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262B1 -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그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그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262B1
KR100556262B1 KR1020000001760A KR20000001760A KR100556262B1 KR 100556262 B1 KR100556262 B1 KR 100556262B1 KR 1020000001760 A KR1020000001760 A KR 1020000001760A KR 20000001760 A KR20000001760 A KR 20000001760A KR 100556262 B1 KR100556262 B1 KR 100556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reakdown voltage
gate insulating
silic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400A (ko
Inventor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트론
Priority to KR102000000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262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48Characteri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4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lectrical parameters, e.g. resistance, deep-levels, CV, diffusions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리콘 기저 기판 위에 절연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 산화막 위에 실리콘 박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리콘 박막 위에 실리콘 박막을 노출시키는 접촉구를 가지는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 위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 위에 각각 접촉구를 통하여 실리콘 박막과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리콘 박막을 다수의 고립된 영역으로 분리하는 고립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리콘 박막의 각 고립된 영역은 1종류 이하의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이온 주입 및 확산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에서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을 위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실리콘이중막웨이퍼, 절연파괴, 게이트산화막, 게이트전류, 절연산화막

Description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 그 측정 방법{an electrode for breakdown voltage measurement of silicon on insulator wafer and a measurement method thereof}
도 1은 실리콘 단일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에서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형성되는 전기장의 모양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에서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형성되는 전기장의 모양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에서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각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실리콘 단일막 웨이퍼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를 적용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극 구조에서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각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7과 도 9의 게이트 전류만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품질 평가를 위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에 사용할 수 있는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리콘 단일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단면도이다.
실리콘(silicon) 기판(101) 위에 게이트 절연막(102)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102) 위에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103)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101)의 아래 면에는 계측기(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는 도선(105)이 연결되어 있고, 측정용 전극(103)에는 계측기로 연결되는 탐침(probe)(104)이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에서는 탐침(104)과 도선(105)을 통하여 측정용 전극(103)과 실리콘 기판(101) 사이에 전압차를 인가하여 게이트 절연막(102)의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 전압차를 측정한다.
그러나 소자의 전기적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웨이퍼의 내부에 두꺼운 산화막을 형성하여 웨이퍼의 앞면과 뒷면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구조로는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금속 산화막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를 형성하여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에서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형성되는 전기장의 모양을 표시한 도면이다.
실리콘 기판 기저층(201) 위에 절연 산화막(202) 형성되어 있고, 절연 산화막(202) 위에 실리콘 박막(203)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박막(203)에는 N형 또는 P형 불순물로 고농도로 도핑된 소스 영역(212)과 드레인 영역(213) 형성되어 있고, 소스 영역(212)과 드레인 영역(213) 둘레로는 이웃하는 소자간을 분리하는 고립 산화막(field oxide)(204)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박막(203)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214)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214) 위에는 게이트 전극(206), 소스 전극(205) 및 드레인 전극(20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소스 전극(205)과 드레인 전극(207)은 각각 게이트 절연막(214)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구를 통하여 소스 영역(212)과 드레인 영역(213)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MOSFET의 게이트 전극(206), 소스 전극(205) 및 드레인 전극(207)에 계측기의 탐침(208,209,210)을 접촉시키고, 기판 기저층(201)의 아래 면에 계측기와 연결되는 도선(211)을 연결한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206)과 소스 전극(205) 사이 또는 게이트 전극(206)과 드레인 전극(207) 사이에 전압차를 인가하고 이 전압차를 게이트 절연막(214)이 절연 기능을 상실할 때까지 점점 증가시킴으로써 게이트 절연막(214)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한다.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형성되는 전기장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206)의 아래 면과 소스 영역(213)과 드레인 영역(212)의 게이트 전극(206)과 가까운 쪽 측면 사이에 집중된다.
그런데 이러한 MOSFET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스 및 드레인 영역(212, 213) 형성을 위하여 불순물 주입(implant) 및 불순물 확산 공정 등 다수의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공정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박막에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없는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기저 기판 위에 절연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 산화막 위에 실리콘 박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리콘 박막 위에 실리콘 박막을 노출시키는 접촉구를 가지는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 위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 위에 각각 접촉구를 통하여 실리콘 박막과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리콘 박막을 다수의 고립된 영역으로 분리하는 고립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리콘 박막의 각 고립된 영역은 1종류 이하의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의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실리콘 기판 기저층(301) 위에 절연 산화막(302)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절연 산화막(302) 위에 실리콘 박막(3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절연 산화막(302)의 두께는 약 360㎚이고 실리콘 박막(303)의 두께는 약 190㎚이다. 실리콘 기판 기저층(301) 위에는 실리콘 박막(303)을 다수의 고립된 영역으로 분리하는 고립 산화막(field oxide)(304)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박막(303)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314)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314) 위에는 게이트 전극(306), 소스 전극(305) 및 드레인 전극(30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소스 전극(305)과 드레인 전극(307)은 각각 게이트 절연막(314)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구를 통하여 실리콘 박막(303)에 접촉되어 연결되어 있고, 실리콘 박막(303)은 고립 산화막(304)에 의하여 고립된 각각의 영역에서 N형 또는 P형 중의 어느 한 종류의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거나 또는 도핑되어 있지 않다. 즉, 소스 영역이나 드레인 영역이 따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막(314)의 두께는 약 18㎚ 정도이다.
이렇게 절연 파괴 측정용 전극 구조를 형성하면 소스 및 드레인 영역 형성을 위한 이온 주입 및 확산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의 게이트 전극(309), 소스 전극(305) 및 드레인 전극(307)에 계측기의 탐침을 접촉시키고, 기판 기저층(301)의 아래 면에 계측기와 연결되는 도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게이트 전극(309)과 소스 전극(305) 사이 또는 게이트 전극(309)과 드레인 전극(307) 사이에 전압차를 인가하고 이 전압차를 게이트 절연막(314)이 절연 기능을 상실할 때까지 점점 증가시킴으로써 게이트 절연막(314)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한다.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형성되는 전기장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306)과 소스 전극(305)과 드레인 전극(307)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에서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각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6인치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에 도 5와 같은 구조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 전극을 형성하고, 탐침(308, 309, 310)과 도선(311)을 사용하여 계측기를 연결한 상태에서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 때, 소스와 드레인 및 베이스 전압은 고정하고 게이트의 전압을 0V에서 -40V까지 0.4V 간격으로 변화시켰다.
게이트 절연막(314)의 절연 파괴는 게이트 전압이 -35V에 이르렀을 때 게이트 전류(IG)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에서 관찰할 수 있다. 즉, 게이트 전압이 약 -27V에 이르기까지는 절연 상태가 유지되다가 게이트 전압이 그 이하로 떨어지면서 게이트 전류(IG)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증가하는 터널링(tunnelling) 상태를 거쳐 -35V에 이르면 게이트 전류(IG)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게이트 절연막(314)의 절연 파괴가 일어난다.
게이트 전극(306)으로 들어간 전류는 소스와 드레인으로 나뉘어 나왔으며 이는 측정된 소스 전류(IS)와 드레인 전류(ID)를 합하면 게이트 전류(IG)와 거의 같아지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절연 산화막(302) 아래의 기판 기저층(301)에 연결된 베이스 전류(IB)는 매우 낮은 수준에서 거의 변화하지 않는데 이는 전기장이 절연 산화막(302) 아래로 분산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절연 파괴 전압은 게이트 절연막의 정확한 절연 파괴 전압이라고 할 수 없다. 이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연 파괴 전압 측정시 형성되는 전기장이 게이트 절연막(314)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한 절연 파괴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측정값의 보정이 필요하다. 그러면 측정값의 보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실리콘 단일막 웨이퍼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를 적용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실리콘 기판(401) 위에 게이트 절연막(414)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414) 위에는 게이트 전극(406), 소스 전극(405) 및 드레인 전극(407)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기판(401)에는 기판(401)을 다수의 소자 영역으로 분리하는 고립 산화막(411)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401)의 아래 면에는 베이스 전극(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게이트 절연막(414)의 두께는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18㎚로 형성한다.
여기서, 소스 전극(405), 드레인 전극(407) 및 베이스 전극(406)을 0V로 고정한 상태에서 게이트 전압을 0V에서 -40V까지 0.4V 간격으로 변화시킨다. 그러면 도 9와 같은 전류 변화 그래프가 얻어 진다.
한편, 전술한 도 3, 도 6 및 도 8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215, 315 및 415는 전압 인가에 따라 형성되는 전기장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9를 보면, 게이트 전압(VG)의 전 범위에서 베이스 전류(IB) 곡선이 게이트 전류(IG) 곡선과 거의 중첩된다. 이는 게이트 전압에 의한 전기장이 게이트 전극(406)과 베이스 전극(411) 사이에 집중됨을 의미한다. 즉,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장이 게이트 절연막(414)에 거의 수직으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9에서 얻어지는 절연 파괴 전압이 한층 정확한 값임을 알 수 있다.
결국 도 7에서 얻어진 절연 파괴 전압은 도 9에서 얻어진 절연 파괴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보정하면 된다.
도 10은 도 7과 도 9의 게이트 전류(IG)만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VT(Normal)는 도 9의 게이트 전류(IG) 곡선에서 터널링이 시작되는 지점의 게이트 전압이고 VT(SOI)는 도 7의 게이트 전류(IG) 곡선에서 터널링이 시작되는 지점의 게이트 전압이다.
여기서, 보정 계수(Ceff)는
Ceff = VT(Normal)/VT(SOI)
로 나타낼 수 있고, 게이트 절연막(314)에 인가되는 유효 전기장(EOX-eff)은 게이트 절연막(314)의 두께를 TOX라 할 때,
EOX-eff = Ceff(VOX/TOX)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에서 측정한 게이트 절연막의 절 연 파괴 전압을 VB(SOI)라 하고, 보정된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VB(eff)라 하면,
VB(eff) = Ceff ×VB(SOI)
이다.
이와 같이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구조에서 얻어진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보정하면 정확한 절연 파괴 전압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온 주입 및 확산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을 위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실리콘 기저 기판,
    상기 기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 산화막,
    상기 절연 산화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박막,
    상기 실리콘 박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리콘 박막을 노출시키는 접촉구를 가지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상기 접촉구를 통하여 상기 실리콘 박막과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박막은 1종류 이하의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는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박막을 다수의 고립된 영역으로 분리하는 고립 산화막을 더 포함하는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3. 제1항의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을 사용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절연 산화막과 상기 실리콘 박막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실리콘 단일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을 사용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측정된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토대로 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 측정된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실리콘 단일막 웨이퍼의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모두 18㎚인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게이트 절연막에서 터널링이 시작되는 전압은 VT(SOI)라 하고, 상기 실리콘 단일막 웨이퍼의 게이트 절연막에서 터널링이 시작되는 전압을 VT(Normal)이라 할 때, 보정계수 Ceff = VT(Normal)/VT(SOI)이고, 상기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에서 측정한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VB(SOI)라 하고, 보정된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을 VB(eff)라 하면, 상기 절연 파괴 전압을 보정하는 단계는 보정된 게이트 절연막의 절연 파괴 전압 VB(eff) = Ceff ×VB(SOI)의 식에 VB(SOI) 값을 대입하여 VB(eff)를 구하는 단계인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 방법.
KR1020000001760A 2000-01-14 2000-01-14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그 측정 방법 KR10055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760A KR100556262B1 (ko) 2000-01-14 2000-01-14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그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760A KR100556262B1 (ko) 2000-01-14 2000-01-14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그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400A KR20010073400A (ko) 2001-08-01
KR100556262B1 true KR100556262B1 (ko) 2006-03-03

Family

ID=1963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760A KR100556262B1 (ko) 2000-01-14 2000-01-14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그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43B1 (ko) * 2008-01-09 2010-04-07 주식회사 실트론 절연파괴전압 측정을 이용한 soi 웨이퍼의 결함검출방법 및 이를 위한 soi 웨이퍼와 그 제조방법
JP5618662B2 (ja) * 2010-07-15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の特性測定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400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0517B2 (en) Control of hot carrier injection in a metal-oxide semiconductor device
JP3602611B2 (ja) 横型ホール素子
US2005028237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807997B2 (en) Test element group (TEG) system for measurement of SOI-MOSFET without a body contac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TEGs of unequal gate electrode areas
CN105723518B (zh) 半导体器件
US5648671A (en) Lateral thin-film SOI devices with linearly-graded field oxide and linear doping profile
CN115483211A (zh) 电子电路
US4907041A (en) Intra-gate offset high voltage thin film transistor with misalignment immunity
JPH05259454A (ja) 改良されたブレークダウン電圧特性を有する半導体装置
US4908682A (en) Power MOSFET having a current sensing element of high accuracy
JP2008544482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ゲート・トンネル漏れの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構造体
US4631562A (en) Zener diode structure
US8293606B2 (en) Body tie test structure for accurate body effect measurement
KR100232383B1 (ko)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장치
KR100556262B1 (ko) 실리콘 이중막 웨이퍼의 절연 파괴 전압 측정용 전극 및그 측정 방법
KR101069331B1 (ko) 반도체 소자 평가 방법
US4651178A (en) Dual inverse zener diode with buried junctions
US7327155B2 (en) Elastic metal gate MOS transistor for surface mobility measurement in semiconductor materials
US2003009470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JP2005183933A (ja) シリコンオンインシュレータ(soi)ウエハの電気特性決定方法
JPH0775260B2 (ja) 半導体装置
US11367790B2 (en) Body-contacted field effect transistors configured for test and methods
KR101155703B1 (ko) 반도체 장치
US7101745B2 (en) Method of forming ladder-type gate structure for four-terminal SOI semiconductor device
JP2002162303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