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302B1 -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 Google Patents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302B1
KR100557302B1 KR1020040115044A KR20040115044A KR100557302B1 KR 100557302 B1 KR100557302 B1 KR 100557302B1 KR 1020040115044 A KR1020040115044 A KR 1020040115044A KR 20040115044 A KR20040115044 A KR 20040115044A KR 100557302 B1 KR100557302 B1 KR 100557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d
plate
upper plate
sensor
load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보형
이현오
김병조
Original Assignee
(주)인터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노바 filed Critical (주)인터노바
Priority to KR102004011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3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3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 상측에 위치하고 파드의 반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파드를 장착 및 이송하기 위한 스테이지부, 상기 파드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FIMS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파드가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 1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 2 이송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out function,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a frame portion located above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for carrying out pods, a stage portion for mounting and transferring the pods, and a door of the pod. And a FIMS door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iddle plate, wherein the stage part includes an upper plate on which the pod is mounted, an intermediate plate and a middle plate including a first transfer unit coupled with a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and advancing the upper plate forward and backward. It is coup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veying means for advancing the intermediate plate.

파드, FOUP, 로드포트, 웨이퍼, SMIF, SEMI, FIMS.Pod, FOUP, Loadport, Wafer, SMIF, SEMI, FIMS.

Description

파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P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의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o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o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스테이지부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tate of a stage unit.

도 4는 스테이지부가 최대 스트로크까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tage portion is extended up to the maximum stroke.

도 5는 스테이지부가 최대 스트로크까지 신장되어 파드가 반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로드 포트의 후면 사시도이다.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oad port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ge portion is extended to the maximum stroke and the pod is taken out.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Symbols>

10 : 본체부 20 : 프레임부10: main body 20: frame

21 : 개구부 23 : 가스 공급부21: opening 23: gas supply

30 : 스테이지부 40 : 후면 커버부 30: stage portion 40: rear cover portion

45 : FIMS 도어부 50 : 상부 플레이트45: FIMS door portion 50: upper plate

60 : 중간 플레이트 70 : 하부 플레이트60: middle plate 70: lower plate

본 발명은 로드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드를 장착하는 스테이지부가 3중 플레이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테이지부의 중판부와 상판부가 경계면인 프레임부를 지나 최대 스트로크까지 전진하여 후단의 파드 이송수단이 파드를 이송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파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port, and more particularly, the stage portion for mounting the pod has a triple plate structure, so that the pod conveying means of the rear end is advanced by passing the frame portion of the stag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to the maximum stroke. It relates to a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out function to facilitate the transport.

로드 포트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Wafer) 또는 레티클(Reticle) 등의 자재의 반송과 관련된 자동화 장비로서, 세계 반도체 협회의 하나인 SEMI(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terials International)에서 권고하는 표준안 중 FIMS(Front-opening Interface Mechanical Standard)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에 포함된다.Load ports are automated equipment related to the transfer of materials such as wafers or reticle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The load port is one of the standards recommended by SEMI (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terials International). opening Interface Mechanical Standard) Included in the equipment that makes up the system.

FIMS 시스템 중에서 본 발명의 로드 포트는 웨이퍼 등의 반도체 자재가 적재된 파드를 파드 저장고에 있는 로봇 등의 파드 이송장치로 넘겨주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Among the FIMS systems, the load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face device for transferring pods loaded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such as wafers to pod transfer devices such as robots in pod storage.

SMIF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에서 밀폐형 웨이퍼 저장 용기인 파드는 200mm 웨이퍼에 주로 사용되는 카세트가 분리형이고 하방 개방형인 파드와 300mm 웨이퍼에 주로 사용되는 카세트 일체형이고 전방 개방형인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이 있다. 본 발명은 파드 중에서 특히 FOUP을 후단부의 로봇에 넘겨주는 로드 포트에 관한 것이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SMIF system, pods, which are closed wafer storage containers, include pods with separate and downward open pods mainly used for 200mm wafers, and front-opening unified pods (FOUP), which are cassette-type and front-opened types mainly used for 300mm waf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port that passes the FOUP to the robot at the rear end, particularly among the pods.

일반적인 로드 포트는 포드가 스테이지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매핑을 통한 웨이퍼 적재 상태 검사를 거치면 후단의 로봇이 접근해 포크를 이용하여 파드의 하부를 들어올려 이송하여 정해진 장소에 적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In general, the load port is equipped with a pod mounted on the stage, and after inspection of wafer loading through mapping, the robot at the rear accesses and uses the fork to lift and transport the lower part of the pod to load it at a predetermined place.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로봇의 포크가 상당히 길어야 하므로 이동 거리 및 회전 반경이 증가되어 이송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fork of the robot must be considerably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ing distance and the turning radius are increased to significantly lower the transfer work efficiency.

또한, 회전 반경을 고려해야 하므로 로봇의 작업 공간이 증가되어야 하므로 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dius of rotation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e work space of the robot must be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space utilization.

이러한 이송 작업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의 저하는 반도체 수율의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This reduction in transfer efficiency and space utilization is a serious problem in terms of semiconductor yield.

따라서, 종래의 로드 포트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송 작업 효율성 및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로드 포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load port capable of overcom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load port and increasing the transfer work efficiency and the space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드를 장착하는 스테이지부가 3중 플레이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테이지부의 중판부와 상판부가 경계면인 프레임부를 지나 최대 스트로크까지 전진하여 후단의 로봇이 파드를 이송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파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three-plate structure of the stage portion for mounting the pod to advance to the maximum stroke past the frame portion of the middle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stage It is to provide a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out function for facilitating the bot to transfer the p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파드 반출 기능을 통해 로봇의 포크 길이를 감소시켜 작업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fork length of the robot through the pod carrying ou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and space utiliz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 상측에 위치하고 파드의 반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파드를 장착 및 이송하기 위한 스테이지부, 상기 파드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 한 FIMS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파드가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 1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 2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가능을 갖는 로드 포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portion, the frame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for carrying out the pod, the stage portion for mounting and transporting the pod, the pod And a FIMS door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herein the stage part includes an upper plate on which the pod is mounted, an intermediate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and including first transport means for advancing the upper plate back and forth; A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capability is provided, comprising a lower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transfer means for moving the intermediate plate forward and backwar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의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o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포트는 크게 본체부(10), 프레임부(20), 스테이지부(30) 및 FIMS 도어부(4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load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main body 10, a frame 20, a stage 30, and a FIMS door 45.

본체부(10)는 캐비넷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의 구조를 갖는다. 본체부(10)의 내부에는 메인 보드, 모터부, 가스 제어회로 등이 내장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상면 양측에는 로드 포트의 동작 및 제어를 위한 기능 버튼들(11)이 설치되어 있다. The main body 10 has a shape such as a cabinet and has a symmetrical structure around the center. The main board, the motor unit, the gas control circuit, and the like are built in the main body 10. Function buttons 11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load port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프레임부(20)는 본체부(10)의 상면 후단측에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본체부(10)에 취부되어 있다. 프레임부(20)에는 FOUP(100)이 이송되는 통로인 사각형의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The frame part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part 10 at the rear end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 or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part 10. The frame portion 20 has a rectangular opening 2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OUP 100 is transferred.

스테이지부(30)는 본체부(10) 상면에 두개가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지부(30) 는 FOUP(100)이 장착되면 각 동작 순서에 따라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고, 최종 이송 단계에서 최대 스트로크까지 신장하여 FOUP(100)을 후단의 로봇에 넘겨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테이지부(3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Two stage units 30 ar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0. When the FOUP 100 is mounted, the stage unit 30 performs forward and backward motions according to each operation order, extends to the maximum stroke in the final transfer step, and delivers the FOUP 100 to the robot of the rear stage.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tage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MS 도어부(45)는 본체부(10)의 후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FOUP(100) 도어의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IMS 도어부(45)의 전면 중앙 모서리 측에는 FOUP(100)의 도어(미도시)에 형성된 래치 홀(미도시)에 결합되어 FOUP(100)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래치 키(45-5)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FIMS 도어부(45)의 내부에는 2개의 래치 키(45-5)를 작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The FIMS door part 45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FOUP 100. A latch key 45-5 for opening the FOUP 100 door is formed at a front center corner of the FIMS door part 45 by being coupled to a latch hole (not shown) formed in a door (not shown) of the FOUP 100. Although not shown, a cylinder (not shown) for operating the two latch keys 45-5 is provided inside the FIMS door part 45.

FIMS 도어부(45)의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에는 FOUP(100)이 정상적으로 FIMS 도어부(70)와 결합되었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핀(45-3)이 위치하고 레지스트레이션 핀(45-3)의 둘레에는 FOUP(100) 도어를 진공 흡착시켜 FOUP(100) 도어의 개방 및 이송을 돕기 위한 진공 패드(45-1)가 장착되어 있다.At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of the FIMS door portion 45, a registration pin 45-3 is disposed to check whether the FOUP 100 is normally engaged with the FIMS door portion 70,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gistration pin 45-3 is provided. The vacuum pad 45-1 is attached to the FOUP 100 door by vacuum suction to assist in opening and transporting the FOUP 100 door.

FIMS 도어부(45)의 상면부에는 웨이퍼의 적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매핑 수단(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MS door portion 45 is provided with mapping means (not shown) for inspecting the state of loading of the waf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o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후면에는 FOUP(100)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FIMS 도어부(45)가 설치되고, FIMS 도어부(45)의 외측에 FIMS 도어부(45)를 감싸도록 후면 커버부(40)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FIMS door part 4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UP 100 doo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FIMS door part 45 is located outside the FIMS door part 45. The rear cover portion 4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후면 커버부(40)는 웨이퍼의 적재 상태를 검사하는 매핑 단계에서 FOUP(10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밀폐 수단이다. FOUP(100)이 실제 각 제조 공정으로 반입되기 전 완전한 밀폐상태에서 불활성 가스의 퍼징 단계가 수행되므로 후면 커버부(40)는 완전한 밀폐상태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The rear cover part 40 is a kind of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inside the FOUP 100 in the mapping step of inspecting the loading state of the wafer. Since the purging step of the inert gas is performed in a completely sealed state before the FOUP 100 is actually brought into each manufacturing process, the rear cover portion 40 does not need to provide a complete sealed state.

FIMS 도어부(45)와 후면 커버부(40)의 각 동작 단계에 따라 개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ep of the FIMS door unit 45 and the rear cover unit 40,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raising or lowering individually,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프레임부(20)의 후면 상단에는 불활성 가스 퍼징을 위한 가스 공급부(23)가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스 공급부(23)의 하면에는 다수의 퍼징홀(미도시)이 형성되어 퍼징홀에서 유출된 가스가 하강하여 FOUP(100)의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The gas supply unit 23 for purging the inert gas is installed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frame unit 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purging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as supply unit 23 so that the gas flowing out of the purging holes descends to remove contaminated air from the FOUP 100.

퍼징 단계에서는 후면 커버부(40)가 상승하여 어느 정도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후, 가스 공급부(23)에서 불활성 가스가 방출되어 FOUP(100) 내부를 청정상태로 유지한다.In the purging step, after the rear cover part 40 is raised to form a certain closed space, the inert gas is discharged from the gas supply part 23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FOUP 100 in a clean state.

도 3은 스테이지부(30)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tate of the stage unit 3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부(30)는 상부 플레이트(50), 중간 플레이트(60) 및 하부 플레이트(7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stage part 30 includes an upper plate 50, an intermediate plate 60, and a lower plate 70.

상부 플레이트(50)는 진행방향 쪽으로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웨이퍼 이송수단인 로봇의 포크가 개구부(51)의 하단으로부터 FOUP(100)을 들어올려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개구부(51)의 내측으로는 FOUP(100)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3 개의 키네매틱 커플링 핀(Kinematic Coupling Pin)(52) 및 위치 센서(53)가 장착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50)의 상면 양측부에는 FOUP(100)을 상부 플레이트(50)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부(54)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핑부(54)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며 상하운동 및 회전 운동을 하여 FOUP(100)을 고정시킨다. The upper plate 50 has an opening 51 form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so that the fork of the robot, which is a wafer transfer means, can lift and transport the FOUP 100 from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51. Inside the opening 51, three kinematic coupling pins 52 and a position sensor 53 for detecting whether the FOUP 100 is normally mounted are mounted. In addition, clamping portions 54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0 to closely fix the FOUP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50. The clamping part 54 is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to fix the FOUP 100 by moving up and down and rotating.

중간 플레이트(60)는 상부 플레이트(50)의 하부에 설치되며, 양측면의 각 모서리에 2 쌍의 지지부(68)가 장착되고 2 개의 지지부(68) 간에 가이드 봉(64)이 연결되어 있다. 각 가이드 봉(64)은 2 개의 지지부(68) 사이에 위치한 실린더 부재(67)를 관통하며, 실린더 부재(67)는 상면이 상부 플레이트(50)의 하면 측에 취부되어 실린더 부재(67)가 가이드 봉(64)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연동하여 이동된다.The intermediate plate 60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plate 50, and two pairs of supports 68 are mounted at each corner of both sides, and the guide rods 64 are connected between the two supports 68. Each guide rod 64 passes through a cylinder member 67 located between two support portions 68. The cylinder member 67 has an upper surfac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upper plate 50 so that the cylinder member 67 is formed. When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od 64 is moved in conjunction.

중간 플레이트(60)의 일측면부에는 밸트 수단(62)이 설치되고, 중간 플레이트(60)와 하부 플레이트(70) 사이에는 밸트 수단(62)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모터(61)가 위치한다. Belt means 62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60, and a first motor 61 for driving the belt means 62 is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plate 60 and the lower plate 70.

상부 플레이트(60)의 일측면부에는 브라켓(63)이 취부되는데, 상기 브라켓(63)은 밸트 수단(62)과도 결합되어 있어서, 밸트 수단(62)이 제 1 모터(61)에 의해 구동되면 브라켓(63)이 이에 연동되어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브라켓(63)이 취부된 상부 플레이트(60)가 이동하게 된다. A bracket 63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60, and the bracket 63 is also coupled to the belt means 62, so that the bracket means 62 is driven by the first motor 61. 63 moves in conjunction with this, and as a result, the upper plate 60 on which the bracket 63 is mounted moves.

중간 플레이트(60)에는 상부 플레이트(60)의 위치를 검출하여 이동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 4 센서(66-1 ~ 66-4)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intermediate plate 60 is equipped with first to fourth sensors 66-1 to 66-4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60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pos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do.

하부 플레이트(70)는 중간 플레이트(60)의 하부에 설치되며, 양측면의 각 모서리에 2 쌍의 지지부(76)가 장착되고 2 개의 지지부(76) 간에 가이드 봉(77)이 연결되어 있다. 각 가이드 봉(77)은 2 개의 지지부(76) 사이에 위치한 실린더 부재(미도시)를 관통하며, 실린더 부재는 상면이 중간 플레이트(60)의 하면 측에 취부되어 실린더 부재가 가이드 봉(77)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연동하여 이동된다.The lower plate 70 is installed below the middle plate 60, and two pairs of support parts 76 are mounted at each corner of both sides, and guide rods 77 are connected between the two support parts 76. Each guide rod 77 penetrates through a cylinder member (not shown) located between two support portions 76, and the cylinder member has an upper surfac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intermediate plate 60, so that the cylinder member is guide rod 77. When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it moves in conjunction.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면 일측에는 밸트 수단(73) 및 밸트 수단(73)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모터(71)가 위치한다. 제 2 모터(71)가 밸트 수단(73)을 구동하면 중간 플레이트(60) 및 상부 플레이트(5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0, the belt means 73 and the second motor 71 for driving the belt means 73 is located. When the second motor 71 drives the belt means 73, the intermediate plate 60 and the upper plate 50 move forward and backward.

본 실시예에서 제 1 모터(61) 및 제 2 모터(71)는 기어 모터(Geared Motor)가 사용되며, 기어 모터의 경우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없으므로 상술한 센서(66-1 ~ 66-4)가 필요하다. 만일, 제 1 모터(61) 및 제 2 모터(71)로서 스텝 모터를 사용한다면 이동 거리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센서는 요구되지 않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otor 61 and the second motor 71 are geared motors, and in the case of the gear motors, since the moving distance cannot be controlled, the above-described sensors 66-1 to 66-4. ) Is required. If the step motor is used as the first motor 61 and the second motor 71, since the movement distance can be controlled, a sensor will not be required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 플레이트(70)의 일단 양측에는 발광 및 수광 센서(7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프레임부(20)의 개구부(21) 내측면에 거울 등의 반사수단이 설치되며, 발광 및 수광 센서(74)에서 방출된 빛이 반사수단에 반사되면 발광 및 수광 센서(74)에서 반사광을 인식하여 개구부(21)에 장애물이 없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만일 개구부(21)에 사람의 손 등이 위치하면 발광 및 수광 센서(74)에서 반사광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위험 상태로 인식하여 로드 포트의 동작이 정지된다. One end of the lower plate 70 is provided with light emission and light reception sensors 74.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and 2, reflecting means such as a mirro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21 of the frame part 20,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sensor 74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eans.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74 to recognize that there is no obstacle in the opening 21. Therefore, if a human hand or the like is located in the opening 21, the reflected light cannot be recognized by the light emission and light reception sensor 74,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load port is stopped because it is recognized as a dangerous state.

하부 플레이트(70)의 타단 양측에는 핀치 센서(65)가 위치하여, 양 핀치 센서(65) 간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 스테이지부(30)의 이송 동작을 정지시킨다. The pinch sensor 65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other end of the lower plate 70, and when the obstacle is positioned between the pinch sensors 65,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stage unit 30 is stopped.

도 4는 스테이지부(30)가 최대 스트로크까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ge part 30 is extended to the maximum stroke.

최종 FOUP(100)의 반출 단계에서 제 1 및 제 2 모터(61, 71)가 밸트 수단(62, 72)를 구동하여 밸트 수단(62, 72)이 상부 플레이트(50) 및 중간 플레이트(60)를 최대 스트로크까지 전진시킨다.In the discharging step of the final FOUP 100, the first and second motors 61, 71 drive the belt means 62, 72 so that the belt means 62, 72 are the upper plate 50 and the intermediate plate 60. Advance to maximum stroke.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플레이트(60)에는 4 개의 센서(66-1 ~ 66-4)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센서(66-1)는 좌측 전방에 위치하며, 상부 플레이트(50)의 최대 전방이동 위치 상에 위치하여, 상부 플레이트(50)가 제 1 센서(66-1)까지 이동하면 제 1 센서(66-1)가 이를 검출하여 제 2 모터(7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As described above, four sensors 66-1 to 66-4 ar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60. The first sensor 66-1 is located at the left front side, and is positioned on the maximum forward movement position of the upper plate 50, so that when the upper plate 50 moves to the first sensor 66-1, the first sensor 66-1 detects thi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71. FIG.

제 2 센서(66-2)는 좌측의 제 1 센서(66-1) 위치보다 약간 후방측에 위치하며, FOUP(100) 도어 개방을 위한 상부 플레이트(50)의 전진 위치 상에 위치하여, FOUP(100) 도어 개방 동작 시 상부 플레이트(50)가 제 2 센서(66-2)까지 이동하면 제 2 센서(66-2)가 이를 검출하여 제 2 모터(7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The second sensor 66-2 is located slightly rear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66-1 on the left side, and is located on the forward position of the upper plate 50 for opening the FOUP 100 door, When the upper plate 50 moves to the second sensor 66-2 during the door opening operation, the second sensor 66-2 detects thi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71.

제 3 센서(66-3)는 좌측 후방에 위치하며, 매핑 동작 시 상부 플레이트(50)의 후방 후퇴 위치 상에 위치하여, 상부 플레이트(50)가 매핑이 완료된 후 제 3 센 서(66-3)까지 후퇴하면 제 3 센서(66-3)가 이를 검출하여 제 2 모터(7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The third sensor 66-3 is located at the left rear side, and is located on the rear retreat position of the upper plate 50 during the mapping operation, so that the third sensor 66-3 after the mapping of the upper plate 50 is completed. When retreating up to), the third sensor 66-3 detects thi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71.

제 4 센서(66-4)는 좌측의 제 3 센서(66-1) 위치보다 약간 후방측에 위치하며, 상부 플레이트(50)의 최대 후퇴 위치에 위치하여, FOUP(100)이 반출된 후, 상부 플레이트(50)가 제 4 센서(66-4)까지 후퇴하면 제 4 센서(66-4)가 이를 검출하여 제 2 모터(7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The fourth sensor 66-4 is located slightly rearward from the position of the third sensor 66-1 on the left side, and is located at the maximum retreat position of the upper plate 50, and after the FOUP 100 is taken out, When the upper plate 50 retreats to the fourth sensor 66-4, the fourth sensor 66-4 detects thi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71.

도 4에서와 같이 스테이지부(30)가 최대 스트로크까지 신장되어 FOUP(100)이 반출되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부(50)의 상부 플레이트(50) 및 하부 플레이트(60)가 최대 전진위치까지 이동하면 상부 플레이트(50)가 완전히 프레임부(30)를 관통하여 로드 포트의 후단부로 돌출되므로 웨이퍼 이송 수단이 용이하게 FOUP(100)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a state in which the stage 30 is extended to the maximum stroke and the FOUP 100 is taken out is illustrated in FIG. 5. As shown in FIG. 5, when the upper plate 50 and the lower plate 60 of the stage unit 50 move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the upper plate 50 completely penetrates through the frame unit 30 so that Since it protrudes to the rear end, the wafer transfer means can easily transfer the FOUP 100.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UP의 장착 단계Mounting Steps of the FOUP

우선, FOUP(100)이 스테이지부(30) 상에 장착되면 클램핑부(54)가 FOUP(100)을 스테이지부(30)에 밀착 고정시키고, 키네매틱 커플링 핀(52) 및 위치 센서(53)에 의해 FOUP(100)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 지를 확인한다.First, when the FOUP 100 is mounted on the stage unit 30, the clamping unit 54 tightly fixes the FOUP 100 to the stage unit 30, and the kinematic coupling pin 52 and the position sensor 53. Check whether the FOUP 100 is normally installed.

매핑 단계Mapping phase

FOUP(100)이 스테이지부(30) 상에 정상적으로 장착되면 제 2 모터(61)가 밸트 수단(62)을 구동하여 상부 플레이트(50)를 매핑 전진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FIMS 도어부(45)가 전진하여 FOUP(100) 도어부를 개방하면 제 2 모터(61) 및 밸트 수단(62)의 동작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50)가 매핑 후퇴 위치까지 후진한다. 상부 플레이트(50)가 매핑 후퇴 위치까지 후진하면 FIMS 도어부(45)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FIMS 도어부(45)의 상면에 구비된 매핑 수단이 작동하여 FOUP(100) 내의 웨이퍼 적재 상태를 검사한다. 매핑 동작 동안 후면 커버부(40)가 프레임부(20)의 개구부(21)를 커버한 채로 가스 공급부(23)에서 불활성 가스가 계속 방출되어 FOUP(100)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When the FOUP 100 is normally mounted on the stage part 30, the second motor 61 drives the belt means 62 to move the upper plate 50 to the mapping forward position. When the FIMS door portion 45 moves forward to open the FOUP 100 door portion, the upper plate 50 moves backward to the mapping retreat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61 and the belt means 62. When the upper plate 50 is retracted to the mapping retreat position, the FIMS door part 45 gradually descends and the mapp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MS door part 45 operates to inspect the wafer loading state in the FOUP 100. During the mapping operation, the inert gas is continuously discharged from the gas supply part 23 while the rear cover part 40 covers the opening 21 of the frame part 20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FOUP 100 from being contaminated.

FOUP 도어 로킹 및 FOUP 후진 단계FOUP Door Locking and FOUP Reverse Steps

매핑이 완료되면, FIMS 도어부(45)가 다시 상승하여 FOUP(100) 도어를 로킹하고 상부 플레이트(50)가 다시 매핑 후퇴 위치로 후진한다. When mapping is complete, the FIMS door 45 rises again to lock the FOUP 100 door and the top plate 50 backs to the mapping retreat position.

FOUP 반출 단계FOUP export step

최종적으로, 후면 커버부(40) 및 FIMS 도어부(45)가 하강하면, 제 1 모터부(61) 및 제 2 모터부(71)가 동시에 동작하여 상부 플레이트(50)와 중간 플레이트(60)가 최대 스트로크까지 전진하여 FOUP(100)을 후단의 웨이퍼 이송 수단으로 넘겨 준다. 이 때, 상부 플레이트(50)는 완전히 프레임부(20)를 넘어 로드포트의 후단으로 돌출되어 FOUP 이송 수단이 용이하게 FOUP(100)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Finally, when the rear cover portion 40 and the FIMS door portion 45 are lowered, the first motor portion 61 and the second motor portion 71 operat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upper plate 50 and the intermediate plate 60 are operated. Advances to the maximum stroke and passes the FOUP 100 to the wafer transfer means at a later stage.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50 completely protrudes beyond the frame portion 20 to the rear end of the load port to allow the FOUP transfer means to easily transfer the FOUP 1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파드를 장착하는 스테이지부가 3중 플레이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테이지부의 중판부와 상판부가 경계면인 프레임부를 지나 최대 스트로크까지 전진하여 후단의 로봇이 파드를 이송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파드 반출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age portion for mounting the pod has a triple plate structure, the pod is carried out to advance the maximum stroke through the frame portion where the middle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stage portion are at the interface, so that the robot at the rear end can easily transfer the p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ad port having a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파드 반출 기능을 통해 로봇의 포크 길이를 감소시켜 작업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and space utilization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fork of the robot through the pod carrying ou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10)

본체부;Main body; 상기 본체부의 후면 상측에 위치하고 파드의 반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부;A frame part dispos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n opening for carrying out pods; 상기 파드를 장착 및 이송하기 위한 스테이지부;A stage unit for mounting and transporting the pod; 상기 파드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FIMS 도어부를 포함하고,FIMS door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pod,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파드가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 1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중간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 2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The stage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pod is mounted, the middle plate including first transfer mean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and advanc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intermediate plate. A lower plate comprising a second conveying means for thickening, 상기 파드의 반출 동작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중간 플레이트가 최대 스트로크까지 전진하여 상기 파드를 반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가능을 갖는 로드 포트.The load port having a pod can be carried ou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is advanced to the maximum stroke by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ans in the carrying out operation of the pod to carry out the p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장착되고, 매핑 동작 시 상기 FIMS 도어부를 감싸도록 상기 FIMS 도어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의 오염 물질이 상기 파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 커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가능을 갖는 로드 포트.It is moun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pod out of the FIMS door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FIMS door portion during the mapping operation further comprises a rear cover portion to prevent the external pollutants from entering the pod Load port with en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파드를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The upper plate of the stage portion includes a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ing portion for closely fixing the po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The intermediate plate is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지지부;Support part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intermediate plate; 상기 지지부 간에 연결된 가이드 봉;A guide rod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s; 상기 가이드 봉이 관통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And a cylinder member through which the guide rod is penetrated and fastened to the upper pl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부 플레이트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The intermediate plat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to control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upper plate load port having a pod carrying func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센서부는The sensor unit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 1 전진 위치를 검출하는 제 1 센서;A first sensor for detecting a first forward position of the top plate;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 2 전진 위치를 제 2 센서;A second sensor for positioning the second forward position of the upper plate;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 1 후퇴 위치를 검출하는 제 3 센서; 및A third sensor detecting a first retracted position of the top plate; And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제 2 후퇴위치를 검출하는 제 4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And a fourth sensor for detecting a second retracted position of said top pl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1 이송수단은 The first conveying means 제 1 모터;A first motor; 상기 제 1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밸트수단; 및First belt means driven by the first motor; And 일측이 상기 제 1 밸트수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밸트수단의 동작 시 그에 연동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One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belt means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having a pod carr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for moving the upper plate forward and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belt means. Loading po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이송수단은 The second conveying means 제 2 모터; 및A second motor; And 상기 제 2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중간 플레이트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제 2 밸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And a second belt means which is driven by the second motor to move the intermediate plate back and forth.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프레임부는 개구부 내측면에 반사수단을 포함하고,The frame portion includes a reflecting mea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일단부에 빛을 방출하고 상기 반사수단에 의한 반사광을 검출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부 간의 장애물 유무를 검출하는 발광 및 수광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The lower plate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and light receiving sensor unit which emits light at one end and detects the reflected light by the reflecting mean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frame unit. Loading por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The lower plate is 타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단부 부근의 장애물 유무를 검출하는 핀치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드 반출 기능을 갖는 로드 포트.And a pinch sensor unit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other end and detecting a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end.
KR1020040115044A 2004-12-29 2004-12-29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KR1005573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44A KR100557302B1 (en) 2004-12-29 2004-12-29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044A KR100557302B1 (en) 2004-12-29 2004-12-29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212U Division KR200380341Y1 (en) 2004-12-29 2004-12-29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302B1 true KR100557302B1 (en) 2006-03-10

Family

ID=3717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044A KR100557302B1 (en) 2004-12-29 2004-12-29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30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288B1 (en) * 2006-08-18 2008-07-04 (주)인터노바 An Manual Indexer For POD
KR101285077B1 (en) 2011-07-12 2013-07-17 로체 시스템즈(주) Loading apparatus for shut tight type cassette
KR101459216B1 (en) * 2012-11-16 2014-11-1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Loading port, system for etching and cleaning wafers and method of u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288B1 (en) * 2006-08-18 2008-07-04 (주)인터노바 An Manual Indexer For POD
KR101285077B1 (en) 2011-07-12 2013-07-17 로체 시스템즈(주) Loading apparatus for shut tight type cassette
KR101459216B1 (en) * 2012-11-16 2014-11-12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Loading port, system for etching and cleaning wafers and method of use
US9136149B2 (en) 2012-11-16 2015-09-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Loading port, system for etching and cleaning wafers and method of use
US9583352B2 (en) 2012-11-16 2017-02-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etching and cleaning waf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0394B2 (en) Substrate transfer section
KR100688436B1 (en) Universal tool interface and/or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for smif and open pod applications
US7445415B2 (en) Direct tool loading
JP4246420B2 (en) FOUP opener and FOUP opener mapping method
TWI400753B (en)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system
EP1793420B1 (en) Attaching and removing unit of lid for wafer carrier
JP7148825B2 (en) Load port and substrate transfer system with load port
KR20130116021A (en) Substrate transfer device, substrate transfer method, and storage medium
EP1252079B1 (en) Wafer transport system
KR1006065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substrate
TW202043121A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carrier transporting method, and carrier buffer device
KR100557302B1 (en)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KR200380341Y1 (en) A Load Port Having Function For Carring Out POD
KR100593424B1 (en) FIMS loader with double door structure
KR20140074627A (en) Wafer mapping system
US20090035098A1 (en) Lid opening/closing system for closed container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100717988B1 (en)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Semiconductor Material
KR100852468B1 (en) A Load Port Direct-Coupled to Loadlock Chamber
CN116391249A (en) Load port
US20020106267A1 (en) Container and loader for substrate
KR1009403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of wafer protrusion
KR100594371B1 (en)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KR200376772Y1 (en) A Loader For FIMS Having Double Door
KR100835177B1 (en) A transportation system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material
KR100540973B1 (en) SMIF Loader for Transfer of Material Storage Box at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