)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파쇄수단(600)은, 원통체(610)와, 지지체(620)와, 회전링체(630)와, 탄성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체(610)는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에 개재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그 일례로 고정 볼트를 이용한다.
상기 지지체(620)는 상기 원통체(6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교반(200)의 외주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그 일례로 고정 볼트를 이용한다.
상기 회전링체(630)는 상기 원통체(610)와 지지체(620) 사이의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교반축(200)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파쇄봉(631)을 갖는다.
상기 탄성수단(700)은 상기 회전링체(630)과 지지체(620) 사이의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링(630)을 상기 원통체(610)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링체(630)에 대응되는 상기 원통체(610)의 일단부면은,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봉(621)이 안착되는 수직 단턱면(611)과, 상기 수직 단턱면(611)을 제외한 나머지면은 상기 단턱면(611)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 단턱면(611)의 상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져 상기 파쇄봉(631)을 안내하는 승강면(612)과, 상기 원통체(610)의 일단부면의 내측면에 상기 파쇄봉(631)이 상기 승강면(612)의 상부측에 하측으로 낙하되어 안차되거나 상기 파쇄봉(631)이 상기 승강면(612)을 따라 이동할때 상기 회전링체(6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회전링체 삽입부(61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 모터(3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이 되도록 하면, 교반축(200)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교반축(20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교반조(1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은 교반봉(400)에 의해 교반됨과 아울러 교반날개(500)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교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반날개(500)를 띠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비틀려지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의 교반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파쇄수단(600)에 의해 내용물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내용물이 덩어리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이를 잘게 부수어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쇄수단(6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는 상기 회전링체 삽입부(613)에서 회전링체(630)가 삽입된 상태가 되면, 탄성수단(700)인 압축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 상기 교반축(2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정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파쇄봉(631)이 상기 수직 단턱면(6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 수직 단턱면(611)에 걸려 교반축(2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쇄봉(631)이 교반축(200)과 함께 회전하여 교반조(100)의 하부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향하는 반전된 상태가 된다.
이후에, 상기 교반축(200)을 역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봉(631)이 상기 승강면(61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직 단턱면(611)의 상측에 위치되면, 회전링체(630)는 상기 회전링체 삽입부(613)에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 스프링(700)을 압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봉(631)은 수직 단턱면(611)의 상측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항상 상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상기 교반축(200)이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파쇄봉(631)은 수직 단턱면(611)의 상측 부분에 낙하되어 하측 부분으로 안착되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결국, 상기 파쇄봉(621)은 상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가 하방향으로 자중으로 인해 회전되어 내용물에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쇄봉(631)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회전링체(630)는 회전링체 삽입부(613)에 인입됨과 아울러 압축 스프링(700)은 압축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파쇄수단(600)을 구성하는 파쇄봉(631)은 각기 다른 각도로 고정되어 있다.
그 이유는 한쪽 방향부터 단계별로 자중에 의해 떨어지기 때문에 파쇄 및 공 기 주입이 동시에 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쇄수단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덩어리진 내용물 뿐만 아니라 잘게 부수어진 내용물에 충격을 가하여 더욱더 잘게 부수어 지도록 하여 교반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파쇄시 발생되는 파장에 의해 내용물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틈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호기성 발효가 되도록 할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반기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내용물을 보다 확실하게 골고루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덩어 상태로 뭉쳐진 내용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측에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10)와, 하측에 배출구(120)가 구비된 교반조(100)와; 상기 교반조(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축(200)과; 상기 교반조(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축(200)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00)와;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지그재그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성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봉(400)과; 상기 교반봉(400)의 끝단부를 연결하며,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에 개재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 원통체(610)와;
    상기 원통체(6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교반(200)의 외주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지지체(620)와;
    상기 원통체(610)와 지지체(620) 사이의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교반축(200)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된 파쇄봉(631)을 갖는 회전링체(630)와;
    상기 회전링체(630)과 지지체(620) 사이의 상기 교반축(200)의 외주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링(630)을 상기 원통체(610)측으로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탄성수단(7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체(630)에 대응되는 상기 원통체(610)의 일단부면은,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쇄봉(631)이 안착되는 수직 단턱면(611)과, 상기 수직 단턱면(611)을 제외한 나머지면은 상기 단턱면(611)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 단턱면(611)의 상측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상향 경사져 상기 파쇄봉(631)을 안내하는 승강면(612)과, 상기 원통체(610)의 일단부면의 내측면에 상기 파쇄봉(631)이 상기 승강면(612)의 상부측에 하측으로 낙하되어 안차되거나 상기 파쇄봉(631)이 상기 승강면(612)을 따라 이동할때 상기 회전링체(6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회전링체 삽입부(613)로 이루어진 파쇄수단(600)이 상기 교반축(200)에 설치되어 이의 회전시 상기 내용물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교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700)은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KR1020040026956A 2004-04-20 2004-04-20 교반기 KR10055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56A KR100557388B1 (ko) 2004-04-20 2004-04-20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956A KR100557388B1 (ko) 2004-04-20 2004-04-20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162A KR20050102162A (ko) 2005-10-25
KR100557388B1 true KR100557388B1 (ko) 2006-03-06

Family

ID=3728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956A KR100557388B1 (ko) 2004-04-20 2004-04-20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266B1 (ko) * 2007-11-15 2008-05-13 박범용 음식물 쓰레기용 교반기
KR100953420B1 (ko) * 2009-07-15 2010-04-19 유원식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음식물처리기용 교반장치
KR102355028B1 (ko) * 2020-10-20 2022-01-24 김용태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동식물 잔존물 또는 하수슬러지 분해소멸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162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4770B (zh) 一种环保型化工用破碎搅拌装置及破碎搅拌方法
CN107349837A (zh) 一种高效的猪饲料自动粉碎搅拌装置
CN209615975U (zh) 一种混凝土搅拌机
KR10080584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33614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100557388B1 (ko) 교반기
CN111644256A (zh) 一种水性环氧树脂乳化用胶体磨
KR101416884B1 (ko) 과부하 방지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4290677U (zh) 一种连续混砂机
CN213314675U (zh) 一种有机肥搅拌机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0126745A (ja) 生ごみ減量処理機
CN209254643U (zh) 一种粉碎搅拌机构
KR200264897Y1 (ko) 교반기
JP2008086915A (ja) 生ゴミ処理装置
CN213273684U (zh) 一种烘干机
KR10170599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7324623U (zh) 一种高效的猪饲料自动粉碎搅拌装置
JP2003126823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20037927A (ko) 음식물 처리기용 교반날
CN112275775A (zh) 一种用于固废处理的反应釜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066115B1 (ko) 회전식 쓰레기 건조장치
CN218609252U (zh) 一种摇摆式颗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