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399B1 -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399B1
KR100556399B1 KR1020030086427A KR20030086427A KR100556399B1 KR 100556399 B1 KR100556399 B1 KR 100556399B1 KR 1020030086427 A KR1020030086427 A KR 1020030086427A KR 20030086427 A KR20030086427 A KR 20030086427A KR 100556399 B1 KR100556399 B1 KR 10055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ignal
carrier recovery
detector
bas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853A (ko
Inventor
한정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399B1/ko
Priority to US11/002,878 priority patent/US7558341B2/en
Publication of KR2005005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27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271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wherein the carrier recovery circuit uses only the demodulated signals
    • H04L27/227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coherent demodulation wherein the carrier recovery circuit uses only the demodulated signals associated with quadrature demodulation, e.g. Costas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Correction of carrier offset at baseband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53Closed loops
    • H04L2027/0057Closed loops quadrature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63Elements of loops
    • H04L2027/0067Phase error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63Elements of loops
    • H04L2027/0069Loop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04L7/002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correction by interpolation
    • H04L7/0029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correction by interpolation interpolation of received data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픈 케이블 시스템을 위한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I, Q 신호로 분리하는 위상 분리부, 상기 I, Q 신호와 반송파 복구 루프 신호 출력을 곱해서 베이스 밴드로 내리는 복소 곱셈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를 다시 샘플링하는 리샘플러부와, 상기 리샘플러 뒤에서 정합 필터링을 수행하여 베이스밴드 위상 쉐이핑을 완성하는 매칭 필터부와, 상기 완성된 베이스 밴드 위상 쉐이핑을 심볼 레이트로 내려서 분할을 수행하는 채널 등화부와, 상기 채널 등화부의 뒤에서 주파수 오프셋이 수렴을 막기 위해 마지막 대역폭으로 전환하기 전에 불완전 수렴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반송파 주파수 옵셋을 곱해주고 틀어져 있는 위상을 보상하는 반송파 복구부와, 타이밍 복구부로 구성된다.
리샘블러, 반송파 복구

Description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Apparatus for carrier recovery of OOB QPSK receiver}
도 1은 종래의 OOB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루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반송파 복구 루프 필터에서 유추된 주파수 오프셋의 시간에 따른 모양을 나타낸 그래프 OOB QPSK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부의 SNR 계산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부의 불완전 락 검출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불완전 락 검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픈 케이블 시스템을 위한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방송 매체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지금, 국내에서도 지상파 방송과 위성 방송의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었다. 현재 총 TV 수신 가구의 60%이상이 유선망을 통하여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국내의 경우, 위성과 지상파에 비하여 유선 방송의 디지털화가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최근 들어 유선 방송의 디지털 시스템 도입 추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유선 방송의 디지털화를 위한 작업을 1999년부터 추진하였으며, 2001년에 미국 방식인 오픈 케이블(Open Cable) 표준을 국내 디지털유선방송표준으로 선정하였다. 미국은 유선방송이 전체 방송시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관련 헤드엔드 장비와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장비시장은 두 회사(Motorola, Scientific Atlanta)에 의하여 거의 독점되고 있어, 장비시장 관점에서 폐쇄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성을 없애기 위하여 2005년부터 제한수신과 관련된 부분을 셋톱박스로부터 분리하도록 하였다.
오픈케이블(Open Cable) 표준은 FCC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기존 셋톱박스를 제한수신부분이 제거된 가입자단말기(Host)와 제한수신부분을 포함하는 제한수신모듈(POD:Point of Deployment)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오픈 케이블 표준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첫째로, FCC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기능인데, 이들은 제한수신기능의 분리 가능, 경쟁적 시장에서의 가입자 단말기 구입, 기존 디지털 유선방송 시스템과의 정합성 등을 포함한다.
두 번째로, 네트워크 운용과 오디오 및 비디오 품질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되도록 성능 파라미터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로, 착탈식 제한수신모듈에 의한 제한수신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넷째로, 대역외 시그널링이 지원되어야 하는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관련 서비스 정보, 자격관리 메시지(EMM), 데이터서비스 등을 위하여 특정 대역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다섯째로, IEEE 1394 연결에 의한 HDTV 압축신호 스트림의 출력기능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여섯째로, 상급 프로그램에 대한 MPAA(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복사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이외에도 다운로드 기능과 응용 소프트웨어 등을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정합 표준은 크게 3가지 종류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케이블 네트웍 정합, 가입자 단말기와 제한수신모듈 정합 및 가입자 단말기와 외부장치정합을 포함하는데, 케이블 네트웍 정합은 전송선로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가입자 단말기와 제한수신모듈 정합은 가입자 단말기와 제한수신모듈 간의 정합 신호를 규정하고 있으며, 가입자 단말기와 외부장치 정합은 가입자 단말기와 TV, VCR 등과 같은 외부장치 사이의 정합신호를 규정한다.
상기 케이블 네트웍 정합은 SCTE(society of Cable telecommunication Engineer) 표준인 "Digital Cable Network interface Standard(SCTE 40 2001)"을 대부분 수용하였다. 이 정합은 가입자 단말기와 CATV 망간의 신호를 물리계층특성, 전달계층특성, 서비스 및 관련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분하여 규정하였다.
오픈 케이블(Open Cable) 표준은 스크램블된 디지털 채널의 서비스/시스템정보, 자격관리메시지(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데이터 등을 대역외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게 하며, SCTE 40(2001)은 DVS167과 DVS178의 두가지 방식중의 한가지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대역외 전송은 양방향 전송이 이루어져야 하며, 하향(downlink), 상향(uplink) 모두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모듈레이션을 이용한다. 전송속도는 하향의 경우 1.544Mbps, 2.408Mbps, 3.088Mbps, 상향의 경우 0.256Mbps, 1.544Mbps, 3.088Mbps 등을 지원한다. 사용 주파수 대역은 하향의 경우 70~130MHz, 상향은 5~42MHz이다. RF 채널 대역폭은 하향의 경우 1.0/1.5/2.0MHz, 상향은 0.192/1.0/2.0MHz이다.
도 1은 종래의 OOB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루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송파 복구는 피드백(feedback) 루프로 구성되는데, 정적 위상(static phase)을 보상해주는 위상 검출기(1)를 통과하면, 최종 복조(Demodulation) 출력이 나온다.
이 최종 복조 출력이 슬라이서(2)를 통과하면 응답 신호(reference signal)를 얻는데, 이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에러 검출기(3)에서 위상 에러를 계산한다.
상기 위상 에러 검출기(3)에서 계산된 위상 에러를 루프 필터(4)에서 누적(accumulation)하며, 이 루프 필터(4)는 위상 루프 필터(4-1)와 주파수 루프 필터(4-2)로 나뉜다.
상기 위상 루프 필터(4-1)가 정적 위상을 유추하면 이를 위상 검출기(1)에서 원래대로 보상하여 준다. 이때 이 위상 루프(4-1)는 아주 짧은 그룹 딜레이(group delay)를 갖는 쇼트 루프(short loop)이다.
또한, 상기 주파수 루프 필터(4-2)에서 구해진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디모듈레이터의 앞단에서 보상해준다. 이 주파수 루프(4-2)는 위상 검출기(1)와는 달리 상당히 긴 그룹 딜레이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긴 루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능으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해 준다.
이렇게, 루프 필터(4)에서 상기 위상 에러 검출기(3)의 위상 에러를 입력으로 받아들여서 루프 대역폭(bandwidth)만큼 곱하고 누적을 수행하는데 이 루프 대역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케일 다운(scale down)해줘야 정확한 곳으로 수렴할 수 있다. 즉, 출력 신호 대 잡음비(SNR)를 높여주는 방향으로 대역폭을 설정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대역폭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바꿔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락 검출기(7)이다. 여러 가지 락 검출기가 존재하지만 실제적으로 락 검출기의 성능이 완전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채널에 따라 락 검출기가 반응하는 패턴이 다른데 이를 모든 조건에서 만족하도록 락 검출기를 설계하는 것은 사실상 힘들기 때문에 상당히 완화된 조건으로 락 검출기를 설계하여 대부분의 조건에서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마지막 대역폭까지 수렴하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도 2는 루프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루프 필터에서 유추된 주파수 오프셋의 시간에 따른 모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찾고자 하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으로 수렴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수렴을 하고 있을 때 도시된 모양으로 수렴 해 나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지만 가끔 실제 주파수 오프셋을 찾지 못하고 잘못된 지점에서 수렴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보다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에서 이런 문제가 종종 발생하는데 현 OOB 시스템의 수신은 QPSK 구조라 이런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위상 에러를 구하는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싱 할 때 모호한 위상이 발생하는데 QAM의 경우는 위상의 부호가 반대로 바뀔 정도의 결정(decision)을 내리지 않지만, QPSK의 경우는 위상의 부호가 바뀌는 결정을 종종 내리는 문제가 발생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 채널 환경에서 최적화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반송파 복구를 향상시키는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I, Q 신호로 분리하는 위상 분리부, 상기 I, Q 신호와 반송파 복구 루프 신호 출력을 곱해서 베이스 밴드로 내리는 복소 곱셈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를 다시 샘플링하는 리샘플러부와, 상기 리샘플러 뒤에서 정합 필터링을 수행하여 베이스밴드 위상 쉐이핑을 완성하는 매칭 필터부와, 상기 완성된 베이스 밴드 위상 쉐이핑을 심볼 레이트로 내려서 분할을 수행하는 채널 등화부와, 상기 채널 등화부의 뒤에서 주파수 오프셋이 수렴을 막기 위해 마지막 대역폭으로 전환하기 전에 불완전 수렴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반송파 주파수 옵셋을 곱해주고 틀어져 있는 위상을 보상하는 반송파 복구부와, 타이밍 복구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송파 복구부는, 정적 위상(static phase)을 보상하는 위상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를 통해 출력된 최종 복조 신호에서 응답 신호를 얻는 슬라이서와, 슬라이서의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에러를 계산하는 위상 에러 검출기와, 상기 계산된 위상 에러를 누적하는 루프 필터와, 상기 루프 필터에서 상기 위상 에러 검출기의 위상 에러를 루프 대역폭만큼 곱하고 누적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인 대역폭으로 바꿔 주는 락 검출기와, 상기 락 검출기의 마지막 대역폭으로 전환하기 전에 잘못된 방향으로 수렴하는 것을 막는 불완전 락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로부터 MSE(Mean Squared Error)를 누적하여 정해진 구간에서 평균을 얻어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는 SNR부와, 상기 루프 필터의 주파수 오프셋 성분을 나타내는 인테그랄 파트의 레지스터를 초기화 시키는 인터그레이터부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대 잡음의 평균을 구하는 구간은 65536 사이클(cycle)이고, 상기 신호대 잡음비가 계산되면 기준 신호대 잡음비와 비교하여 작은 경우 잘못된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1로 셋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송파 복구를 위한 OOB 수신기는 A/D 컨버터와(11), 상기 A/D 컨버터(11)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I, Q 신호로 분리하는 위상 분리부(12), 상기 I, Q 신호와 반송파 복구 루프 신호 출력을 곱해서 베이스 밴드로 내리는 복소 곱셈부(13)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를 다시 샘플링하는 리샘플러부(14)와, 상기 리샘플러(14) 뒤에서 정합 필터링을 수행하여 베이스밴드 위상 쉐이핑을 완성하는 매칭 필터부(15)와, 상기 완성된 베이스 밴드 위상 쉐이핑을 심볼 레이트로 내려서 분할을 수행하는 채널 등화부(16)와, 상기 채널 등화부(16)의 뒤에서 반송파 복구를 위해 반송파 주파수 옵셋을 곱해주고, 틀어져 있는 위상을 보상하는 반송파 복구부 및 위상 디로테이터(Derotator)(17)와, 타이밍 복구부(1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D 컨버터(11) 앞 단의 analog front end에서 44 MHz로 내려진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를 받아서 14 MHz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로 데이터를 샘플링(sampling)한다. 이 신호를 위상 분리부(12)가 I와 Q 신호로 나누어준다. 이 I, Q 신호와 채널 등화부(16) 뒤에서 시작된 반송파 복구부(17)의 신호 출력을 곱해서 2 MHz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 내린다. 이 베이스 밴드 신호로 리샘플링(14)을 수행하는데 이 역시 타이밍 복구부(19)의 루프 출력으로 계산된 타이밍 옵셋과 각각의 QPSK mode(0.772Msps/1.024Msps/1.544Msps)에 맞는 샘플링 레이트와 픽시드 클럭 레이트(fixed clock rate)의 비율을 더한 값으로 파이네이트 임펄스 레스펀스 필터(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의 보간 시점을 정해 주어 실제 심볼 레이트(symbol rate)의 8배 빠른 클럭으로 출력을 갖게 한다. 이 출력값으로 정합 필터링(matched filtering)을 수행하여 베이스 밴드 펄스 쉐이핑(baseband pulse shaping)을 완성하고 이것을 심볼 레이트(symbol rate)로 내려서 분할(equalizing)을 수행한다. 채널 등화부(16) 뒤에서 반송파 복구가 시작되어 위상 스플리터(phase splitter) 뒤에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carrier frequency offset)을 곱해 주고, 잔류 반송파 위상 지터(carrier phase jitter)를 없애기 위해 쇼트 루프(short loop)를 생성하여 채널 등화부(16)뒤에 틀어져 있는 위상을 보상하는 위상 디로테이터(phase derotator)(17)가 존재한다. 이런 과정으로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을 완성하고 디퍼렌션 디코더(differential decoder)에서 최종 데이터를 I, Q 순서로 POD에 제공한다. 이 구조에서 채널 등화부(16)를 자세히 나타내면 채널 등화부(16)는 DFE(Decision Feedback Equalizer)인데,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입력은 정합필터(12) 출력으로 이용하고 피드 백(feed back) 입력은 위상 디로테이터(phase derotator)(17) 출력을 이용한다. 채널 등화부(16) 의 계수(Coefficient)를 업데이트(update)하기 위한 에러(error)는 디로테이터(derotator)(17) 출력으로 계산한다. 이런 구조하에서 디로테이터(derotator)(17) 출력까지 지연(delay)이 생기기 때문에 계수(coefficient)를 업데이트(update)하는데 몇 개의 파이프라인(pipeline)이 생기지만 이 정도의 지연(delay)은 채널 등화부(equalizer)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OOB QPSK 시스템의 경우 심볼 레이트(symbol rate)가 상당히 낮기 때문에 최소한의 지연(delay)만 갖게 되어 최적화된 성능을 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반송파 복구부는 피드백(feedback) 루프로 구성되는데, 정적 위상(static phase)을 보상해주는 위상 검출기(61)를 통과하므로 최종 복조(Demodulation) 출력이 나온다.
이 최종 복조 출력을 슬라이서(62)에 통과하여 응답 신호(reference signal)를 얻고 이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에러 검출기(63))에서 위상 에러를 계산한다.
상기 위상 에러 검출기에서 계산된 위상 에러를 루프 필터(64)에서 누적(accumulation)하며 이 루프 필터(64)는 위상 루프 필터(64-1)와 주파수 루프 필터(64-2)로 나뉜다.
상기 위상 루프 필터(64-1) 출력으로 정적 위상을 유추하여 위상 롬(65)을 통해 위상 검출기(61)에서 원래대로 보상하여 준다. 이때 이 위상 루프(64-1)는 아 주 짧은 그룹 딜레이(group delay)를 갖는 쇼트 루프(short loop)이다.
또한, 상기 주파수 루프 필터(64-2)에서 구해진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디모듈레이터의 앞단에서 보상해준다. 이 주파수 루프(64-2)는 위상 검출기(61)와는 달리 상당히 긴 그룹 딜레이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긴 루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능으로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해 준다.
이어, 루프 필터(64)는 상기 위상 에러 검출기(63)의 위상 에러를 입력으로 받아들여서 루프 대역폭(bandwidth)만큼 곱하고 누적을 수행하는데 이 루프 대역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케일 다운(scale down)해줘야 정확한 곳으로 수렴할 수 있다. 즉, 출력 신호 대 잡음비(SNR)를 높여주는 방향으로 대역폭을 설정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락 검출기(66)는 대역폭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바꿔 주며 불완전 락 검출기(67)는 잘못된 곳으로 주파수 오프셋이 수렴하는 것을 막아 주기 위해 마지막 대역폭으로 전환하기 전에 잘못된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다는 것을 SNR 계산부(68)를 통해 생성하여 주파수 루프 필터(64-2)의 주파수 오프셋 성분을 나타내는 인테그럴 파트의 레지스터(69)를 초기화시킨다.
이의 상세한 기술은 도 5, 6, 7에서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구조의 SNR 계산부의 구조이며 도 6은 불완전 락 검출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불완전 락 검출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 6, 7을 참조하면, SNR 계산부는, SNR을 계산하기 위해서 먼저, MSE(Mean Squared Error)를 구한다.
상기 MSE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 검출기의 출력을 받아 이를 슬라이싱하여(S11) 레퍼런스화하고 이 두 값간의 차이의 절대값을 구하여, I, Q 각 항을 제곱하여 더한다. 초기에는 슬라이싱 한 값이 정확한 레퍼런스라고 할 수 없지만 수렴하면서 점점 레퍼런스에 가까워져서 신뢰성 있는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MSE를 누적(S12)하여 정해진 구간에서 MSE를 계산하여 평균을 구하면 SNR을 구할 수 있다.(S13~14)
도 6은 불완전한 락 검출기의 구조로 SNR 계산부로부터 비교 계산된 값을 카운터 하여 불완전한 락 검출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뢰성 있는 SNR을 얻기 위하여 평균을 구하는 구간 역시 중요한데 여기서는 65536 사이클로 구하였다. SNR을 구한 다음(S21), 이 SNR을 Ref_SNR과 비교하여 이보다 작은 경우 잘못된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tmp_snrfalselock을 '1'로 셋팅시킨다(S23).
이를 바로 리셋에 적용하지 않는 이유는 65536 사이클 동안 계속 리셋이 되면 시스템 수렴 속도가 너무 늦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카운터를 추가하여 300000 사이클 동안 카운터한 뒤(S24) tmp_snrfalselock = '1'을 만족(S25)하는 구간에서 1클럭만 snrfalselock을 '1'로 셋팅하여 루프 필터의 인테그랄 부분 레지스터를 초기화시켜주고 대역폭 역시 초기로 셋팅시킨다(S26). 이렇게 함으로써 잘못된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는 주파수 옵셋 트랙킹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어 반송파 복구의 중요한 항목인 풀-인 레인지에서 상당한 개선 효과를 가져온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패스밴드(passband) 구조에서 베이스밴드(baseband) 구조로 바뀌면서 리샘플러의 성능 향상과 함께 하드웨어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I, Q 신호로 분리하는 위상 분리부;
    상기 I, Q 신호와 반송파 복구 루프 신호 출력을 곱해서 베이스 밴드로 내리는 복소 곱셈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를 다시 샘플링하는 리샘플러부와;
    상기 리샘플러 뒤에서 정합 필터링을 수행하여 베이스밴드 위상 쉐이핑을 완성하는 매칭 필터부와;
    상기 완성된 베이스 밴드 위상 쉐이핑을 심볼 레이트로 내려서 분할을 수행하는 채널 등화부와;
    상기 채널 등화부의 뒤에서 주파수 오프셋이 수렴을 막기 위해 마지막 대역폭으로 전환하기 전에 불완전 수렴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반송파 주파수 옵셋을 곱해주고 틀어져 있는 위상을 보상하는 반송파 복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복구부는,
    정적 위상(static phase)을 보상하는 위상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를 통해 출력된 최종 복조 신호에서 응답 신호를 얻는 슬 라이서와;
    슬라이서의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에러를 계산하는 위상 에러 검출기와;
    상기 계산된 위상 에러를 누적하는 루프 필터와;
    상기 루프 필터에서 상기 위상 에러 검출기의 위상 에러를 루프 대역폭만큼 곱하고 누적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인 대역폭으로 바꿔 주는 락 검출기와;
    상기 락 검출기의 마지막 대역폭으로 전환하기 전에 잘못된 방향으로 수렴하는 것을 막는 불완전 락 검출기와;
    상기 위상 검출기로부터 MSE(Mean Squared Error)를 누적하여 정해진 구간에서 평균을 얻어 신호대 잡음비를 계산하는 SNR부와
    상기 루프 필터의 주파수 오프셋 성분을 나타내는 인테그랄 파트의 레지스터를 초기화 시키는 인터그레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대 잡음의 평균을 구하는 구간은 65536 사이클(cyc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대 잡음비가 계산되면 기준 신호대 잡음비와 비교하여 작은 경우 잘못된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1로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KR1020030086427A 2003-12-01 2003-12-01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KR10055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427A KR100556399B1 (ko) 2003-12-01 2003-12-01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US11/002,878 US7558341B2 (en) 2003-12-01 2004-12-01 Carrier recovery apparatus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427A KR100556399B1 (ko) 2003-12-01 2003-12-01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853A KR20050052853A (ko) 2005-06-07
KR100556399B1 true KR100556399B1 (ko) 2006-03-03

Family

ID=3469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427A KR100556399B1 (ko) 2003-12-01 2003-12-01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58341B2 (ko)
KR (1) KR100556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418925A (pt) * 2004-07-15 2007-11-27 Thomson Licensing sistema e método para recuperação de portadora aperfeiçoada
US7720179B2 (en) * 2005-05-27 2010-05-18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for timing detection
US7706474B2 (en) * 2005-11-14 2010-04-27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Carrier tracking for AM in-band on-channel radio receivers
JP5114477B2 (ja) * 2006-06-16 2013-01-09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広帯域の帯域外受信器
US8259859B2 (en) * 2009-09-21 2012-09-04 Techwell Llc Method and system for carrier recovery for QAM
US9042490B2 (en) 2012-08-30 2015-05-26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arrier phase recovery
CN111181665B (zh) * 2018-11-09 2022-02-25 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广播科学研究院 调幅广播性能的测试方法及测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9705B (it) * 1986-12-05 1988-12-30 Gte Telecom Spa Procedimento e circuito per l'acquisizione del sincronismo di portante in demodulatori coerenti
JPH0748750B2 (ja) * 1988-11-15 1995-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同期復調装置
US5471508A (en) * 1993-08-20 1995-11-28 Hitachi America, Ltd. Carrier recovery system using acquisition and tracking modes and automatic carrier-to-noise estimation
KR0185949B1 (ko) * 1996-04-10 1999-05-15 김광호 반송파 복구장치
KR100652028B1 (ko) * 1999-07-13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매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락 디텍트(lock detect)장치
GB2378328B (en) * 2001-08-01 2005-07-13 Ipwireless Inc AGC scheme and receiver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58341B2 (en) 2009-07-07
KR20050052853A (ko) 2005-06-07
US20050141646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5553B1 (en) Passband equalizers with filter coefficients calculated from modulated carrier signals
CN102209216B (zh) 用于通过线缆、卫星和地面网络的电视信号广播的多标准数字解调器
US6356598B1 (en) Demodulator for an HDTV receiver
US7254190B2 (en) Satellite receiver
EP0752172B1 (en) Carrier independent timing recovery system for a vestigial sideband modulated signal
CA2161994C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co-channel rejection filter
US5805242A (en) Carrier independent timing recovery system for a vestigial sideband modulated signal
US5943369A (en) Timing recovery system f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US20030112370A1 (en) Adaptive expanded information capacity for communications systems
KR980013372A (ko) 고선명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작 모드 절환 방법 및 장치
US6842488B2 (en) VSB/QAM receiver and method
KR20110118150A (ko) 혼합 포맷 매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3787A (ko) 직교 진폭 변조 복조기에 내장된 직접 디지털 합성 회로
KR100269130B1 (ko) 단일고스트제거기를갖는디지털/아날로그tv방송공용수신기와고스트제거방법
US20070064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channel interference
KR100556399B1 (ko) Oob qpsk 수신기의 반송파 복구 장치
US7853971B2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pparatus provided with controller for controlling demodulation mod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modulation mode
US6573948B1 (en) Equalizing intermediate-frequency signals before demodulating them i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O1999023822A1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vestigial sideband receiver
KR100510699B1 (ko) Oob qpsk 수신기
Wang et al. Training signal and receiver design for multipath channel characterization for TV broadcasting
EP0793365A2 (en) Filter in a digital timing recovery system
KR100451741B1 (ko) 반송파 복구 장치
CN100499621C (zh) Oob qpsk接收器的载波恢复设备
CN100499620C (zh) Oob qpsk接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