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95B1 -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95B1
KR100553895B1 KR1020030074926A KR20030074926A KR100553895B1 KR 100553895 B1 KR100553895 B1 KR 100553895B1 KR 1020030074926 A KR1020030074926 A KR 1020030074926A KR 20030074926 A KR20030074926 A KR 20030074926A KR 100553895 B1 KR100553895 B1 KR 100553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issing
nozzles
optical senso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457A (ko
Inventor
전성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895B1/ko
Priority to US10/875,802 priority patent/US20050018006A1/en
Priority to CNB2004100899343A priority patent/CN1315649C/zh
Priority to JP2004190057A priority patent/JP2005014617A/ja
Publication of KR2005003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for detecting failure, e.g. clogging, malfunctioning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153Structures including a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41J2/2142Detection of malfunctio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41J2029/3935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by means of printed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헤드의 미싱 노즐을 검출 및 보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미싱노즐 검출 및 보정방법은, 캐리지를 주주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프린트헤드의 각 노즐에 의해 인쇄되는 영역이 구별되는 테스트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와, 각 노즐에 대응되는 상기 인쇄영역을 광센서로 스캐닝하여 광출력값이 소정의 문턱값 보다 크면 해당 노즐이 미싱 노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미싱노즐 판단단계에서 검출된 미싱노즐을 스피팅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미싱노즐에 대해서 상기 테스트패턴 인쇄 및 스캐닝 단계를 반복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Detecting and calibrating method of missing nozzles in a inkjet prin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방법이 적용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광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방법에 사용되는 테스트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프린트헤드의 노즐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테스트패턴에 따른 포토다이오드 출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보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10 단계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220 단계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캐리지 112: 리니어 엔코더 센서
120: 잉크 카트리지 140: 제어부
150: 피딩롤러 154: 엔코더 디스크 휠
154: 로터리 엔코더 센서 160: 광센서
161: 발광 다이오드 162,163: 콜리메이팅 렌즈
164: 포토 다이오드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 얼라인먼트 센서로 테스트 패턴의 화상을 검출한 후,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헤드에서 잉크가 토출되지 않는 노즐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 특히 컬러 잉크젯 프린터는 복수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각 잉크 카트리지의 하부에는 많은 노즐들이 형성된 프린트헤드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노즐들은 수백개로 이루어지므로, 인쇄시 이들 노즐들이 막히거나, 또는 각 노즐에 연결된 히터 또는 액츄에이터와 이들 히터 또는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회로에 이상이 생겨서 노즐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미싱 노즐들은 인쇄 매체에 화이트 스페이스를 형성하며, 결국 인쇄 품질의 불량을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미싱 노즐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미싱 노즐이 정상작동되도 록 보수하는 보정과정이 요구된다.
한편, 미국특허 제6,215,557호에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헤드의 각 노즐로부터 잉크를 인쇄매체, 예컨대 종이 위에 잉크를 토출하되, 각 노즐에 대응되는 위치가 사각형상의 그리드로 정해져서 인쇄된다. 이렇게 인쇄된 테스트 패턴을 이미지 장치로 보면서 잉크가 토출되지 않은 영역을 포인팅 디바이스로 클릭하여 미싱된 노즐을 출력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 제6,215,557호에 개시된 방법은 이미지 장치를 필요로 하며, 각 노즐에 대응되는 영역에 인쇄를 위해서 많은 잉크가 소요된다. 또한, 여러 개의 잉크 카트리지를 구비한 인쇄기에서는 잉크 카트리지 마다 상기 미싱 노즐 검출방법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며, 미싱 노즐을 검출하더라도 미싱 노즐을 보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헤드의 노즐들로부터 순차적으로 토출하는 테스트 패턴을 인쇄하고, 라인 정렬에 사용하는 자동정렬 광학센서로 상기 테스트 패턴을 스캐닝하여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을 검출하여 검출된 미싱 노즐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보정방법은,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에 부착된 광센 서로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의 미싱 노즐을 검출 및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캐리지를 이동하면서 상기 프린트헤드의 각 노즐에 의해 인쇄되는 영역이 구별되는 테스트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b)각 노즐에 대응되는 상기 인쇄영역을 상기 광센서로 스캐닝하여 광출력값이 소정의 문턱값 보다 크면 해당 노즐이 미싱 노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에서 검출된 미싱노즐을 스피팅하는 단계; 및
(d)상기 검출된 미싱노즐에 대해서 상기 (a)단계 및 (b)단계를 반복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검출된 미싱노즐을 와이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단계는, 상기 미싱노즐에 대해서 (a)단계 및 (b)단계를 미리 정한 수(n) 회 이내에서 반복수행하고, 상기 수(n) 회에서 상기 (b)단계에서 미싱노즐로 판단된 노즐에 대해서는 미싱노즐로 보고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a)단계는, (a1)상기 캐리지를 주행시 상기 프린트헤드의 각 노즐을 순차적으로 수회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용지에 각 노즐에 대응되는 평행선을 인쇄하는 단계;
(a2)상기 용지를 부주사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a1)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3)상기 (a2)단계를 반복하하여 각 노즐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인쇄영역의 상기 사각형상을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형상들은 상기 용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형상의 부주사방향의 길이는 상기 광센서의 분해능의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방법이 적용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잉크젯 프린터(미도시)에는 용지(P)가 놓이는 플라텐(미도시)의 상방에서 용지이송방향(X 방향)과 수직방향인 Y 방향으로 주행하는 캐리지(110)가 있다. 이 캐리지(110)에는 잉크 카트리지(120)가 탑재된다. 잉크 카트리지(120)는 모노 칼라 프린터인 경우는 하나의 블랙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며, 컬러 잉크젯 프린터인 경우, 블랙 잉크 카트리지와, 컬러용 3색 잉크수용 카트리지가 함께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의 하부에는 다수의 노즐(미도시)이 형성된 프린트헤드(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캐리지(110)는 일측은 주행벨트(130)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타측은 가이드레일(131)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서 주행벨트(130)를 구동하는 전동모터(133)에 종동되어 Y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제어부(140)는 전동모터(133)로 캐리지(110)를 Y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캐리지(110) 에 부착된 리니어 엔코더 센서(112)로 다수의 등간격으로 눈금(114)이 형성된 엔코더 스트립(116)을 주행하면서 상기 눈금(114)을 지날 때 리니어 엔코더 센서(112)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카운트하여 캐리지(110)의 왕복주행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상기 캐리지(110)에는 하방의 플래튼 상의 용지 상의 화상을 검출하는 광센서(160)가 배치되어서 캐리지(110)에 종동되어서 움직인다. 이 광센서(160)는 화상을 검출시 리니어 엔코더 센서(112)로 Y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여 화상의 위치를 검출한다.
한편 용지(P)는 피딩롤러(150)에 의해서 부주사방향(X 방향)으로 이송된다. 피딩롤러(150)는 피딩롤러 구동모터(151)에 의해서 한번에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된다. 피딩롤러(150)의 일측의 외주에는 엔코더 디스크 휠(152)이 설치되어 있으며, 프린터 본체에는 엔코더 디스크 휠(152)의 원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슬릿(slit)(152a)을 지날 때마다 펄스를 발생시켜서 엔코더 디스크 휠(15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153)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로터리 엔코더 센서(153)으로부터의 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피딩롤러(150)의 회전거리, 즉 용지(P)의 X 방향 이송거리를 제어한다.
도 2는 광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센서(16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161)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161)로부터의 광을 집광하는 콜리메이팅 렌즈들(162, 163)과, 상기 집광된 광에 용지(P)에 조사되고, 상기 용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포토 다이오드(164)를 구비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164)로부 터의 검출 전류는 제어부(도 1의 140)로 입력되어서 노즐의 토출 여부가 판단된다.
한편, 일반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광센서(160)의 해상도는 1/30 인치 수준이며, 상기 로터리 엔코더 센서(153)의 해상도는 1/1200 인치 ~ 1/2400 인치 정도로 고해상도이다. 따라서, 상기 광센서(160)로 300 ~ 600 dpi 인쇄를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하나의 노즐로 토출하여 인쇄된 부분을 검출하는 것은 어렵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방법에 사용되는 테스트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설명도이고, 도 5는 프린트헤드의 노즐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프린트헤드의 노즐들(N1~N100)이 2열로 정렬되어 있다. 제1열에는 홀수 번호의 노즐들이, 그리고 제2열에는 짝수번호의 노즐들이 각각 50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들은 부주사방향에서 일정한 간격(d2)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N1 노즐로부터 N100 노즐 사이의 거리(d1)가 1/2 인치이면, 노즐 사이의 간격(d2)은 1/200 인치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스트패턴(test pattern: T)은 동일한 사각형(직사각형)이 주주사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사각형(R1~R100)은 각각 도 5의 각 노즐(N1~N100)에 의해서 인쇄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직사각형은 대응되는 노즐에 의해서 주주사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인쇄된 평행선이 부주사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인쇄되어서 형성된 것이다. 노즐이 부주사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노즐로 인쇄된 각 직사각형은 주주사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테스트패턴은, 캐리지를 1회 주행시 각 직사각형의 제1라인을 인쇄한 후, 피딩롤러(150)를 구동하여 용지(P)를 부주사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소정 거리(d3) 이동시킨 후, 다음 라인을 인쇄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16개의 라인들을 그루핑하여 하나의 사각형상을 인쇄하는 것은, 상기 광센서(160)의 분해능이 1/30 인치인 것을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즉, 인쇄진행경로에서 16개의 노즐들이 이루는 부주사방향 길이는 피딩롤러의 1회 구동거리(d3)에 라인수(즉 16)를 곱하여 얻어진다. 테스트패턴의 각 직사각형의 각 변은 광센서의 분해능의 거리(1/30 인치)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센서(160)로 상기 사각형상들을 스캐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테스트 패턴의 직사각형들을 광센서(160)로 스캐닝시 포토다이오드(16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으로 출력되는 경우, 해당 사각형의 위치에 대응되는 노즐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동일한 조건에서 상기 직사각형들(R1~R100)을 스캐닝하기 위해서 광센서(160)가 제1 사각형상(R1)을 검출하도록 세팅한 후, 제1 사각형(R1)을 스캐닝하고, 이어서 피딩롤러로 용지를 소정 거리 라인피딩한 후, 다음 사각형(R2)를 스캐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테스트 패턴의 사각형상에 따른 잉크 토출 검출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센서(160)로 테스트패턴을 주주사방향으로 스캐닝시, 포토 다이오드(164)로부터의 출력은 해당 노즐로부터 테스트패턴의 사각형이 인쇄된 경우에는 낮은 전류값을 보이며, 미싱노즐로부터 잉크가 토출이 되지 않은 경우에 는 높은 전류값을 보여준다. 그리고, 노즐이 일부 막힌 경우는 정상 노즐에 비해서 낮게 포토 다이오드로부터 출력 신호가 발생된다.
해당 노즐이 막혔는 지를 판단하는 기준값을 제1문턱값(Threshold 1)으로 정한 경우에는, 제10 노즐에 의한 제10 사각형을 검출한 포토다이오드 출력값이 제1문턱값 보다 크므로 제10 노즐이 막힌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기준값을 제2문턱값(Threshold 2)으로 정한 경우에는 제10 사각형의 포토다이오드 출력값이 제2문턱값 보다 작으므로 제10 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문턱값에 따라 해당 노즐에서의 잉크 토출 여부가 다르게 검출될 수 있다. 이렇게 해당 노즐로 인쇄된 사각형의 포토다이오드 출력값이 제1문턱값(Threshold 1) 및 제2문턱값(Threshold 2) 사이에 존재하면, 상기 노즐이 부분적으로 막힌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 일측의 서비스 스테이션으로 이동하여 해당 노즐이 형성된 노즐판을 와이핑(wiping)한 후, 미싱노즐로 판단된 노즐을 파이어링(firing)하는 스피팅(spitting)을 함으로써 해당 노즐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막힌 노즐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리이어 엔코더 센서로 스캐닝된 노즐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도 6에서 라이징 에지(RE)로부 폴링 에지(FE) 사이의 길이(duration: DR)를 리니어 엔코더 센서로 측정하여 해당 노즐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보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용지에 각 노즐에 대응되는 인쇄영역에 각 노즐들을 사용하여 테스트 패턴을 인쇄한다(제210 단계).
도 8은 도 7의 제210 단계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3의 테스트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들(제211 단계 내지 제215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카운트수(icount)를 1 로 정한다(제211 단계).
이어서, 캐리지로 잉크 카트리지를 주주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노즐을 순차적으로 각각 수회 연속적으로 사용하면서 각 노즐로 인쇄된 소정 길이의 평행선을 인쇄한다(제212 단계). 상기 각 노즐로 인쇄되는 각 평행선의 위치는 캐리지가 주주사방향으로 이동시 리니어 엔코더 센서(112)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어서 상기 카운트수(icount)를 "1" 증가시키고(제213 단계), 새로운 카운트수(icount)가 미리 정한 n1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제214 단계). 상기 n1 은 테스트 패턴의 사각형상을 인쇄하기 위해서 하나의 노즐로 인쇄하는 평행선의 수이다. 도 4에서는 광센서의 분해능 이상으로 테스트패턴의 사각형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16개의 평행선을 인쇄하였다.
제214 단계에서, 상기 카운트수(icount)가 n1 이하로 판단되면, 도 5에 도시된 거리(d2) 만큼 피딩롤러를 구동하고여 용지를 라인 피딩한다(215 단계). 그리고, 제212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과정들을 반복한다.
제214 단계에서, 상기 카운트수(icount)가 n1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제210 단계를 종료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210 단계에 이어서, 각 인쇄영역, 즉 각 노즐로 인쇄되는 사각형(R)을 순차적으로 광센서(160)로 스캐닝한다(제220 단계).
도 9는 도 7의 제220 단계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상기 210A 단계에서 인쇄된 도 3의 테스트 패턴을 스캐닝하여 미싱노즐을 검출하는 단계들(제221 단계 내지 제225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카운드수(jcount)를 1로 정한다(제221 단계).
이어서, 용지에 제1 노즐(N1)에 의해 인쇄되는 영역의 사각형(R1)을 광센서(160)로 스캐닝한다(제222 단계). 광센서(160)는 측정된 상기 사각형(R1)의 전류 출력값을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카운트수(jcount)를 "1" 증가시키고(제223 단계), 새로운 카운트수(jcount)가 미리 정한 n2 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제224 단계). 상기 n2 은 테스트패턴에 사용된 노즐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24 단계에서, 상기 카운트수(jcount)가 n2 이하로 판단되면, 도 4에 도시된 거리(d2) 만큼 피딩롤러를 구동하고(제225 단계), 제222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제224 단계에서, 상기 카운트수(jcount)가 n2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테스트 패턴에 사용된 노즐들에 대한 스캐닝 과정을 종료한다.
이어서, 제220 단계에서 스캐닝한 각 노즐에 대응된 스캐닝 영역의 포토다이오드 출력값이 소정의 문턱값(threshold value)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노즐로부터 잉크가 토출되지 않은 미싱 노즐로 정하고 메모리에 해당노즐번호를 저장 한다. 이러한 미싱 노즐을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대상 노즐 중 미싱 노즐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제230 단계).
제230 단계에서, 미싱 노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프린트헤드의 노즐판의 노즐들이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미싱노즐 검출 및 보정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제230 단계에서 미싱 노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잉크젯 카트리지를 일측의 서비스 스테이션으로 이동시켜서 해당 노즐을 파이어링(firing)하는 스피팅(spitting) 과정을 수행한다(제240 단계).
이어서, 잉크젯 카트리지를 인쇄구간으로 이동시키면서 프린트헤드의 노즐판을 와이핑하여 노즐판의 노즐을 막은 먼지 등을 제거하다(제250 단계).
이어서, 메모리에 저장된 미싱노즐을 순차적으로 파이어링하여 각 노즐에 해당되는 영역이 구별되게 테스트 패턴을 인쇄한다(제260 단계).
이어서 제22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흐름도에서는 편의상 미싱 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까지 미싱노즐의 검출 및 보정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실제로는 2~3회 상기 작업, 즉, 스피팅 및 와이핑 과정을 수행한 후 미싱 노즐의 검출 및 보정 보정 과정을 종료하고, 검출된 미싱 노즐을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는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의 프린트헤드로부터 미싱 노즐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은 모노 칼라 뿐 만 아니라 컬러 잉크 카트리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방법에 따르면, 저 해상도의 자동 얼라인먼트 센서인 광센서를 가지고 프린트헤드의 미싱 노즐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검출하고, 미싱 노즐을 스피팅 및 와이핑하여 보정하고, 이어서 해당 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지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지에 부착된 광센서로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의 미싱 노즐을 검출 및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캐리지를 이동하면서 상기 프린트헤드의 각 노즐에 의해 인쇄되는 영역이 구별되는 테스트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b)각 노즐에 대응되는 상기 인쇄영역을 상기 광센서로 스캐닝하여 광출력값이 소정의 문턱값 보다 크면 해당 노즐이 미싱 노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c)상기 (b)단계에서 검출된 미싱노즐을 스피팅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a)단계는,
    (a1)상기 캐리지를 주행시 상기 프린트헤드의 각 노즐을 순차적으로 수회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용지에 각 노즐에 대응되는 평행선을 인쇄하는 단계;
    (a2)상기 용지를 부주사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a1)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a3)상기 (a2)단계를 반복하하여 각 노즐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인쇄영역의 상기 사각형상을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노즐 보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b)단계에서 검출된 미싱노즐을 와이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노즐 보정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상기 검출된 미싱노즐에 대해서 상기 (a)단계 및 (b)단계를 반복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노즐 보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미싱노즐에 대해서 (a)단계 및 (b)단계를 미리 정한 수(n) 회 이내에서 반복수행하고, 상기 수(n) 회에서 상기 (b)단계에서 미싱노즐로 판단된 노즐에 대해서는 미싱노즐로 보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노즐 보정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상들은 상기 용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보정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상의 부주사방향의 길이는 상기 광센서의 분해능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보정방법.
KR1020030074926A 2003-06-27 2003-10-25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 KR10055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926A KR100553895B1 (ko) 2003-10-25 2003-10-25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
US10/875,802 US20050018006A1 (en) 2003-06-27 2004-06-25 Method of determining missing nozzles in an inkjet printer
CNB2004100899343A CN1315649C (zh) 2003-06-27 2004-06-28 确定喷墨打印机中的故障喷嘴的方法
JP2004190057A JP2005014617A (ja) 2003-06-27 2004-06-28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ミッシングノズル検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926A KR100553895B1 (ko) 2003-10-25 2003-10-25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57A KR20050039457A (ko) 2005-04-29
KR100553895B1 true KR100553895B1 (ko) 2006-02-24

Family

ID=3724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926A KR100553895B1 (ko) 2003-06-27 2003-10-25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65B1 (ko) 2005-06-01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노즐 검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5236B2 (ja) * 2005-12-20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ノズルチェックパターン及び液滴吐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65B1 (ko) 2005-06-01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노즐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57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18006A1 (en) Method of determining missing nozzles in an inkjet printer
JP3788238B2 (ja) 印刷装置、不動作ノズルの検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録媒体
US8033630B2 (en) Liquid ejecting metho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6585346B2 (en) Printing apparatus with missing dot testing
US20030218650A1 (en) Printer device and method
US7568780B2 (en) Liquid ejection inspecting apparatus, liquid ejection inspecting method, print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liquid ejection system for inspecting whether or not liquid is ejected from a liquid ejection nozzle normally
US20050052488A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scharge defects
JP2005193686A (ja) 自動流体噴射器アラインメントおよびパフォーマンス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006786B2 (ja) テスト用ドット記録方法およびプリンタ
US6412902B2 (en) Printing head inspecting device and method for printer
JP201807963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及び印刷方法
JP5656480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位置調整方法
US9505252B2 (en) Recording apparatus
JP3837995B2 (ja) 定期フラッシング前におけるインク滴吐出検査の実行
KR100553895B1 (ko)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 및 보정 방법
JP201407661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43673B2 (ja) 印刷システム
JP3956969B2 (ja) 印刷ヘッドと検査部とを相対的に移動させながら行う不動作ノズルの検出
JP2009056719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29328B1 (ko)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방법
JP200506704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134328B2 (en) Liquid-ejection testing method, liquid-ejection tes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547147B1 (ko) 잉크젯 프린터의 미싱 노즐 검출방법
JP201105120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位置調整方法
JP2005262813A (ja) 印刷動作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並びに印刷動作状態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