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371B1 -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 Google Patents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371B1
KR100594371B1 KR1020050027094A KR20050027094A KR100594371B1 KR 100594371 B1 KR100594371 B1 KR 100594371B1 KR 1020050027094 A KR1020050027094 A KR 1020050027094A KR 20050027094 A KR20050027094 A KR 20050027094A KR 100594371 B1 KR100594371 B1 KR 10059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unit
stage
op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보형
이현오
김병조
Original Assignee
(주)인터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노바 filed Critical (주)인터노바
Priority to KR102005002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3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4Wafer cassette trans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파드 장착을 위한 상면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카세트 반출을 위한 측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상면 개구부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여 상기 상면 개구부에 안착된 카세트 본체부를 카세트 커버로부터 착탈시키는 스테이지부, 상기 스테이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송부, 상기 스테이지부에 의해 탈거된 상기 카세트 본체부를 파지하여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반출시키는 카세트 이송부,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시 동반 회동되어 상기 카세트 이송부의 일측에 걸림결합 또는 걸림결합 해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수직축 결합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반도체 자재가 상기 카세트 장착 위치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센서부로부터 이탈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작동하여 상기 이탈된 반도체 자재를 상기 카세트내의 장착 위치로 재위치시키는 재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surface opening for pod mounting on the top surface and a side opening for cassette ejection on one side, and the cassette body portion seated in the top opening by moving up and down from the bottom of the top opening and detaching from the cassette cover. A stage transfer uni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tage unit to move the stage unit up and down, a cassette transfer unit which grips the cassette main unit detached by the stage unit and takes it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opening; Is coupled to one side, the vertical axis engaging portion including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includes a locking portion that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is engaged or released by one side of the cassette transfer unit,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A first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cassette is separated from the cassette mounting posi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is operated when a deviation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to operate the separated semiconductor material to the mounting position in the cassette. And a remounting portion for repositioning.

반도체, SMIF, 카세트, 로드포트, 로더, SEMI, 웨이퍼. Semiconductor, SMIF, Cassette, Load Port, Loader, SEMI, Wafer.

Description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Loader device having a cassette carrying function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oader device having a cassette e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ader device having a cassette e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스테이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tage unit.

도 4는 암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rm portion.

도 5는 스테이지 이송부와 카세트 이송부가 수직축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ge transfer unit and the cassette transfer unit are coupled by the vertical axis coupling unit.

도 6은 수직축 결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axis coupling portion.

도 7은 센서부와 재장착부가 구비된 포트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rt plate provided with a sensor unit and a remounting unit.

도 8은 재장착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remounting portion.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Symbols>

1 : 로더장치1: Loader device

10 : 본체부 10: main body

20 : 스테이지부20: stage part

30 : 카세트 이송부 30: cassette transfer unit

40 : 스테이지 이송부40: stage transfer unit

50 : 수직축 결합부50: vertical coupling portion

70 : 포트 플레이트70: port plate

74 : 센서부74: sensor

73 : 재장착부73: reattachment

100 : 파드100: Pod

본 발명은 로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자재 특히 웨이퍼를 수납하는 용기인 카세트의 로딩, 언로딩뿐만 아니라 카세트의 반출이 가능하고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스테이지부와 카세트 이송부의 Z축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loading and unloading a cassette, which is a container for storing semiconductor materials, in particular, a wafer, as well as a carrying out of the casset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er device having a cassette ejection function capable of controlling movement.

본 발명의 로더장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Wafer) 또는 레티클(Reticle) 등의 자재의 반송과 관련된 자동화 장비로서, 세계 반도체 협회의 하나인 SEMI(Semiconductor Equipment and Meterials International)에서 권고하는 표준안 중 SMIF(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terials International)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에 포함된다.The load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equipment related to the transport of materials such as wafers or reticles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and is a SMIF among standards recommended by SEMI (Semiconductor Equipment and Meterials International) (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terials International) Included in the equipment making up the system.

SMIF는 국부청정에 관한 것으로 웨이퍼 제조 공정 중 발생 가능한 공기 중의 미세 오염물질인 파티클의 차단을 위해 밀폐된 웨이퍼 저장 용기인 파드, 국부적인 공간만을 청정상태로 유지하는 ME(Mini-environment) 및 파드와 ME 혹은 공정장비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들에 대해 최소한의 공통규격을 제안하고 있다.SMIF is concerned with local cleanliness, which is a closed wafer storage container pod to block particles, which are air pollutants that may occur during wafer manufacturing process, and mini-environment (ME) and pod that keeps only the local space clean. A minimum common standard is proposed for devices for interface between ME or process equipment.

SMIF 시스템 중에서 본 발명의 로더장치는 카세트에 수납된 웨이퍼, 레티클 등의 반도체 자재를 다음 공정으로 넘겨주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Among the SMIF systems, the load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face device for transferring semiconductor materials such as wafers and reticles stored in a cassette to the next step.

SMIF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에서 밀폐형 웨이퍼 저장 용기인 파드는 200mm 웨이퍼에 주로 사용되는 카세트가 분리형이고 하방 개방형인 파드와 300mm 웨이퍼에 주로 사용되는 카세트 일체형이고 전방 개방형인 FOUP(Front Open Unified Pod)이 있다. 본 발명은 파드 중에서 하방 개방형인 200mm용 파드에 수납된 카세트를 후단 공정으로 넘겨주는 로더장치에 관한 것이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SMIF system, the pod, which is a closed wafer storage container, includes a pod which is a separate and downward open pod mainly used for 200 mm wafers, and a front-open unified FOUP which is a cassette integrated and mainly used for 300 mm waf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er device for passing a cassette housed in a 200 mm pod which is a downward opening type among pods to a rear end process.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03-17298호에서 파드의 자동개폐 및 반송용 SMIF 로더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Applicant has proposed a SMIF loader device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d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3-17298.

상기 SMIF 로더장치는 수직 이송 구조물이 부착된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수직으로 결합되고, 제어반, 팬, 청정기류 유입을 위한 커버가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수직 이송 구조물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 부착이 가능한 포트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수직 이송 구조물에 부착 가능한 스테이지 및 수평 이송 구조물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개구부를 통해 카세트를 연결 장비의 내부로 로딩하는 카세트 로딩장치를 포함한다. The SMIF loader device is attached to the main plate attached to the vertical transport structure, the base plat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main plate, the control panel, the fan, the cover for the inlet of the clean air flow is mounted, the vertical transport structure of the main plate A port plate that can be fixedly attached to a base, a stage fixedly attached to the base, a stage that can be attached to a vertical transport structure of the main plate, and a horizontal transport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cassette for loading the cassette into the connection equipment through the opening of the main plate. It includes a loading device.

그러나, 상기 SMIF 로더장치의 카세트 로딩장치는 수평 이송 구조물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수평방향으로만 전후진 가능하여 카세트를 후단의 연결 장비로 내어 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카세트를 후단 연결 장비에 내려 놓을 수 없어 후단의 연결 장비에는 카세트를 받아 적재하기 위한 로봇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공정의 증가를 가져오며 따라서 반도체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assette loading device of the SMIF loader device has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horizontal transpor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erform only the function of discharging the cassette to the rear connection equipment and to put the cassette on the rear connection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a robot device for receiving and loading cassettes is required in the rear end connection equipment,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additional processes and thus a decrease in semiconductor production yield.

이에 출원인은 상기 출원된 SMIF 로더장치를 한층 개량하여 카세트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가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함과 아울러 카세트 이송부를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현하지 않고 수직방향의 이동이 요구되는 동작 단계에서 스테이지 구동부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효율성 및 단가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is regard, the Applicant further improves the SMIF loader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so that the cassette convey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casset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vertically moved and the cassette conveying unit is not implemented by a separate motor. In the operation step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tage driving unit to provide a loader device having a cassette carrying function that can bring space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카세트 이송부를 2중 레일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카세트 이송부의 구조를 보다 개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assette transfer unit by implementing the cassette transfer unit in a double rail structure.

또한, 웨이퍼가 카세트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이를 재장착하기 위한 재장착부의 구조를 보다 구체화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Also, when the wafer protrudes from the cassette, the structure of the remounting portion for remounting the wafer is more concretely and efficiently implemen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 파드 장착을 위한 상면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카세트 반출을 위한 측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상면 개구부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여 상기 상면 개구부에 안착된 카세트를 파드 커버로부터 착탈시키는 스테이지부, 상기 테이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송부, 상기 스테이지부에 의해 탈거된 상기 카세트를 파지하여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반출시키는 카세트 이송부,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시 동반 회동되어 상기 카세트 이송부의 일측에 걸림결합 또는 걸림결합 해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수직축 결합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반도체 자재가 상기 카세트 장착 위치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센서부로부터 이탈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작동하여 상기 이탈된 반도체 자재를 상기 카세트내의 장착 위치로 재위치시키는 재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surface opening for the pod mount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side opening for carrying out the cassette on one side, by moving up and down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opening A stage portion for detaching the cassette seated in the upper surface opening from the pod cover, a stage transfer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pered portion for moving the stage up and down, and holding the cassette removed by the stage portion to open the side opening. Cassette conveying unit to be carri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age conveying portion,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to engage or release the engagement on one side of the cassette conveying unit Vertical shaft coupling portion including the engaging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t is provided on one side an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nsor unit and the main body portion for detecting whether 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cassette mounting position and operates when the departu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There is provided a loader apparatus having a cassette discharging function, comprising a remounting portion for repositioning the gear to a mounting position in the cassett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oader apparatus 1 having a cassette ejec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1)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0)의 포트 플레이트(70)에 파드(100)가 안착되는 상면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 반도체 자재가 반출되는 통로인 측면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oader apparatus 1 having a cassette ej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surface opening (not shown) in which a pod 100 is seated on a port plate 70 of a main body portion 1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Is formed and a side opening 12,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carried ou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포트 플레이트(70)에는 재장착부(73) 및 클램핑부(75)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port plate 70 is provided with a remounting portion 73, a clamping portion 75,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ader device 1 having a cassette ejec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더장치(1)의 내부 구조는 크게 스테이지부(20), 스테이지 이송부(40) 및 카세트 이송부(3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oader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stage unit 20, a stage transfer unit 40, and a cassette transfer unit 30.

스테이지부(20)는 상면 개구부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여 상면 개구부에 안착된 파드(100)의 카세트(110)를 파드 본체로부터 착탈시키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조는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stage 20 moves up and down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to detach the cassette 110 of the pod 100 seated in the upper surface opening from the pod body, and a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스테이지 이송부(40)는 스테이지부(2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스테이지부(20)를 상하 이동시킨다.The stage transfer unit 4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unit 20 to move the stage unit 20 up and down.

스테이지 이송부(40)는 스테이지부(20)의 하면 일측과 결합되어 스테이지부(20)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부(43)와 스테이지 지지부(43)의 수직 방향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41)로 이루어진다.The stage transfer part 40 is composed of a stage support part 43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age part 20 to support the stage part 20 and a guide part 41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age support part 43. .

카세트 이송부(30)는 스테이지부(20)에 의해 탈거된 상기 카세트(110)를 파지하여 측면 개구부(12)를 통해 외부로 반출시킨다.The cassette transport unit 30 grips the cassette 110 removed by the stage unit 20 and is carri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opening 12.

카세트 이송부(30)는 다시 제 1 가이드부(31), 제 2 가이드부(33) 및 암부(35)로 구성된다.The cassette transfer part 30 is again composed of a first guide part 31, a second guide part 33, and an arm part 35.

제 1 가이드부(31)는 일면이 본체부(10)의 내측면 일측에 부착되고 측면 개구부(11) 방향으로 상하 두 줄의 장공(32)이 형성되어 있다. One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31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wo long holes 32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rows in the side opening 11.

제 2 가이드부(33)는 측면 개구부 방향으로 두 줄의 장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일면이 제 1 가이드부(31)의 두 줄의 장공(32)에 결합되어 제 1 가이드부(31)에 형성된 장공(32)을 따라 측면 개구부(12)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한다. The second guide portion 33 has two rows of long holes 34 formed in the side opening direction, and one surface thereof is coupled to two rows of long holes 32 of the first guide portion 31 so that the first guide portion 31 I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opening 12 along the long hole 32 formed in the).

암부(35)는 일측면이 고정 브라켓(미도시)를 통해 제 2 가이드부(33)에 형성된 장공(34)과 결합하여 장공(34)을 따라 측면 개구부(12)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고, 카세트(110)를 파지하는 두 개의 로봇암 형상의 파지부(36)가 형성되어 있다. Arm portion 35 is coupled to the long hole 34 formed in the second guide portion 33 through a fixing bracket (not shown)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opening 12 along the long hole 34, Two robot arm-shaped gripping portions 36 that hold the cassette 110 are formed.

도 3은 스테이지부(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stage unit 20.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파드(100)에는 모서리측에는 퍼징을 위한 퍼징홀(28)이 두 개 천공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pod 100 is perforated with two purging holes 28 for purging at the corners.

스테이지부(20)에는 방향식별이 가능하도록 3 개의 레지스트레이션 핀(21) 및 파드(10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3 개의 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지부(20)의 중앙측에는 카세트(110)를 파드(100)로부터 탈거 또는 장착시키기 위한 2개의 래치 키(25)가 위치한다. 2개의 래치 키(25)는 카세트(110)의 하면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결합한 후 회전하면 카세트(110)가 파드 본체(100)로부터 탈거된다.The stage 20 is provided with three sensors 23 for detecting whether the three registration pins 21 and the pods 100 are normally mounted to allow direction identification. Two latch keys 25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tage 20 to remove or mount the cassette 110 from the pod 100. When the two latch keys 25 are coupled to grooves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sette 110 and rotated, the cassette 110 is removed from the pod body 100.

래치 키(25)의 우측에는 파드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파드 감지 센서(27)가 설치되어 있다.The right side of the latch key 25 is provided with a pod detection sensor 27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d.

카세트(110)에 형성된 퍼지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2개의 쓰루홀(28)이 천공되어 있고, 쓰루홀(28)의 내면측에는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Two through holes 28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urge holes formed in the cassette 110 are drilled, and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through holes 28.

일측의 쓰루홀(28) 및 퍼지홀을 통해 퍼징 가스가 유입되고 내부 가스가 타측의 쓰루홀(28) 및 퍼지홀을 통해 배출될 때 진공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퍼지홀이 없는 부분의 파드(100)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고 약간 떠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스테이 지부(20) 상에 파드(100)를 진공흡착하여 파드(100)를 고정 및 안착시키는 진공패드(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When the purging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28 and the purge hole on one side, and the internal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28 and the purge hole on the other side, vacuum pressure may be generated. The pod 100 may be slightly floating without being properly mounted. 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vacuum pad (not shown) may be installed to fix and seat the pod 100 by vacuum-adsorbing the pod 100 on the stage 20 to remove this phenomenon.

도 4는 암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rm portion.

암부(35)는 파지부(36)를 수평이동시켜 파지부(36)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카세트(110)를 파지하도록 구동하는 모터부(35-3) 및 상기 파지부(36)의 최대 간격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파지부(36) 일측이 최대 간격의 위치까지 이동된 경우 위치를 검출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모터부(35-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부(35-1)가 구비되어 있다. The arm part 35 horizontally moves the grip part 36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grip parts 36 to drive the grip part of the cassette 110 and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motor part 35-3 and the grip part 36. The sensor unit 35-1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35-3 to detect the position and to no longer move when one side of the grip unit 36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maximum interval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 Is provided.

카세트(110)를 파지하는 부분인 파지부(36)는 카세트(110)의 측면 하단과 하면 일측에 접하도록 양측이 "L"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파지부(36)의 양측에는 상기 카세트 본체부의 하면이 파지부(36)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부(37) 중 일측은 카세트(110)의 우측전단이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카세트(110)의 좌측후단이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카세트(110)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The gripping portion 36, which is a portion for holding the cassette 110, is formed in an “L” shaped cross-sectional shape on both sides of the gripping portion 3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ssette 110, and on both sides of the gripping portion 36. A sensor portion 37 for detecting whe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seated on the grip portion 36 is formed. One side of the sensor unit 37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right front end of the cassette 110 is seated, and the other side is the left rear end of the cassette 110 seated. It is formed at the position to check whether the cassette 110 is normally seated.

도 5는 스테이지 이송부(40)와 카세트 이송부(30)가 수직축 결합부(50)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수직축 결합부(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ge transfer unit 40 and the cassette transfer unit 30 are coupled by the vertical shaft coupling unit 50,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vertical shaft coupling unit 50.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 결합부(50)는 스테이지 이송부(40)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있고, 카세트 이송부(30)의 수직 이동 동작시에만 카세트 이송부(30)와 결합하여 스테이지 이송부(40)이 수직 이동 시 카세트 이송부(30)가 그에 연동하여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vertical shaft coupling unit 50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tage transfer unit 40, and is coupled to the cassette transfer unit 30 only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peration of the cassette transfer unit 30. 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ssette transfer unit 30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in conjunction with it.

도 6을 참조하면, 수직축 결합부(50)는 원통형 회전체(51)와 상기 원통형 회전체(51)에 결합되어 원통형 회전체(51)의 회전 시 90°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걸림부(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vertical shaft coupling part 50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rotating body 51 and the cylindrical rotating body 51 so as to rotate within a 90 ° range when the cylindrical rotating body 51 rotates. ).

걸림부(53)는 원통형 회전체(51)의 회전에 따라 접혀진 제 1 위치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제 2 위치를 갖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카세트 이송부(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스테이지 이송부(40)의 상하이동시 카세트 이송부(30)가 연동되어 상하이동하도록 한다.The locking portion 53 has a first position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rotor 51 and a second position unfolded as shown in FIG. 6, and positioned below the cassette transfer portion 30 in the second position. The simultaneous delivery of the cassette feeder 30 to the shanghai stage transfer unit 40 is linked to the shanghai.

도 7은 센서부(74)와 재장착부(75)가 구비된 포트 플레이트(7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port plate 70 having the sensor unit 74 and the remounting unit 75.

포트 플레이트(70)에는 상면 개구부 부근에 파드(100)를 로딩할 때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제공하기 위한 8개의 파드 가이딩 핀(71) 및 파드(100)를 상부 플레이트(12)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클램핑부(73)가 설치되어 있다. 클램핑부(73)는 박스형태로 외장되어 내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내부는 후크형 클램프가 장착되어 클램핑부(73)에 형성된 개구부(77)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포트 플레이트(70)에 장착된 파드(100)의 모서리를 하방으로 눌러 파드(100)를 고정시킨다.Fastening eight pod guiding pins 71 and pods 100 to the top plate 12 to provide the correct position and orientation when loading the pods 100 near the top opening in the port plate 70. Two clamping parts 73 are provided. The clamping part 73 is externally shaped in a box shape, and the inside thereof is not shown, but the inside of the clamping part 73 is mounted to the port plate 70 by protruding outward through an opening 77 formed in the clamping part 73. Press the corner of the pod 100 downward to fix the pod 100.

본체부(10)의 상단 즉 포트 플레이트(70)의 하단부에는 센서부(7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웨이퍼 등의 반도체 자재가 카세트(110)에서 돌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The sensor unit 7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that is, at the lower end of the port plate 70, for detecting whether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a wafer protrudes from the cassette 110.

포트 플레이트(70)의 내면 일측에는 재장착부(7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센서부(74)로부터 이탈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작동하여 이탈된 반도체 자재를 카세트(110)의 원래 장착 위치로 재위치시키는 것이다.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plate 70 is provided with a remounting portion 75, which operates when a departu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portion 74 to reposition the separated semiconductor material to the original mounting position of the cassette 110. It is to let.

도 8은 재장착부(75)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remounting portion 75.

도 8을 참조하면 재장착부(75)는 포트 플레이트(7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몸체부(75-1)와 일단이 몸체부(75-1)의 상면 및 포트 플레이트(70)의 상면을 관통해 포트 플레이트(70)의 상면부로 돌출된 모터부(75-3) 및 상기 모터부(75-3)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75-3)의 구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타격부(75-5)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remounting unit 75 may include a body 75-1 and one end of the body 75-1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port plate 7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late 75-1 and the top surface of the port plate 7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otor portion 75-3 and the motor portion 75-3 protrud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port plate 7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drive of the motor portion 75-3 The striking part 75-5 is comprised.

타격부(75-5)는 제 1 위치에서 몸체부(75-1)와 나란하게 위치해 있다가 센서부(74)로부터 이탈 검출 신호가 수신되어 모터부(75-3)가 동작하면 몸체부(75-1)와 수직을 이루는 제 2 위치로 회전하여 카세트(110)로부터 돌출된 반도체 자재를 타격하여 원위치로 재장착시킨다.The striking portion 75-5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body portion 75-1 at the first position, and when the departu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portion 74 to operate the motor portion 75-3, the body portion ( 75-1) is rotated to a second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osition to hit the semiconductor material protruding from the cassette 110 to be mount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 ~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더장치(1)의 로딩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언로딩 동작은 로딩 동작의 역순이므로 로딩 동작의 이해로 충분할 것이다.Hereinafter, a loading operation of the load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Since the unloading operation is the reverse of the loading operation, understanding the loading operation will be sufficient.

파드의 장착 단계Mounting Steps of the Pod

우선, 작업자 또는 자동화된 무인반송대차(AGV : Automatic Guided Vehicle)등에 의해 파드(100)가 본체부(10)의 포트 플레이트(70) 상에 장착되면 클램핑부(73)가 파드(100)를 포트 플레이트(70)에 밀착 고정시킨다.First, when the pod 100 is mounted on the port plate 70 of the main body portion 10 by an operator or an automated guided vehicle (AGV: Automatic Guided Vehicle), the clamping portion 73 ports the pod 100. The plate 70 is fixed tightly.

이 때 상승위치에 있던 스테이지부(20)가 파드 감지 센서(27), 레지스트레이션 핀(21) 및 위치 센서(23)에 의해 파드(10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 지를 확인한다.At this time, it is checked whether the pod 100 is normally mounted by the pod detection sensor 27, the registration pin 21, and the position sensor 23 in the stage 20 in the raised position.

퍼징 단계Purging step

파드(100)가 포트 플레이트(70)에 밀착 고정되면 스테이지부(20)에 형성된 쓰루홀(28)을 통해 N2 등의 퍼징 가스가 파드(100)의 퍼징홀로 유입되어 파드(100)의 내부를 청정상태로 만들어 준다.When the pod 100 is tightly fixed to the port plate 70, a purging gas, such as N 2 , is introduced into the purging hole of the pod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28 formed in the stage 20. Makes it clean.

파드 하부면 개방 단계Pod bottom opening step

퍼징 동작이 완료되면, 스테이지부(20)의 래치 키(25)가 파드(100) 하면부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된 후 회전하여 카세트(110)를 파드 본체(100)와 분리시킨 후 소정 위치까지 하강한다. When the purg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latch key 25 of the stage unit 20 is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100 and then rotated to separate the cassette 110 from the pod body 100 and the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Descends.

카세트 적재 여부 검사 및 스테이지부 하강 단계Cassette loading check and stage lowering stage

스테이지부(20)가 소정 위치로 하강하면 암부(35)가 파드 하면부(150) 상에 카세트(110)가 적재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 후 전진이동하여 파지부(36)가 카세트(110)를 파지한다.When the stage part 20 descend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arm part 35 checks whether the cassette 110 is loaded on the bottom surface part 150, and then moves forward to move the grip part 36 to the cassette 110. Gripping.

카세트(110)가 파지되면 스테이지부(20)가 수직축 결합부(50)가 카세트 이송 부(30)의 하단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한다.When the cassette 110 is gripped, the stage unit 20 is lowered until the vertical shaft coupling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sette transfer unit 30.

카세트 반출 단계Cassette Export Step

수직축 결합부(50)가 펼쳐진 후 스테이지 이송부(40)가 상방 이동하여 스테이지부(20)를 상승시키고 수직축 결합부(50)와 결합된 카세트 이송부(30)가 연동하여 상방 이동한다. After the vertical shaft coupling unit 50 is unfolded, the stage transfer unit 40 moves upward to raise the stage unit 20, and the cassette transfer unit 30 coupled with the vertical shaft coupling unit 50 moves upwar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카세트 이송부(30)가 반출 위치까지 상승하면 제 2 가이드부(33) 및 암부(35)가 각각 최대 스트로크까지 전진하여 카세트(110)를 다음 공정으로 넘겨준다.When the cassette feeder 30 is raised to the unloading position, the second guide 33 and the arm 35 are advanced to the maximum stroke, respectively, to pass the cassette 110 to the next proces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카세트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가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함과 아울러 카세트 이송부를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현하지 않고 수직방향의 이동이 요구되는 동작 단계에서 스테이지 구동부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효율성 및 단가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ssette drive unit for transferring the casset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and the stage drive unit in the operation step is requir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implementing the cassette transfer unit by a separate mo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ader device having a cassette carrying function that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to bring about space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카세트 이송부를 2중 레일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카세트 이송부의 구조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cassette transfer unit in a double rai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assette transfer unit.

또한, 웨이퍼가 카세트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이를 재장착하기 위한 재장착부의 구조를 보다 구체화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fer protrudes from the cassette, the structure of the remounting portion for remounting the wafer may be embodied more efficiently and more efficiently.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 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6)

상면에 파드 장착을 위한 상면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카세트 반출을 위한 측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A main body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opening for pod mounting on a top surface and a side opening for carrying a cassette out on one side thereof; 상기 상면 개구부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하여 상기 상면 개구부에 안착된 카세트를 파드 커버로부터 착탈시키는 스테이지부; A stage unit which moves up and down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to detach the cassette seated in the upper surface opening from the pod cover; 상기 스테이지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송부;A stage transfer uni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tage unit to move the stage unit up and down; 상기 스테이지부에 의해 탈거된 상기 카세트를 파지하여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반출시키는 카세트 이송부; 및A cassette conveying unit for holding the cassette removed by the stage unit and carrying it out through the side opening; And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 시 동반 회동되어 상기 카세트 이송부의 일측에 걸림결합 또는 걸림결합 해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수직축 결합부;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age conveying portion, the vertical axis engaging portion including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accompany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to be engaged or released by one side of the cassette conveying portion ;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반도체 자재가 상기 카세트 장착 위치로부터의 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센서부; 및A first sensor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to detect whether the semiconductor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cassette mounting position; And 상기 본체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센서부로부터 이탈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작동하여 상기 이탈된 반도체 자재를 상기 카세트내의 장착 위치로 재위치시키는 재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And a remount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operate when the departu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unit to reposition the detached semiconductor material to a mounting position in the cassette. Having a loader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재장착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이탈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하는 모터부; 및The remounting unit may include a motor unit that operates when a departu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상기 모터부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반도체 자재를 타격하여 상기 카세트 본체부 장착 위치로 재위치시키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And a striking portion for rotating the predetermined angle by the motor portion to strike the semiconductor material and repositioning the cassette body portion to a mounting position of the cassette main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테이지 이송부는The stage transfer unit 일단이 상기 스테이지부의 하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부; 및A stage supporter having one e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tage and supporting the stage; And 상기 스테이지 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tage support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세트 이송부는 일면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 개구부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된 제 1 가이드부;The cassette transfer part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having one surface attached to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long hole formed in the side opening direction; 일면이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장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상기 측면 개구부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고, 상기 측면 개구부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된 제 2 가이드부; 및A second guide part having one surface coupled to the long hole of the first guide part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ide opening direction along the long hole formed in the first guide part, the at least one long hole being formed in the side opening direction; And 일측면이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형성된 장공과 결합하여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측면 개구부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고, 상기 카세트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A side surface coupled with the long hole formed in the second guide part,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 hole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opening, the cassette carr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emale part integrally form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 holding the cassette. Having a loader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파지부는 상기 카세트의 측면 및 하면 일측에 접하도록 양측이 "L" 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양측에는 상기 카세트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센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반출 기능을 갖는 로더장치.Both sides of the gripping portion are formed in an “L” shaped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contact one side of the cassette and one side of the cassette, and both sides of the gripp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a second sensor portion for detecting whether the cassette is normally seated. Loader device having a cassette carrying function.
KR1020050027094A 2005-03-31 2005-03-31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KR1005943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94A KR100594371B1 (en) 2005-03-31 2005-03-31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94A KR100594371B1 (en) 2005-03-31 2005-03-31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73U Division KR200388237Y1 (en) 2005-03-31 2005-03-31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371B1 true KR100594371B1 (en) 2006-07-03

Family

ID=3718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094A KR100594371B1 (en) 2005-03-31 2005-03-31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3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56B1 (en) 2008-05-21 2010-07-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osition confirmation circuit of standard mechanical interface device
KR101039584B1 (en) 2009-09-02 2011-06-09 주식회사 싸이맥스 Stage mov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56B1 (en) 2008-05-21 2010-07-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osition confirmation circuit of standard mechanical interface device
KR101039584B1 (en) 2009-09-02 2011-06-09 주식회사 싸이맥스 Stage mo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294B1 (en) Load port device
KR100499324B1 (en) Vacuum Integrated Standard Mechanical Interface System
JP4642218B2 (en)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TW201027659A (en) Load port
TWI819160B (en) Equipment front-end module (EFEM)
US20100280653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20080056861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KR100717988B1 (en)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Semiconductor Material
KR100594371B1 (en)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KR100593424B1 (en) FIMS loader with double door structure
KR20070080518A (en) Loadport of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apparatus
JP4476457B2 (en) FOUP opener
KR100852468B1 (en) A Load Port Direct-Coupled to Loadlock Chamber
US20090294442A1 (en) Lid opening/closing system for closed container, contained object insertion/takeout system having same lid opening/clo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lid opening/closing system
US20090035098A1 (en) Lid opening/closing system for closed container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R200388237Y1 (en)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Casette
KR100806250B1 (en) A foup stocker for loadlock chamber direct-coupled to load port
US20020124960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090142164A1 (en) Container lid opening/clo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ystem
CN116391249A (en) Load port
US70740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docking substrate pod with door status check
KR100717990B1 (en) A transportation system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material
KR200382386Y1 (en) A Loader Having Function For Carrying Out Semiconductor Material
JP2540524B2 (en) Wafer support
KR200376772Y1 (en) A Loader For FIMS Having Doubl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