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070B1 -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070B1
KR100556070B1 KR1020040050238A KR20040050238A KR100556070B1 KR 100556070 B1 KR100556070 B1 KR 100556070B1 KR 1020040050238 A KR1020040050238 A KR 1020040050238A KR 20040050238 A KR20040050238 A KR 20040050238A KR 100556070 B1 KR100556070 B1 KR 100556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tting
drive
drain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182A (ko
Inventor
유성건
Original Assignee
유성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건 filed Critical 유성건
Priority to KR102004005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0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8Perforating by slitting, i.e. forming cuts closed at their ends without removal of material
    • B26F1/20Perforating by slitting, i.e. forming cuts closed at their ends without removal of material with tools carried by a rotating drum or simila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015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erforating tubes
    • B26F1/0023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erforating tubes by rotary tools, e.g.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베어링(14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지는 구동축(150,151)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0)와, 상기 구동축(150,151)의 중간부에 축착되어진 피치기어(170) 및 양측부에 축착된 구동기어(160)와, 상기 구동축(150)의 일단에 베벨기어(180)에 의해 연결되는 캠(200)을 구비하는 캠축(190)과, 상기 캠에 연결대(210)에 의해 연결되는 요동판(220)과, 상기 요동판의 상부면에 브라켓(221)에 의해 지지되어 절삭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절삭축(250)과, 상기 절삭축에 축착된 다수개의 절삭날(260)로 구성되어진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주름관 또는 나선관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피치기어가 인출장치의 역활을 하고, 또한 배수관의 피치와 절삭날의 전,후진을 정확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정확한 배수공의 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삭날에 의해 배수관의 외주 측면을 깍아내는 타입이라 관의 크기에 상관하지 않으며, 설비의 부하가 적고 천공속도가 빨라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배수관, 주름관, 나선관, 배수공, 천공

Description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Boring machine for drainage hole of drainage pipe}
도 1 - 본 발명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 -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배수관의 이송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7 -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8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배수관(排水管)의 배수공 천공장치(이하 천공장치라 한다)
110: 본체 프레임(frame)
120: 구동모터 130: 지지 프레임
140: 지지베어링 150: 구동축
160: 구동기어 170: 피치기어(pitch gear)
180: 베벨기어 190: 캠축(cam shaft)
200: 캠(cam) 210: 연결대
220: 요동판 221: 브라켓
222: 가이더(guider)
230: 절삭모터 240: 레일
250: 절삭축 260: 절삭날
A: 배수관 B: 배수공(排水孔)
본 발명은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치에 맞춰 정확한 위치에 배수공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절삭날에 의해 배수관의 표면을 깍아내는 방식에 의해 배수공을 천공하게 됨으로써 천공속도는 빨라지고 부하는 적은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공이 천공된 배수관은 뛰어난 내화학성 및 부식에 강하고, 외압강도의 우수성으로 인해 외주면에 부직포를 덧씌운 상태로, 연약지반 및 쓰레기 매립지의 침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관로로 사용되어진다.
종래에는 상기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나선형 유공관을 사용하였는데, 상기 한 나선형 유공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막 성형된 나선관의 외주면에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구동하는 천공기에 의해서 통공(배수공)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별도의 천공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며, 유공관 내부의 천공 부분마다 다수의 스크랩이 발생하게 되어 유공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액상의 합성수지가 압출다이스로 부터 맨드릴 성형기를 통해 회전인출되면서 나선형 관이 형성되면 이때 상기 나선형 관의 압출 성형후에 원통형의 열처리 블럭을 통과하는 나선관의 외주면에 기어 형태의 유공치구가 접촉 회전하면서 유공관을 천공하도록 하는 구조의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가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의 유공치구 역시 종래의 천공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유공관 내부의 천공 부분마다 다수의 스크랩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해 유공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는 스크류에 의한 압입방식을 사용하거나, 펀칭기어에 의한 펀칭방식이어서 작업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통공을 뚫기가 곤란하고, 나선관의 인출속도와 유공치구의 회전속도가 틀리게 되면 피치(pitch)가 어긋나 통공의 천공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 상기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는 유공치구가 나선관을 따라 회전하면서 배수공을 천공하는 구조여서 나선관의 두께가 클경우에는 천공이 곤란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수관의 피치에 맞춰 정확한 위치에 배수공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되, 빠르게 회전하는 절삭날에 의해 배수관의 표면을 깍아내는 방식에 의해 신속하고 부하가 적게 걸리는 배수공 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 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베어링(14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지는 구동축(150,151)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0)와, 상기 구동축(150,151)의 중간부에 축착되어진 피치기어(170) 및 양측부에 축착된 구동기어(160)와, 상기 구동축(150)의 일단에 베벨기어(180)에 의해 연결되는 캠(200)을 구비하는 캠축(190)과, 상기 캠에 연결대(210)에 의해 연결되는 요동판(220)과, 상기 요동판의 상부면에 브라켓(221)에 의해 지지되어 절삭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절삭축(250)과, 상기 절삭축에 축착된 다수개의 절삭날(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150,151)은 한쌍을 이루되 상,하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구동축(151)은 지지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되어지는데, 상기 지지프레임 (130)의 높낮이는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은 하부에 설치된 구동축(150)의 구동기어(160)에 의해 전달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150,151)의 중간부에 축착되어진 피치기어(170)는 역시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피치기어(170) 사이에 끼워지는 배수관(A)을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피치기어(170)의 기어비는 배수관(A)의 표면에 형성된 피치, 즉 산과 골의 간격과 동일하여야 한다.
상기 배수관(A)은 산과 골이 나선형상인 나선관 또는 산과 골이 수평상태인 주름관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A)의 형태 및 크기, 구조에 따라 상기 피치기어(170)의 형태 및 크기, 구조가 달라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수관(A)의 피치와, 구동축(150,151)의 피치기어(170)가 정확하게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게 됨으로 상기 구동축(150,151)과 베벨기어(180)에 의해 연결되어져 좌우로 요동하게 되는 절삭날(260)의 위치도 정확하게 배수관(A)의 산 또는 골에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피치기어(170)는 배수관(A)의 이송은 물론 절삭날(260)의 오차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이송되는 배수관(A0의 흔들림과 이탈을 방지하고, 정확한 위치를 유도하기 위해서 가이드바(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절삭날(260)은 요동판(220)에 얹혀진 상태로 전후진하면서 배수관(A)의 외주 측면을 절삭하게 되는데, 이때 절삭날(260)의 간격은 배수관(A)의 피치에 따라 달라진다. 또 상기 요동판(220)은 캠축(190)의 회전을 수평운동으로 바꾸어주는 캠(200)에 의해 전,후 왕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요동판(220)의 저면에는 가이더(222)가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10)의 상단에 형성된 레일(240) 위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절삭날(260)의 설치위치 및 방향은 배수관(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배수공(B)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200)의 내부에는 원활한 회전과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Bearing)이 장착되어진다.
상기 절삭날(260)의 절삭작업시 배수관(A)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홀딩(holding)수단은 기 배수관성형장치에 기 설치된 상태로 본 발명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주름관 또는 나선관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피치기어가 인출장치의 역활을 하고, 또한 배수관의 피치와 절삭날의 전,후진을 정확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정확한 배수공의 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삭날에 의해 배수관의 외주 측면을 깍아내는 타입이라 관의 크기에 상관하지 않으며, 부하가 적고 천공속도가 빨라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져 매우 경제적이다.
또 절삭날의 위치변경만으로 배수관의 산 또는 골, 산과 골에 한꺼번에 배수공을 천공할 수도 있고, 천공각도, 부위, 깊이의 조절이 매우 용이해 효용가치가 매우 큰 효과를 갖는다.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치의 구조를 약간 변경하여 절삭날을 배수관의 상하좌우에 형성함으로써 한번에 여러군데의 배수공을 천공할 수도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본체 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베어링(14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지는 구동축(150,151)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20)와, 상기 구동축(150,151)의 중간부에 축착되어진 피치기어(170) 및 양측부에 축착된 구동기어(160)와, 상기 구동축(150)의 일단에 베벨기어(180)에 의해 연결되는 캠(200)을 구비하는 캠축(190)과, 상기 캠에 연결대(210)에 의해 연결되는 요동판(220)과, 상기 요동판의 상부면에 브라켓(221)에 의해 지지되어 절삭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절삭축(250)과, 상기 절삭축에 축착된 다수개의 절삭날(26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50,151)은 한쌍을 이뤄 상하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구동축(151)은 지지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판(220)의 저면에는 가이더(222)가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10)의 상단에 형성된 레일(240) 위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KR1020040050238A 2004-06-30 2004-06-30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KR100556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38A KR100556070B1 (ko) 2004-06-30 2004-06-30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38A KR100556070B1 (ko) 2004-06-30 2004-06-30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182A KR20060001182A (ko) 2006-01-06
KR100556070B1 true KR100556070B1 (ko) 2006-03-03

Family

ID=3710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238A KR100556070B1 (ko) 2004-06-30 2004-06-30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0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68B1 (ko) * 2008-06-12 2008-11-13 조은산업 주식회사 유공관 천공장치
KR100880904B1 (ko) 2007-08-01 2009-02-03 정태진 다관체 접합 배수부재 천공장치 및 천공방법
KR100886250B1 (ko) 2007-09-20 2009-02-27 조은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배수관의 구멍 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04B1 (ko) 2007-08-01 2009-02-03 정태진 다관체 접합 배수부재 천공장치 및 천공방법
KR100886250B1 (ko) 2007-09-20 2009-02-27 조은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배수관의 구멍 천공장치
KR100868568B1 (ko) * 2008-06-12 2008-11-13 조은산업 주식회사 유공관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182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250B1 (ko) 플라스틱 배수관의 구멍 천공장치
NO133653B (ko)
CN211104405U (zh) 一种稳定性强的eva自动打孔机
KR100556070B1 (ko) 배수관의 배수공 천공장치
CN101108492B (zh) 纸张穿孔装置及纸张穿孔方法
CN116352456A (zh) 一种具有精密调节功能的钳工用电动钻台
EP1732724B1 (en) Apparatus for cutting an oval hole in the wall of a pipe
CN210616790U (zh) 一种木材加工用打孔装置
CN205997073U (zh) 一种打孔精确打孔机
CN112338222A (zh) 一种数控车床及其使用方法
CN214351070U (zh) 数控机床用夹具
CN209902701U (zh) 一种传动箱体加工辅助钻孔装置
KR101476763B1 (ko) 파상형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을 이용한 장공형 유공관과 그 성형장치
EP2085167A1 (en) Notching device for rolls for rolling bars for reinforced concrete
KR200351329Y1 (ko) 나선형 유공관 성형기
US5381711A (en) Apparatus for perforating corrugated tubing
CN101282805B (zh) 穿孔装置
CN217252945U (zh) 一种水利施工用打孔装置
CN219786734U (zh) 一种可调节的水利工程的管道切割装置
CN218946412U (zh) 一种金属面夹芯板加工用高效率打孔装置
CN210232763U (zh) 一种用于无缝钢管的生产的穿孔夹具
CN219924617U (zh) 具有可调节打孔角度的板材加工机构
CN108556008A (zh) 一种板材裁边装置
CN212398713U (zh) 一种储液罐壳体的旋压加工线
CN213257180U (zh) 钻床高精度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