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297B1 - 치실기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치실기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297B1
KR100554297B1 KR1020030077836A KR20030077836A KR100554297B1 KR 100554297 B1 KR100554297 B1 KR 100554297B1 KR 1020030077836 A KR1020030077836 A KR 1020030077836A KR 20030077836 A KR20030077836 A KR 20030077836A KR 100554297 B1 KR100554297 B1 KR 10055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thread
injection molding
unit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072A (ko
Inventor
정진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엔지
Priority to KR102003007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297B1/ko
Publication of KR2005004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6Floss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49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 B29C45/14565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at spaced locations, e.g. coaxial-cable wires
    • B29C45/14573Coating the edge of the article, e.g. for slide-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치석을 제거하기 위하여 1회용으로 사용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U"자형으로 된 실협지부와, 상기 실협지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손잡이부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사출성형과정에서 상기 실협지부의 양측 끝단의 몸체내를 관통하여 지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실협지부에 의해 긴장된 상태를 유지토록 협지된 후 상기 실협지부의 바깥측의 양단이 절단되어지는 실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실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협지부의 양측 끝단부분을 관통하여 지나는 실의 양단은 사출성형이 끝난 후 불꽃에 의해 절단되면서 열처리되어 용융된 덩어리 상태의 열처리매듭을 형성하되, 그 열처리매듭은 상기 실협지부의 양측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출성형 중에 공급되는 실은 왁스처리된 치실기구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치실기구 인출장치부, 치실기구 안내장치부, 실절단장치부, 열처리장치부

Description

치실기구 제조장치{Dental therad tool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조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 채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들의 연결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장치부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실기구 안내장치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치실기구 안내장치부 선단에 설치된 치실기구 안내구의 저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절단장치부의 작동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절단장치부에 복수단으로 장착되어 있는 실절단판의 저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열처리장치부가 치실기구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치실기구 인출장치부를 향해 회전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열처리장치부의 작동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치실기구의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0은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3 : 치실기구 4 : 치실기구 인출장치부
5 : 치실기구 안내장치부 6 : 실절단장치부
7 : 열처리장치부 8 : 배출슈트
21,22 : 사출금형 31 : 실
32 : 실협지부 33 : 손잡이부
34 : 열처리매듭 41 : 회전판
42 : 이송편 43 : 절개부
44 : 돌출머리부 45 : 어깨부
51 : 치실기구 이송통로 52 : 안내통로
53 : 치실기구 안내구 54 : 끼움안내탄편
61 : 고정브라켓 62 : 수평안내봉
63 : 수평이동용 실린더 64 : 왕복대
65 : 수직이동용 실린더 66 : 실절단판
67 : 탄력압지봉 68 : 절단칼
69 : 진공흡입관 71 : 브라켓
72 : 회전용 실린더 73 : 수직회전대
74 : 승강대 75 : 노즐몸체
76 : 노즐 77 : 밸브몸체
78 : 승강용 실린더 81 : 탈락부재
본 발명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치석을 제거하기 위하여 1회용으로 사용되는 치실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치실기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제조금형에 의해서 한가닥의 실에 다수의 플라스틱 성형물들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매달린 상태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들을 인출하면서 각 치실기구들을 낱개로 분리시켜서 1회용 치실기구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실기구는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치석을 제거하기 위하여 1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실기구는 플라스틱 성형물에 합성섬유사로 된 실(치실)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구조로 제조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종래 치실기구(100)의 경우는 손잡이(101)의 선단측에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된 포크형상부(102)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성형물과, 상기 포크형상부(102)의 양측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103)에 양단에 매듭(104)이 형성된 실(105)의 양단을 끼워서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러한 치실기구(100)는 실(105)의 양단을 플라스틱 성형물의 포크형상부(102)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103)에 하나씩 일일이 끼워주는 작업이 까다로워 생산성이 매우 낮아 일회용으로 사용 하기에는 단가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포크형상부(102)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홈(103)이 항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치실기구(100)를 사용하는 도중에 실(105)이 포크형상부(102)의 끼움홈(103)에서 빠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치아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105)을 치아 사이에 억지로 끼워넣을 때에는 실(105)은 끼움홈(103)의 폐구측 방향을 향해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어 실(105)의 양단은 끼움홈(103)에서 빠지지 않게 되지만, 이와 반대로 실을 치아 사이에 끼워넣은 후 빼내고자 할 때 실(105)이 치아 사이에 꽉끼여 있을 경우에는 실(105)의 중간부분은 치아 사이에 걸리게 되는 반면에 실(105)의 양단은 끼움홈(103)의 개구된 슬롯(slot)으로 빠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치실기구(100)를 사용하는 도중에 실(105)이 포크형상부(102)에서 이완되어 치아 사이에 끼여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사용자는 치실기구(100)를 신뢰하지 못하고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종래 치실기구(200)의 경우는 손잡이부(201)와 실협지부(202)가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물과 상기한 실협지부(202) 양측에 실(203a)의 양단에 매설되어 협지된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러한 치실기구(20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제조금형 내부로 실(203)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실(203)이 복수개의 플라스틱 성형물(204)들의 실협지부(202)의 끝단을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하므로서 사출성형이 완료되고 금형으로부터 제품이 탈형되면 길게 연속하는 실(203)의 도중에 일정간격으로 플라스틱 성형물(204)들이 매달린 형상으로서 1차 로 성형되며, 다음 단계로 각 플라스틱 성형물의 실협지부(202)들 사이를 잇는 실(203)의 중간부분을 칼(205)로 절단하여 낱개로 된 치실기구(200)를 제조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치실기구(200)는 실(203a)의 양단이 플라스틱 성형물의 실협지부(202)를 관통한 상태에서 단순히 칼에 의해 절단되어진 상태이므로 절단된 실(203a)의 양단은 올이 풀린 상태가 되어 치실기구(200)의 외관이 지저분한 상태가 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이빨 사이로 밀어넣어 사용하게 될 때 실(203a)이 실협지부(202)에서 빠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실협지부(202)를 관통한 상태로 실협지부(202)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실(203a)은 그 양단이 단순히 칼(205)에 의해 절단되어 있을 뿐 실협지부(202)에 견고하게 걸려있게 하는 매듭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203a)의 중간부분을 눌렀을 때 실의 양단이 실협지부(202)에서 미끄러지듯이 빠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치실기구(200) 사용시 실(203a)을 치아 사이에 삽입시키기 위해 힘을 가할 때 또는 치아 사이에서 빼내고자 할 때 실(203a)의 양단이 실협지부(202)에서 이완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종래 구조의 치실기구(200)의 경우 실(203a)을 왁스처리할 수 없는 관계로 실(203a)을 이빨 사이로 밀어넣게 될 때 너무 뻑뻑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고 힘을 가하게 되는 과정에서 잇몸을 손상시킬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이 왁스처리된 실을 사용할 수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왁스처리된 실을 사용할 경우 왁스의 미끄러운 유분성질에 의해 플라스틱 용융물과 공급되는 실 의 유리현상을 가져와 실의 협지력이 현저히 낮아져 약간의 긴장력을 가하더라도 실이 이완되거나 심하면 빠져버리고 말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치실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치실기구 사용시 실이 플라스틱 성형물에서 이완되지 않으며, 또 왁스처리된 실을 사용할 수 있어 이빨의 소제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치실기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실기구는,
"U"자형으로 된 실협지부와, 상기 실협지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손잡이부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사출성형과정에서 상기 실협지부의 양측 끝단의 몸체내를 관통하여 지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실협지부에 의해 긴장된 상태를 유지토록 협지된 후 상기 실협지부의 바깥측의 양단이 절단되어지는 실을 포함하여 구성된 치실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협지부의 양측 끝단부분을 관통하여 지나는 실의 양단은 사출성형이 끝난 후 불꽃에 의해 절단되면서 열처리되어 용융된 덩어리 상태의 열처리매듭을 형성하되, 그 열처리매듭은 상기 실협지부의 양측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출성형 중에 공급되는 실은 왁스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치실기구의 제조방법은,
"U"자형으로 형성된 실협지부와, 그 실협지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손잡이부를 가지는 플라스틱 성형물을 금형상에서 복수개를 한꺼번에 사출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사출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플라스틱 성형물의 실협지부를 관통하여 지나도록 왁스처리된 실을 끊김이 없이 연속해서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복수개의 플라스틱 성형물들이 상기 연속해서 공급되는 실에 일정간격으로 매달린 상태로써 탈형하여 이송하는 공정과;
상기 각각의 플라스틱 성형물들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실에 불꽃을 가하여 실을 절단함과 동시에 녹게되어 실의 단부에 형성되는 열처리매듭이 상기 실협지부의 양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열처리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치실기구의 제조장치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의 상면 중앙측에 수직상으로 입설된 회전축상에 상,하 복수단으로 설치된 회전판들이 간헐적으로 회전작동을 하면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반복적인 사출성형작동에 의하여 실에 일정간격으로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플라스틱 성형물들이 매달린 상태로 사출성형되어 치실기구군 구간을 형성하면서 반복적으로 사출성형되어지는 치실기구들을 연속해서 인출 및 이송시켜주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 일측에 수직상으로 입설된 채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를 향하여 일정거리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상에 상,하 복수단으로 장착된 채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실절단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에 의하여 인출 이송되는 치실기구들의 치실기구군 구간들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실연결구간을 차례대로 절단 제거하므로서 치실기구 안내장치부로 이송되는 치실기구군 구간과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된 후 인출되는 치실기구군 구간들을 분리시켜주는 실절단장치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 일측에 수직상으로 입설된 고정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전작동을 반복하는 수직회전대와, 상기 수직회전대의 일측면에 설치된 채 상,하로의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일측면에 상,하 복수단으로 고정 부착된 채 승강대와 함께 상,하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노즐몸체들과, 상기 각 노즐몸체들의 노출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다수의 노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 노즐들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에 의하여 점화된 불꽃을 발생시켜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각 회전판들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각 치실기구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실을 점화된 불꽃으로 끊어줌과 동시 열처리매듭을 형성시켜주면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의 치실기구들을 낱개로 분리시켜주는 열처리장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와 치실기구 인출장치부 사이에는 사출성형기의 제조금형에서 사출성형된 치실기구들의 인출 및 이송을 안내하는 치실기구 안내장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는 외주면에 치실기구들을 하나씩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절개된 상태로 형성된 다수의 이송편들이 원형을 이루도록 연속해서 배 치되어 있는 회전판이 복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각 회전판들 각각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이송편들 각각은 치실기구들 각각의 양측 실협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머리부와 양측 실협지부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 어깨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절단장치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왕복대는 기대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설치된 수평이동용 실린더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에 대하여 전,후진작동을 반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절단장치부에 복수단으로 설치된 실절단편들 각각은 히터와 실을 탄력적으로 압지하는 탄력압지봉 및 실을 절단하는 절단칼이 장착된 채 상기한 왕복대 하측에 설치된 수직이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절단장치부와 치실기구 인출장치부 사이에는 상기 실절단장치부에 의해서 절단된 실을 진공으로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진공흡입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처리장치부의 수직회전대는 기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에 실린더몸체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의하여 고정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직회전대의 일측면에 설치된 승강대는 수직회전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승강용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열처리장치부의 수직회전대에는 가스공급용 호스가 연결되는 복수의 볼밸브와 상기한 볼밸브들 각각에서 인출된 가스연결호스들은 승강대의 일측면에 복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각 노즐로 연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치실배출부에는 열처리장치부에 의하여 낱개로 분리된 채 각 회전판들에 의하여 이송되는 치실기구들을 이송편에서 탈락시키는 탈락부재가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슈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조금형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 채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들의 연결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각 장치부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치실기구 안내장치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치실기구 안내장치부 선단에 설치된 치실기구 안내구의 저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제거장치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절단장치부에 복수단으로 장착되어 있는 실절단판의 저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작동상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열처리장치부가 치실기구들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치실기구 인출장치부를 향해 회전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열처리장치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치실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기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기대(1)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의 일측으로서 사출성형된 복수개의 플라스틱 성형물들이 실에 매달린 상태로 탈형되는 치실기구(3)들이 자동으로 인출되는 인출부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는 한벌의 제조금형(21)(22)을 통과하도록 인입되는 실(31)에 다수의 플라스틱 성형물들이 매달린 상태로 사출성형되도록 치실기구(3)를 사출성형함에 있어 도 1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치실기구(3)들이 매달려 있는 치실기구군 구간(S1)과 치실기구가 매달려 있지 아니하는 실연결구간(S2)이 반복되는 상태로 치실기구(3)들을 사출성형하게 된다.
상기에서 치실기구군 구간(S1)에 일정간격으로 매달린 상태로 사출성형되는 각 치실기구(3)들은 "U"자형으로 형성된 실협지부(32)의 끝단부분에 실(31)이 관통하는 상태로 사출성형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치실기구(3)들은 실협지부(32)의 일측에 끝단이 이쑤시개와 같이 뾰족하게 형성된 손잡이부(33)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기대(1)의 일측에는 콘트롤장치(도시 없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기대의 내부에는 상기한 콘트롤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는 모터(도시 없음)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대(1)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한 콘트롤장치에 의하여 자동제어되는 모 터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1)이 수직상으로 입설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11)에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가 설치된다.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는 원판상으로 된 복수의 회전판(41)이 상기한 회전축(11)에 상,하로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41)들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이송편(42)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이송편(42)들은 절개부분(43)에 의해 상호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이송편(42)들 각각의 외주 끝단에는 치실기구(3)들 각각의 양측 실협지부(32) 사이로 삽입됨과 동시 양측 실협지부(32)를 관통하고 있는 실(31)을 지지하는 돌출머리부(44)와 양측 실협지부(32)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 어깨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된 후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회전작동에 의해 인출되는 치실기구(3)들은 치실기구군 구간(S1)에 일정간격으로 매달려 있는 각 치실기구(3)들의 양측 실협지부(32) 사이에 회전판(41)의 외주에 형성된 이송편(42)의 돌출머리부(44)가 하나씩 차례대로 삽입된 됨과 동시 실(31)은 돌출머리부(44) 상면에 걸쳐진 상태로 인출 이송되는 것이며, 상기한 치실기구군 구간(S1)들 사이를 잇는 실연결구간(S2)의 실은 다수의 이송편(42)들 돌출머리부(44) 상면에 걸쳐진 상태로 인출 이송되는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와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 사이에는 제조금형(21)(22)에서 사출성형된 후 실(31)에 연속해서 매달린 상태로 인출되는 치실기구(3)들을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로의 이송을 안내하는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에는 제조금형(21)(22)에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3)들을 안내하는 치실기구이송통로(51)가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치실기구이송통로들 각각의 양단 및 상단은 개구되어 있고 하단부분은 막혀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도 4 참조), 또한 각 치실기구이송통로(51)들 각각의 선단에는 실(31)에 매달린 치실기구(3)들을 안내하는 안내통로(52)가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치실기구 안내구(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안내통로(52)의 일측은 도 5에 도시된 치실기구 안내구(53)의 저면도 도시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를 향한 쪽을 향해 점차로 넓어지는 구조로 벌어져 있어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인출되는 실(31)과 실이 관통하는 실협지부(32)들의 단부는 넓게 벌어진 안내통로(52)로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된 후 인출되는 치실기구(3)들은 안내통로(52)의 안내를 받아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의 치실기구이송통로(51)를 따라 이송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에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치실기구이송통로(51)들 각각의 끝단에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 외주연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돌출된 끼움안내탄편(54)들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 끼움안내탄편(54)들은 치실기구이송통로(51)를 따라 이송되고 있는 치실기구(3)들의 실협지부(32)를 각 회전판(41)의 외주연쪽으로 안내하여 각 치실 기구(3)들의 양측 실협지부부(32) 사이로 이송편(42)의 돌출머리부(44)가 끼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양측 실협지부(32)가 양측 어깨부(45)에 밀착 지지되게 하는 작용을 담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의 끼움안내탄편(54)들에 의하여 실(31)에 매달린 각 치실기구(3)들의 양측 실협지부(32)가 상기한 돌출머리부(44)에 삽입됨과 동시 양측 어깨부(45)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가 회전작동을 하게 되면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된 치실기구(3)들이 인출 및 이송작동이 시작되는 것이다. 즉,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3)들은 치실기구 안내장치부(4)쪽으로 이송된 치실기구(3)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 실협지부(32)가 이송편(42)의 돌출머리부(44)에 끼여있는 상태에서 회전판(41)이 회전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돌출머리부(44)가 치실기구를 회전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사출성형된 치실기구(3)들은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탈형된 후 곧바로 인출 및 이송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의 끼움안내탄편(54) 끝단을 벗어난 위치의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일측에는 실연결구간(S2)의 실(31)을 절단 및 제거하기 위한 실절단장치부(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절단장치부(6)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를 향해 기대(1)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설치된 고정 브라켓(61)의 수평안내봉(62)을 따라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를 향해 전진 및 후진 이동을 하는 수평이동용 실린더(63)와, 상기 수평이동용 실린더의 상면에 고정 부착된 채 수직상으로 높게 입설되어 있는 왕복대(64)와, 상기 왕복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수직이동용 실린더(65)와, 상기 수직이동용 실린더의 상면에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출몰작동을 하는 피스톤로드(651)에 상,하 복수단으로 고정 부착된 채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를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실절단판(66)들과, 상기 실절단판들 각각의 양단 끝부분에 하향을 향해 돌출된 탄력압지봉(67) 및 상기 실절단판들 각각의 양단 끝부분 양측에 고정 부착된 절단칼(6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실절단판(66)들 각각에는 히터(부호 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절단판(66)들 각각의 양단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탄력압지봉(67)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스프링(부호 생략)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고, 또 절단칼(68)은 실절단판(66)들 양단 각각의 외측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는데 그 선단부분이 실절단판(66)들의 저면에서 하향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절단장치부(6)는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에 의하여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로 이송되는 치실기구군 구간(S1)들을 이어주는 실연결구간(S2)의 실(31)을 절단 제거하는 작동을 수행하는데, 상기 실절단장치부(6)와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 사이에는 실절단장치부(6)에 의하여 절단된 실을 진공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흡입관(6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흡입관(69)에는 절단된 실을 흡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흡입공(691)이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의 상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진공흡입관(69)의 하단은 폐구되어 있는 반면에 상단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진공흡입력으로 절단된 실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주름관(692)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다른 일측에는 실절단장치부(6)를 벗어난 치실기구군 구간(S1)에 있는 치실(3)들을 열처리작동으로 실(31)을 절단하여 낱개로 분리시키기 위한 열처리장치부(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처리장치부(7)는 기대(1)에 부착된 브라켓(71)에 실린더몸체는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를 출몰작동시키는 회전용 실린더(72)와, 상기 회전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수직회전대(73)와, 상기 수직회전대의 일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74)와, 상기 승강대의 일측면에 상,하 복수단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노즐몸체(75)들과, 상기 노즐몸체 각각의 노출면(751)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는 다수의 노즐(76)들과, 상기 수직회전대(73)에 고정 부착된 밸브몸체(77)와, 상기 수직회전대(73)의 일측면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대(74)를 상,하로 승강작동시켜주기 위한 승강용 실린더(78)와, 상기 수직회전대(73) 및 승강대(7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79)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회전대(73)의 일측면 양측에 수직상으로 고정 부착된 안내레일(731)에는 승강대(74)의 타측면 양측에 고정 부착된 이동레일(74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빗장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77)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예를 들면, 수소가스)를 승강대(74)에 상,하 복수단으로 장착되어 있는 노즐몸체(75)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771)와 연결호스(772)가 복수단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몸체(75) 각각에는 연결호스(772)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를 노출면(751)에 장착된 다수의 노즐(76)로 동일한 압력으로 공급 및 분배시키기 위한 가스공급통로(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79)은 승강대(74)에 복수단으로 설치된 각 노즐몸체(75)의 일측을 관통하여 수직회전대(73)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상,하부 브라켓(732)(733)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용 실린더(78)의 피스톤로드는 승강대(74)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742)에 연결되어 승강대(74)를 상,하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또 다른 일측에는 열처리장치부(7)를 거치면서 낱개로 분리된 치실기구(3)을 회전판(41)의 이송편(42)에서 탈락시켜주는 탈락부재(81)가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슈트(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슈트(8)로 떨어지는 치실(3)들은 포장단위의 갯수로 포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으로 치실기구를 제조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3)는 제조금형(21)(22)으로 연속해서 공급되는 실(31)에 다수의 치실기구(3)들이 매달린 상태로 사출성형되는데, 상기한 제조금형(21)(22)이 한번의 사출성형작동을 완료하 게 되면 치실기구군 구간(S1)에 다수의 치실기구(3)들이 실(31)에 매달린 상태로 사출성형되며, 또한번의 사출성형작동으로 형성되는 다음의 치실기구군 구간(S1)은 실(31)만으로 된 실연결구간(S2)을 지나서 형성된다.(도 1 참조)
따라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는 다수의 치실기구(3)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치실기구군 구간(S1)과 실(31)만으로 된 실연결구간(S2)이 교대적으로 반복하여 형성되는 구조로 치실기구(3)들을 사출성형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의 제조금형(21)(22)은 치실기구(3)들을 복수단으로 사출성형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회전판(41)이 상,하 4단으로 설치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의 제조금형(21)(22)은 치실기구군 구간(S1)들을 4단으로 사출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3)들은 제조금형(21)(22)이 이완됨과 동시 탈형되어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에 의하여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의 각 치실기구이송통로(51)로 이송되어지는 치실기구(3)들은 각 끼움안내판(54)에 의하여 치실기구의 양측 실협지부(32)가 상기 회전판(41)의 외주연에 형성된 이송편(42)의 돌출머리부(44)에 끼이게 됨과 동시 양측 어깨부(45)에 밀착 지지되며, 이 같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41)이 회전하게 되면 돌출머리부(44)에 끼인 치실기구(3)는 회전판(41)과 함께 회전이송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도 12의 도시와 같이 치실기구군 구간(S1)의 맨 앞쪽에 있는 치실기구(3)가 돌출머리부(44)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회전축(11)이 회전작동을 개시하게 되므로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들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11)이 회전하게 되면 이송편(42)의 돌출머리부(44)에 삽입되어 있던 맨 앞쪽의 치실(3)이 돌출머리부(44)를 따라 회전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그 뒤에 매달려있는 치실기구들은 앞쪽의 치실기구를 따라서 이송되면서 후속하는 이송편(42)들의 각 돌출머리부(44)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 외주연에 형성된 이송편(42)의 돌출머리부(44)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이송되는 치실기구(3)들은 치실기구군 구간(S1)의 맨 앞쪽에 위치한 치실기구가 상기 열처리장치부(7)에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된 노즐몸체(75)의 끝단측에 장착되어 있는 노즐(76)(도 13의 도시를 기준할 때 위쪽 끝에 위치하고 있는 노즐)에 의하여 일측 실협지부(32)에서 돌출된 실(31)의 끝단이 열처리될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11)이 회전작동을 멈추게 되며, 이에 따라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들도 정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회전판(41)이 치실기구군 구간(S1)을 회전이송시킨 후 정지하게 될 때에는 실연결구간(S2)이 상기 실절단장치부(6)의 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가 한차례 회전작동하여 치실기구군 구 간(S1)을 회전이송시키고 정지하게 되면 상기 실절단장치부(6)와 열처리장치부(7)가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먼저, 상기 실절단장치부(6)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가 정지하게 되면 실절단장치부(6)의 수평이동용 실린더(63)가 전진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왕복대(64)에 상,하 복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각 실절단판(66)들도 함께 전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각 실절단판(66)들의 양측 선단부분에 장착된 탄력압지봉(67)이 각 회전판(41)의 이송편(42) 위를 가로지르고 있는 실연결구간(S2)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또 절단칼(68)은 실연결구간을 조금 벗어난 위치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도 7 참조)
이어서 수직이동용 실린더(65)가 곧바로 작동하여 피스톤로드(651)를 일정거리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각 실절단판(66)들이 하강하게 되므로서 탄력압지봉(67)들 각각은 이송편(42) 위를 가로지르고 있는 실연결구간(S2)의 실(31) 양단을 탄력적으로 눌러주게 되고 절단칼(68)의 끝단은 이송편(42) 상면에 닿은 상태가 되는데(도 8 참조), 상기의 각 실절단판(66)에는 히터가 장착되어 있어 각 탄력압지봉(67)은 히터의 열에 의해 어느 정도 뜨겁게 가열된 상태에서 실연결구간(S2)의 실(31) 양단을 탄력적으로 눌러주게 된다.
상기에서 탄력압지봉(67)들을 히터로 가열시키는 이유는 실연결구간(S2)의 실(31)이 탄력압지봉(67)에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치실 기구(3)의 실(31)에는 식용가능한 민트향과 함께 왁스처리가 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한 왁스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의 제조금형에 투입된 상태에서 고온의 플라스틱액이 사출성형될 때 플라스틱액의 열에 의해 실(31)이 뜨겁게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탄력압지봉(67)이 차가운 상태이면 실(31)이 탄력압지봉(67)의 저면에 달라붙어 잘 떨어지지 않게 되지만 탄력압지봉(67)이 실(31)의 열과 거의 같은 온도로 가열된 경우에는 실이 달라붙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력압지봉(67)이 실을 눌러주고 있는 상태에서 수평이동용 실린더(63)이 후진작동을 하게 되면(도 9 참조), 실연결구간(S2)의 실(31)은 양측 절단칼(68)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 탄력압지봉(67)의 저면에 압지된 상태로 탄력압지봉(67)을 따라 진공흡입관(69)쪽으로 이동하다가 흡입공(681)으로 흡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진공흡입관(69)으로 흡입된 실은 주름관(692)을 통해 외부로 배출 제거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열처리장치부(7)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들이 회전작동을 하는 동안에는 회전용 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몸체 내부로 몰입된 상태로 작동하여 열처리장치부(7)가 고정축(79)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 즉,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에서 멀어진 상태이며(도 2 참조),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가 치실기구(3)들을 한차례 인출 및 이송작동을 완료하고 정지된 상태가 되면 상기 회전용 실린더(72)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열처리장치부(7)는 고정축(79)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하 복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몸체(75)들이 각 회전판(41)에 근접한 상태가 되며(도 14 참조), 이때에는 각 노즐몸체(75)들이 도 15의 도시와 같이 회전판(41)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각 노즐(76)들에서 점화되고 있는 불꽃은 각 회전판(41)의 이송편(42)들에 의하여 이송된 치실기구(3)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실(31)보다 조금 높은 곳에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용 실린더(78)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승강대(74)는 하강작동을 하게 되면 각 노즐몸체(75)와 그들의 노출면(751)에 장착되어 있는 노즐(76)들이 도 16의 도시와 같이 하강하였다가 다시 원위치(도 14 참조)로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노즐몸체(75)가 하강하였을 때에는 각 노즐(76)들에서 점화되고 있는 불꽃이 치실기구군 구간(S1)의 각 치실기구(3)들 사이의 실(31)을 끊어주게 되는데, 이와 같이 노즐(76)의 불꽃에 의해 끊어지게 되는 실은 끊어짐과 동시 불꽃에 의해 용융되어 녹아들면서 도 17의 도시와 같이 양측 실협지부부(32)의 외측에 덩어리진 상태의 열처리매듭(34)을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한 열처리매듭(34)은 실(31)의 양단이 양측 실협지부(32)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작용으로 양측 실협지부(32)에 실(31)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연결되어진 치실기구(3)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열처리장치부(7)의 각 노즐몸체(75)에 장착된 노즐(76)들이 한차례 하강하여 실(31)을 열처리하여 절단한 후 원위치로 상승하는 작동을 완료하게 되면, 곧바로 각 회전판(41)들이 다시 회전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회 전각도는 앞서 각 노즐(76)들에 의하여 낱개로 분리된 치실기구(3)들은 맨 끝에 있는 노즐(도면상 상측에 위치한 노즐)을 완전히 벗어나게 하며, 낱개로 분리되지 아니한 맨 앞쪽의 치실기구(3) 즉, 전기와 같이 맨 끝에 있는 노즐의 불꽃에 의해 끊어질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만 회전한다. 이와 같이 각 노즐(76)들이 상승이동한 후 각 회전판(41)들이 정해진 회전각도로 회전하고 정지하게 되면 각 노즐(76)들이 다시 하강하여 실(31)을 불꽃으로 끊어주고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는 작동을 2회 내지 3회 반복하는 작동으로 상기 실절단장치부(6)에 의해 실연결구간(S2)의 실(31)이 절단 제거된 채 각 회전판(41)에 의하여 열처리장치부(7)로 회전이송되는 치실기구군 구간(S1)의 실(31)에 매달려 있는 다수의 치실기구(3)들은 노즐(76)의 불꽃에 의해 낱개로 분리되면서 배출슈트(8)쪽으로 이송되면서 탈락부재(81)에 의해 각 이송편(42)에서 차례차례 탈락되어 배출슈트(8)로 낙하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트롤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들은 일정각도씩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3)들을 인출하여 회전이송시키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며, 상기 치실기구 안내장치부(5)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2)에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3)들을 정렬시켜 상태로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로 이송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실절단장치부(6)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4)의 각 회전판(41)으로 이송되는 실연결구간(S2)의 실(31) 양단을 절단하여 진공흡입관(69) 으로 제거시키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상기 열처리장치부(7)는 각 회전판(41)의 외주연에 형성된 이송편(42)들 각각에 하나씩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치실기구(3)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실(31)을 노즐(76)의 불꽃으로 끊어주어 낱개로 분리시켜줌과 동시 낱개로 분리된 치실기구(3)의 양측 실협지부(32)를 관통하는 실(31)의 양단에 열처리매듭(34)을 형성시켜주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상기 열처리장치부(7)에서 낱개로 분리된 치실기구들은 배출슈트(8)쪽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탈락부재(81)에 의하여 차례차례 배출슈트(8)로 낙하되는 일련의 작동이 자동으로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에서 실에 일정간격으로 매달린 상태로 연속해서 사출성형되는 치실기구들을 정렬된 상태로 인출 및 이송시키면서 하나씩 분리시켜서 낱개로 된 완성품의 치실기구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치실기구의 실협지부에 연결된 실의 양단에 열처리매듭이 형성되게 하여 실이 사출성형 당시의 팽팽한 긴장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 실이 상당한 압력에도 실협지부에서 이완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치실기구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양질의 치실기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의 상면 중앙측에 수직상으로 입설된 회전축상에 상,하 복수단으로 설치된 회전판들이 간헐적으로 회전작동을 하면서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반복적인 사출성형작동에 의하여 실에 일정간격으로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플라스틱 성형물들이 매달린 상태로 사출성형되어 치실기구군 구간을 형성하면서 반복적으로 사출성형되어지는 치실기구들을 연속해서 인출 및 이송시켜주는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 일측에 수직상으로 입설된 채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를 향하여 일정거리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상에 상,하 복수단으로 장착된 채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실절단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에 의하여 인출 이송되는 치실기구들의 치실기구군 구간들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실연결구간을 차례대로 절단 제거하므로서 치실기구 안내장치부로 이송되는 치실기구군 구간과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된 후 인출되는 치실기구군 구간들을 분리시켜주는 실절단장치부와;
    상기 기대의 상면 일측에 수직상으로 입설된 고정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회전작동을 반복하는 수직회전대와, 상기 수직회전대의 일측면에 설치된 채 상,하로의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일측면에 상,하 복수단으로 고정 부착된 채 승강대와 함께 상,하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노즐몸체들과, 상기 각 노즐몸체들의 노출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다수의 노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 노즐들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가스에 의하여 점화된 불꽃을 발생시켜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각 회전판들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각 치실기구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실을 점화된 불꽃으로 끊어줌과 동시 열처리매듭을 형성시켜주면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의 치실기구들을 낱개로 분리시켜주는 열처리장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와 치실기구 인출장치부 사이에는 사출성형기의 제조금형에서 사출성형된 치실기구들의 인출 및 이송을 안내하는 치실기구 안내장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는 외주면에 치실기구들을 하나씩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절개된 상태로 형성된 다수의 이송편들이 원형을 이루도록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는 회전판이 복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각 회전판들 각각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이송편들 각각은 치실기구의 플라스틱 성형물의 양측 실협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돌출머리부와 양측 실협지부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 어깨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절단장치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왕복대는 기대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설치된 수평이동용 실린더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에 대하여 전,후진작동을 반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절단장치부에 복수단으로 설치된 실절단편들 각각은 히터와 실을 탄력적으로 압지하는 탄력압지봉 및 실을 절단하는 절단칼이 장착된 채 상기한 왕복대 하측에 설치된 수직이동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절단장치부와 치실기구 인출장치부 사이에는 상기 실절단장치부에 의해서 절단된 실을 진공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진공흡입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장치부의 수직회전대는 기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에 실린더몸체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용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의하여 고정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수직회전대의 일측면에 설치된 승강대는 수직회전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승강용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10. 제 3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장치부의 수직회전대에는 가스공급용 호스가 연결되는 복수의 볼밸브와 상기한 볼밸브들 각각에서 인출된 가스연결호스들은 승강대의 일측면에 복수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각 노즐로 연소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실기구 인출장치부의 배출부에는 열처리장치부에 의하여 낱개로 분리된 채 각 회전판들에 의하여 연속해서 이송되는 치실기구들을 이송편에서 차례대로 탈락시키는 탈락부재가 복수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슈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기구 제조장치.
KR1020030077836A 2003-11-05 2003-11-05 치실기구 제조장치 KR10055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836A KR100554297B1 (ko) 2003-11-05 2003-11-05 치실기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836A KR100554297B1 (ko) 2003-11-05 2003-11-05 치실기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072A KR20050043072A (ko) 2005-05-11
KR100554297B1 true KR100554297B1 (ko) 2006-02-24

Family

ID=3724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836A KR100554297B1 (ko) 2003-11-05 2003-11-05 치실기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055B1 (ko) * 2020-06-02 2020-07-17 주식회사 미소글로벌 치실기 제조장치
KR102147663B1 (ko) * 2020-07-10 2020-08-25 주식회사 미소글로벌 치실기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88144Y (zh) * 2009-02-20 2010-01-20 瑞声声学科技(常州)有限公司 扁平线性振动电机
CN101902115B (zh) * 2009-05-25 2013-02-13 三星电机株式会社 线性振动器
EP4155412A1 (en) 2020-05-22 2023-03-29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determining formulation of combination consisting of multiple candidate substances for smell, taste or somatic sensation and reproducing smell, taste or somatic sensation of target substa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0745A (ja) * 1989-04-24 1990-11-16 Mitsui Petrochem Ind Ltd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JPH0347251A (ja) * 1989-04-24 1991-02-28 Mitsui Petrochem Ind Ltd 歯間清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00124A (ko) * 1993-06-08 1995-01-03 안드레아 엘.콜비 화학요법제를 함유하는 치실
JPH09271481A (ja) * 1996-04-04 1997-10-21 Lion Corp フロス清掃用具の製造方法
KR200294643Y1 (ko) * 2001-10-30 2002-11-13 야오 황 황 덴탈 프로스 어레이의 연결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0745A (ja) * 1989-04-24 1990-11-16 Mitsui Petrochem Ind Ltd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JPH0347251A (ja) * 1989-04-24 1991-02-28 Mitsui Petrochem Ind Ltd 歯間清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00124A (ko) * 1993-06-08 1995-01-03 안드레아 엘.콜비 화학요법제를 함유하는 치실
JPH09271481A (ja) * 1996-04-04 1997-10-21 Lion Corp フロス清掃用具の製造方法
KR200294643Y1 (ko) * 2001-10-30 2002-11-13 야오 황 황 덴탈 프로스 어레이의 연결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055B1 (ko) * 2020-06-02 2020-07-17 주식회사 미소글로벌 치실기 제조장치
KR102147663B1 (ko) * 2020-07-10 2020-08-25 주식회사 미소글로벌 치실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072A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36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rdental cleaner
AU688482B2 (en) A brush-making machine
JP6792397B2 (ja) 歯間清掃具の製造方法
KR100554297B1 (ko) 치실기구 제조장치
GB2289236A (en) Feeding bristle tufts to a brush making machine
ITRM930159A1 (it) Metodo ed apparecchio di giunzione in una macchina di filatura.
US6544457B1 (en) High spee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floss holder
JPH02174639A (ja) 糖質菓子製造装置
CN112549604B (zh) 一种具有自动清理功能的制鞋装置
EP2917392A2 (en) Device for reversing socks and method of same
CN111501479B (zh) 一种草坪植丝装置
CN216584707U (zh) 一种玻璃瓶的快吹制瓶机
KR101814340B1 (ko) 세척유닛을 구비한 사출성형기
KR101814339B1 (ko) 캐비티 세척유닛을 구비한 사출성형기
KR102147663B1 (ko) 치실기 제조장치
US2754830A (en) Cigar piercing machine
CN206154601U (zh) 一种薄壁深微孔类产品的注塑防偏心装置
JPH06220728A (ja)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KR102135055B1 (ko) 치실기 제조장치
KR102499531B1 (ko) 초경합금을 이용한 체인 무늬 가공 장치
CN214395166U (zh) 一种具有自动清理功能的制鞋装置
KR940008656Y1 (ko) 한방용 침의 제조장치
JPH06173129A (ja) 紡績機のピーシング装置
US1765464A (en) Ice-cream-cone machine
JP2551309B2 (ja) 紡績機のピーシ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