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456B1 - 버스시스템에서의노드별닉네임(Nickname)부여방법 - Google Patents

버스시스템에서의노드별닉네임(Nickname)부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456B1
KR100556456B1 KR1019980040622A KR19980040622A KR100556456B1 KR 100556456 B1 KR100556456 B1 KR 100556456B1 KR 1019980040622 A KR1019980040622 A KR 1019980040622A KR 19980040622 A KR19980040622 A KR 19980040622A KR 100556456 B1 KR100556456 B1 KR 10055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kname
node
bus system
user inte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498A (ko
Inventor
임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4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23Interconnection of computers and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은 유저가 새로운 제품을 구입한 후 버스시스템상에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전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닉네임(Nickname)을 부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 네트워크에 연결 구성하기 전에 닉네임(Nickname)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닉네임(Nickname)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닉네임(Nickname)을 부여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한 후 닉네임(Nickname)을 입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method for granting Nickname each node in bus system}
본 발명은 버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인 버스시스템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홈서버(1)와, 제 1 및 제 2 DTV(2)(3)와, 제 1 및 제 2 DVCR(4)(5)과, PC(6)와, 카메라(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DTV(2)(3)와 제 1 및 제 2 DVCR(4)(5)는 서로 다른 장소(예를 들면 거실과 안방 또는 내방과 부모님방 등등)에 설치되며 홈서버(1)에서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노드간 제품을 구별할 수 있는 닉네임(nickname)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공개된 문헌에 의하면 이러한 닉네임(nickname)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지는 아직 구체화 되어 있지 않다.
The Unit Identifier Descriptor
address contents
00 00 descriptor
00 01
00 02 generation_ID
00 03 size_of_list_ID
00` 04 size_of_object_ID
00 05 size_of_object_position
00 06 number_fo_root_object_lists(n)
00 07
00 08 root_ovject_list_is_0
ː
ː unit_dependent_length
ː
ː unit_dependent_information
ː
ː
ː manufacturer_dependent_length
ː ː
ː manufacturer_dependent_information
ː
ː
즉 새로운 노드를 구입하여 네트워크(network)에 연결하였을 경우 상기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립터(Descriptor)영역내 하기한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니트_디펜던트_인포메이션(unit_dependent_information)영역의 하기한 표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포_타입(info_type)영역에 각 노드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닉네임(Nickname)을 기록하기 위한 닉네임(Nickname)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unit_dependent_information
address offset contents
00 number_of_information(n)
01 info_type[0]
02 info[0]_length
04
ː unit_dependent_information[0]
ː
ː
ː ː
ː info_type[n-1]
ː info[n-1]_length
ː
ː unit_dependent_information[n-1]
ː
ː
info_type_for_unit_dependent_infotmation
value meaning
10 nickname
11 user specific information
12 plug info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은 일단 버스상에 연결되어 네트워크가 형성된 후에는 기기를 구별할 방법이 지유아이디(GUID)를 사용하는 방법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사용하여 노드의 닉네임(Nickname)을 부여하여도 닉네임(Nickname)에 해당하는 노드가 어느 노드인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저가 새로운 제품을 구입한 후 버스시스템상에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전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닉네임(Nickname)을 부여하도록 한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의 특징은,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 네트워크에 연결 구성하기 전에 닉네임(Nickname)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닉네임(Nickname)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닉네임(Nickname)을 부여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한 후 닉네임(Nickname)을 입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닉네임(Nicknaem)이 스트링(string) 정보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스시스템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는 전술한 도 1 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저가 IEEE1394 장치를 새롭게 구입하였을 경우 버스에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전에 전원을 온시켰을 경우 상기 IEEE1394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 여부를 검색한다(S1).
상기 검색결과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면 IEEE1394 장치는 전술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립터(Descriptor)영역내 하기한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니트_디펜던트_인포메이션(unit_dependent_information)영역의 상기한 표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포_타입(info_type)영역의 닉네임(Nickname)영역을 검색한다(S2).
상기 검색결과 닉네임(Nicknaem)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IEEE1394 장치는 닉네임(Nicknaem)을 기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한다(S3).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유저가 닉네임(Nickname)을 기록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그러면 유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따라 닉네임(Nickname)을 입력하고 싶다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인포_타입(info_type)영역의 닉네임(Nickname)영역에 각 노드의 닉네임(Nickname)을 입력한다(S4, S5).
상기 닉네임(Nickname)은 거실과 안방 또는 내방과 부모님방 등의 스트링(string)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유저가 상기 닉네임(Nickname)을 입력하고 싶지 않다면 IEEE1394 장치는 상기 상기 인포_타입(info_type)영역의 닉네임(Nickname)영역의 언노운(unknown) 상태를 유지한다(S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은 처음 유저가 새로운 제품을 구입한 후 버스시스템상에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전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닉네임(Nickname)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때 유저가 원하는 노드를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버스시스템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Claims (4)

  1.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하기 전에 개별 노드의 닉네임(Nickname)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결과 닉네임(Nickname)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닉네임(Nickname)을 부여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닉네임(Nickname)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닉네임(Nickname)은 스트링(string)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시스템에서의 노드별 닉네임(Nickname) 부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닉네임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는, 디스크립터 영역내의 유니트_디펜던트_인포메이션 영역의 인포_타입 영역의 닉네임 영역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별 닉넥임(Nickname) 부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닉네임을 입력하는 단계는 디스크립터 영역내의 유니트_디펜던트_인포메이션 영역의 인포_타입 영역의 닉네임 영역에 각 노드의 닉네임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별 닉넥임(Nickname) 부여방법.
KR1019980040622A 1998-09-29 1998-09-29 버스시스템에서의노드별닉네임(Nickname)부여방법 KR10055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22A KR100556456B1 (ko) 1998-09-29 1998-09-29 버스시스템에서의노드별닉네임(Nickname)부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22A KR100556456B1 (ko) 1998-09-29 1998-09-29 버스시스템에서의노드별닉네임(Nickname)부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498A KR20000021498A (ko) 2000-04-25
KR100556456B1 true KR100556456B1 (ko) 2006-07-25

Family

ID=1955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22A KR100556456B1 (ko) 1998-09-29 1998-09-29 버스시스템에서의노드별닉네임(Nickname)부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4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070A (ja) * 1994-03-14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070A (ja) * 1994-03-14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498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3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JP4203621B2 (ja) ピコネットデバイスの統合されたパスコードのペアリング
CN100469023C (zh) 数字电视装置和用于在数字总线中建立通信信道的方法
US7209484B2 (en) Gateway apparatus, address administration method, and audio-video apparatus having gateway function
US6775244B1 (en) Gathering of device discovery information
US200400634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ositions of home network appliances
CN1294816A (zh) 用于经数字总线控制外围设备的数字电视设备
CN103475577A (zh) 一种获得特征信息的方法、装置及网络设备
US20110161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wi-fi
US20040083303A1 (en) Selective device recognition apparatus in UPnP based home network and method thereof
JP2005512399A (ja) HAViとUPnPのブリッジ
KR100556456B1 (ko) 버스시스템에서의노드별닉네임(Nickname)부여방법
JP3015917B2 (ja) 消費者装置用制御システム
KR100689111B1 (ko) 통신 네트워크내의 객체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CN100364271C (zh) 自动确定设备昵称、解决网络设备冗余昵称的设备、方法及网络系统
KR20040012957A (ko) 스크린 상에서의 네트워크 콤포넌트들의 아이콘 정렬
JP4619726B2 (ja) ネットワーク加入ステーションに関する情報の要求方法及び当該方法を実行するネットワーク加入ステーション
CN1965539B (zh) 在分布式站的网络中提供站专有信息表的方法和执行方法的网络站
US20030051017A1 (en) Internet apparatus automatically generating internet address
KR100531344B1 (ko) 버스 시스템에서의 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63716B1 (ko) 정보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제어 시스템
Khawand et al. Common Application Language (CAL) and its integration into a home automation system
JP2001168892A (ja) 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
US20010005363A1 (en) AV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n AV apparatus, and AV-apparatus network system
EP1263169B1 (en) Method for evaluat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nodes connected to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