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944B1 -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944B1
KR100553944B1 KR1020030093610A KR20030093610A KR100553944B1 KR 100553944 B1 KR100553944 B1 KR 100553944B1 KR 1020030093610 A KR1020030093610 A KR 1020030093610A KR 20030093610 A KR20030093610 A KR 20030093610A KR 100553944 B1 KR100553944 B1 KR 10055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dvertisement
content
template
advertisem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964A (ko
Inventor
노동환
김희선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9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944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94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템플릿 상의 광고 콘텐츠 입력 위치와 화면 상의 표시 위치를 연관시켜 광고에 효율적인 화면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광고 대상이 되는 브랜드 명칭과 이를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주와의 상표 권리 관계를 판단하여 합법적인 상표 권리자의 광고 콘텐츠가 선별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상기 광고 콘텐츠 입력을 위한 소정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소정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된 상기 템플릿에 입력 처리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검색 엔진을 이용한 제2 사용자의 검색 작업 수행 시에 사용된 검색 키워드로부터 식별어를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된 상기 템플릿에 입력 처리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입력 처리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소정 브랜드 명칭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별적인 광고 콘텐츠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처리되는 광고 콘텐츠의 소정 브랜드 명칭에 대한 광고주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고, 합법적인 브랜드 사용 권리를 갖는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가 선별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브랜드, 광고 콘텐츠, 검색 엔진, 상표 검색

Description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A METHOD FOR REGISTERING ADVERTISING CONTENTS EXPOSED BY BRAND SEARCHING AND A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화면 구도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되는 템플릿 유형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수단에 의한 광고 콘텐츠의 화면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과금 제어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템플릿 유형별 광고 비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템플릿 유형별로 차이를 갖는 광고 비용의 산정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에 있어, 브랜드 사용 권리의 유무에 대한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횟수에 상응하여 광고 비용이 부가되도록 하는 과금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110 : 인터페이스 수단
120 :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130 : 광고 데이터베이스
140 : 동작 제어 수단 150 : 과금 제어 수단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템플릿 상의 광고 콘텐츠 입력 위치와 화면 상의 표시 위치를 연관시켜 광고에 효율적인 화면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광고 대상이 되는 브랜드 명칭과 이를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주와의 상표 권리 관계를 판단하여 합법적인 상표 권리자의 광고 콘텐츠가 선별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인 통신 정보 산업 시대의 진입과 함께 정보 자원의 대부분을 인터넷 등 네트워크에 의해 습득하게 되었고, 거대한 구매 잠재력을 갖는 네트워크에 대한 상업화 역시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상업화에 편승하여 네트워 크 상의 상품 광고는 기업의 브랜드 홍보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이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의 정보 자원을 찾아주고, 이를 가공 처리하여 인터넷 이용자에게 정보 제공하는 검색 엔진은, 많은 기대 구매자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랜드 광고의 파급 효과를 크게 할 수 있어 주요한 광고 매체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검색 엔진에 대한 광고 홍보는 기업 상품의 광고를 일방적으로 인터넷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형태로 해당 상품에 관심을 갖지 않은 인터넷 이용자에게는 전혀 광고 실효성을 거둘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광고 남발에 따른 해당 기업 상품에 대한 거부감을 유발시켜 광고의 역기능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43794 호(발명의 명칭 : 검색 장치, 검색 방법, 컴퓨터 기록 가능 매체 및 검색 엔진)에서는, 유저에 의하여 특정된 키워드에 응답하여 상업적 공급자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검색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공개 발명은 상업적 공급자가 특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 설명 정보, 로고 정보, 또는 URL 정보 등의 광고를 입력하고, 유저로부터 해당 키워드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에 입력된 광고를 유저에게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 특허는 특정되는 키워드에 대한 상표 권리 관계를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지 못하고 있어, 해당 키워드에 대한 상표 권리자가 아닌 상업적 공급자가 특정 키워드를 자사의 광고 수단으로 도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억제책이 부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불법적으로 상표를 도용한 상업적 공급자에 의해 장시간 광고 행위가 이루어질 경우, 시장 질서의 교란이나 상표 권리자의 지 적 재산권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어 보다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상존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공개 특허는 유저에게 제공되는 광고의 형태가 소정의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천편 일률적으로 동일/유사해질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상업 공급자의 다양한 광고 전략을 충족시키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불법 상표 권리자에 의한 광고 행위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시장 질서의 교란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광고 콘텐츠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는 검색어의 선정 및 광고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광고주가 능동적인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주의 다양한 광고 홍보 전략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광고 콘텐츠 제공 모델의 등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 처리되는 광고 콘텐츠의 소정 브랜드 명칭에 대한 광고주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고, 합법적인 브랜드 사용 권리를 갖는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가 선별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브랜드 홍보 방향에 따라 유연하게 광고 콘텐츠의 노출 형태가 채택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전 략을 적절하게 부응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색 작업시에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 결과물인 검색 리스팅과 상기 검색 리스팅에 직접 관계되는 광고 콘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하여 최대한의 광고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템플릿 유형 및 인터넷 이용자에게 노출된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횟수에 의거하여 과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시장 수요에 최적화되는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상기 광고 콘텐츠 입력을 위한 소정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소정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된 상기 템플릿에 입력 처리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검색 엔진을 이용한 제2 사용자의 검색 작업 수행 시에 사용된 검색 키워드로부터 식별어를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된 상기 템플릿에 입력 처리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 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입력 처리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소정 브랜드 명칭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별적인 광고 콘텐츠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상기 광고 콘텐츠 입력을 위한 소정의 템플릿을 저장하기 위한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와, 소정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송된 상기 템플릿에 입력 처리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광고 데이터베이스와, 검색 엔진을 이용한 제2 사용자의 검색 작업 수행 시에 사용된 검색 키워드로부터 식별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 제어 수단, 및 상기 광고 콘텐츠가 입력되는 템플릿의 유형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소정의 광고 비용을 과금 통지하는 과금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템플릿(Template)은 광고 콘텐츠를 입력 받기 위해 제1 사용자의 단말 수단으로 전송되는 정보 수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특히 템플릿은 광고 콘텐츠가 입력 처리되는 입력 영역과 소정 디스플레이 수단에서의 광고 콘텐츠 표시 위치를 연동 시킴으로써 광고 콘텐츠가 표시될 화면 배치 구도를 제1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한다. 또, 제1 사용자는 광고 대상이 되는 소정의 브랜드(예, 기업명, 상품명, 서비스명 등)에 대한 브랜드 사용 권리를 보유하며, 해당 브랜드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템플릿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광고주를 의미하고, 제2 사용자는 소정의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특정 검색 키워드에 대한 검색 작업을 통해 검색 리스팅을 수신 받는 인터넷 이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수단(110), 템플릿 데이터베이스(120), 광고 데이터베이스(130), 동작 제어 수단(140), 과금 제어 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인터페이스 수단(110)은 제1 사용자(160)로부터 광고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템플릿 유형의 템플릿을 제1 사용자(160)의 단말 수단(165)으로 전송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인터페이스 수단(110)은 템플릿이 전송된 제1 사용자(160)의 단말 수단(165)과 소정의 통신망(180)에 의해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사용자(160)의 선택에 의해 특정화된 소정 템플릿 유형의 템플릿에 입력되는 광고 콘텐츠를 수신 처리한다. 더불어, 인터페이스 수단(110)은 소정의 검색 엔진(예컨대, 포탈 사이트 Naver의 '지식인' 검색 엔진 등)과 연동되어 제2 사용자(170)의 검색 작업시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를 수집한다. 수집된 검색 키워드는 소정 신호 처리를 통한 제2 사용자(170)에게 전송할 특정 광고 콘텐츠 를 추출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템플릿 데이터베이스(120)는 정보 수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템플릿(template)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선정된 템플릿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 템플릿을 유지하게 된다. 템플릿 유형은 소정 디스플레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될 광고 콘텐츠의 위치 설정과 연관되는 화면 구도 정보에 의거하여 분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사용자(160)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는 명칭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화면 배치가 수행되도록 하는 화면 구도 정보에 의거한 템플릿 유형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의 템플릿 유형에 대한 한정 설정은 설명 대상의 한정일 뿐, 기술 사상의 한정이 아닌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가중치가 부여되는 명칭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템플릿 유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화면 구도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되는 템플릿 유형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콘텐츠 입력 처리에 있어서, 템플릿에 입력되는 광고 콘텐츠는, 소정 브랜드의 이름 정보와 관계되는 명칭 콘텐츠, 브랜드 사진 정보와 관계되는 이미지 콘텐츠, 브랜드의 상세 정보와 관계되는 텍스트 콘텐츠, 광고 동영상 정보와 관계되는 동영상 콘텐츠, 브랜드 관련 정보 사이트의 네트워크 주소와 관계되는 링크 콘텐츠, 이벤트 안내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들 광고 콘텐츠 중에서 명칭 콘텐츠는 광고 대상이 되는 브랜드를 대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브랜드 명칭 또는 카테고리 명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서 브랜드 명칭은 각각 'SM5'와 '디오스'이고, 카테고리 명칭은 각각 '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삼성'과 '냉장고, LG전자, LG'일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의 템플릿 유형은, 제1 사용자(160)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되는 명칭 콘텐츠의 종류, 즉 브랜드 명칭에 가중치가 부여되는 유형 A(도 2a) 및, 카테고리 명칭에 가중치가 부여되는 유형 B(도 2b)로 대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제2 사용자(170)에 의해 입력될 검색 키워드를 고려하여, 해당 검색 키워드와의 일치 여부를 우선하여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중치의 부여 및 이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우선 추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사용자(160)가 브랜드 명칭에 가중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유형 A의 템플릿을 제공한다. 유형 A의 템플릿은 광고 대상이 되는 브랜드에 브랜드 파워(브랜드 자체로서 기업 가치나 상품의 이미지를 유추하는 것)에 따라 제2 사용자(170)의 검색 키워드에 해당 브랜드 명칭이 포함될 빈도가 높을 경우에 채택되는 템플릿 유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A의 템플릿은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의 분량 및 종류가 하기의 유형 B의 템플릿보다 풍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삼성자동차의 SM5'에 대한 검색 작업을 원하는 제2 사용자(170)는 'SM5'의 브랜드 파워로 인해, 검색 키워드로서 '자동차'보다는 'SM5'를 직접 입력하는 경향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160)는 자사의 브랜드와 직접 관련되어 검색 작업을 수행한 제2 사용자(170)에게 'SM5'에 대한 집중적인 광고 홍보의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며, 유형 A의 템플릿에서 입력이 허용되는 다양한 광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반면, 제1 사용자(160)가 카테고리 명칭에 가중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은 유형 B의 템플릿을 제공한다. 유형 B의 템플릿은 광고 대상이 되는 브랜드의 브랜드 파워가 약하여 제2 사용자(170)의 검색 키워드에 해당 브랜드 명칭이 포함될 빈도가 높지 않을 경우에 채택할 수 있는 템플릿 유형이다. 즉, 직접적인 브랜드 명칭이 아닌 해당 브랜드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통해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제2 사용자(170)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LG 전자의 냉장고'에 대한 검색 작업을 원하는 제2 사용자(170)는 '디오스'라는 브랜드 명칭을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검색 작업 시에 검색 키워드로서 '디오스'보다는 '냉장고' 또는 'LG 전자'를 입력하는 경향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160)는 자사의 브랜드와 직접 관련되지 않는 제2 사용자(170)의 검색 키워드 입력에서도 자사 브랜드를 광고 홍보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며, 유형 B의 템플릿은 불필요한 광고 제공이라는 광고의 역기능 문제점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취지에서 상술한 유형 A의 템플릿의 광고 콘텐츠 분량 및 종류보다 적게 된다. 예컨대 광고 콘텐츠가 유형 B의 템플릿에 입력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2 사용자(170)가 검색 키워드로서 '냉장고'를 입력하면 카테고리가 동일한 자사 냉장고 브랜드인 '디오스'에 대한 광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용자(170)가 직접적인 브 랜드 명칭의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광고 콘텐츠를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도록 하여 보다 많은 광고 콘텐츠의 노출(impression)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템플릿 유형은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전략,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제2 사용자(170)의 검색 성향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광고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베이스(130)는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160)에게 전송된 소정 유형의 템플릿 상에 입력 처리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며, 입력되는 광고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가 입력 처리되는 템플릿을 연관시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제1 사용자(160)가 원하는 광고 콘텐츠의 화면 배치가 유지되도록 저장한다. 즉, 광고 데이터베이스(130)는 소정 광고 콘텐츠에 대한 추출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에, 템플릿의 화면 구도 정보에 따른 소정의 화면 배치로 광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될 수 있도록, 각 광고 콘텐츠가 입력되는 템플릿 유형 정보를 유지한다.
동작 제어 수단(140)은 제2 사용자(170)가 소정의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로부터 식별어를 인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제2 사용자(17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검색 키워드는 제2 사용자(170)에 의해 검색 요청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갖는 단어(음절 조합)나 문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식별어는 상기 검색 키워드 중에서 광고 콘텐츠와 연관되는 브랜드 명칭을 의미한다. 즉, 검색 키워드는 제2 사용자(170)의 자유 의 사에 따라 검색 작업을 위해 임의로 입력되는 것이고, 식별어는 입력된 검색 키워드 중에서 특정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추출 요청 신호(광고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의 광고 콘텐츠 추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 수단(140)은 광고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추출 처리 및 광고 콘텐츠의 화면 배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제어 수단에 의한 광고 콘텐츠의 화면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동작 제어 수단(140)은 제2 사용자(170)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 중에서 특정의 브랜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추출한다.
예컨대, 제2 사용자(170)에 의해 검색 키워드로서 '제주도에서 대장금을 촬영하나요?'라고 입력되고, 동작 제어 수단(140)에 의해 식별어로서 '대장금' 또는 '제주도'를 인지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제1 사용자(160)에 의하여 '대장금'에 대한 광고 콘텐츠는 유형 A의 템블릿에 입력 처리되고, '제주도'에 대한 광고 콘텐츠는 유형 B의 템블릿에 입력 처리되는 것을 가정한다. 즉, 제1 사용자(160)는 명칭 콘텐츠 중에서 '대장금'의 경우에는 브랜드 명칭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주도'의 경우에는 카테고리 명칭에 가중치를 부여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동작 제어 수단(140)은 식별어 '대장금'에 대해서는 유형 A에 따른 화면 구도 정보에 의거하여 도 2c와 같이, 검색 리스팅(검색 엔진에 의해 추출된 검색 결과물)에 앞서 넓은 영역에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반면 식별어 '제주도'에 대해서는 유형 B에 따른 화면 구도 정보에 의거하여 도 2d와 같이, 검색 리스팅의 표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 영역에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구도 정보에 의한 화면 배치는 각 템플릿 유형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는 광고 효과 및 광고 콘텐츠 표시 위치에 따른 광고 비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의 의해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과금 제어 수단(150)은 광고 콘텐츠가 입력되는 템플릿의 유형 및 추출된 식별어의 광고 횟수에 근거하여 제1 사용자(160)에게 소정의 광고 비용을 과금 통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과금 제어 수단(150)은 선정된 기간 내에 소정 템플릿 유형의 광고 콘텐츠가 몇 번이나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었는가를 산출한 후, 예컨대 과금 대행 서버(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제1 사용자(160)에 대한 과금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과금 처리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각 템플릿 유형 각각으로 제1 과금 정보가 할당되도록 하여 각 템플릿에 대한 광고 비용을 산출하며, 더불어 제2 사용자(170)에 대한 노출 횟수에 기초하여 제1 과금 정보에 적용되는 곱셈 펙터인 제2 과금 정보를 추가적으로 할당되도록 하여 광고 수요에 비례하는 광고 비용이 산출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과금 정보는 광고 콘텐츠의 노출 횟수 이외에 다양한 통계 요소를 기초하여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160)가 가중치를 부여한 명칭 콘텐츠에 대해 소정의 기간 내에 검색 키워드로서 입력된 횟수를 산출하고, 이에 비례하여 제2 과금 정보가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60)가 상술한 '대장금'을 식별어로 하여 제2 사용자(170)에게 광고를 하고자 하는 경우, 과금 제어 수단(150)은 '대장금'에 대한 선정된 기간(예, 전년, 전 분기, 전월, 전주 등) 동안의 검색 키워드 입력 횟수를 산출하여 해당 검색 키워드에 대한 입력 횟수 정보를 과금 제어 수단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해 두고, 해당 검색 키워드에 대한 광고를 등록하고자 하는 광고주에게 상기 입력 횟수 정보를 기초로 제2 과금 정보를 산정함으로써 사전 측정을 통한 과금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과금 정보의 할당 기준은 서비스 환경에 따라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정된 기간 동안에 광고 콘텐츠의 노출 횟수를 측정하여 소정의 제2 과금 정보가 부여되도록 하는 사후 측정에 의해 과금이 수행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2e를 참조하여 제1 과금 정보 및 제2 과금 정보가 적용되어 과금 처리되는 과금 비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e는 본 발명의 과금 제어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템플릿 유형별 광고 비용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도 2a의 유형 A와 도 2b의 유형 B에 대한 광고 비용의 산출을 예시한다.
우선, 광고 콘텐츠에 대한 광고 비용 산출에 있어서, 템플릿 유형 별로 제1 과금 정보 및 제2 과금 정보가 할당된다. 도 2e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과금 정보는 화면 구도 정보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화면 상의 노출 위치 또는 점유 범위 등을 고려하여 각 템플릿 유형 별로 부여되는 초기 비용이며, 제2 과금 정보는 광 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에게 제공되는 노출 횟수에 따른 곱셈 펙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유형 B의 템플릿에 대한 광고 비용 산출에 있어 광고 콘텐츠의 노출 횟수가 200회일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유형 B의 템플릿에 대한 1회 광고 비용은 제1 과금 정보 500원에, 제2 과금 정보 (×1.1)가 적용되어 550원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형 B의 템플릿에 대한 총 광고 비용은 550원×200=110,000원으로 산출될 수 있다. 각 템플릿 유형에 할당되는 제1 과금 정보 또는 제2 과금 정보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각 시스템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조정 및 결정된 각 과금 정보는 예컨대, 과금 제어 수단(150)의 소정 메모리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기록 유지될 수 있다.
단말 수단(165,175)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180)을 통해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과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광고 콘텐츠의 전송 및 표시를 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전자 사전,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은 상술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 템(100)에 의해 수행된다.
우선,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콘텐츠 입력을 위한 소정 유형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120)를 유지한다(S310). 본 단계(S310)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서의 광고 콘텐츠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유형의 템플릿을 저장하기 위한 과정으로, 템플릿 유형은 제2 사용자(170)의 검색 키워드 입력 형태 및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어 발생시킬 수 있는 광고 효과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또, 각 템플릿 유형별로 디스플레이 수단에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는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광고 효과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여 본 단계(S310)에서는 템플릿 마다 차등한 과금이 책정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템플릿 유형별로 다르게 부가되는 광고 비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템플릿 유형별로 차이를 갖는 광고 비용의 산정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우선,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소정의 화면 구도 정보에 근거하여 템플릿 상의 광고 콘텐츠 입력 위치와 디스플레이 수단 상의 표시 위치가 연관되도록 하고, 광고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차등되게 제어하는 템플릿을 하나 이상의 템플릿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여 템플릿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S410). 본 단계(S410)는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될 광고 콘텐츠의 표시 위치, 표시 범위, 광고 콘텐츠 종류 등을 미리 선정하는 과정으로, 광고 콘텐츠의 노출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광고 효과 또는 광고 콘텐츠를 추출할 식별어의 브랜드 파워 등을 고려하여 템플릿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면 구도 정보 및 이에 따른 템플릿 유형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다양한 템플릿 유형 모델이 파생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구분된 템플릿 유형 각각으로 소정의 제1 과금 정보를 할당한다(S420). 본 단계(S420)는 각 템플릿 유형에 따라 기대되는 광고 효과를 고려하여 차등된 광고 비용을 제1 과금 정보로 부여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광고 비용은 템플릿이 제2 사용자(170)에게 1회 제공될 경우에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유형 A의 템플릿(도 2a 참조)은 브랜드 명칭을 검색 키워드로 입력한 제2 사용자(170)에게 광고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자사 브랜드에 직접적인 관심을 갖는 제2 사용자(170)에게 많은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하여 높은 광고 효과가 예상됨으로서 비교적 높은 비용의 제1 과금 정보가 부여된다. 반면, 유형 B의 템플릿(도 2b)은 제2 사용자(170)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서 카테고리 명칭을 식별어로 인지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형 A 보다는 낮은 광고 효과를 예상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유형 A 보다는 저렴한 비용의 제1 과금 정보가 부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인 제1 사용자(160)의 브랜드 홍보 방향(광고 효과 위주 또는 저가격 위주 등)에 따라 유연하게 광고 콘텐츠의 노출 형태가 채택되도록 함으로써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전략을 적절하게 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하면,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160)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템플릿을 제1 사용자(160)에게 제공한다(S320). 제1 사용자(160)에게 제공되는 템플릿은 템플릿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모든 유형의 템플릿이 제공되도록 하거나 제1 사용자(160)에 대한, 예컨대 광고 콘텐츠 등록 이력에 따라 가장 적합하게 매칭(matching)되는 유형의 템플릿이 선별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S320)에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제공된 템플릿을 통하여 입력된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즉, 본 단계(S320)에서 제1 사용자(160)는 제공된 하나 이상의 템플릿 중에서 특정 유형의 템플릿을 선정하여 광고 콘텐츠를 입력하고,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입력 처리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여 등록시킨다. 더불어,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콘텐츠 등록에 있어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광고 콘텐츠를 입력한 제1 사용자(160)에게 광고 콘텐츠와 관련되는 브랜드(예컨대, 상표, 서비스표 등)의 브랜드 사용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식별하고, 브랜드 사용 권리를 보유하는 제1 사용자(160)에 한하여 선별적으로 광고 콘텐츠 등록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정한 브랜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장 질서의 교란이나 상표 권리자의 지적 재산권 훼손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160)에게 브랜드 사용 권리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에 있어, 브랜드 사용 권리의 유무에 대한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템플릿에 입력되는 광고 콘텐츠는 브랜드 명칭, 브랜드 이미지, 상세 텍스 트, 광고 동영상, 관련 홈페이지 링크 정보, 관련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정보는 상술한 화면 구도 정보에 따라 선정된 디스플레이 수단 상의 표시 위치에 표시되어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된다. 특히, 브랜드 명칭은 광고 가 수행되는 유무형적인 상품을 상징하는 표장으로서 지적 재산권에 의한 보호 대상이 되며, 이에 따라 브랜드 명칭의 사용에 있어서 제1 사용자(160)에 대한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1 사용자(160)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우선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소정의 상표 검색 엔진을 제어하여 제1 사용자(160)가 입력한 브랜드 명칭에 대한 상표 권리 관계를 판단한다(S510). 본 단계(S510)는 브랜드 명칭과 상기 브랜드 명칭을 이용하여 광고하고자 하는 제1 사용자(160)와의 상표 권리 관계를 검색함으로써 제1 사용자(160)가 해당 브랜드 명칭을 사용하여 상업 행위(생산, 유통, 판매, 홍보 등)를 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표 검색 엔진은 각 국가 별로 상표 등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검색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고, 대한민국에 등록된 상표의 경우에 한국 특허 정보원에서 서비스 제공되는 '상표 정보 검색 도구'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160)가 입력한 브랜드 명칭에 대해 상표 검색 엔진으로 상표 등록 현황 및 해당 브랜드 명칭의 소유 권리를 파악하고, 브랜드 사용 권리가 있는 제1 사용자(160)의 해당 광고 콘텐츠 등록을 허용하게 된다.
만약, 판단된 상표 권리 관계에 기초하여 브랜드 명칭에 대한 제1 사용자(160)의 브랜드 사용 권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160)에게 광고 등록 거부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S520). 본 단계(S520)는 부정한 상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브랜드 사용 권리가 없는 제1 사용자(160)가 등록하는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해 등록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으로, 상기 광고 등록 거부에 관한 정보 통지는 예컨대, 전자 메일, 문자 정보, UI상의 알림 정보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콘텐츠 등록을 요청한 제1 사용자와 광고 대상이 되는 상품의 상표 권리 관계에 따라 합법적인 브랜드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 만이 선택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검색 엔진을 이용한 제2 사용자(170)의 검색 작업 수행시에 사용된 검색 키워드로부터 하나 이상의 식별어를 인지한다(S330). 본 단계(S330)는 제2 사용자(170)가 검색 작업을 위해 입력한 검색 키워드, 즉 검색 단어 또는 검색 문장으로부터 광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도록 하는 식별어를 인지하는 과정으로, 식별어로는 브랜드 명칭 또는 카테고리 명칭이 될 수 있는 예컨대, 명사, 형용사 등이 될 수 있다.
계속해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여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시킨다(S340). 본 단계(S340)는 인지된 식별어와 제1 사용자(160)로부터 가중된 명칭 콘텐츠의 브랜드 명칭 또는 카테고리 명칭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되는 명칭 콘텐츠의 광고 콘텐츠가 추출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170)에게는 검색 작업에 의한 소정의 검색 리스팅과 식별어에 의한 광고 콘 텐츠가 함께 제공되며, 검색 리스팅에 연관되는 광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도록 하여 보다 높은 광고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다.
더불어,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횟수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해 소정의 광고 비용이 부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광고 비용을 부가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횟수에 상응하여 광고 비용이 부가되도록 하는 과금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 흐름도이다.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인지된 식별어와 일치하는 명칭 콘텐츠의 광고 콘텐츠를 추출한다(S610). 본 단계(S610)는 식별어에 상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으로, 상기 식별어와 일치하는 브랜드 명칭 또는 카테고리 명칭의 특정 광고 콘텐츠가 추출되도록 한다. 식별어에 대한 일치 여부 판단에 있어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가중 처리된 브랜드 명칭 또는 카테고리 명칭을 우선하여, 식별어와의 일치 여부가 판단되도록 한다. 즉, 제2 사용자(170)의 검색 키워드에 따라 선별적으로 광고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하는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전략에 부응하기 위해 제1 사용자(160)에 의해 가중이 부여된 브랜드 명칭 또는 카테고리 명칭을 우선하여 일치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제1 사용자(160)가 '삼성자동차 SM5'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상술한 유형 A의 템플릿과 유형 B의 템플릿에 의해 입력 등록하는 것을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형 A의 템플릿은 제1 사용자(160)에 의해 브랜드 명칭에 가중치가 부여되 는 것이고, 유형 B의 템플릿은 카테고리 명칭에 가중치가 부여된 것이다. 만약 식별어로 'SM5'가 인지되는 경우,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브랜드 명칭에 가중치가 부여된 유형 A의 템플릿에 의해 등록되는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게 되며, 식별어로 '삼성자동차'가 인지되는 경우, 카테고리 명칭에 가중치가 부여된 유형 B의 템플릿에 의해 등록되는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상품의 광고 콘텐츠라도 제1 사용자(160)의 광고 전략에 의거하여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유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추출된 광고 콘텐츠 각에 대하여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는 광고 횟수를 가산하여 기록한다(S620). 본 단계(S620)는 광고 콘텐츠가 입력되는 해당 템플릿 별로 제2 사용자(170)에 전송되는 광고 횟수를 가산, 즉 과금 제어 수단(150)에 축적 기록하는 과정이다.
계속해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선정된 기간 동안의 가산된 광고 횟수에 기초한 소정의 제2 과금 정보를 상기 제1 과금 정보에 적용하여 1회 광고 비용을 결정한다(S630). 본 단계(S630)는 특정 광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에게 노출되는 일정 기간 동안의 광고 횟수에 고려하여 각 템플릿 마다의 광고 비용이 차등 책정되도록 곱셈 펙터인 제2 과금 정보를 부가하는 과정으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도 2e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단, 제2 과금 정보의 책정은 광고 콘텐츠의 노출 빈도, 제1 사용자(160)와의 계약 관계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유연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100)은 결정된 1회 광고 비용과 광고 횟수를 연산 처리하여 총 광고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총 광고 비용을 제1 사용자(160)에게 과금 통지한다(S630). 본 단계(S630)는 템플릿 마다의 총 광고 비용을 예컨대, 《1 회 광고 비용 × 광고 횟수》가 만족시키면서 산출하는 과정으로, 여기서 광고 횟수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 기간 동안 가산되어 과금 제어 수단(150)에 기록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고 콘텐츠 등록 방법은 하나 이상의 템플릿 유형을 제1 사용자(160)에게 제공하여 광고 전략에 적합한 광고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2 사용자(170)가 입력하는 검색 키워드에 연동되어 관련되는 광고 콘텐츠가 제2 사용자(170)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최대의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콘텐츠 등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7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720)과 롬(ROM: Read Only Memory)(7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7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720) 및 롬(7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7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는 물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처리되는 광고 콘텐츠의 소정 브랜드 명칭에 대한 광고주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 고, 합법적인 브랜드 사용 권리를 갖는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가 선별적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브랜드 홍보 방향에 따라 유연하게 광고 콘텐츠의 노출 형태가 채택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전략을 적절하게 부응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작업시에 입력된 검색 키워드에 의해 검색 결과물인 검색 리스팅과 상기 검색 리스팅에 직접 관계되는 광고 콘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하여 최대한의 광고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템플릿 유형 및 인터넷 이용자에게 노출된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횟수에 의거하여 과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시장 수요에 최적화되는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에 있어서,
    화면 구도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템플릿 유형으로 구분되며, 제1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 입력을 위한 소정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 상기 화면 구도 정보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표시 위치와 연관됨 -
    상기 화면 구도 정보를 고려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템플릿 유형의 템플릿을 검색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기 템플릿에 입력 처리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템플릿과 연관된 화면 구도 정보에 대응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검색 엔진을 이용한 제2 사용자의 검색 작업 수행 시에 사용된 검색 키워드로부터 식별어를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화면 구도 정보와 연관된 상기 표시 위치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입력한 브랜드 명칭을 포함하며,
    광고 콘텐츠를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의 상표 검색 엔진을 제어하여, 상기 브랜드 명칭에 대해 상기 상표 검색 엔진으로 상표 등록 현황 및 상기 브랜드 명칭의 소유 권리를 파악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고, 브랜드 사용 권리가 있는 제1 사용자의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 데이터베이스 저장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어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전년, 전 분기, 전월, 및 전주 중 하나 이상의 기간에 대해 노출된 광고 횟수를 기록하는 과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템플릿 유형 각각으로 소정의 제1 과금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과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기간에 대한 광고 횟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광고 횟수에 기초하여 제2 과금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2 과금 정보와 상기 제1 과금 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총 광고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총 광고 비용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과금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는 명칭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텍스트 콘텐츠, 영상 콘텐츠, 링크 콘텐츠, 이벤트 안내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광고 콘텐츠를 상기 화면 구도 정보와 연관된 상기 표시 위치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지된 식별어와 일치하는 상기 명칭 콘텐츠의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광고 콘텐츠 각각으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광고 횟수를 가산하여 기록하는 단계;
    선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가산된 광고 횟수에 기초한 소정의 제2 과금 정보를, 상기 제1 과금 정보에 부가하여 1회 광고 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1회 광고 비용과 상기 광고 횟수를 연산 처리하여 총 광고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총 광고 비용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과금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 콘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가중 처리된 브랜드 명칭 또는 카테고리 명칭을 포함하며, - 상기 가중 처리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부여함 -
    상기 인지된 식별어와 일치하는 상기 명칭 콘텐츠의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는 상기 단계는,
    가중 처리된 상기 브랜드 명칭 또는 상기 카테고리 명칭을 우선하여, 상기 식별어와의 일치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브랜드 사용 권리가 부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광고 등록 거부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화면 구도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템플릿 유형으로 구분되며, 제1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 입력을 위한 소정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 상기 화면 구도 정보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표시 위치와 연관됨 -;
    상기 화면 구도 정보를 고려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의 광고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템플릿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템플릿 유형의 템플릿을 검색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기 템플릿에 입력 처리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템플릿과 연관된 화면 구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제2 사용자의 검색 작업 수행 시에 사용된 검색 키워드로부터 식별어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식별어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화면 구도 정보와 연관된 상기 표시 위치에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동작 제어 수단; 및
    상기 광고 콘텐츠가 입력되는 템플릿의 유형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소정의 광고 비용을 과금 통지하는 과금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입력한 브랜드 명칭을 포함하며,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의 광고 콘텐츠 저장은,
    소정의 상표 검색 엔진을 제어하여, 상기 브랜드 명칭에 대해 상기 상표 검색 엔진으로 상표 등록 현황 및 상기 브랜드 명칭의 소유 권리를 파악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브랜드 사용 권리 유무를 판단하고, 브랜드 사용 권리가 있는 제1 사용자의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 데이터베이스 저장을 허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KR1020030093610A 2003-12-19 2003-12-19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KR10055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610A KR100553944B1 (ko) 2003-12-19 2003-12-19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610A KR100553944B1 (ko) 2003-12-19 2003-12-19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64A KR20050061964A (ko) 2005-06-23
KR100553944B1 true KR100553944B1 (ko) 2006-02-24

Family

ID=3725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610A KR100553944B1 (ko) 2003-12-19 2003-12-19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5725A1 (en) * 2007-08-23 2009-02-2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reatives Using Composite Templates
US20090100331A1 (en) * 2007-10-10 2009-04-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including a timer for generating template based video advertisements
KR100957438B1 (ko) * 2008-02-29 2010-05-11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브랜드 검색 가격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57007B1 (ko) * 2008-03-21 2010-05-13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실시간 개인 방송의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49043B1 (ko) * 2008-04-28 2010-03-24 오승환 특정 검색어에 대한 공간과 권리의 부여를 이용한 자료축적에 관한 방법.
KR101025887B1 (ko) * 2008-10-31 2011-03-30 이원범 온라인 사이트에서의 동영상 결합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43031B1 (ko) * 2009-05-18 2012-05-11 팅크웨어(주) 브랜드 검색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1347220B1 (ko) * 2013-05-03 2014-02-07 주식회사 네오패드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87A (ko) * 2000-02-25 2001-09-06 백합 검색사이트와 결합된 지역정보 포털사이트상의 광고방법
KR20020036703A (ko) * 2001-11-01 2002-05-16 임영희 브랜드도메인 네임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3253A (ko) * 2003-05-27 2003-07-28 임국주 진보적인 키워드 검색어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9560A (ko) * 2002-02-21 2003-08-27 (주)패턴트인포 상품정보와 지적재산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487A (ko) * 2000-02-25 2001-09-06 백합 검색사이트와 결합된 지역정보 포털사이트상의 광고방법
KR20020036703A (ko) * 2001-11-01 2002-05-16 임영희 브랜드도메인 네임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9560A (ko) * 2002-02-21 2003-08-27 (주)패턴트인포 상품정보와 지적재산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3253A (ko) * 2003-05-27 2003-07-28 임국주 진보적인 키워드 검색어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64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075B1 (ko)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광고주의 검색 목록순을 추출시키는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키워드 광고 서비스 시스템
JP5220880B2 (ja) 検索リスト順の露出をする露出管理システムの動作管理方法
KR100481141B1 (ko) 소정의 검색 요청에 의해 검색 목록순을 추출하는 검색어광고 제공 시스템 및 검색어 광고 제공 방법
KR100911014B1 (ko) 스폰서 매치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4809219B2 (ja) 広告主ウェブ情報の検索を用いた広告提供
US2007027680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Keyword Advertisement In Internet Search Engine And A System Thereof
US79338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information of advertiser in internet search engine in response to search-ordering of partner-site
US20060100988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search result list on a web search engine
US200701799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rticle of commerce
KR100553944B1 (ko) 브랜드 검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등록 방법 및광고 콘텐츠 등록 시스템
JPWO2008140000A1 (ja) 広告情報管理方法、広告情報管理システム、架電受付方法及び架電受付システム
KR100458461B1 (ko) 지식 광고 방법 및 지식 광고 시스템
WO20060094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essing knowledge advertisement using knowledge search service
KR101172906B1 (ko) 광고 그룹에 기초한 검색 목록순의 노출 관리 방법 및노출 관리 시스템
KR101144426B1 (ko) 지식 검색 서비스를 이용한 지식 광고 노출 방법 및 지식광고 노출 시스템
KR100903505B1 (ko) 검색자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검색 목록을 생성하고검색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160B1 (ko) 키워드 광고를 위한 광고 소재 추천 방법 및 광고 소재추천 시스템
KR20080056801A (ko) 카테고리 식별자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검색 시스템
KR20060018586A (ko) 키워드 광고를 위한 광고 소재 추천 방법 및 광고 소재추천 시스템
KR20050098421A (ko)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99673B1 (ko) 파트너 사이트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광고주의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어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검색어 광고 서비스 시스템
KR101144496B1 (ko) 키워드 광고에서 검색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 및 검색 정보추출 시스템
KR20050101290A (ko) 소정의 검색 요청에 의해 검색 목록순을 추출하는 검색어광고 제공 시스템 및 검색어 광고 제공 방법
KR20100033724A (ko)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9608A (ko) 검색자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검색 목록을 생성하고검색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