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132B1 -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132B1
KR100555132B1 KR1020000086450A KR20000086450A KR100555132B1 KR 100555132 B1 KR100555132 B1 KR 100555132B1 KR 1020000086450 A KR1020000086450 A KR 1020000086450A KR 20000086450 A KR20000086450 A KR 20000086450A KR 100555132 B1 KR100555132 B1 KR 10055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denier
polyester
screening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378A (ko
Inventor
송기철
박시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0008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1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사로서 비수수축율이 일반 폴리에스터에 비해 10 ∼ 30% 높은 고수축성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사용하고, 효과사로서 섬도가 50데니어 이상 150데니어 이하이고 필라멘트수가 100이상 300이하이면서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폴리에스터 고배향 미연신사를 적용하여 복합가연함에 있어서, 심사 대 효과사의 비율을 30:70 ∼ 50:50으로 하고 심사와의 공기 혼섬 전에 효과사를 부분연신하여 섬유길이 방향으로 태세부를 형성시켜서, 벌키성 및 소프트감, 자연스러운 표면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튜브가이드, 공급롤러, 가열롤러, 제 1 히터, 냉각판, 트위스트 벨트, 제 2 히터, 공기교락장치, 오일링 롤러, 와인더

Description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a polyester composite yarn}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은 심사로서 비수수축율이 일반 폴리에스터에 비해 10 ∼ 30% 높은 고수축성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사용하고, 효과사로서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고배향 미연신사를 적용하여, 심사 대 효과사의 비율을 30:70 ∼ 50:50(중량비)으로 하여 공기교락을 부여한 뒤 공지의 가연장치로서 선교락 후가연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는 외관이나 촉감면에 있어서 비교적 단조롭고 차가운 감촉을 주기 때문에 면이나 양모와 같이 천연섬유의 외관이나 촉감을 갖도록 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가연가공에 대한 여러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종래의 숭고성이 우수한 심초방식의 다층구조 복합가연사는 두종류 이상의 원사의 신도차이를 이용하여 동일한 가연영역에서 가연정도의 차이를 유발하여 신 도가 낮은 원사는 복합가연사의 심(core)구조로 들어가고 신도가 높은 원사는 복합가연사의 초(sheath)구조로 나타나서 심사를 외곽에서 감싸는 구조를 가진 복합가공사를 얻는 방법이 일본 특허공고 평7-126944, 특허공개 평7-11529 및 일본 특허공고 평8-1015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가공법에 의한 가공사는 벌키성과 소프트 터치면에서는 어느정도 만족할 만한 것이지만 소프트하면서 자연스러운 외관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에는 못 미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도차가 있는 두개의 원사를 복합가연함에 있어서, 심사부분의 고수축율을 이용해서 사의 벌키성을 증가시키고, 단사섬도 0.5데니어의 효과사를 사용하여 소프트한 표면감을 가지도록 하는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심사에 아래의 특성을 만족하는 고수축 폴리에스터를 사용한다.
- 아 래 -
50 < Δn × 103 < 150 ···········(1)
50 ≤ B.W.S ≤ 40 ··············(2)
여기에서 Δn는 복굴절율, B.W.S는 비수수축율(%)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효과사는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의 고배향 미연신사로서 고수축사와의 공기교락 형성전에 부분연신을 하여 섬유길이 방향으로 태세부 를 형성시켜 태세부의 염색농담차로 인하여 자연스러운 표면감과 소프트감을 발현시킬 수 있다.
종래에 공지된 복합가연사의 경우 심사로는 통상의 폴리에스터사를 사용함으로써 심사와의 신도차이로 인한 염색성 차를 극복하지 못해 섬유표면이 희끗희끗하게 되어 제품성이 저하되었고 염가공 후에도 벌키성 향상효과가 적은 단점이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심사에 고수축사를 적용하여 염가공 후의 벌키성 향상을 도모하였으며, 초사에 적용한 초극세 테세사로 인해 자연스러운 염색 특성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개략도로서, 신도차가 있는 고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연신사(A)와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고배향 미연신사(B)를 각각 분리한 상태에서 A원사는 튜브가이드(1)를 통해 공급롤러(3)에 공급하고, B원사는 다른 튜브가이드(1')을 통해 공급롤러(2)에 공급하여 공급롤러(2)와 공급롤러(3)사이의 가열롤러(4)를 통과하면서 부분연신이 이루어지게 하여 공급롤러(3)에 공급한다.
공급롤러(3)를 통과한 사조는 공기교락장치(12)에서 공기혼섬되어 공급롤러(9) 사이에서 동일 연신비율로 연신, 가연을 한다.
이 때 가연장치로는 트위스트 벨트(8) 또는 스핀들식, 마찰식 등 임의의 가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연신, 가연된 사조는 제 2 히터(10)를 통과하여 오일링롤러(11)에 의해 급유 된 후 와인더(13)에 권취된다.
이와 같이 심사와 초사를 연신가연함으로써 심, 초사는 서로 복잡하게 얽힘과 동시에 크림프를 형성하면서 사의 구조가 벌키하게 된다.
또한 초사(B)의 태세부가 가공사의 표면부에 위치하게 되어 다색감을 가진 복합가연사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복합가연사의 심사로서 수축율이 25%인 고수축 폴리에스테르 50데니어/12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초사로는 섬도가 50데니어 이상 150데니어 이하이고 필라멘트 수가 100이상 300이하이면서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고배향 미연신사를 적용하여 1과 같은 공정에서 다음 조건에 의해 복합사가공을 실시하였다.
·사속 : 400(m/분)
·부분 연신비 : 1.10
·연신비 : 1.050
·벨트속도비 : 1.700
·트위스트각 : 110
·제 1 히터온도 : 50℃
·제 2 히터온도 : 150℃
·선인터레이스 오버피드 및 에어압력 : 2%, 3Kg/㎠
·제 2 오버피드 : 1.94%
·제 3 오버피드 : 2.45%
이렇게 제조한 사를 연수 800꼬임수/m으로 연사 후 경사밀도 80본/인치, 위사밀도 60본/인치로 제직하고, 기타 가공조건은 소모조 직물의 가공방법대로 직물을 생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고수축 연신사 50데니어/12필라멘트와 통상의 폴리에스터 고배향 미연신사 120데니어/72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가공, 고차가공을 전개하였다.
비교예 2
통상의 폴리에스터 연신사 50데니어/12필라멘트와 실시예 1의 고배향 미연신사 120데니어/72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사가공, 고차가공을 진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조한 직물에 대한 제품성을 상기 평가기준에 의거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 표 1 >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벌키성 우수 우수 부족
소프트감 매우우수 우수 부족
자연스러운감 매우우수 부족 부족
본 발명은 심사로서 비수수축율이 일반 폴리에스터에 비해 10 ∼ 30% 높은 고수축성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사용하고, 효과사로서 섬도가 50데니어 이상 150데니어 이하이고 필라멘트수가 100이상 300이하이면서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고배향 미연신사를 적용하여 복합가연함으로서 벌키성과 소프트감 및 자연스러운 외관을 동시에 가지는 고숭고성 복합가연가공사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

  1. 심사로서 비수수축율이 일반 폴리에스터에 비해 10 ∼ 30% 높은 고수축성 폴리에스터 연신사를 사용하고, 효과사로서 태세부를 가지며 섬도가 50데니어 이상 150데니어 이하이고 필라멘트수가 100이상 300이하이면서 단사섬도가 0.5데니어 이하인 고배향 미연신사를 사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00086450A 2000-12-29 2000-12-29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55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450A KR100555132B1 (ko) 2000-12-29 2000-12-29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450A KR100555132B1 (ko) 2000-12-29 2000-12-29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378A KR20020058378A (ko) 2002-07-12
KR100555132B1 true KR100555132B1 (ko) 2006-02-24

Family

ID=2768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450A KR100555132B1 (ko) 2000-12-29 2000-12-29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67B1 (ko) * 2011-03-23 2013-04-15 신화섬유공업 (주) 차량용 항균안전벨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028B1 (ko) * 2001-07-18 2003-09-19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터 가공사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204A (ko) * 1991-09-16 1993-04-21 하기주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30010265A (ko) * 1991-11-21 1993-06-22 하기주 이수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KR960023343A (ko) * 1994-12-21 1996-07-18 이웅열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KR960023349A (ko) * 1994-12-30 1996-07-18 배도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JPH0978381A (ja) * 1995-09-11 1997-03-25 Mitsubishi Rayon Co Ltd 仮撚複合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37327A (ja) * 1995-11-09 1997-05-27 Kuraray Co Ltd ポリエステル太細混繊糸の製造法
JPH10237740A (ja) * 1997-02-24 1998-09-08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絣調織物
KR20000025004A (ko) * 1998-10-07 2000-05-06 조정래 폴리에스터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204A (ko) * 1991-09-16 1993-04-21 하기주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930010265A (ko) * 1991-11-21 1993-06-22 하기주 이수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KR960023343A (ko) * 1994-12-21 1996-07-18 이웅열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KR960023349A (ko) * 1994-12-30 1996-07-18 배도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JPH0978381A (ja) * 1995-09-11 1997-03-25 Mitsubishi Rayon Co Ltd 仮撚複合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37327A (ja) * 1995-11-09 1997-05-27 Kuraray Co Ltd ポリエステル太細混繊糸の製造法
JPH10237740A (ja) * 1997-02-24 1998-09-08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絣調織物
KR20000025004A (ko) * 1998-10-07 2000-05-06 조정래 폴리에스터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67B1 (ko) * 2011-03-23 2013-04-15 신화섬유공업 (주) 차량용 항균안전벨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378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623B1 (ko)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55132B1 (ko) 폴리에스터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0509864B1 (ko) 폴리에스터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JPH0473231A (ja) 複合構造加工糸とその製造方法
KR100212002B1 (ko) 드라이한 청량감을 갖는 소모조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JP2698625B2 (ja) 多層構造捲縮糸の製造方法
KR100321090B1 (ko) 폴리에스터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20070072002A (ko) 소프트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JP4129760B2 (ja) 複合仮撚糸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織編物
KR20030054570A (ko) 소모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870000879B1 (ko) 나일론 필라멘트 가공사
KR0138223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JP2960634B2 (ja) 清涼感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二層構造糸
JP3226840B2 (ja) 複合仮撚加工糸織物
JP431255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同仮撚捲縮糸を含む織編物
KR930010788B1 (ko) 폴리에스터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JP4701478B2 (ja) 多色性複合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48194A (ja) 複合仮撚混繊糸及び織編物
KR100223494B1 (ko)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JP3526990B2 (ja) ポリエステル系異収縮混繊糸
JP3447866B2 (ja) 軽量ウォーム感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多層構造糸
JP2839294B2 (ja) 複合糸の製造方法
JPH0299630A (ja) 絹紡糸調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CN116324061A (zh) 聚酯复合混纤纱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