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827B1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827B1
KR100555827B1 KR20030073536A KR20030073536A KR100555827B1 KR 100555827 B1 KR100555827 B1 KR 100555827B1 KR 20030073536 A KR20030073536 A KR 20030073536A KR 20030073536 A KR20030073536 A KR 20030073536A KR 100555827 B1 KR100555827 B1 KR 10055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edia
roller
pressur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280A (ko
Inventor
윤기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2003007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8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8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 장입된 매체(m)를 카세트바디(22)의 배출구(24)를 향해 밀어주는 밀판(30)과, 상기 밀판(30)이 상기 매체(m)를 상기 배출구(24)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조절하는 힘조절기구와, 상기 배출구(24)측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밀판(30)에 의해 밀어지는 매체(m)에 접촉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배출구(24)로 전달하는 픽업롤러(48)와, 상기 픽업롤러(48)와 동축으로 설치된 압력롤러(50)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48)에 가해지는 매체(m)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힘조절기구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압력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m)와 픽업롤러(48)사이의 접촉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매체카세트(30)에서 매체(m)를 한장 씩 정확하게 분리하여 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매체, 자동지급, 매체카세트, 분리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A media separating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분리장치가 채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체카세트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픽업롤러와 압력롤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매체카세트 22: 카세트
24: 배출구 26: 도어
28: 경사안내부 30: 밀판
32: 경사면 34: 벨트모터
35: 구동기어 36: 구동풀리
38: 안내풀리 39: 벨트
40: 매체자동지급기 42: 구동모터
44: 피드롤러 46: 콘트라롤러
48: 픽업롤러 50: 압력롤러
52: 압력센서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에게 전달될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카세트에서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해내는 매체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이고, 매체자동지급기는 이와 같은 매체를 고객의 요청에 따라 자동으로 지급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매체카세트의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해내는 매체분리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 내에는 매체카세트(1)가 설치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는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는 매체(m)가 정리되어 장입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서 매체(m)는 밀판(3)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착되어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판(3)은 스프링(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서 상기 매체(m)는 픽업롤러(7)에 밀착되게 눌러진다. 상기 픽업롤러(7)는 상기 매 체카세트(1)의 일단부에서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 있는 매체(m)에 밀착되어 매체(m)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7)는 매체카세트(1) 자체에 구비되거나, 매체카세트(1)와는 별도로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 전달된 매체(m)를 한장 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 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이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롤러(9)의 일부구간은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매체(m)가 상기 밀판(3)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7) 방향으로 밀려져 눌러진다. 이와 같이 소정의 압력으로 픽업롤러(7)에 눌러진 매체(m)는 픽업롤러(7)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의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픽업롤러(7)에 의해서 이송된 매체(m)는 상기 피드롤러(9)와 콘트라롤러(10)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장 씩 분리되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매체카세트(1)의 내부에 장입되는 지폐(m)의 양에 따라 상기 밀판(3)이 상기 매체(m)를 픽업롤러(7)에 눌러주는 힘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m)와 픽업롤러(7)사이의 접촉마찰력이 매체(m)의 양에 따라 달라져 매체(m)를 정확하게 한장 씩 픽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는 매체자동지급기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도 발생한다. 즉, 상대적으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매체(m)와 픽업롤 러(7)사이의 접촉마찰력이 달라져 매체(m)를 한장 씩 픽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매체(m)의 재질에 따라서도 픽업성능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종이로 된 매체(m)에 비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된 매체(m)는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강해서 설계를 달리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밀판(3)을 픽업롤러(7) 방향으로 눌러주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오랜 사용에 의해 열화되거나 어떤 다른 원인에 의해 그 힘이 변하는 경우에도 픽업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와 픽업롤러 사이에서 발생하는 픽업력이 항상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세트의 내부에 장입된 매체를 카세트의 배출구를 향해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마찰력으로 상기 배출구로 전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가해지는 매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밀판이 상기 매체를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조절하는 힘조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판의 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매체에 밀착되고, 상기 밀판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상기 카세트의 선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매체를 안내하는 경사안내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힘조절기구는, 상기 카세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벨트모터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다수개의 안내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다수개의 안내풀리에 걸어감아지고 일측이 상기 밀판에 연결되어 벨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픽업롤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가 매체의 압력을 전달받도록 하는 압력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력롤러는 상기 롤러축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모터, 구동벨트, 피드롤러, 픽업롤러 및 압력롤러는 매체자동지급기 본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세트 내부에 장입된 매체를 마찰력으로 상기 카세트의 배출구로 전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센서로 전달하는 압력롤러와; 상기 매체를 배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제공하는 힘조절기구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힘조절기구가 매체를 밀어주는 힘을 조절하도록 상기 힘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힘조절기구는 매체에 접촉되어 매체를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카세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벨트모터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다수개의 안내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다수개의 안내풀리에 걸어감아지고 일측이 상기 밀판에 연결되어 벨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매체카세트 내의 매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체카세트 내의 밀판이 매체에 가하는 압력의 기준을 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1단계의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경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해 매체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체카세트의 구성이 개략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카세트(20)는 많은 양의 매체(m)를 장입한 상태로 매체자동지급기(40)에 장착되어 매체(m)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매체카세트(20)의 외관을 카세트바디(22)가 형성하는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는 매체가 장입되는 공간(23)이 구비된다.
상기 카세트바디(22)의 일측 선단에는 배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4)는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 있던 매체(m)가 매체자동지급기(40)의 이송경로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구(24)는 도어(2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26)는 매체카세트(20)가 매체자동지급기(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24)를 개방하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출구(2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배출구(24)를 향해서 매체(m)를 안내하도록 경사안내부(28)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안내부(28)는 소정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매체(m)의 양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는 밀판(30)이 설치된다. 상기 밀판(30)은 상기 공간(23)내에서 매체(m)를 상기 경사안내부(28)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밀판(30)의 전면은 상기 경사안내부(28)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32)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판(30)에 매체(m)를 밀어주는 힘을 조절하여 제공하기 위한 힘조절기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카세트바디(22)에는 벨트모터(34)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모터(34)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3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35)와 치합되는 기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구동풀리(36)가 상기 카세트바디(22)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36)는 상기 구동기어(35)를 통해 상기 벨트모터(34)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풀리(36)와 협력하여 벨트(39)를 구동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안내풀리(38)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풀리(36)와 안내풀리(38)에는 벨트(39)가 걸어감아져 있고, 상기 구동풀리(36)에 의해 벨트(39)가 구동된다.
상기 벨트(39)는 그 일측이 상기 밀판(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39)가 구동풀리(36)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밀판(30)이 상기 카세트바디(22)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m)를 분리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장착되는 매체자동지급기(40)의 부분에는 카세트바디(22)의 매체(m)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된다.
즉, 구동모터(42)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42)에 의해 구동되는 피롤러(44)가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44)는 상기 구동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나,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생략했다. 이들 사이의 동력전달은 기어나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44)와 쌍을 이루도록 콘트라롤러(46)가 설치된다. 상기 피드 롤러(44)와 콘트라롤러(46)는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이들 사이로 매체(m)가 2장이 한꺼번에 지나가면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롤러(44)와 콘트라롤러(46)의 사이는 기어나 벨트로 연결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물론 서로의 회전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피드롤러(44)측과 구동벨트(47)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픽업롤러(48)가 구비된다. 상기 픽업롤러(48)는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링크의 선단에 구비된다. 상기 링크는 상기 피드롤러(44)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선단이 회전되는데, 이 선단에 상기 픽업롤러(48)가 설치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픽업롤러(48)는 상기 매체카세트(30)가 매체자동지급기(40)에 장착될 때, 도어(26)에 의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카세트바디(2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경사안내부(28)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표면이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픽업롤러(48)는 그 회전중심인 롤러축(49)의 양단이 상기 링크의 선단에 지지된다. 즉, 상기 링크는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롤러축(49)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롤러축(49)에는 압력롤러(50)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롤러(50)는 상기 롤러축(49)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픽업롤러(48)와 압력롤러(50)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픽업롤러(48)가 2개가 구비되고, 이들 사이에 압력롤러(50)가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압력롤러(50)를 통해 픽업롤러(48)와 매체(m)사이의 밀 착되는 정도를 확실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픽업롤러(48)의 사이에 압력롤러(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롤러(50)와 연동되게 압력센서(52)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센서(52)는 상기 압력롤러(5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링크의 선단에 양단이 지지된 상기 롤러축(49)에 픽업롤러(48)와 동축으로 압력롤러(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픽업롤러(48)에 매체(m)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압력센서(52)가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압력센서(52)는 회전되지 않는 상기 압력롤러(50)에 의해 눌러지면서, 그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벨트모터(34)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체카세트(20)는 매체자동지급기(4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매체카세트(20)가 매체자동지급기(40)에 장착되면, 상기 도어(26)가 개방되어 배출구(24)가 노출되고, 상기 경사안내부(28)로 상기 픽업롤러(48)가 진입한다.
이때, 상기 픽업롤러(48)는 상기 카세트바디(22) 내부의 경사안내부(28)에 지지된 매체(m)에 밀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매체(m)가 상기 픽업롤러(48)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48)와 동축으로 설치되는 상기 압력롤러(50)가 압력센서(52)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롤러(50)가 압력센서(52)에 접촉하게 되면 압력센서(52)가 그 압력을 측정하여 매체자동지급기(40)의 제어부인 중앙연산처리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달된 정보에 따라, 상기 벨트모터(34)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롤러(50)에 의해 압력센서(52)가 감지하는 압력값이 정해진 값에 비해 크면 상기 밀판(30)이 상기 매체(m)를 밀어주는 힘을 줄여 준다.
즉, 상기 벨트모터(34)가 구동되어 상기 밀판(30)이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벨트모터(34)의 구동력으로 상기 구동기어(35)가 구동풀리(36)를 구동하고, 상기 구동풀리(36)에 의해 벨트(39)가 구동되어 상기 밀판(30)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52)가 감지하는 압력값이 정해진 값에 비해 작으면 상기 밀판(30)이 상기 매체(m)를 밀어주는 힘을 크게 한다. 즉, 상기 벨트모터(34)를 구동시켜 상기 밀판(30)이 도 2의 화살표 A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밀판(30)이 매체(m)를 상대적으로 더 세게 눌러주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매체자동지급기(40)가 사용되는 환경이나 매체(m)의 재질에 따라서도 관리자는 상기 매체(m)가 상기 픽업롤러(48)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이들 사이의 접촉마찰력을 제어하게 된다. 즉, 매체자동지급기(40)가 사용되는 환경이나 매체(m)의 재질에 맞도록,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접촉마찰력이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매체(m)와 픽업롤러(48)사이의 접촉마찰력을 적절하게 조정하게 되면, 매체카세트(30)에서 매체(m)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42)가 구동되면, 상기 피드롤러(44)와 콘트라롤러(46)가 구동되고, 상기 피드롤러(44)측과 구동벨트(47)로 연결된 픽업롤러(48)도 구동된다. 상기 픽업롤러(48)의 구동에 의해 상기 경사안내부(28)에 지지되어 있던 매체(m)는 상기 배출구(24)를 통해 빠져나오고, 상기 피드롤러(44)와 콘트라롤러(46)의 사이로 들어간다.
상기 피드롤러(44)와 콘트라롤러(46)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m)는 매체자동지급기(40) 내에 형성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매체자동지급기(40)로부터 고객에게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매체카세트(20)에 장입되어 있던 매체(m)의 양이 줄어들면, 상기 매체(m)에 의해 눌러지는 픽업롤러(48)의 롤러축(49)과 동축으로 설치된 압력롤러(50)가 압력센서(52)에 눌러지는 압력값이 달라진다. 이는 압력센서(52)에 의해 감지되고, 이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벨트모터(34)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픽업롤러(48)와 매체(m)사이의 접촉마찰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상기 압력센서(52)는 상기 압력롤러(50)가 특정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압력센서(52)에 가하는 압력을 계속적으로 측정하도록 되어 있어 보다 확실하게 상기 픽업롤러(48)와 매체(m)사이의 접촉마찰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모터(42), 피드롤러(44), 콘트라롤러(46), 픽업롤러(50) 및 압력센서(52) 등의 구성이 상기 카세트바디(22)에 설치되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는 매체를 매체카세트에서 분리하여 내는 픽업롤러와의 사이에 접촉마찰력을 원하는 값으로 관리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매체자동지급기가 사용되는 환경, 매체가 매체카세트에 장입되어 있는 량, 매체의 재질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매체와 픽업롤러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있을 수 있어 매체를 매체카세트에서 한장씩 정확하게 분리하여 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매체카세트를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매체가 픽업롤러에 눌러지는 압력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신뢰성이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카세트의 내부에 장입된 매체를 카세트의 배출구를 향해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배출구측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매체를 마찰력으로 상기 배출구로 전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가해지는 매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밀판이 상기 매체를 상기 배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조절하는 힘조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의 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매체에 밀착되고, 상기 밀판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상기 카세트의 선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매체를 안내하는 경사안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힘조절기구는,
    상기 카세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벨트모터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다수개의 안내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다수개의 안내풀리에 걸어감아지고 일측이 상기 밀판에 연결되어 벨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력센서가 매체의 압력을 전달받도록 하는 압력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롤러는 상기 롤러축에 대해 회전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구동모터, 구동벨트, 피드롤러, 픽업롤러 및 압력롤러는 매체자동지급기 본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9. 카세트 내부에 장입된 매체를 마찰력으로 상기 카세트의 배출구로 전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압력센서로 전달하는 압력롤러와;
    상기 매체를 배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제공하는 힘조절기구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힘조절기구가 매체를 밀어주는 힘을 조절하도록 상기 힘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힘조절기구는,
    매체에 접촉되어 매체를 밀어주는 밀판과,
    상기 카세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벨트모터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벨트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다수개의 안내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다수개의 안내풀리에 걸어감아지고 일측이 상기 밀판에 연결되어 벨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11.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매체카세트 내의 매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체카세트 내의 밀판이 매체에 가하는 압력의 기준을 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1단계의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경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방법.
KR20030073536A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10055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3536A KR100555827B1 (ko)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3536A KR100555827B1 (ko)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80A KR20050038280A (ko) 2005-04-27
KR100555827B1 true KR100555827B1 (ko) 2006-03-03

Family

ID=3724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3536A KR100555827B1 (ko) 2003-10-21 2003-10-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89B1 (ko) 2008-06-25 2010-10-08 엘지엔시스(주)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KR101190423B1 (ko) 2011-04-15 2012-10-11 엘지엔시스(주) 매체 픽업 방법, 매체 픽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539B1 (ko) * 2007-10-23 2010-02-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공급 장치
KR101449043B1 (ko) * 2008-08-12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가압력 제어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매체출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89B1 (ko) 2008-06-25 2010-10-08 엘지엔시스(주)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KR101190423B1 (ko) 2011-04-15 2012-10-11 엘지엔시스(주) 매체 픽업 방법, 매체 픽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280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4686A (en) Sheet feeding apparatus with a constant friction torque generating mechanism
KR100829849B1 (ko) 프린터
US8794622B2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558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US7520500B2 (en)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media dispenser
KR10066852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EP1959404B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US7316306B2 (en) Currency note feeding apparatus for currency note handling machine
KR20020060845A (ko) 매체자동지급기
KR200378713Y1 (ko) 지폐류 취급기기용 지폐류 이송장치
KR10050903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픽업장치
KR10062640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JPH0733304A (ja) カバー組立体及び位置決めバネを備えた顧客設置可能なバイパス用紙搬送機構
JPH04292372A (ja) コピー用紙バイパス搬送機構
KR10053328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용 밀판동력 전달장치
KR100572859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방법 및 장치
JP2930652B2 (ja) 自動給紙装置
KR100333616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자동지급방법
KR200308688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스탬프모듈부동력전달장치
KR100366418B1 (ko) 지폐자동지급기
KR20070037026A (ko) 매체수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498932B2 (ja) シート給送装置
KR100537681B1 (ko) 동력전달장치와 이를 사용한 매체자동지급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20900B1 (ko) 카드프린터의 카드공급장치
KR20060008816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