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352B1 -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352B1
KR100557352B1 KR1020030081351A KR20030081351A KR100557352B1 KR 100557352 B1 KR100557352 B1 KR 100557352B1 KR 1020030081351 A KR1020030081351 A KR 1020030081351A KR 20030081351 A KR20030081351 A KR 20030081351A KR 100557352 B1 KR100557352 B1 KR 100557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unit
elastic unit
hydraulic cylinde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612A (ko
Inventor
전인춘
Original Assignee
전인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춘 filed Critical 전인춘
Priority to KR102003008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3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8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looping, hopping, or throwing motions of the sub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2031/002Free-fall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기구의 안전구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가이드포스트를 사각형태로 갖는 프레임과, 상부 및 하부가동판이 다수의 탄성체에 의해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구성되고 프레임내에서 가이드포스트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유닛과, 탄성유닛의 상부가동판을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와, 프레임의 베이스상에 설치되는 고정풀리와 탄성유닛의 하부가동판 밑에 설치되는 가동풀리로 이루어지고 각 케이블의 하단부를 양자간에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케이블의 신축을 안내하는 제1,2케이블 안내수단과, 탄성유닛의 하부에 위치되고 탄성유닛의 추락에 따라 양측으로 신장되어 대향하는 프레임의 가이드포스트에 밀착됨으로써 탄성유닛의 하강을 저지하는 브레이크유닛 및 브레이크유닛을 캐리어의 발사에 연동하여 일정높이 상승시켜 지지하는 제2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안전수단을 포함하고, 안전수단의 브레이크유닛은, 대향하는 두 가이드포스트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양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로드를 구비하여 안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제동블록쌍과, 두 제동블록에 경사링크로 연결되고 추락하는 탄성유닛의 하면에 접촉하여 하강하는 상부받침대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되고 각 제동블록들과 경사링크로 연결되는 하부받침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포스트의 소정높이에 제2유압실린더의 구동을 제한하는 리밋스위치를 구비하여 제2유압실린더를 2단계로 구동함으로써 놀이기구의 비가동시 탄성유닛의 하부가동판을 충분히 상승시켜 탄성체를 무부하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은 케이블에 지지된 채 허공에서 요동하는 캐리어가 케이블에 신축을 부여하는 탄성유닛의 파손으로 인해 추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기구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 탄성구조의 탄성체를 무부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피로누적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놀이기구, 안전수단, 구동장치, 슬링샷

Description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Safety running apparatus for amusement device of slingshot}
도1은 슬링샷 놀이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구동장치의 안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
도5는 도2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6은 도2의 Ⅵ을 따라 취한 발췌 측면도,
도7은 본 발명 안전수단의 작동원리를 보이는 측면도,
도8a 내지 도8e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구동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3: 가이드포스트
14: 제동안내레일 14a: 요철
20: 탄성유닛 21: 하부가동판
22: 상부가동판 23: 탄성체
30: 케이블 안내수단 33: 고정풀리
34: 가동풀리 40: 안전수단
41: 브레이크유닛 42: 실린더
43: 제동블록 44: 압축코일스프링
45: 상부받침대 46: 하부받침대
47: 경사링크 48: 제2유압실린더
49: 완충부재 50: 제1유압실린더
60: 리밋스위치 T: 타워
W: 케이블 C: 캐리어
본 발명은 사람이 탑승하는 캐리어(carrier)를 1쌍의 타워(tawer) 꼭대기에 탄성 케이블(cable)로 지지시켜 허공으로 발사함으로써 캐리어가 허공에서 요동치는 소위 슬링샷(slingshot)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절단 등으로 인하여 허공에서 요동중인 캐리어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유원시설(遊園施設) 내에는 이용자들이 재미를 만끽하면서 즐거운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각종의 놀이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놀이기구는 흥미위주의 단순한 것에서부터 적잖은 공포와 짜릿한 스릴(thrill)을 맛볼 수 있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전에는 놀이기구의 이용자가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층에 편중되어 재미위주의 단순한 놀이기구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이용자가 모든 연령층으로 확대되면서 복잡한 일상에서의 스트레스(stress)를 해소할 수 있도록 조금은 격하고 짜릿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놀이기구들이 출현하여 특히 젊은층에 크게 각광받고 있다.
예컨대,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 바이킹(viking), 고공낙하(vertigo drop) 및 번지점프(bungy jump) 등이 그것인데, 이러한 놀이기구들은 대체로 정지상태의 정점에서 급작스럽게 자유낙하 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마치 가슴이 철렁 내려않는 듯한 전율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전율에 의한 비명을 유도함으로써 스트레스 해소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유형의 또 다른 놀이기구로서 국제특허출원(PCT) 공개번호 WO 99/47221호에는 사람이 탑승한 캐리어를 허공으로 쏘아 올려 캐리어가 케이블을 통해 고공타워에 지지된 채 허공에서 수직으로 요동치도록 된 이른 바 슬링샷 놀이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1쌍의 고공타워에 각각 수직으로 안내되는 두 케이블의 상단에 캐 리어가 고정되어 있고, 각 케이블의 하단은 상·하부 가동판이 복수의 탄성체들에 의해 연결된 탄성유닛의 하부가동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유닛의 상부가동판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를 지면에 고정시킨 후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면 탄성유닛의 상부가동판이 탄성체들을 팽창시키면서 상승하고, 이어서 캐리어의 구속을 해제하면 하부가동판이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케이블을 당기게 되어 캐리어가 허공으로 발사된다. 이후, 캐리어의 자중과 탄성체의 감쇄 자유진동에 의해 캐리어가 일정시간동안 상하로 진동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아찔하고 짜릿한 스릴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슬링샷 놀이기구는 캐리어의 무게에 의한 탄성체의 진동으로 작동되는 바,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탄성체의 인장과 압축이 용이하도록 그 강성을 일정이하로 설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자칫 탄성체가 피로파괴 될 우려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슬링샷 놀이기구는 탄성체의 절단으로 인한 캐리어의 추락을 방지할 별다른 안전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작동중 항시 대형추락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예컨대, 복수의 탄성체 중에서 1개라도 절단될 경우 나머지 탄성체들이 부담해야 하는 하중이 증가되기 때문에 하부가동판이 지나치게 하강하여 캐리어의 지면충돌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예기치 못한 실린더의 작동불량이 발생할 경우 탄성유닛 자체가 추락하게 되어 캐리어가 지상에 충돌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케이블에 의해 고공타워에 지지된 채 허공에서 요동하는 캐리어가 케이블에 요동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유닛의 파손으로 인해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놀이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케이블에 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유닛의 탄성체에 걸리는 하중을 완전히 제거하여 탄성체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탄성구조의 피로파괴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는, 복수의 가이드포스트를 사각형태로 갖는 프레임; 상부 및 하부가동판이 다수의 탄성체에 의해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구성되고, 프레임내에서 가이드포스트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유닛; 탄성유닛의 상부가동판을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 프레임의 베이스상에 설치되는 고정풀리와 탄성유닛의 하부가동판 밑에 설치되는 가동풀리로 이루어지고, 각 케이블의 하단부를 양자간에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케이블의 신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의 케이블 안내수단; 탄성유닛의 하부에 위치되고 탄성유닛의 추락에 따라 양측으로 신장되어 대향하는 프레임의 가이드포스트에 밀착됨으로써 탄성유닛의 하강을 저지하는 브레이크유닛과, 이 브레이크유닛을 캐리어의 발사에 연동하여 일정높이 상승시켜 지지하는 제2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안전수단;을 포함하고,
안전수단의 브레이크유닛이,
대향하는 두 가이드포스트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양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로드(guide rod)를 구비하여 안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제동블록쌍과, 두 제동블록에 경사링크(link)로 연결되고 추락하는 탄성유닛의 하면에 접촉하여 하강하는 상부받침대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되고 각 제동블록들과 경사링크로 연결되는 하부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가이드포스트의 소정높이에 제2유압실린더의 구동을 제한하는 리밋스위치(limit switch)를 더 구비하여 제2유압실린더를 2단계로 구동함으로써 놀이기구의 비가동시 탄성유닛의 하부가동판을 충분히 상승시켜 탄성체를 무부하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케이블에 지지된 채 허공에서 요동하는 캐리어가 케이블에 요동장력을 부여하는 탄성구조의 파손으로 인해 추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기구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 탄성구조의 탄성체가 무부하 상태로 유지되어 피로누적도 최소화되므로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 및 수명연장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 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에서, 슬링샷 놀이기구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고공타워(T)의 상·하단에 각각 가이드풀리(P)를 구비하여 케이블(W)의 이동을 안내하고, 각 케이블(W)의 상단은 승객이 탑승하는 원형 케이지(cage)상의 캐리어(C)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각 케이블(W)의 하단은 케이블(W)에 탄성적인 신축을 반복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캐리어(C)가 허공에서 수직으로 요동치도록 작동시키는 안전 구동장치(D)에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C)는 지면 또는 발사대(도시하지 않음)에 예를 들어 전자석을 설치하여 전자석의 제어에 의해 위치고정 및 발사시킨다.
도2 내지 도6에서, 안전 구동장치(D)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 케이블(W)에 반복적인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유닛(20)과, 각 케이블(W)이 반복적으로 신축되도록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수단(30) 및 탄성유닛(20)의 파손으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수단(4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베이스(11)와 탑플레이트(top plate:12) 사이에 사각형태로 배치되는 4개의 가이드포스트(13)를 갖는다.
탄성유닛(20)은 상부가동판(22)과 하부가동판(21)이 다수의 탄성체(23)들에 의해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구성된다. 탄성유닛(20)은 프레임(10)의 네 가이드포스트(13)들이 이루는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상부 및 하부가동판(22)(21)의 네 코너부 상하에 대응하는 가이드포스트(13)들의 모서리에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롤러(24)를 각각 구비하여 가이드포스트(13)들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탄성체(23)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고무줄다발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어느 쪽이든 캐리어(C)가 원활히 요동칠 수 있도록 적절한 강성과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탄성유닛(20)은 프레임(10)의 베이스(11)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하부가동판(21)을 관통하는 제1유압실린더(50)의 피스톤로드(51)에 상부가동판 (22)이 연결됨으로써 프레임(10)의 소정높이에 지지되고, 또한 승강된다.
케이블 안내수단(30)은 두 케이블(W)을 각각 안내하도록 제1 및 제2의 안내수단(31)(32)을 갖는다. 각 케이블 안내수단(31)(32)은 프레임(10)의 베이스(11)상에 설치되는 고정풀리(33)와 탄성유닛(20)의 하부가동판(21) 밑에 설치되는 가동풀리(34)로 이루어지고, 이들 고정풀리 및 가동풀리(33)(34)들은 축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케이블(W)을 연속해서 감을 수 있도록 다단풀리로 구성된다.
이는 고정풀리(33)에 대한 가동풀리(34)의 짧은 이동간격으로 케이블(W)에 상당히 긴 신축길이를 제공하여 캐리어(C)가 허공에서 충분히 요동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안전수단(40)은 도2,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유닛(20)의 하부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2개가 구비되어 프레임(10)의 마주보는 두 가이드포스트(13)들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안전수단(40)은 추락하는 탄성유닛(20)과의 접촉에 따라 양측으로 신장되어 가이드포스트(13)에 밀착됨으로써 탄성유닛(20)의 하강을 저지하는 브레이크유닛(41)과, 캐리어(C)가 지면에 충돌하기 전에 탄성유닛(20)의 하강을 멈출 수 있도록 브레이크유닛(41)을 캐리어(C)의 발사에 연동하여 소정높이만큼 상승시켜 지지하는 제2유압실린더(48)를 포함한다.
즉, 브레이크유닛(41)이 캐리어(C)의 발사대기 상태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탄성유닛(20)의 추락시 이를 저지한다 하더라도 캐리어(C)가 지면에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C)가 발사된 후 브레이크유닛(41)을 적절히 상승시켜 주는 것이다.
브레이크유닛(41)은 두 가이드포스트(13)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실린더 (42)와, 이 실린더(42)의 양단에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1쌍의 제동블록(43)과, 실린더(42)의 상측에서 추락하는 탄성유닛(20)을 받쳐주는 상부받침대(45) 및 실린더(42)의 하측에서 제2유압실린더(48)의 피스톤로드(48a)에 고정되는 하부받침대(46)로 이루어진다.
각 제동블록(43)은 내단에 안내로드(43a)를 구비하여 이 안내로드(43a)를 통해 실린더(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압축코일스프링(44)에 의해 가이드포스트(13)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받침대(45) (46)는 경사링크(47)에 의해 두 제동블록(43)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유닛(41)은 대체로 마름모형태를 이루어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브레이크유닛(41)은 제2유압실린더(48)에 의한 승강에도 회전 등의 위치변화가 발생되지 않아야 하는 바, 바람직하기로 각 가이드포스트(13)의 제동면에는 브레이크유닛(41)의 수직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동안내레일(14)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동블록(43)은 제동안내레일(14)을 삽입할 수 있는 채널(channel)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제동안내레일(14)의 마찰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요철 (14a)이 형성되고, 제동블록(43)의 마찰면에는 브레이크패드(43b)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부받침대(45) 위에는 추락하는 탄성유닛(20)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고무 등의 완충부재(49)가 설치된다.
한편, 제2유압실린더(48)는 놀이기구의 비가동시 탄성유닛(20)의 탄성체(23)들이 무부하 상태로 휴식할 수 있도록 2단계로 작동되어, 놀이기구의 비가동시에는 브레이크유닛(41)을 통해 탄성유닛(20)의 하부가동판(21)을 충분히 들어올린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이를 위해 어느 한 가이드포스트(13)의 소정높이에는 캐리어(C)의 발사와 동시에 상승하는 브레이크유닛(41)이 일정높이까지만 상승할 수 있도록 제2유압실린더(48)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밋스위치(60)가 구비된다.
다음,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a는 캐리어(C)가 전자석에 의해 발사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제1 및 제2유 압실린더(50)(48)는 작동되지 않아 그 피스톤로드(51)(48a)들이 축소된 상태이다. 따라서 탄성유닛(20)은 최하위에 위치되고, 그 하부가동판(21)은 케이블(W)에 의해 당겨져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유닛(41)의 상부받침대(45)는 탄성유닛(20)에 의해 눌려져서 그 제동블록(43)들이 양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동블록(43)이 가이드포스트(13)의 제동안내레일(14)들에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캐리어(C)에 승객을 탑승시키고, 기구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먼저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유압실린더(50)가 작동하여 그 피스톤로드(51)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탄성유닛(20)의 탄성체(23)들이 늘어나면서 상부가동판(22)이 프레임(10)의 가이드포스트(13)에 안내되어 소정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부가동판(21)은 전자석 및 케이블(W)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하지 않는다.
이어서, 전자석의 전원이 차단되어 자력이 해제되고, 그러면, 탄성유닛(20)의 하부가동판(21)을 구속하고 있던 케이블(W)의 구속력이 제거되어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유닛(20)의 탄성체(23)들이 그 복원탄성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하부가동판(21)이 가이드포스트(13)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부가동판(21)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안내수단(30)의 가동풀리(34)들도 하부가동판(21)과 함께 상승하게 되는 바, 케이블(W)이 당겨지게 됨으로써 도1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캐리어(C)가 허공으로 발사된다.
그러면, 브레이크유닛(41)의 상부받침대(45)를 누르고 있던 하중이 제거되어 제동블록(43)쌍이 압축코일스프링(44)의 복원탄성에 의해 이탈방향으로 복귀함으로써 제동안내레일(14)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안전수단(40)의 제2유압실린더(48)가 작동되어 브레이크유닛 (41)을 일정높이만큼 상승시킨다. 이때, 브레이크유닛(41)의 상승높이는 가이드포스트(13)에 설치된 리밋스위치(60)가 상승하는 브레이크유닛(41)의 제동블록(43)에 의해 작동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송출, 제2유압실린더(48)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발사된 캐리어(C)는 탄성체(23)의 복귀력에 따라 어느 정도 상승한 뒤, 캐리어(C)와 그에 탑승한 승객의 자중에 의해 다시 하강한다. 그러면, 케이블(W)이 캐리어(C) 쪽으로 당겨져 탄성유닛(20)의 하부가동판(21)이 하강하게 되고, 어느 정도 하강한 후에는 다시 탄성체(23)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캐리어(C)를 다시 상승시키게 되며, 이러한 동작은 탄성체(23)의 자유진동이 소멸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즉, 탄성유닛(20)의 하부가동판(21)은 탄성체(23)들에 의해 상부가동판(22)에 매달려 있어 캐리어(C)가 발사된 뒤에는 감쇄자유진동을 하게 되는 바, 시간이 흐를수록 그 진동폭이 점차 작아지면서 반복적으로 진동을 하게 됨으로써 캐리어 (C)를 허공에서 상하로 요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캐리어(C)의 요동중에 탄성유닛(20)의 탄성체(23), 예컨대 1개이상의 탄성체(23)가 절단되면 나머지 탄성체(23)들에 하중이 가중되어 하부가 동판(21)의 하강높이가 커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하부가동판(21)이 브레이크유닛 (41)의 상부받침대(45)보다 더 하강하여 그를 눌러주게 되면 도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유닛(41)의 제동블록(43)들이 양측으로 신장되어 가이드포스트(13)의 제동안내레일(14)들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하부가동판(21)의 하강을 저지하여 캐리어(C)의 지면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즉, 탄성체(23)의 절단으로 하부가동판(21)이 필요이상으로 하강(또는 추락)하여 브레이크유닛(41)의 상부받침대(45)가 눌려지게 되면, 경사링크(47)가 수평방향으로 더욱 기울어지면서 실린더(42)의 양단에 지지된 제동블록(43)들을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제동블록(43)들이 약간 하강하면서 대향하는 가이드포스트(13)의 제동안내레일(14)들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양자간의 마찰력에 의해 하부가동판(21)의 하강을 저지하게 되어 캐리어(C)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제1유압실린더(50)의 고장 등으로 인한 탄성유닛(20) 자체의 추락시에도 동일하게 작용하여 캐리어(C)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며, 이때의 충격은 상부받침대(45)상에 구비된 완충부재(49)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되기 때문에 브레이크유닛(41)에 가해지는 충격은 크게 완화된다.
한편, 놀이기구를 가동하지 않는 때에는 도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유압실린더(48)에 의해 브레이크유닛(41)을 최대한 상승시켜 탄성유닛(20)의 하부가동판(21)을 충분히 들어올려 줌으로써 탄성체(23)들을 무부하 상태로 유지시켜 탄성체(23)의 불필요한 피로누적을 방지한다.
즉, 놀이기구의 비가동시에는 장치를 휴식모드로 전환하여 리밋스위치(60)의 작동을 중지시킨 뒤, 수동으로 제1유압실린더(50)를 작동시켜 탄성유닛(20)을 상승시키고, 이어서 제2유압실린더(48)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브레이크유닛(41)을 최대한 상승시킨다. 이때에는 리밋스위치(6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제2유압실린더(48)의 피스톤로드(48a)가 최대로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50)를 다시 초기상태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탄성유닛(20)이 하강되다가 그 하부가동판(21)은 브레이크유닛(41)의 상부받침대(45)상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상부가동판(22)만 하강하게 됨으로써 양자를 연결하는 탄성체(23)들이 오므라들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체(23)들이 무부하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불필요한 피로누적이 방지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캐리어(C)는 발사위치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허공에 위치하기는 하나, 캐리어(C)는 원형 케이지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바람에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에 지지된 채 허공에서 요동하는 캐리어가 케이블에 신축을 부여하는 탄성유닛의 파손으로 인해 추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놀이기구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 탄성구조의 탄성체를 무부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피로누적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수명연장에도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케이블을 통해 두 고공타워에 지지된 탑승 캐리어를 허공으로 발사하여 캐리어가 허공에서 상하로 요동치도록 상기 케이블에 반복적인 신축을 부여하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로서,
    복수의 가이드포스트를 사각형태로 갖는 프레임;
    상부 및 하부가동판이 다수의 탄성체에 의해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내에서 가이드포스트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유닛;
    상기 탄성유닛의 상부가동판을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프레임의 베이스상에 설치되는 고정풀리와 상기 탄성유닛의 하부가동판 밑에 설치되는 가동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케이블의 하단부를 양자간에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케이블의 신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의 케이블 안내수단;
    상기 탄성유닛의 하부에 위치되고 탄성유닛의 추락에 따라 양측으로 신장되어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포스트에 밀착됨으로써 탄성유닛의 하강을 저지하는 브레이크유닛과, 이 브레이크유닛을 상기 캐리어의 발사에 연동하여 일정높이 상승시켜 지지하는 제2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안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수단의 브레이크유닛이,
    대향하는 두 가이드포스트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양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로드를 구비하여 안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제동블록쌍과, 두 제동블록에 경사링크로 연결되고 추락하는 탄성유닛의 하면에 접촉하여 하강하는 상부받침대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되고 각 제동블록들과 경사링크로 연결되는 하부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대향면에 제동안내레일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동블록이 채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동안내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안내레일의 마찰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동블록의 마찰면에 브레이크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대 위에 완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포스트의 소정높이에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구동을 제한하는 리밋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제2유압실린더를 2단계로 구동함으로써 놀이기구의 비가동시 상기 탄성유닛의 하부가동판을 충분히 상승시켜 탄성체를 무부하 상 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KR1020030081351A 2003-11-18 2003-11-18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KR100557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51A KR100557352B1 (ko) 2003-11-18 2003-11-18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51A KR100557352B1 (ko) 2003-11-18 2003-11-18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612A KR20050047612A (ko) 2005-05-23
KR100557352B1 true KR100557352B1 (ko) 2006-03-03

Family

ID=3724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351A KR100557352B1 (ko) 2003-11-18 2003-11-18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5494A (zh) * 2017-03-29 2017-07-18 孙维 一种电控高空娱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49B1 (ko) * 2013-11-11 2015-03-04 박찬국 번지샷 놀이기구
CN108553913B (zh) * 2018-04-12 2019-07-05 王斌 一种娱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5494A (zh) * 2017-03-29 2017-07-18 孙维 一种电控高空娱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612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690A (en) Amusement ride with at least one longitudinal guide with a passenger vehicle capable of changes in height
US6319140B1 (en) Amusement device
JPH0623151A (ja) 垂直揺動装置
KR100557352B1 (ko) 슬링샷 놀이기구의 안전 구동장치
US4535983A (en) Recreational device for producing the thrill of a free fall
CN109200589A (zh) 一种可提高安全性能的跷跷板
CA2181352C (en) Swing type amusement ride with pendulum damper
US5638755A (en) Trolley system
KR101258458B1 (ko) 놀이 시설물용 이동형 매달리기 기구 구조물
KR100505184B1 (ko)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AU733482B2 (en) Amusement device
JP2000262753A (ja) 滑走具自動戻り機構付ロープウェイ
WO2014141195A1 (en) Amusement ride
CN216927880U (zh) 一种电梯防坠落教学演示设备
CN216777900U (zh) 一种过山车用可调节安全座椅及游乐园过山车设备
US11904250B2 (en) Apparatus for invoking a free-fall experience
CN211561699U (zh) 跳跃健身设备
JP3418253B2 (ja) 遊戯装置
KR200329169Y1 (ko)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101498549B1 (ko) 번지샷 놀이기구
CN218201635U (zh)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的抗震连接装置
CN215461688U (zh) 一种组合式儿童弹床
CN217148200U (zh) 电梯坠落时轿厢安全防撞机构
JP3426707B2 (ja) 落下遊戯装置
CN205216054U (zh) 一种娱乐用攀爬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