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169B1 -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169B1
KR100556169B1 KR1020030081304A KR20030081304A KR100556169B1 KR 100556169 B1 KR100556169 B1 KR 100556169B1 KR 1020030081304 A KR1020030081304 A KR 1020030081304A KR 20030081304 A KR20030081304 A KR 20030081304A KR 100556169 B1 KR100556169 B1 KR 10055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on
unit
water supply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148A (ko
Inventor
오오에히로까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oducing oligodynamic substances to disinfect the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7Arrangements of water sof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온 용출 유닛은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한다. 전극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스트레이너가 배치되어 있다. 세탁기의 급수 밸브에 설치된 스트레이너가 이온 용출 유닛의 상류측 스트레이너를 겸한다. 급수 밸브는 유량을 크게 설정한 메인 급수 밸브와, 유량을 작게 설정한 서브 급수 밸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이온 용출 유닛은 메인 급수 밸브에 이어지는 급수 경로에 배치된다.
스트레이너, 급수 밸브, 이온 용출 유닛, 수위 스위치, 케이스 본체

Description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ION ELUTION UNIT, DEVICE MOUNTING THE ION ELUTION UNIT, AND WASHING MACHINE MOUNTING THE ION ELUTION UNI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수직 단면도.
도2는 급수구의 모형적 수직 단면도.
도3은 세탁기 내부의 부분 상면도.
도4는 이온 용출 유닛의 상면도.
도5는 도4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
도6은 도4의 B-B선에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
도7은 이온 용출 유닛의 수평 단면도.
도8은 전극의 사시도.
도9는 이온 용출 유닛의 구동 회로도.
도10은 세탁 공정 전체의 흐름도.
도11은 세탁 공정의 흐름도.
도12는 헹굼 공정의 흐름도.
도13은 탈수 공정의 흐름도.
도14는 최종 헹굼 공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탁기
10: 외부 상자
11: 상면판
12: 백 패널
13: 베이스
15: 세탁물 투입구
16: 덮개
20: 수조
30: 세탁조
31: 탈수 구멍
33: 펄스 발생기
40: 구동 유닛
50: 급수 밸브
50a: 메인 급수 밸브
50b: 서브 급수 밸브
53: 급수구
54: 세제실
55: 마무리제실
60: 배수 호스
본 발명은 항균 작용이 있는 금속 이온을 물 속에 용출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기기는, 특히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로 세탁을 행할 때, 물, 특히 헹굼수에 마무리 물질을 첨가하는 일이 흔히 행해진다. 마무리 물질로서 일반적인 것은, 유연제나 풀제(glue)이다. 이에 부가하여, 최근에는 세탁물(洗濯物)에 항균성을 갖게 하는 마무리 처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세탁물은, 위생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천일 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 취업률의 향상이나 핵가족화의 진행에 의해, 하루 종일 집에 아무도 없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실내 건조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하루 종일 누군가가 재택하고 있는 가정에 있어서도, 우천시에는 실내 건조를 하게 된다.
실내 건조의 경우, 천일 건조에 비해 세탁물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워진다. 장마철과 같은 고습시나 저온시 등, 세탁물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 이 경향은 현저하다. 번식량이 많으면, 세탁물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일상적으로 실내 건조를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가정에서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천 종류에 항균 처리를 실시하고자 하는 요청이 강하다.
최근에는, 섬유에 항균 방취 가공이나 제균 가공을 실시한 의류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가정 내의 섬유 제품을 모두 항균 방취 가공 완료된 것으로 갖추는 것은 곤란하다. 또, 항균 방취 가공의 효과는 세탁을 거듭함에 따라서 저하되어 간다.
그래서, 세탁시마다 세탁물을 항균 처리하고자 하는 고안이 나왔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74487호 공보에는 은 이온, 동 이온 등 살균력을 갖는 금속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 기기를 장비한 전기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93691호 공보에는, 전계의 발생에 의해 세정액을 살균하도록 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6484호 공보에는, 세정수에 은 이온을 첨가하는 은 이온 첨가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항균 작용이 있는 금속 이온을 얻기 위해 이용하는 이온 용출 유닛에 있어서, 전극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또 전극 파면이 떨어지거나 해도 하류측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는 이온 용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함으로써 세균 번식이 초래하는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이온 용출 유닛에 손상을 주지 않고, 또한 이온 용출 유닛을 효율적으로 가동할 수 있는 기기, 특히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제를 물과 혼합하는 세제실의 상류에 이온 용출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세제를 포함한 물이 이온 용출 유닛 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고, 세제 성분에 의한 스케일이 전극에 부착되어 이온 용출 유닛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상류측에 스트레이너(strainer)를 배치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에 공급되는 물 속에 고형의 이물질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이물질은 스트레이너에 의해 포착되어 전극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질이 전극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또 전극 사이가 이물질로 단락되어 과대한 전류가 흐르거나 금속 이온 생성 부족이 되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하류측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전극이 마모되거나 약해지거나 하여 부러져서 파편이 유출되는 일이 있었다고 해도, 그 파편은 스트레이너에 의해 포착되어 그보다 하류로는 흘러가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의 파편이 하류측의 물품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에 공급되는 물 속에 고형의 이물질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이물질은 상류측 의 스트레이너에 의해 포착되어 전극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질이 전극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전극 사이가 이물질로 단락되어 과대한 전류가 흐르거나 금속 이온 생성 부족이 되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전극이 마모되거나 약해지거나 하여 접히고 파편이 유출되는 일이 있었다고 해도, 그 파편은 스트레이너에 의해 포착되어 그보다 하류로는 흘러가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의 파편이 하류측의 물품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온 용출 유닛을 기기에 탑재하고,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기기가 세탁기인 경우 세탁물을 금속 이온으로 항균 처리하여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고, 악취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기기가 식기 세척기이면, 식기를 금속 이온으로 항균 처리하여 위생도를 높일 수 있다. 기기가 가습기이면, 물탱크 속의 물에 세균이나 조류(藻類)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 중에 세균이나 조류의 포자 등이 흩날려 그것을 흡입한 사람이 감염이나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에 있어서, 전극의 상류측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경우에는, 이온 용출 유닛에 공급되는 물 속에 고형의 이물질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이물질은 스트레이너에 의해 포착되어 전극을 손상시키거나, 전극 사이를 단락하거나 하는 일 없이 이온 용출 유닛을 기기 내에서 안정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전극의 하류측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경우에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전극이 마모되거나 약해지거나 하여 접히고 파편이 유출되는 일 이 있었다고 해도, 그 파편은 스트레이너에 의해 포착되어 그보다 하류로는 흘러가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의 파편이 하류측의 물품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기에 있어서, 기기가 세탁기인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물 속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세탁물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이 부착된 상태로 탈수 건조가 행해져, 이후에 그 세탁물을 입은 사람이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에 닿아 불쾌감을 느끼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사태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하고,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기에 있어서, 기기에 구비된 급수 밸브의 하류측에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유입구를 접속하고, 상기 급수 밸브의 접속관에 설치한 스트레이너를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류측 스트레이너와 겸용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급수 밸브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으로의 이물질의 침입도 방지된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의 상류측에 배치하기 위한 스트레이너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 기기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동시에,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기에 있어서, 기기가 세탁기인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급수 밸브로부터 이물질이 들어가 급수 밸브 자신, 혹은 그 하류의 이온 용출 유닛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물 속에 포 함되어 있던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세탁물이 오염되거나 손상되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이 부착된 상태로 탈수 건조가 행해져, 이후에 그것을 입은 사람이 이물질에 닿아 불쾌감을 느끼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의 사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이온 용출 유닛을 기기에 탑재하고,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기에 있어서, 기기에 유량이 큰 메인 급수 경로와 유량이 작은 서브 급수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메인 급수 경로에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배치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기에 있어서 유량이 큰 수류(水流)와 유량이 작은 수류를 필요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이온 용출 유닛에는 유량이 큰 수류가 흘러 금속 이온을 운반해 가므로, 금속 이온이 전극으로 역복귀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을 효율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기에 있어서, 기기가 세탁기인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량이 큰 수류와 유량이 작은 수류를 필요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이온 용출 유닛에는 유량이 큰 수류가 흘러 금속 이온을 운반해 가므로, 금속 이온이 전극으로 역복귀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세탁물을 항균 처리하는 데 필요한 금속 이온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기이고, 게다가 세탁기인 것에 있어서, 세탁조에 물을 주수(注水)하는 급수구에 세제실과 마무리제실을 구획 하여, 상기 메인 급수 경로로부터의 물은 상기 세제실에 도입되고, 상기 서브 급수 경로로부터의 물은 상기 마무리제실에 도입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금속 이온을 세탁조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와 마무리제를 세탁조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는 다른 계통이 되며, 마무리제를 투입하기 위한 경로 중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마무리제에 금속 이온이 접촉되어 화합물이 되어, 항균력을 잃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물의 유입구, 다른 쪽 단부에 물의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 및 이에 대한 물의 배관을 높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일이 없는 콤팩트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하고,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에 물을 주입하는 급수구에서 보면 상류 위치이고, 급수 밸브에서 보면 하류 위치에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급수 밸브로부터의 물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거쳐서 상기 급수구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급수구에 세제실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은 세제를 물과 혼합하는 세제실의 상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세제를 포함한 물이 이온 용출 유닛 내를 통과하거나 혹은 세제를 포함한 물이 세제실 쪽으로부터 역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세제 성분이 전극에 접촉하여 스케일의 형태로 부착되고, 이온 용출 유닛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사태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세탁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세탁기(1)는 전자동형이며, 외부 상자(10)를 구비한다. 외부 상자(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고, 그 상면과 바닥면은 개구부로 되어 있다. 외부 상자(10)의 상면 개구부에는 합성 수지제의 상면판(11)을 겹쳐, 외부 상자(10)에 나사로 고정한다. 도1에 있어서, 좌측이 세탁기(1)의 정면, 우측이 배면이고, 배면측에 위치하는 상면판(11)의 상면에 상기 합성 수지제의 백 패널(12)을 겹쳐, 외부 상자(10) 또는 상면판(11)에 나사로 고정한다. 외부 상자(10)의 바닥면 개구부에는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13)를 겹쳐, 외부 상자(10)에 나사로 고정한다. 지금까지 서술한 나사는 모두 도시하지 않는다.
베이스(13)의 4개의 코너에는 외부 상자(10)를 바닥 위에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측 다리부(14b)는 베이스(13)에 일체 성형한 고정 다리이다. 정면측 다리부(14a)는 높이 가변의 나사 다리이며, 이를 돌려 세탁기(1)의 레벨 조절을 행한다.
상면판(11)에는, 후술하는 세탁조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15)가 형성된다. 세탁물 투입구(15)를 덮개(16)가 상부로부터 덮는다. 덮개(16)는 상면판(11)에 힌지부(17)로 결합되어 수직면 내에서 회전한다.
외부 상자(10)의 내부에는, 수조(20)와 탈수조를 겸하는 세탁조(30)를 배치 한다. 수조(20)도, 세탁조(30)도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컵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수조(20)를 외측, 세탁조(30)를 내측으로 하는 형태로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수조(20)를 서스펜션 부재(21)가 현수한다. 서스펜션 부재(21)는 수조(20)의 외면 하부와 외부 상자(10)의 내면 코너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모두 4개 부위에 구비되고, 수조(20)를 수평면 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세탁조(30)는 상방을 향해 완만한 테이퍼로 넓어지는 주위벽을 갖는다. 이 주위벽에는, 그 최상부에 환형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탈수 구멍(31)을 제외하고,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는 없다. 즉, 세탁조(30)는 이른바「무공(無孔)」 타입이다. 세탁조(30)의 상부 개구부의 모서리에는, 세탁물의 탈수를 위해 세탁조(30)를 고속 회전시켰을 때에 진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환형의 밸런서(32)를 장착한다. 세탁조(30)의 내부 바닥면에는 조 내에서 세탁수(洗擢水) 혹은 헹굼수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 발생기(33)를 배치한다.
수조(20)의 하면에는 구동 유닛(40)이 장착된다. 구동 유닛(40)은 모터(41), 클러치 기구(42) 및 브레이크 기구(43)를 포함하고, 그 중심부로부터 탈수축(44)과 펄스 발생기축(45)을 상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탈수축(44)과 펄스 발생기축(45)은 탈수축(44)을 외측, 펄스 발생기축(45)을 내측으로 하는 이중축 구조로 되어 있고, 수조(20) 내에 들어간 후, 탈수축(44)은 세탁조(30)에 연결되어 이를 지지한다. 펄스 발생기축(45)은 또한 세탁조(30) 내에 들어가고, 펄스 발생기(33)에 연결하여 이를 지지한다. 탈수축(44)과 수조(20) 사이 및 펄스 발생기축(45)과 세탁조(30) 사이에는 각각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배치한다.
백 패널(12)의 하부 공간에는 전자기적으로 개폐되는 급수 밸브(50)가 배치된다. 급수 밸브(50)는, 백 패널(12)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는 접속관(51)을 갖는다. 접속관(51)에는 수도물 등의 상수를 공급하는 급수 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다. 급수 밸브(50)는 세탁조(30)의 내부를 향하는 위치에 제공한 용기형 급수구(53)에 대해 급수를 행한다. 급수구(53)는 도2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다.
도2는 급수구(53)의 모형적 수직 단면도이다. 급수구(53)는 정면측이 개방되어 있고, 그 개구부로부터 서랍(53a)이 삽입된다. 서랍(53a) 내부는 복수(실시예에서는 좌우 2개)로 구획되어 있다. 좌측의 구획은 세제실(54)로, 세제를 넣어 두는 준비 공간이 된다. 우측의 구획은 마무리제실(55)로, 세탁용 마무리제를 넣어 두는 준비 공간이 된다. 세제실(54)의 바닥부에는 급수구(53)의 내부를 향해 개방하는 주수구(54a)가 설치되어 있다. 마무리제실(55)에는 사이펀부(57)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구(53)는 서랍(53a)의 하부 부위가 세탁조(30)에 주수하는 주수구(56)로 되어 있다.
사이펀부(57)는 마무리제실(55)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는 내관(57a)과, 내관(57a)에 덮이는 캡형의 외관(57b)으로 이루어진다. 내관(57a)과 외관(57b)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57a)의 바닥부는 급수구(53)의 바닥부를 향해 개방된다. 외관(57b)의 하단부는 마무리제실(55)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고, 여기가 물의 입구가 된다. 내관(57a)의 상단부 를 넘는 레벨까지 마무리제실(55)에 물이 주입되면 사이펀의 작용이 일어나고, 물은 사이펀부(57)를 통해 마무리제실(55)로부터 흡출되어 급수구(53)의 바닥부로, 그곳으로부터 주수구(56)를 통해 세탁조(30)로 낙하한다.
급수 밸브(50)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로 이루어진다. 메인 급수 밸브(50a)는 상대적으로 유량이 크게, 서브 급수 밸브(50b)는 상대적으로 유량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유량의 대소 설정은,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의 내부 구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실현해도 좋고, 밸브의 구조 그 자체는 동일하게 하고 이에 교축율이 다른 유량 제한 부재를 조합시킴으로써 실현해도 좋다. 접속관(51)은 메인 급수 밸브(50a) 및 서브 급수 밸브(50b)의 양쪽에 공통이다.
메인 급수 밸브(50a)는 메인 급수 경로(52a)를 통해 급수구(53)의 천정부의 개구에 접속된다. 이 개구는 세제실(54)을 향해 개구되어 있고, 따라서 메인 급수 밸브(50a)로부터 유출된 유량이 큰 수류는 메인 급수 경로(52a)로부터 세제실(54)로 주입된다. 서브 급수 밸브(50b)는 서브 급수 경로(52b)를 통해 급수구(53)의 천정부 개구에 접속된다. 이 개구는 마무리제실(55)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따라서 서브 급수 밸브(50b)로부터 유출된 유량이 작은 수류는 서브 급수 경로(52b)로부터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된다. 즉, 메인 급수 밸브(50a)로부터 세제실(54)을 통해 세탁조(30)에 주입하는 경로와, 서브 급수 밸브(50b)로부터 마무리제실(55)을 통해 세탁조(30)에 주입하는 경로는 다른 계통이다.
또 세탁기 속에는, 급수 밸브가 메인 급수 밸브와 서브 급수 밸브로 구분되 어 있지 않고, 급수구도 세제실만 가질 뿐 마무리제실이 없다고 하는 것도 존재한다. 그러한 세탁기의 경우는, 급수 밸브로부터의 물이 모두 세제실에 주입되게 된다.
도1로 복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수조(20)의 바닥부에는 수조(20) 및 세탁조(30) 내의 물을 외부 상자(10)의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호스(60)가 부착된다. 배수 호스(60)에는 배수관(61) 및 배수관(62)으로부터 물이 유입된다. 배수관(61)은 수조(20)의 바닥면의 외주에 치우친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62)은 수조(20)의 바닥면의 중심에 치우친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수조(20)의 내부 바닥면에는, 배수관(62)의 접속 부위를 내측으로 둘러싸도록 환형의 격벽(63)이 고정되어 있다. 격벽(63)의 상부에는 환형의 밀봉 부재(64)가 부착된다. 이 밀봉 부재(64)가 세탁조(30)의 바닥부 외면에 고정한 디스크(65)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수조(20)와 세탁조(30) 사이에 독립된 배수 공간(66)이 형성된다. 배수 공간(66)은 세탁조(30)의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구(67)를 거쳐서 세탁조(30)의 내부에 연통한다.
배수관(62)에는 전자기적으로 개폐되는 배수 밸브(68)가 설치된다. 배수관(62)의 배수 밸브(68)의 상류측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공기 트랩(69)이 설치된다. 공기 트랩(69)으로부터는 도압관(70)이 연장 돌출된다. 도압관(70)의 상단부에는 수위 스위치(71)가 접속된다.
외부 상자(10)의 정면측에는 제어부(80)를 배치한다. 제어부(80)는 상면판(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면판(11)의 상면에 설치된 조작/표시부(81) 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령을 받아 구동 유닛(40), 급수 밸브(50) 및 배수 밸브(68)에 동작 지령을 발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조작/표시부(81)에 표시 지령을 발한다. 제어부(80)는 후술하는 이온 용출 유닛의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세탁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덮개(16)를 개방하여 세탁물 투입구(15)로부터 세탁조(30) 내로 세탁물을 투입한다. 급수구(53)로부터 서랍(53a)을 인출하여, 그 안의 세제실(54)에 세제를 넣는다. 마무리제실(55)에는 마무리제(유연제)를 넣는다. 마무리제(유연제)는 세탁 공정 도중에 넣어도 좋고, 필요하지 않으면 넣지 않아도 좋다. 세제와 마무리제(유연제)의 세트를 끝내면 서랍(53a)을 급수구(53)에 밀어 넣는다.
세제와 마무리제(유연제)의 투입 준비를 갖춘 후, 덮개(16)를 폐쇄하고 조작/표시부(81)의 조작 버튼군을 조작하여 세탁 조건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도10 내지 도13의 흐름도에 따라서 세탁 공정이 수행된다.
도10은 세탁의 전체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201에서는, 설정한 시각에 세탁을 개시하는 예약 운전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약 운전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6으로 진행한 경우는 운전 개시 시각이 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이 행해진다. 운전 개시 시각이 되면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서는 세탁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이 이루어져 있으면 스텝 S3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0의 세탁 공정의 내용은 별도로 도11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세탁 공정 종료 후,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세탁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스텝 S202로부터 바로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헹굼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4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0의 헹굼 공정의 내용은 별도로 도12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도10에서는 헹굼 공정을 3회에 걸쳐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각회의 스텝 번호에는「S400 - 1」「S400 - 2」「S400 - 3」이라 세부 번호를 붙여 표기하고 있다. 헹굼 공정의 횟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S400-3」이 최종 헹굼 공정이 된다.
헹굼 공정 종료 후, 스텝 S204로 진행한다. 헹굼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스텝 S203으로부터 바로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4에서는 탈수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5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의 내용은 별도로 도13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탈수 공정 종료 후, 스텝 S205로 진행한다. 탈수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스텝 S204로부터 바로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스텝 S205에서는 제어부(80), 특히 그 중에 포함되는 연산 장치(마이크로 컴퓨터)의 종료 처리가 순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세탁 공정이 완료된 것을 종료음으로 알린다. 모두 종료한 후, 세탁기(1)는 다음 세탁 공정을 대비하여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도11 내지 도13을 기초로 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개별 공정 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11은 세탁 공정의 흐름도이다. 스텝 S301에서는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고 있는 세탁조(30) 내의 수위 데이터의 취입이 행해진다. 스텝 S302에서는 용량 센싱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308로 진행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302로부터 바로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8에서는 펄스 발생기(33)의 회전 부하에 의해 세탁물의 양을 측정한다. 용량 센싱 후,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3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급수구(53)를 통해 세탁조(30)에 물이 주입된다. 메인 급수 밸브(50a)는 유량이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물은 신속하게 세탁조(30)에 채워져 간다. 세제실(54)에 들어 있는 세제도 대량의 물에 의해 남김 없이 흘러가게 되어, 물에 섞인 상태로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배수 밸브(68)는 폐쇄되어 있다. 수위 스위치(71)가 설정 수위를 검지하면 메인 급수 밸브(50a)는 폐쇄된다. 그리고, 스텝 S304로 진행한다.
스텝 S304에서는 길들이기 운전을 행한다. 펄스 발생기(33)가 반전 회전하고, 세탁물과 물을 교반하여 세탁물을 물에 길들이게 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다. 또한, 세탁물의 각 부위에 잡혀 있던 공기를 도피시킨다. 길들이기 운전의 결과, 수위 스위치(71)가 검지되는 수위가 당초보다 내려갔을 때는, 스텝 S305에서 메인 급수 밸브(50a)를 개방하고 물을 보급하여 설정 수위를 회복시킨다.
「천 재질 센싱」을 행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있으면, 길들이기 운전과 함께 천 재질 센싱이 실시된다. 길들이기 운전을 행한 후, 설정 수위로부터의 수위 변화를 검출하여, 수위가 규정치 이상으로 저하되어 있으면 흡수성이 높은 천 재질이라고 판단한다.
스텝 S305에서 안정된 설정 수위가 얻어진 후, 스텝 S306으로 이행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모터(41)가 펄스 발생기(33)를 소정의 패턴으로 회전시키고, 세탁조(30) 내에 세탁을 위한 주수류(主水流)를 형성한다. 이 주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진다. 탈수축(44)에는 브레이크 장치(43)에 의해 제동이 걸려 있어, 세탁수 및 세탁물이 움직여도 세탁조(30)는 회전하지 않는다.
주수류의 기간이 경과된 후, 스텝 S307로 진행한다. 스텝 S307에서는 펄스 발생기(33)가 조금씩 반전하여 세탁물을 풀어, 세탁조(30) 내에 세탁물이 밸런스가 양호하게 배분되도록 한다. 이는 세탁조(30)의 탈수 회전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12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헹굼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처음에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이 들어가지만, 이에 대해서는 도13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탈수 후, 스텝 S401로 진행한다. 스텝 S401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설정 수위까지 급수가 행해진다.
급수 후, 스텝 S402로 진행한다. 스텝 S402에서는 길들이기 운전이 행해진다. 스텝 S402의 길들이기 운전에서는, 스텝 S500(탈수 공정)에서 세탁조(30)에 부착된 세탁물을 박리하고, 물에 길들여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다.
길들이기 운전 후, 스텝 S403으로 진행한다. 길들이기 운전의 결과,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는 수위가 당초보다 내려가 있을 때는, 메인 급수 밸브(50a)를 개방하여 물을 보급하고 설정 수위를 회복시킨다.
스텝 S403에서 설정 수위를 회복시킨 후, 스텝 S404로 진행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모터(41)가 펄스 발생기(33)를 소정의 패턴으로 회전시키고, 세탁조(30) 내에 헹굼을 위한 주수류를 형성한다. 이 주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행해진다. 탈수축(44)에는 브레이크 장치(43)에 의해 제동이 걸려 있어 헹굼수 및 세탁물이 움직여도 세탁조(30)는 회전하지 않는다.
주수류의 기간이 경과된 후, 스텝 S4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6에서는 펄스 발생기(33)가 조금씩 반전하여 세탁물을 푼다. 이에 의해, 세탁조(30) 내에 세탁물이 밸런스가 양호하게 배분되어 탈수 회전에 대비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세탁조(30) 내에 헹굼수를 담아 두고 헹굼을 행하는「저수 헹굼」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항상 새로운 물을 보급하는「주수 헹굼」, 혹은 세탁조(30)를 저속 회전시키면서 급수구(53)로부터 세탁물에 물을 주입하는「샤워 헹굼」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최종 헹굼에서는 상기와 약간 다른 시퀀스가 실행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계속해서, 도13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탈수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01에서 배수 밸브(68)가 개방된다. 세탁조(30) 내의 세탁수는 배수 공간(66)을 통해 배수된다. 배수 밸브(68)는 탈수 공정 중에는 개방된 상태이다.
세탁물로부터 대부분의 세탁수가 빠진 후, 클러치 장치(42) 및 브레이크 장치(43)가 절환된다. 클러치 장치(42) 및 브레이크 장치(43)의 절환 타이밍은 배수 개시 전, 또는 배수와 동시라도 좋다. 모터(41)가 이번에는 탈수축(44)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세탁조(30)가 탈수 회전을 행한다. 펄스 발생기(33)도 세탁조(30)와 동시에 회전한다.
세탁조(3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은 원심력에 의해 세탁조(30)의 내주벽으로 밀어 붙여진다.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세탁수도 세탁조(30)의 주위벽 내면으로 집중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조(30)는 테이퍼형으로 상방으로 넓어지고 있으므로, 원심력을 받은 세탁수는 세탁조(30)의 내면을 상승시킨다. 세탁수는 세탁조(30)의 상단부에 도착하여 탈수 구멍(31)으로부터 방출된다. 탈수 구멍(31)을 나온 세탁수는 수조(20)의 내면으로 내리쳐지고, 수조(20)의 내면을 거쳐서 수조(20)의 바닥부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배수관(61)과 그에 이어지는 배수 호스(60)를 통해 외부 상자(10)의 밖으로 배출된다.
도13의 흐름에서는 스텝 S502에서 비교적 저속의 탈수 운전을 행한 후, 스텝 S503에서 고속의 탈수 운전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텝 S503을 행한 후, 스텝 S504로 이행한다. 스텝 S504에서는 모터(41)로의 통전을 차단하여 정지 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세탁기(1)는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비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메인 급수밸브(50a)의 하류측에 접속된다. 이하, 도3 내지 도9를 기초로 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조와 기능 및 세탁기(1)에 탑재되어 감당하는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급수 밸브(50), 이온 용출 유닛(100) 및 급수구(53)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상면도이다. 이온 용출 유닛(100)의 양단부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급수구(5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즉, 이온 용출 유닛(100)은 단독으로 메인 급수 경로(52a)의 전체를 구성한다. 서브 급수 경로(52b)는 급수구(53)로부터 돌출된 파이프와 서브 급수 밸브(50b)를 호스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또, 도1의 모형적 표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급수 밸브(50), 이온 용출 유닛(100) 및 급수구(53)를 세탁기(1)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 세탁기에서는 이들은 전후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에 따라서 배열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급수 밸브가 메인 급수 밸브와 서브 급수 밸브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급수구도 세제실만 가질 뿐 마무리제실이 없는 세탁기의 경우는, 단순히 급수 밸브와 급수구를 이온 용출 유닛(100)을 거쳐서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급수 밸브(50), 이온 용출 유닛(100) 및 급수구(53)는 상류측의 급수 밸브(50)로부터 하류측의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 또한 상류측의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하류측의 급수구(53)의 세제실(54)로, 또 그곳으로부터 주수구(56)를 지나서 세탁조(30)로 물이 차례로 흘러내리도록 높이를 조금씩 낮추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세제실(54)로부터 이온 용출 유닛(100)쪽으로 물이 역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세제 성분이 전극(113, 114)에 접촉되고 스케일의 형태로 부착되어, 이온 용출 유닛(100)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사태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도4 내지 도8에 이온 용출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상면도이다. 도5는 수직 단면도로, 도4에 있어서 선 A-A에 따라 절단한 것이다. 도6도 수직 단면도로, 도4에 있어서 선 B-B에 따라 절단한 것이다. 도7은 수평 단면도이다. 도8은 전극의 사시도이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 수지(무색 또는 착색), 혹은 불투명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를 갖는다. 케이스(110)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본체(110a)와, 그 상면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110b)에 의해 구성된다(도5 참조). 케이스 본체(110a)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고,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물의 유입구(111), 다른 쪽 단부에 물의 유출구(112)를 구비한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모두 파이프 형상을 이룬다. 유출구(112)의 단면적은 유입구(111)의 단면적보다 작다.
케이스(110)는 길이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이지만, 이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 케이스 본체(110a)의 바닥면은 유출구(112)를 향해 점차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도5 참조). 즉, 유출구(112)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가장 낮은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덮개(110b)는 4개의 나사(170)에 의해 케이스 본체(110a)에 고정된다(도4 참조). 케이스 본체(110a)와 덮개(110b) 사이에는 밀봉 링(171)이 끼워져 있다(도5 참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출구(112)를 향하는 수류에 따른 형태로, 2매의 판형 전극(113, 114)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10) 내 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극(113, 114)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113, 114)의 양극측으로부터 전극 구성 금속의 금속 이온이 용출된다. 전극(113, 114)은, 일례로서 2 ㎝ × 5 ㎝, 두께 1 ㎜ 정도의 은 플레이트를 약 5 ㎜의 거리를 두고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전극(113, 114)의 재료는 은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균성을 갖는 금속 이온의 기초가 되는 금속이면 좋다. 은 외에 동, 은과 동의 합금, 아연 등이 선택 가능하다. 은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은 이온, 동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동 이온 및 아연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아연 이온은 우수한 살균 효과나 곰팡이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 은과 동의 합금으로부터는 은 이온과 동 이온을 동시에 용출시킬 수 있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서는 전압 인가의 유무로 금속 이온의 용출/비용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류나 전압 인가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금속 이온의 용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 등의 금속 이온 담지체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 방식과 비교한 경우, 금속 이온을 투입하는지 여부의 선택이나 금속 이온의 농도 조절을 모두 전기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전극(113, 114)은 완전히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평면적으로 보면, 케이스(110) 내를 흐르는 수류에 관하고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환언하면 유입구(111)로부터 유출구(112)의 방향을 향해, 전극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배치되어 있다(도7 참조).
케이스 본체(110a)의 평면 형상도 유입구(111)가 존재하는 단부로부터 유출 구(112)가 존재하는 단부를 향해 좁아지고 있다. 즉,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점차 감소한다.
전극(113, 114)은 정면 형상 직사각형이고, 각각 단자(115, 116)가 설치된다. 단자(115, 116)는 각각 전극(113, 114)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형태로, 상류측이 되는 전극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부위에 형성된다.
전극(113)과 단자(115) 및 전극(114)과 단자(116)는 각각 동일한 금속 소재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전극(115, 116)은 케이스 본체(110a)의 바닥벽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통해 케이스 본체(110a)의 하면에 도출된다. 단자(115, 116)가 케이스 본체(110a)를 관통하는 부위에는, 도6의 도면 중 확대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밀(水密) 시일(172) 처리가 실시된다. 수밀 시일(172)은 후술하는 제2 슬리브(175)와 함께 이중 밀봉 구조를 형성하여, 여기로부터의 누수를 막는다.
케이스 본체(110a)의 하면에는, 단자(115, 116)를 이격하는 절연벽(173)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도6 참조). 단자(115, 116)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을 거쳐서 제어부(80)에 부속되는 구동 회로에 접속된다.
단자(115, 116) 중, 케이스(110) 내에 남아 있는 부분은 절연 물질제인 슬리브에 의해 보호된다. 2 종류의 슬리브가 사용된다. 제1 슬리브(174)는 합성 수지제이며, 단자(115, 116)가 붙어 있는 부분에 끼워 맞추어진다. 제1 슬리브(174)는 그 일부가 전극(113, 114)의 한쪽 측면으로 퍼지는 형태로 되어 있고, 이 부분의 측면에 돌기를 설치하여, 이 돌기를 전극(113, 114)에 설치한 관통 구멍에 결합시키고 있다(도6 및 도7 참조). 이에 의해, 슬리브(174)로부터의 전극(113, 114)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제2 슬리브(175)는 연질 고무제로, 제1 슬리브(174)와 케이스 본체(110a)의 바닥벽의 간극을 채우는 동시에, 자신과 케이스 본체(110a)와의 간극 및 자신과 전극(113, 114)과의 간극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115, 116)는 전극(113, 114)에 있어서 상류측의 부위에 있고, 단자(115, 116)에 끼워 맞추어지는 제1 슬리브(174)에 의해 전극(113, 114)의 상류측 부분에 지지대가 구성된다. 덮개(110b)의 내면에는 제1 슬리브(174)의 위치에 맞추어 포크 형상의 지지부(176)가 형성되어 있고(도6 참조), 이 지지부(176)가 제1 슬리브(174)의 상부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제2 슬리브(175)가 제1 슬리브(174)와 케이스 본체(110a)와의 간극을 채우고 있는 것과 아울러, 확실하게 지지대를 구성한다. 또 포크 형상의 지지부(176)는 장단의 손가락으로 전극(113, 114)을 끼우고, 이에 의해 덮개(110b)의 측에서도 전극(113, 114)의 간격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전극(113, 114)의 하류측 부분도 케이스(110)의 내면에 설치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케이스 본체(110a)의 바닥벽으로부터는 포크 형상의 지지부(177)가 수직 상승하고, 덮개(110b)의 천정면으로부터는 상기 포크 형상의 지지부(178)가 지지부(177)에 대향하는 형태로 수직 하강하고 있다(도5 및 도8 참조). 전극(113, 114)은, 각각 하류측 부분의 하부 모서리와 상부 모서리를 지지부(177, 178)로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된다.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113, 114)은 서로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이 케이스(110)의 내면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113, 114)은 그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와 케이스(110)의 내면 사이에도 공간이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다[지지부(176, 177, 178)와의 접촉 부분은 예외]. 또한, 도7과 도5의 모두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극(113, 114)의 상류측 및 하류측 모서리와 케이스(110)의 내면 사이에도 공간이 있다.
또, 케이스(110)의 폭을 더 좁게 해야 하는 경우는, 전극(113, 114)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면과 반대측의 면을 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극(113, 114)에 이물질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극(113, 114)의 상류측에 금속망제의 스트레이너를 배치한다. 실시예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51) 내에 스트레이너(180)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180)는 급수 밸브(50)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온 용출 유닛(100)의 상류측 스트레이너도 겸한다.
전극(113, 114)의 하류측에도 금속망제의 스트레이너(181)를 배치한다. 스트레이너(181)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전극(113, 114)이 얇아졌을 때, 그것이 접혀 파편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레이너(181)의 배치 장소로서는, 예를 들어 유출구(112)를 선택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180, 181)의 배치 장소는 상기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의 상류측」「전극의 하류측」이라 하는 조건을 충족시키면, 급수 경로 중 어느 곳에 배치해도 좋다. 또, 스트레이너(180, 181)는 제거 가능하게 하여, 포착한 이물 질을 제거하거나, 막힘의 원인 물질을 청소하거나 할 수 있게 한다.
도9에 도시한 것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동 회로(120)이다. 상용 전원(121)에 트랜스(122)가 접속되어, 100 V를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한다. 트랜스(122)의 출력 전압은 전파 정류 회로(123)에 의해 정류된 후, 정전압 회로(124)에 의해 정전압이 된다. 정전압 회로(124)에는 정전류 회로(125)가 접속되어 있다. 정전류 회로(125)는 후술하는 전극 구동 회로(150)에 대해, 전극 구동 회로(150) 내의 저항치의 변화에 관계 없이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상용 전원(121)에는 트랜스(122)와 병렬로 정류 다이오드(126)가 접속된다. 정류 다이오드(126)의 출력 전압은 콘덴서(127)에 의해 평활화된 후, 정전압 회로(128)에 의해 정전압이 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30)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트랜스(122)의 일차측 코일의 일단부와 상용 전원(121) 사이에 접속된 트라이액(triac)(129)을 기동 제어한다.
전극 구동 회로(150)는 NPN형 트랜지스터(Q1 내지 Q4)와 다이오드(D1, D2), 저항(R1 내지 R7)을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와 다이오드(D1)는 포토 커플러(151)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2)와 다이오드(D2)는 포토 커플러(152)를 구성한다. 즉, 다이오드(D1, D2)는 포토 다이오드이고, 트랜지스터(Q1, Q2)는 포토 트랜지스터이다.
지금, 마이크로 컴퓨터(130)로부터 라인(L1)으로 하이 레벨의 전압, 라인(L2)으로 로우 레벨의 전압 또는 오프(OFF)(0 전압)가 부여되면 다이오드(D2)가 온(ON)이 되고, 그에 수반하여 트랜지스터(Q2)도 온이 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온이 되면 저항(R3, R4, R7)에 전류가 흐르고,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걸려 트랜지스터(Q3)는 온이 된다.
한편, 다이오드(D1)는 오프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는 오프, 트랜지스터(Q4)도 오프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양극측의 전극(113)으로부터 음극측의 전극(114)을 향해 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100)에는 양이온인 금속 이온과 음이온이 발생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 장시간 한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도9에서 양극측으로 되어 있는 전극(113)이 마모되는 동시에, 음극측으로 되어 있는 전극(114)에는 물 속의 칼슘 등의 불순물이 스케일로서 고착된다. 또한, 전극의 성분 금속의 염화물 및 황화물이 전극 표면에 발생한다. 이는 이온 용출 유닛(10O)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므로,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켜 전극 구동 회로(150)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데 있어서는, 라인(L1, L2)의 전압을 역으로 하여 전극(113, 114)을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마이크로 컴퓨터(130)가 제어를 절환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1, Q4)가 온, 트랜지스터(Q2, Q3)가 오프가 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카운터 기능을 갖고 있어, 소정 카운트수에 도달할 때마다 상술한 절환을 행한다.
전극 구동 회로(150) 내의 저항 변화, 특히 전극(113, 114)의 저항 변화에 의해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치가 감소하는 등의 사태가 발생된 경우는, 정전류 회로(125)가 그 출력 전압을 올려 전류의 감소를 방지한다. 그러나, 누적 사용 시 간이 길어지면 이온 용출 유닛(100)이 수명이 다해, 전극의 극성 반전이나 특정 극성인 시간을 평상시보다도 길게 하여 전극에 부착된 불순물을 강제로 제거하는 전극 세정 모드로의 절환이나,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 전압 상승을 실시해도 전류 감소를 방지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회로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극(113, 114)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저항(R7)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감시하고, 그 전류가 소정의 최소 전류치에 이르면 그것을 전류 검지 회로 수단이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전류 검지 회로(160)가 그 전류 검지 수단이다. 최소 전류치를 검출하였다는 정보는 포토 커플러(163)를 구성하는 포토 다이오드(D3)로부터 포토 트랜지스터(Q5)를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13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선로(L3)를 거쳐서 알림 수단을 구동하고, 소정의 경고 알림을 행하게 한다. 경고 알림 수단(131)이 그 알림 수단이다. 경고 알림 수단(131)은 조작/표시부(81) 또는 제어부(80)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극 구동 회로(150) 내에서의 쇼트 등의 사고에 대해서는, 전류가 소정의 최대 전류치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는 전류 검지 수단이 준비되어 있고, 이 전류 검지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경고 알림 수단(131)을 구동한다. 전류 검지 회로(161)가 그 전류 검지 수단이다. 또한,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한 최소치 이하가 되면, 전압 검지 회로(162)가 이를 검지하여,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컴퓨터(130)가 경고 알림 수단(131)을 구동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이 생성한 금속 이온은, 다음과 같이 하여 세탁조(30)에 투입된다.
금속 이온 및 마무리제로서 이용되는 유연제는 최종 헹굼 단계에서 투입된다. 도14는 최종 헹굼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최종 헹굼에서는 스텝 S500의 탈수 공정 후, 스텝 S4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20에서는 마무리 물질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조작/표시부(81)에 의한 설정 작업에서 「마무리 물질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421로 진행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도12의 스텝 S401로 진행하여, 그 때까지의 헹굼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헹굼을 수행한다.
스텝 S421에서는 투입해야 할 마무리 물질이 금속 이온과 유연제의 2 종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조작/표시부(81)에 의한 설정 작업에서「금속 이온과 유연제」가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422로 진행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4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422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의 양쪽이 개방되어, 메인 급수 경로(52a)와 서브 급수 경로(52b)의 양쪽에 물이 흐른다.
스텝 S422는 금속 이온 용출 공정이다. 메인 급수 밸브(50a)에 설정된, 서브 급수 밸브(50b)에 설정된 수량보다도 많은 소정 수량의 수류가 이온 용출 유닛(100)의 내부 공간을 채우면서 흐른다. 그와 동시에 구동 회로(120)가 전극(113, 11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물 속에 용출시 킨다. 전극 구성 금속이 은인 경우, 양극측의 전극에 있어서 Ag → Ag+ e의 반응이 일어나 물 속에 은 이온(Ag)이 용출된다.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직류이다. 금속 이온이 첨가된 물은 세제실(54)로 들어가고, 주수구(54a)로부터 주수구(56)를 경유하여 세탁조(30)에 주입된다.
서브 급수 밸브(50b)로부터는 메인 급수 밸브(50a)로부터 유출되는 것보다도 소량의 물이 유출되어, 서브 급수 경로(52b)를 통해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된다.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유연제)가 들어 있으면, 그 마무리제(유연제)는 사이펀부(57)로부터 물과 함께 세탁조(30)에 투입된다. 금속 이온과 동시 투입이 된다. 마무리제실(55) 내의 수위가 소정 높이에 도달하기 시작하여 사이펀 효과가 발생하므로, 시기가 되어 물이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되기까지 액체 마무리제(유연제)를 마무리제실(55)에 유지해 둘 수 있다.
소정량[사이펀부(57)에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는 데 충분한 양이거나 그 이상]의 물을 마무리제실(55)에 주입한 결과, 서브 급수 밸브(50b)는 폐쇄된다. 또, 이 물의 주입 공정, 즉 마무리제 투입 동작은 마무리제(유연제)가 마무리제실(55)에 들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마무리제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으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세탁조(30)에 소정량의 금속 이온 첨가수가 투입되고, 이후 금속 이온 비첨가수를 설정 수위까지 주입하면 헹굼수의 금속 이온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한다고 판단된 결과, 전극(113, 114)으로의 전압 인가는 정지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 이 금속 이온을 생성하지 않게 된 후에도 메인 급수 밸브(50a)는 급수를 계속하고, 세탁조(30)의 내부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멈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S422에서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를 동시 투입하는 것이지만, 이는 반드시 이온 용출 유닛(100)이 금속 이온을 생성하고 있는 시간에, 사이펀 작용으로 마무리제(유연제)가 세탁조(30)에 투입되는 시간이 완전히 겹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느 것이 전후로 어긋나도 상관없다. 이온 용출 유닛(100)이 금속 이온의 생성을 정지한 후, 금속 이온 비첨가수가 추가 주수되어 있을 때에 마무리제(유연제)가 투입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요컨대, 1개의 시퀀스 중에서 금속 이온의 투입과 마무리제(유연제)의 투입이 각각 실행되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115)는 전극(113)에, 단자(116)는 전극(114)에 각각 동일 금속 소재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른 금속 부품끼리를 접합한 경우와 달리, 전극과 단자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지 않아 부식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일체화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전극(113, 114)의 간격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좁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극은 물의 흐름에 따라 마모되어 판 두께가 얇아졌을 때, 채터 진동을 발생하기 어려워 결함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지나치게 변형되어 단락될 염려도 없다.
전극(113, 114)은 케이스(110)의 내면 사이에 공간을 생기게 하는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극(113, 114)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면에 걸쳐 금 속층이 성장하고, 다른 쪽의 전극 사이에 단락 현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단자(115, 116)가 전극(113, 114)과 일체였다고 해도, 사용에 따라 전극(113, 114)이 마모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단자(115, 116)가 마모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자(115, 116)의 케이스(11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절연 물질로 된 슬리브(174, 175)로 보호되어 있어, 통전에 의한 마모가 적다. 이로 인해, 사용 도중에 단자(115, 116)가 접히는 등의 사태가 방지된다.
전극(113, 114)에 있어서, 단자(115, 116)가 설치되는 부위는 상류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부위이다. 전극(113, 114)은 서로 간격이 좁아진 부분으로부터 마모되어 간다. 단부 부분의 마모도 빠르지만, 단자(115, 116)는 전극(113, 114) 중에서도 상류측 부분이기는 하지만 전적으로 단부라는 것은 아니며, 그곳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극의 단부로부터 시작된 마모가 단자에 도달하여 단자가 근원으로부터 접혀 버리는 등의 사태가 우려없이 완료된다.
전극(113, 114)의 상류측은 제1 슬리브(174)와 지지부(17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다른 쪽 전극(113, 114)의 하류측은 지지부(177, 17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수류 중에 있어서도 전극(113, 114)은 진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이 원인이 되어 전극(113, 114)이 접힌다는 일이 없다.
단자(115, 116)는 케이스 본체(110a)의 바닥벽을 관통하여 하향으로 돌출한다. 이로 인해, 증기가 케이스(110a)에 접촉하거나[목욕물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 하는 경우, 세탁기(1)의 내부에 증기가 침입되기 쉬움], 통수에 의해 케이스(110)가 차가워지거나 하여 케이스(110)의 외면에 결로가 생겼다고 해도, 결로수는 단자(115, 116)에 접속한 케이블을 거쳐 흘러내리고, 단자(115, 116)와 케이스(110)의 경계에 체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115, 116) 사이가 결로수에 의해 단락되는 등의 사태로 발전하는 일이 없다. 케이스 본체(110a)는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극(113, 114)의 측면에 설치한 단자(115, 116)를 케이스 본체(110a)의 바닥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은 용이하다.
이온 용출 유닛(100)의 유출구(112)는 유입구(111)보다도 단면적이 작아, 유로 저항이 크다. 이로 인해, 유입구(111)로부터 케이스(110) 내에 들어간 물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공기 저장소을 만드는 일 없이 가득 넘쳐 전극(113, 114)을 완전히 침지시킨다. 따라서, 전극(113, 114) 속에 금속 이온 생성에 관여하지 않는 부위가 생겨, 이 부위가 용융되지 않고 남는 등의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유출구(112)의 단면적이 유입구(111)의 단면적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난류나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워 수류가 원활해진다. 기포가 전극에 용융 잔류를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금속 이온도 신속하게 전극(113, 114)을 분리하여 전극(113, 114)으로 역복귀하지 않으므로, 이온 용출 효율이 향상된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유량이 큰 메인 급수 경로(52a)에 배치되어 있어, 흐 르는 수량이 많다. 이로 인해, 금속 이온은 바로 케이스(110)로부터 반출되어 전극(113, 114)으로 역복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온 용출 효율이 향상된다.
유출구(112)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가장 낮은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의 통수를 정지하였을 때, 이온 용출 유닛(100) 내의 물은 모두 유출구(112)로부터 유출된다. 따라서, 한랭시에 케이스(110) 내의 잔량수가 동결되어, 이온 용출 유닛(100)이 고장나거나 혹은 파괴되는 등의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극(113, 114)의 상류측에는 스트레이너(180)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이온 용출 유닛(100)에 공급되는 물 속에 고형의 이물질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이물질은 스트레이너(180)로 포착되어 전극(113, 114)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질이 전극(113, 114)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또 전극 사이가 이물질로 단락되어 과대한 전류가 흐르거나, 금속 이온 생성이 부족해지거나 하는 일도 없다.
전극(113, 114)의 하류측에는 스트레이너(181)가 존재한다.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전극(113, 114)이 마모되거나 약해지거나 하여 접히고 파편이 유출되는 일이 있었다고 해도, 그 파편은 스트레이너(181)로 포착되어 그보다 하류로는 흘러가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113, 114)의 파편이 하류측 물품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100)을 세탁기(1)에 탑재하고 있는 경우, 스트레이너(180, 181)가 없으면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이 세탁물에 부착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은 세탁물을 오염시키거나 흠집을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세탁물에 이물질이나 전극의 파편이 부착된 채로 탈수 건조가 행해지면, 이후에 그 세탁물을 입은 사람이 이들과 접촉하여 불쾌감을 느끼거나, 극단적인 경우는 부상을 당한다는 등의 사태로 결부될지도 모르지만, 스트레이너(180, 181)가 있으면 그와 같은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스트레이너(180, 181)는 반드시 양쪽 모두 배치해야만 한다는 것은 아니다. 없어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으면 한쪽 혹은 양쪽을 폐지할 수 있다.
도14의 흐름도로 복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스텝 S423에서는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가 투입된 헹굼수를 강한 수류(강수류)로 교반하여, 세탁물과 금속 이온과의 접촉 및 세탁물로의 마무리제(유연제)의 부착을 촉진한다.
강수류로 충분히 교반을 행함으로써,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를 물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세탁물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소정 시간동안 강수류로 교반을 행한 후, 스텝 S424로 진행한다.
스텝 S424에서는 일회전하여 약한 수류(약수류)에서의 교반이 수행된다. 금속 이온을 세탁물의 표면에 부착시켜, 그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약하지만 수류가 발생하고 있으면, 세탁기(1)의 운전이 종료되어 버렸다고 사용자가 오해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완만히 교반을 행한다. 그러나, 헹굼 공정의 도중인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수단이 있으면, 예를 들어 조작/표시부(81)에 표시를 내어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으면, 교반을 멈추고 물을 정지 상태로 두어도 상관없다.
세탁물이 금속 이온을 흡착하는 데 충분한 정도로 설정한 약수류 기간의 후, 스텝 S425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다시 강한 수류(강수류)로 거듭 주의하면서 교반을 행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 중에서 금속 이온이 골고루 미치지 않은 부위에까지 금속 이온을 송입하여 확실하게 부착시킨다.
스텝 S425를 행한 후, 스텝 S4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6에서는 펄스 발생기(33)가 조금씩 반전하여 세탁물을 푼다. 이에 의해, 세탁조(30) 속에 세탁물이 밸런스가 양호하게 배분되도록 하여 탈수 회전에 대비한다.
각 스텝의 시간 배분의 일례를 든다. 스텝 S423(강수류)은 4분, 스텝 S424(약수류)는 4분 15초, 스텝 S425(강수류)는 5초 및 스텝 S406(밸런스)은 1분 40초로 한다. 스텝 S423으로부터 스텝 S406까지의 전체 시간은 10분이 된다.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는, 원래는 따로따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속 이온이 유연제 성분에 접촉하면 화합물로 변화하여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가 감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헹굼수 중에는 상당량의 금속 이온이 마지막까지 계속 남아있다. 또한, 효과 감쇄분은 금속 이온의 농도 설정에 의해 어느 정도 보상 가능하다. 그래서,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를 동시 투입하고, 항균성 부여의 효과는 다소 저하하지만 따로따로 투입하여 각각에 헹굼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헹굼 시간을 단축하여, 가사의 효율화를 도모한 것이다.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가 세탁조(30) 내에서 만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세탁조(30)에 들어갈 때까지는 접촉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의 경우, 금속 이온은 메인 급수 경로(52a)로부터 세제실(54)을 통해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마무리제(유연제)는 마무리제실(55)로부터 세탁조(30)에 투입된다. 이와 같이, 금속 이온을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와, 마무리제를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가 다른 계통이므로, 세탁조(30) 내에서 만날 때까지는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의 접촉은 발생하지 않아, 금속 이온이 고농도의 마무리제(유연제)에 접촉되어 화합물이 되거나 항균력을 잃게 되는 일이 없다.
또, 최종 헹굼의 경우에도 세탁조(30) 내에 헹굼수를 담아 두고 헹굼을 행하는「저수 헹굼」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시켰지만,「주수 헹굼」으로 최종 헹굼을 행해도 좋다. 그 경우, 주입하는 물은 금속 이온 첨가수인 것으로 한다.
또한, 스텝 S406에서 밸런스를 양호하게 얻을 수 없어 다시 한번 물을 주입하여 「밸런스 수정 헹굼」을 행하는 경우에도,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그런데, 제1 마무리 물질인 금속 이온의 투입과 제2 마무리 물질인 마무리제(유연제)의 투입은 모두 임의 선택 사항이다. 한쪽 투입을 중지할 수도 있고, 양쪽 모두 투입을 중지할 수도 있다. 양쪽 모두 투입을 중지하는 경우는 스텝 S420으로부터 스텝 S401로 진행하는 것이 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여기부터는 2 종류의 마무리 물질 중 한쪽만을 투입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421에 있어서, 투입해야 할 마무리 물질이 금속 이온과 유연제의 2 종류가 되지 않으면, 그 한쪽만 투입이 선택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는 스텝 S4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426에서는 투입해야 할 마무리 물질이 금속 이온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금속 이온이면 스텝 S42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스텝 S428로 진행한다.
스텝 S427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메인 급수 경로(52a)에 물이 흐른다. 서브 급수 밸브(50b)는 개방되지 않는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 물이 흐르면, 구동 회로(120)가 전극(113, 11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물 속에 용출시킨다. 세탁조(30)에 소정량의 금속 이온 첨가수가 투입되고, 이후 금속 이온 비첨가수를 설정 수위까지 주입하면 헹굼수의 금속 이온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한다고 판단된 결과, 전극(113, 114)으로의 전압 인가는 정지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이 금속 이온을 생성하지 않게 된 후에도 메인 급수 밸브(50a)는 급수를 계속하여, 세탁조(30) 내부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한 결과 급수를 멈춘다.
스텝 S427을 행한 후, 스텝 S423으로 진행한다. 이후,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를 동시 투입하였을 때와 동일하도록 스텝 S423(강수류) → 스텝 S424(약수류) → 스텝 S425(강수류) → 스텝 S406(밸런스)으로 진행한다.
스텝 S426에서, 투입해야 할 마무리 물질이 금속 이온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마무리제(유연제)가 단독으로 투입된다는 것이다. 이 때는 스텝 S428로 진행한다.
스텝 S428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의 양쪽이 개방되어, 메인 급수 경로(52a)와 서브 급수 경로(52b)의 양쪽에 물이 흐른다. 단, 이 온 용출 유닛(100)은 구동되지 않아 금속 이온의 생성은 행해지지 않는다.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 충분한 물이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되어 마무리제(유연제)가 사이펀부(57)를 통해 세탁조(30)에 투입된 후에는, 서브 급수 밸브(50b)는 폐쇄된다.
메인 급수 밸브(50a)는 서브 급수 밸브(50b)가 폐쇄된 후에도 급수를 계속하여, 세탁조(30) 내부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멈춘다.
스텝 S428을 행한 후, 스텝 S423으로 진행한다. 이후,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를 동시 투입하였을 때와 동일하게 스텝 S423(강수류) → 스텝 S424(약수류) → 스텝 S425(강수류) → 스텝 S406(밸런스)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마무리 물질을 1 종류밖에 투입하지 않은 경우라도 강수류 → 약수류 → 강수류의 각 스텝을 실행하여, 마무리 물질이 확실하게 세탁물에 부착되도록 한다. 단, 각 스텝의 시간 배분은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가 동일할 필요는 없으므로, 각각에 적합하도록 조정하여 설정한다.
마무리제(유연제)의 경우, 세탁물에 부착시키는 데 금속 이온과 같이 긴 시간을 걸리게 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스텝 S428을 행한 후에 스텝 S423(강수류)과 S406(밸런스)만을 두고, 스텝 S423(강수류)도 예를 들어 2분간이라는 짧은 시간에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동하는 데 있어서, 구동 회로(120)의 정전류 회로(125)는 전극(113, 114)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값이 일정하도록 전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단위 시간당 금속 이온 용출량이 일정해진다. 단위 시간당 금속 이온 용출량이 일정하게 되면, 이온 용출 유닛(100)에 흐르는 수량과 이온 용출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세탁조(30) 내의 금속 이온 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원하는 금속 이온 농도를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때 전극(113, 114) 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직류이다. 만일 이것이 교류라면, 다음 현상이 일어난다. 즉, 금속 이온이 예를 들어 은 이온인 경우, 일단 용출된 은 이온이 전극의 극성이 반전되었을 때에, Ag+ e+ Ag라는 역반응에 의해 전극으로 복귀되어 버린다. 직류이면 그러한 일은 없다.
전극(113, 114) 중, 음극으로서 사용되는 측에는 스케일이 석출된다. 극성을 반전시키지 않은 채로 직류를 계속 흐르게 하여 스케일의 퇴적량이 많아지면,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금속 이온을 소정 비율로 용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양극으로서 사용되는 전극만큼 마모가 빨라지는「편마모」의 문제도 발생한다. 그래서, 전극(113, 114)의 극성은 주기적으로 반전시킨다.
전극(113, 114)은 금속 이온의 용출을 계속하는 동안에 점차적으로 마모되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된다. 사용이 장기에 걸치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불안정해지거나, 소정의 용출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 그로 인해, 이온 용출 유닛(100)은 교환 가능하게 되어, 전극(113, 114)의 수명이 다하면 새로운 유닛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극(113, 114)이 내용 한계에 도달한 것을 조작/표시부(81)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교환 등의 보수를 촉진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덧붙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 이외의 기기,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나 가습기에 응용 가능하다. 세탁기라고 해도, 상기 실시예에서 취했던 형식의 전자동 세탁기 외에, 횡형 드럼(텀블러 방식), 경사 드럼, 건조기 겸용인 것, 또는 이층식 등 모든 형식의 세탁기에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금속 이온의 항균 작용을 이용하고자 하는 국면에서 널리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온 용출 유닛을 조합하여 효과가 있는 기기는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식기 세척기나 가습기 등, 세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 기기 전반에 걸쳐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4)

  1. 삭제
  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하류측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용출 유닛.
  3. 삭제
  4. 제2항에 기재된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하고,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세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6.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하고,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기에 있어서,
    이 기기에 구비된 급수 밸브의 하류측에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유입구를 접속하고, 상기 급수 밸브의 접속관에 설치한 스트레이너를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류측 스트레이너에 겸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세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8. 제2항에 기재된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하고,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기에 있어서,
    기기에 유량이 큰 메인 급수 경로와 유량이 작은 서브 급수 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메인 급수 경로에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세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세탁조에 주수하는 급수구에 세제실과 마무리제실을 구획하여, 상기 메인 급수 경로로부터의 물은 상기 세제실로 도입되고, 상기 서브 급수 경로로부터의 물은 상기 마무리제실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물의 유입구, 다른 쪽 단부에 물의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물의 유입구, 다른 쪽 단부에 물의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물의 유입구, 다른 쪽 단부에 물의 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4.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하고, 이 이온 용출 유닛이 생성한 금속 이온을 물에 첨가하여 이용하며, 세제실과 마무리제실을 설치한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에 물을 주입하는 급수구에서 보면 상류 위치에, 급수 밸브에서 보면 하류의 위치에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급수 밸브로부터의 물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거쳐서 상기 급수구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급수구에 세제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30081304A 2002-11-19 2003-11-18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KR100556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5479 2002-11-19
JP2002335479 2002-11-19
JPJP-P-2002-00344319 2002-11-27
JP2002344319A JP2004216199A (ja) 2002-11-19 2002-11-27 イオン溶出ユニット、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機器、及び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洗濯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950U Division KR200341200Y1 (ko) 2002-11-19 2003-11-18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148A KR20040044148A (ko) 2004-05-27
KR100556169B1 true KR100556169B1 (ko) 2006-03-06

Family

ID=323283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304A KR100556169B1 (ko) 2002-11-19 2003-11-18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KR20-2003-0035950U KR200341200Y1 (ko) 2002-11-19 2003-11-18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950U KR200341200Y1 (ko) 2002-11-19 2003-11-18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4216199A (ko)
KR (2) KR100556169B1 (ko)
AU (1) AU2003277649A1 (ko)
MY (1) MY141775A (ko)
TW (1) TWI251042B (ko)
WO (1) WO2004046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018B1 (ja) 2003-11-10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4904555B2 (ja) * 2005-01-25 2012-03-28 晟男 兵頭 金属イオンの溶出装置
JP2009090051A (ja) * 2007-10-12 2009-04-30 Panasonic Corp 電解銀溶出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125B2 (ja) * 1995-06-15 2001-06-18 株式会社東芝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JPH10292A (ja) * 1996-06-18 1998-01-06 Toshiba Corp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JP4086095B2 (ja) * 1999-03-02 2008-05-14 日本イオン株式会社 金属イオン及び塩素による液体の殺菌殺藻装置
JP2000263052A (ja) * 1999-03-15 2000-09-26 Sanyo Electric Co Ltd 水浄化装置
JP2001276484A (ja) * 2000-03-30 2001-10-09 Toto Ltd 洗濯機
JP2002028657A (ja) * 2000-07-14 2002-01-29 Sanyo Electric Co Ltd 排水処理用電極
JP2002113288A (ja) * 2000-10-12 2002-04-16 Mitsubishi Rayon Co Ltd 洗濯方法及び洗濯機
JP2002285594A (ja) * 2001-03-23 2002-10-03 Toto Ltd 中水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46044A1 (ja) 2004-06-03
AU2003277649A1 (en) 2004-06-15
TWI251042B (en) 2006-03-11
JP2004216199A (ja) 2004-08-05
TW200420787A (en) 2004-10-16
KR200341200Y1 (ko) 2004-02-11
KR20040044148A (ko) 2004-05-27
MY141775A (en)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2052Y1 (ko) 이온 용출 유닛 및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KR100556168B1 (ko) 이온 용출 유닛 및 이를 탑재한 기기
KR100873545B1 (ko) 세탁기
KR20050025664A (ko) 세탁기
JP2005065746A (ja) 洗濯機
JP4024257B2 (ja) 洗濯機
JP2004024597A (ja) 洗濯機
KR100556169B1 (ko) 이온 용출 유닛, 이온 용출 유닛을 탑재한 기기 및 이온용출 유닛을 탑재한 세탁기
JP2004057856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2004248861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機器、及び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洗濯機
JP3963793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3957617B2 (ja) 洗濯機
WO2004081277A1 (ja) 洗濯機
AU2007231905B2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provid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