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62B1 -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62B1
KR100553862B1 KR1020040019744A KR20040019744A KR100553862B1 KR 100553862 B1 KR100553862 B1 KR 100553862B1 KR 1020040019744 A KR1020040019744 A KR 1020040019744A KR 20040019744 A KR20040019744 A KR 20040019744A KR 100553862 B1 KR100553862 B1 KR 10055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mage
signal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568A (ko
Inventor
김학용
Original Assignee
(주)아우토반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우토반모터스 filed Critical (주)아우토반모터스
Priority to KR102004001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8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 장비를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기능과 연결된 각 전자 장비의 입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영상, 음향, 차량

Description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A/V converting/switching control unit for vehicle}
도 1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전자 장비의 종류와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유닛을 자동차에 이미 설치된 기존 전자 장비와 새롭게 설치된 전자 장비간에 연결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선택부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세부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 장비를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기능과 연결된 각 전자 장비의 입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기계 시스템과 전자 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적인 장치이다. 엔진과 같이 차량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전통적인 기계 부분조차도 ECU와 같은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현대의 자동차이다. 이외에도 자동차에는 상상하기 조차 어려울 정도로 많은 수의 전자 장비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를 연결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배선 케이블이 요구되고 있다. 자동차에 필요한 엄청난 양의 배선을 줄이기 위해 독일의 BOSCH는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제안하였다. CAN은 자동차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ECU간 정보 공유를 위한 수단으로서, 현대의 자동차에서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 장비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 들어, 고가의 대형 자동차를 중심으로 CAN이나 이와 유사한 개념의 네트워크를 채택하고 있다. 자동차에 다양한 차량 제어용 전자 장비들이 탑재되면서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상태나 운행 정보 등을 전달하기 위한 전자 장비들도 아울러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차량 정보 출력 장비로 LCD 모니터를 내장 한 BMW의 MASK와 CCC가 있다. MASK 또는 CCC는 카 오디오의 기능(Head Unit)을 포함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다른 전자 장비들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상태나 운행 정보 등을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과거 이동 수단의 개념에서 준 주거 공간의 개념으로 자동차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자동차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카 오디오에 머무르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기능의 제품을 추가로 설치하는 운전자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카 오디오, CD 체인저, 차량용 DVD, 네이게이션 시스템 등이 애프터 마켓 시장에 등장하였으며, 최근에는 차량용 컴퓨터(AUTO PC)도 시장에 등장하였다. 애프터 마켓에서 구입한 전자 장비들은 전문 설치업자에 의해서 자동차에 설치되는데, 기존 차량에 새로운 전자 장비를 설치하는 작업은 상당한 노하우가 필요한 작업이다. 이는 자동차의 기존 전자 배선이나 네트워크를 그대로 둔 채 새로이 설치될 전자 장비간의 배선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동차의 앞부분에는 새로운 전자 장비를 탑재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추가로 설치되는 전자 장비는 자동차의 뒷부분, 즉 트렁크에 탑재된다. 따라서, 다른 전자 장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때마다 헤드 유닛이나 디스플레이 장치간을 연결하는 배선을 트렁크에서 차량 앞부분까지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 때마다 자동차의 배선은 더욱 복잡해진다.
특히, 새로운 헤드 유닛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대쉬 보드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기존에 있던 장비를 제거하여 확보된 공간에 새로운 헤드 유닛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저가의 소형차의 경우와 같이 카 오디오 기능만 갖는 장비를 제거할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차량의 정보를 표시하는 BMW의 MASK 또는 CCC와 같은 전자 장비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이후 차량 정보를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 장비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는 추가로 설치된 전자 장비 특히 DVD나 TV를 위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해야만 하며, 설치된 전자 장비를 운전자나 동승자가 직접 조작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설치된 차량 정보 출력 장비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자동차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전자 장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전자 장비를 자동차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동차의 기존 전자 장비와 신규로 설치된 전자 장비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규로 설치되는 전자 장비가 자동차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영상 또는 음향 출력 수단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에 의해 각 전자 장비간 스위칭을 용이하게 하며, 추가적인 배선이 전혀 필요 없도록 하는 컨트롤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비가 차량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자동차에 기설치된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영상 출력 수단과 차량 정보 출력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음향 출력 수단을 공유하도록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장비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연결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 복수의 입력부; 선택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소스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입력 선택부;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되기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영상 조정부; 상기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선택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와 상기 차량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영상 버퍼; 상기 영상 버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영상 송신부; 상기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수신부; 상기 선택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와 상기 음향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향 선택부; 및 상기 음향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음향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차량 정보와 음향 신호 및 상기 멀티미디어 소스의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가 상기 컨트롤 유닛에 의해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영상 출력 수단 및 상기 음향 출력 수단에서 출력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자동차에 기설치된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트롤 유닛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전자 장비의 종류와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자동차의 탑승 공간에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 또는 추가적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 이하에서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 통칭함)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위치는 일반적으로 대쉬 보드의 중앙이다.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는 자동차 제조시 설치된 전자 장비로서,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는 기본적으로 자동차 내부의 다른 전자 장비(예를 들어, 엔진 ECU 또는 미션 ECU)로부터 수신된 자동차 상태 정보나 운행 정보 등을 출력하며, 부수적으로 CDP, 라디오 또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와 같은 카 오디오로서 동작한다. 특히, 카 오디오 기능은 내부에 앰프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외부에 앰프를 두고 있다. 추가적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가능한 제품이 시장이 막 출시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와는 무관하게 다른 전자 장비(예를 들어, DVDP, 네비게이션, 스피커 등)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차량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설명을 이해할 수 있는 자라면 추가적으로 설치된 디 스플레이 장치에 본 발명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실시예는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자동차 실내의 전방과 후방 및 좌 우측 문에는 복수개의 스피커(40)가 설치되어 있다. 스피커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재생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이미 설치된 스피커(40)에 연결된 기존 배선은 카 오디오 장비를 새로 설치할 경우 설치된 카 오디오와 연결하기 위해 교체되어야 했다.
자동차에 추가적으로 설치 가능한 전자 장비로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15), 차량용 컴퓨터(20), CD 체인저(25), DVDP(30)이 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15)은 차량용 항법 장치로서, GPS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표시하며, 차량용 컴퓨터(20; AUTO PC)는 주행중인 자동차 내부에서도 이메일 송수신, 간단한 문서 작업, 동영상 또는 음악 파일 재생,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이다. CD 체인저(25)는 복수 개의 CD를 수납할 수 있으며,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의해 선택된 CD를 재생하는 카 오디오 장비의 하나이다. DVDP(30)는 DVD에 기록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한 전자 장비들은 컨트롤 유닛(100)을 통해 차량의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와 스피커(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 관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유닛을 자동차에 이미 설치된 기존 전자 장 비와 새롭게 설치된 전자 장비간에 연결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 유닛(100)은 자동차에 새롭게 설치된 네비게이션 시스템(15), 차량용 컴퓨터(20), 오디오 시스템(25), DVDP(30), 다이버시티 안테나(35)(이하에서는 이를 멀티미디어 소스라고 총칭한다.)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를 전혀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와 스피커(40)를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위칭 동작은 운전자나 동승자에 의해 다수의 멀티미디어 소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기 전 또는 일정한 조건에 따라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차량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고, 멀티미디어 소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를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및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스피커(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 선택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멀티미디어 소스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컨트롤 유닛(100)은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가 차량 정보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하며, 이후 운전자가 DVD를 선택하면, 차량 정보의 출력을 중지하고 DVDP(25)로부터 입력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로 그리고 음향은 스피커(40)로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기능을 포함한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영상 입력 단자와 영상 출력 단자는 컨트롤 유닛(100)의 영상 출력 단자와 영상 입력 단자에 각각 연결되며,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음향 출력 단자는 컨트롤 유닛(100)의 음향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나머지 부분과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와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분리하여 디스플레이는 컨트롤 유닛(100)의 영상 출력 단자에 그리고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나머지 부분은 컨트롤 유닛(100)의 영상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는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스피커(40)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연결을 분리한 후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 측에 연결된 커넥터는 음향 출력 단자로 하여 컨트롤 유닛(100)의 음향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스피커(40) 측에 연결된 커넥터는 음향 입력 단자로 하여 컨트롤 유닛(100)의 음향 출력 단자에 결합된다.
멀티미디어 소스 연결 단자는 컨트롤 유닛(100)의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와의 연결 단자와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다. 각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영상과 음향이 구분되지 않고 결합된 복합 신호(TV 전파 신호), 영상과 음향은 구분되되 영상 신호 성분이 복합 신호(Composite signal or CVBS), 영상과 음향이 구분되며 영상 신호 성분도 구분된 콤포넌트(Component signal; YCbCr, RGB 등)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 유닛(100)은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영상 신호 및/또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영상 신호 및/또는 음향 신호 중 최종적으로 출력될 신호를 선택하는 영상/음향 입력 모듈과,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 모듈과, 입력된 음향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향 처리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음향 입력 모듈은 제1 영상/음향 입력부(110), 제2 영상/음향 입력부(115), TV 튜너부(120), 입력 선택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영상/음향 입력부(110), 제2 영상/음향 입력부(115)는 각 멀티미디어 소스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 수단(terminal 또는 interface)을 포함하며, 접속 수단은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지 제2 영상/음향 입력부(110, 115)는 제어 명령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영상 조절부(14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콤포넌트 신호(Component signal)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연결 단자로 콤포지트 단자(Composite terminal)를 이용하는 경우 각 영상/음향 입력부(110, 115)는 입력된 콤포지트 신호(Composite signal)를 콤포넌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OSD(On screen Display)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된 그래픽 신호를 변환된 콤포넌트 신호에 합성할 수 있다. 상세한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V 튜너부(120)는 온 보드 튜너로서,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된 TV 전파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TV 튜너부(120)는 제어 명령에 의해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2 채널 다이버시티 안테나보다 2 개 채널이 더 많은 4 채널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입력 받을 수 있는 TV 튜너를 이용한다. 자동차와 같이 지속적으로 수신 위치가 변경되는 환경에서는 보다 많은 채널을 통해 TV 전파 신호를 수신할수록 복원된 영상의 품질 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2개 채널은 자동차에 원래 장착된 안테나를 이용하며, 2개 채널은 자동차에 신규로 장착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선택부(130)는 제1 및 제2 영상/음향 입력부(110, 115) 및 TV 튜너부(120)로부터 입력된 신호 중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영상 및/또는 음향 신호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입력 선택부(13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음향 입력 모듈은 컨트롤 유닛의 나머지 구성 요소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영상/음향 입력부의 수와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음향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 컨트롤 유닛의 모든 구성 요소를 변경하는 것 보다 모듈화된 인터페이스 부분만을 변경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영상/음향 입력 모듈은 주행 감지 정보 입력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 감지 정보 입력 단자는 TV 튜너부(120), 입력 선택부(130) 또는 중앙 제어부(19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주행중에는 TV 영상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영상 처리 모듈은 영상 조절부(140), 영상 버퍼(145), 영상 송신부(150), 영상 수신부(155)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 조정부(140)는 입력 선택부(130)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해상도를 변환하여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적합한 영상으로 처리하는 이 미지 스케일러(Image scaler)이다.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는 멀티미디어 소스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따라서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서는 해상도 변환 즉 영상의 크기 변환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를 들어, DVDP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480i 의 해상도를 가지며, TV 영상 신호의 경우 640x480(기존 아날로그 TV)의 해상도를 가지며, 디지털 방식의 영상 신호의 경우 최대 1920x1080(HDTV)의 해상도를 가진다. 그러나,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는 보통 4:3 비율 또는 16:9 비율이며 10인치 이하인 경우가 많으므로, 입력된 영상을 해상도 조정 없이 그대로 출력할 경우 영상의 일부분이 잘려지거나 왜곡되어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TFT??LCD 등)이므로, 영상 조정부(140)가 컴포지트 신호 보다는 컴포넌트 신호(예를 들면 YCbCr, 또는 RGB)를 스케일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 유닛은 자동차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는 자동차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 장치간 거리가 기존 아날로그 전송 방식에 의해서는 전송하기가 곤란하므로, 디지털 전송 방식(예를 들어, LVDS, mini??LVDS, RSDS 등)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영상 조정부(14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하고, 디지털 전송 방식으로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영상 조정부(140)의 출력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클럭(CLK) 및 해상도가 변경된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영상 버퍼(145)는 3상 버퍼(3 state buffer)로서, 영상 조정부(14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및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며, 영상 송신부(155)로 최종적으로 출력될 영상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즉, 영상 조정부(14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와 영상 수신부(155)를 통해 수신된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모두 일시 저장하며, 영상 버퍼(145)는 제어 명령에 따라 이중에서 선택된 한 영상 신호를 최종적으로 영상 송신부(150)로 출력하게 된다.
영상 송신부(150)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영상 버퍼(14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수신부(155)는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있던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송신부(150) 및 영상 수신부(155)는 디지털 전송 방식(예를 들어, LVDS, mini??LVDS, RSDS 등)으로 영상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된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향 처리 모듈은 음향 선택부(160), 음향 수신부(165), 음향 증폭부(170), 음향 송신부(175)로 구성되어 있다.
음향 선택부(160)는 입력 선택부(130)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와 음향 수신부(165)로부터 출력된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의 음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음향 수신부(165)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는 자동차에 이미 설치된 스피커의 수와 종류에 따라 각각의 스피커로 출력된 음향 신호가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 외부에 앰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량 조정 신호가 음향 수신부(165)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카 오디오와 스피커는 2 채널 스테레오만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존 스피커를 그대로 이용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소스라 지원하는 서라운드나 5.1 채널은 자동차에서 이용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음향 선택부(160)는 음향 수신부(165)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의 2 채널 이상으로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향 선택부(160)는 각 스피커 별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총 8개의 스피커가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고, 이중 3개의 스피커가 운전석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음향 선택부(160)는 이 3 개의 스피커를 통해서는 차량 정보 또는 주행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고, 나머지 5개의 스피커에서는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분할하여 동시에 2 이상의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 또는 차량용 컴퓨터(20)에서 출력되며, 주행 정보는 네비게이션 시스템(15) 또는 차량용 컴퓨터(20)에서 출력된 음향 신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향 선택부(160)는 나머지 5개의 스피커는 무음(Mute)으로 전환하고, 운전석 주위의 3개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증폭부(170)는 음향 선택부(160)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음향 증폭부(170)는 일정 크기 이상으로 증폭할 필요 없는 음향 신호(예를 들어, 음성으로 출력된 차량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의 안내 방송 등)를 위한 정 규 증폭부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증폭되는 음향 신호(예를 들어, 카 오디오의 음향 신호, TV의 음향 신호 등)를 위한 파워 증폭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규 증폭부의 출력은 파워 증폭부의 출력보다 작으며, 파워 증폭부는 제어 명령에 의해 증폭 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
음향 수신부(165)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를 수신하며,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예를 들어, 케이블 소켓 등) 및 이에 연결된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연결을 절단하고, 신호가 입력되면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향 송신부(175)는 음향 증폭부(170)로부터 출력된 증폭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던 스피커 연결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예를 들어, 케이블 소켓 등) 및 이에 연결된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향 송신부(175)는 무선으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향 송신부(175)가 FM 변조부를 구비하여 입력된 음향 신호를 FM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며, 출력된 FM 신호를 차량의 FM 라디오가 수신하여 내부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별도의 음향 신호 출력 단자를 구비하지 않은 차량 정보 출력 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90)는 컨트롤 유닛의 각 구성부에 연결되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향 신호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일련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중앙 제어부(190)의 동작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컨트롤 유닛은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유닛(100)에 제3 영상/음향 입력부(105), 옵티컬 음향 입력부(180) 및 모노 음향 입력부(185)가 더 포함된 실시예이다.
제3 영상/음향 입력부(105)는 영상 조정부(140) 및 음향 증폭부(170)에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소스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 수단(terminal 또는 interface)을 포함하며, 제어 명령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수단은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3 영상/음향 입력부(105)는 입력 선택부(130)에 연결되지 않고 영상 조정부(140)와 음향 증폭부(170)에 직접 연결되며, 중앙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출력 제어 수단에 의해 각 구성부로의 입력이 제어된다.
옵티컬 음향 입력부(180)는 옵티컬 출력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소스의 음향 출력을 지원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영상 조정부(140) 및 음향 증폭부(170)에 연결되고, 옵티컬 출력 단자를 갖는 DVDP 또는 카 오디오 시스템에 연결된다. 옵티컬 음향 입력부(180)는 멀티미디어 소스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 수단(예를 들어 광 모듈 등)을 포함하며, 제어 명령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옵티컬 음향 입력부(180)는 입력 선택부(130)에 연결되지 않고 영상 조정부(140)와 음향 증폭부(170)에 직접 연결되며, 중앙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각 구성부로의 입력이 제어된다. 컨트롤 유닛(100)이 옵티컬 음향 입력부(180)를 더 포함하 는 경우 음향 증폭부에 포함된 파워 증폭부는 아날로그 방식보다는 디지털 방식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울러, 5.1 채널 이상을 지원하기 위해 파워 증폭부는 별도의 센터 스피커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 음향 입력부(185)는 모노 음향 출력부(187) 및 중앙 제어부(190)에 각각 연결되며, 모노 음향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소스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 수단(terminal 또는 interface)을 포함하며, 제어 명령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모노 음향은 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15)에 의해 입력되며, 중앙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의해 모노 음향 출력부(187)로의 모노 음향의 출력 여부가 제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선택부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선택부(130)는 사용자 제어 명령 수신부(133),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136) 및 N:1 선택부(139)로 구성된다.
사용자 제어 명령 수신부(133)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입력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명령을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136)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제어 명령 수신부(133)는 유선으로 연결된 키패드 또는 무선 리모콘을 통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입력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기이며, 특히 무선의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블루투쓰(BlueTooth) 등) 수신기이다.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임의의 멀티미디어 소스를 선택하면, 선택 명령이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136)와 영상 조정부(140)로 전송된다. 수신된 선택 명 령에 따라 영상 조정부(140)는 입력된 영상의 해상도 등을 조정한다.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136)는 사용자 제어 명령 수신부(133)로부터 출력된 선택 명령에 의해 멀티미디어 소스 중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멀티미디어 소스를 선택하고, OSD 그래픽을 생성하여 출력될 영상에 합성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선택 명령 자체 또는 선택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를 중앙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 의해 멀티미디어 소스가 선택되기 전에는 중앙 제어부(190)에 의해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차량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며, 이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선택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소스에 관한 정보나 조정 메뉴(예를 들어, 채널 스캐닝, 채널 변환, 볼륨 조절 등)와 같은 OSD 그래픽이 영상 신호에 합성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136)는 OSD 그래픽을 생성한 후, 입력부에 전달하여 각 입력부가 영상 신호와 OSD 그래픽을 합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입력부로부터의 영상/음향 신호 출력을 차단하고 OSD 그래픽만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OSD 그래픽만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는 중앙 제어부(190)의 제어 명령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울러,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136)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소스를 입력하는 TV 튜너부(120), 제1 영상/음향 입력부(110), 제2 영상/음향 입력부(115) 중 상응하는 입력부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영상 및 음향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N:1 선택부(139)는 복수의 영상/음향 신호 중에서 오직 하나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대표적으로 XOR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N:1 선택부(139)는 동작 오류로 인해 2 이상의 신호가 영상 조정부(140)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N:1 선택부(139)의 출력은 각각 영상 조정부(140)와 음향 선택부(160)로 인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자동차의 시동이 꺼져 있거나 시동이 걸렸어도 운전자나 동승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소스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는 컨트롤 유닛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앙 제어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부의 전원은 차단된다(단계 200, 210).
단계 220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키 패드 또는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소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제어 명령 수신부가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영상 조정부와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로 전달한다. 선택 명령을 전달 받은 영상 조정부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의 규격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게 되며,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활성화(Enable)하여 영상/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는 OSD 그래픽을 생성하여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합성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는 선택된 입력부를 활성화한 후 실행 결과 또는 선택 명령 자체를 중앙 제어부로 전달한다. 중앙 제어부는 선택 명령 또는 처리 결과에 따라 영상 조정부, 영상 버퍼 및 음향 선택부를 제어하여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영상/음향 신호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로 출력되도록 한다. 중앙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영상 조정부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며, 영상 버퍼는 영상 조정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영상 송신부로 출력한다. 아울러, 음향 선택부는 입력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가 음향 증폭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단계 230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로부터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거나 중요한 차량 정보가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차량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즉, 중앙 제어부는 영상 수신부와 영상 버퍼 및 영상 송신부를 통해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차량 정보가 컨트롤 유닛의 나머지 구성부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한다. 아울러, 음향 송신부, 음향 선택부, 음향 증폭부 및 음향 송신부를 통해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음향 신호가 컨트롤 유닛의 나머지 구성부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단계 240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현재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소스를 변경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는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영상/음향 신호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현재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소스를 변경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입력 선택부는 현재 영상/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입력부를 비활성화하고,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소소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활성화한다. 만일, 정차중 TV 튜너부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 다시 주행을 시작하여 주행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TV 튜너부는 비활성화되고,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의 영상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입력 선택부, 영상 버퍼 및 음향 선택부가 중앙 제어부에 의해 제 어된다. 현재 출력중인 멀티미디어 소스를 변환하는 과정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제3 영상/음향 입력부(105)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소스를 선택하면 입력 선택부는 연결된 입력부를 모두 비활성화하며 중앙 제어부가 제3 영상/음향 입력부(105)를 활성화하여 영상 및 음향 신호가 영상 조정부 및 음향 선택부로 입력되도록 한다. 아울러, 영상 신호는 제1 내지 제2 영상/음향 입력부로 인가되고, 음향 신호는 옵티컬 음향 입력부로 인가되는 멀티미디어 소스(예를 들어, DVDP)의 경우 중앙 제어부는 제1 또는 제2 영상/음향 입력부 중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옵티컬 음향 입력부를 모두 활성화하고 음향 선택부를 비활성화하여 옵티컬 음향 입력부에 의해 출력된 음향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특히, 제3 영상/음향 입력부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소스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며, 현재 제1 또는 제2 영상/음향 입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영상 및 음향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주행 정보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면, 중앙 제어부는 음향 선택부에 스피커 분할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음향 선택부는 특정 위치에 배치된 스피커, 예를 들어 운전석 주위에 배치된 3개의 스피커에 대해서 제1 또는 제2 영상/음향 입력부와의 연결을 단절하고, 제3 영상/음향 입력부로 연결한다. 아울러, 음향 선택부는 나머지 스피커로 출력되던 음향 신호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음성 신호 출력 직전에 출력할 음성 신호가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입력할 수 있 다.
단계 250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중앙 제어부는 다른 구성부를 모두 비활성화 시키는 서스펜드 모드로 전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유닛의 세부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300에서, 차량 정보 또는 임의의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로부터 선택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310에서, 선택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로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가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인 경우 백라이트를 오프하는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는 출력중인 영상이 사라진다.
단계 320에서, 멀티미디어 소스 전환 중 불필요한 음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음(Mute) 상태로 전환하거나 스피커와의 연결을 절단한다.
단계 330에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입력부가 비활성화되고,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소스를 입력 받는 입력부가 활성화된다. 필요한 경우 동시에 2 이상의 입력부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새로운 입력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해당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가 영상 조정부 및 음향 선택부로 인가된다. 인가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맞도록 변환된 후 영상 버퍼와 영상 전송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로 전송된다. 백라이트를 오프한 경우에는 영상이 출력되더라도 운전자나 동승자가 영상을 볼 수 없다. 인가된 음향 신호는 음향 선택부에 의해 2채널 또는 그 이상의 채널로 분리된 후 음향 전송부를 통해 각 스피커로 출력되게 된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소스 전환을 위한 입력부 활성화/비활성화 과정이 완전히 종료되기 전까지는 무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40에서, 무음 상태를 오프하거나 스피커를 온하여 인가된 음향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단계 350에서 디스플레이의 백 라이트를 온한다.
단계 360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의 영상을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된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며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훼손하지도 않으면서도 자동차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전자 장비를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전자 장비를 자동차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신규 전자 장비 설치시마다 새롭게 배선을 해야 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소되었다.
아울러, 자동차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전자 장비와 차량 정보 출력 장치간 전환이 용이하며, 신규로 설치되는 전자 장비가 자동차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영상 또는 음향 출력 수단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비가 차량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자동차에 기설치된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영상 출력 수단과 차량 정보 출력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음향 출력 수단을 공유하도록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장비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연결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 복수의 입력부;
    선택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소스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입력 선택부;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되기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영상 조정부;
    상기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선택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와 상기 차량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영상 버퍼;
    상기 영상 버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영상 송신부;
    상기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수신부;
    상기 선택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 스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와 상기 음향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향 선택부;
    상기 음향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는 음향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정보 출력 장치의 차량 정보와 음향 신호 및 상기 멀티미디어 소스의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가 상기 컨트롤 유닛에 의해 선택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영상 출력 수단 및 상기 음향 출력 수단에서 출력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자동차에 기설치된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컨트롤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선택부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제어 명령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 수신부에 연결되며, 상기 선택 명령에 상응하여 선택된 입력부를 활성화하고, 비선택된 입력부는 비활성화하여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받도록 상기 복수의 입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소스의 영상 신호에 합성되어 출력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OSD 그래픽을 생성하는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 처리부에 연결되며, 복수 영상 신호의 동시 입력을 제한하는 N:1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선택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2 이상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통해 TV 전파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TV 튜너부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선택부와 상기 음향 송신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음향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음향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음향 증폭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향 증폭부는 아날로그 앰프 및 디지털 앰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선택부는 상기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 한 음향 신호와 상기 멀티미디어 소스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 중 선택된 음향 신호의 채널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부와 상기 입력 선택부는 상기 컨트롤 유닛의 나머지 구성 요소로부터 분리 가능한 모듈 형태이며,
    상기 입력 선택부와 상기 영상 조정부 및 상기 음향 선택부는 분리 가능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송신부는 무선 FM 신호의 형태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유닛.
KR1020040019744A 2004-03-23 2004-03-23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KR10055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744A KR100553862B1 (ko) 2004-03-23 2004-03-23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744A KR100553862B1 (ko) 2004-03-23 2004-03-23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568A KR20050094568A (ko) 2005-09-28
KR100553862B1 true KR100553862B1 (ko) 2006-02-24

Family

ID=3727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744A KR100553862B1 (ko) 2004-03-23 2004-03-23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25B1 (ko) * 2009-05-26 2010-03-16 (주)큐디스 차량용 비디오 시스템에서의 입력 모드 자동 전환 장치
KR101252197B1 (ko) * 2007-12-17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극성 인식 미디어 단자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97B1 (ko) * 2007-12-17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극성 인식 미디어 단자 회로
KR100947325B1 (ko) * 2009-05-26 2010-03-16 (주)큐디스 차량용 비디오 시스템에서의 입력 모드 자동 전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568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741B2 (en) Multiplexing network system and digital information transferring method
US8363162B2 (en) Video display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070091015A1 (en) Vehicle seat entertainment system incorporating a databus
US7627885B2 (en) In-vehicle image display system
US20060294551A1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KR100553862B1 (ko)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US20060044214A1 (en) Touch panel video display system for vehicles
KR101116693B1 (ko) 차량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0835808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JP4937726B2 (ja) 映像伝送システム及び映像伝送方法
KR20080111924A (ko) 초광대역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멀티미디어 네트워크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공유 방법
KR20080018016A (ko) 차량용 다중 컨텐츠 변환 유닛, 이를 갖는 차량용멀티미디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61581A (ko) 블루투스 기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6477A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KR20050049773A (ko)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JP2019018771A (ja) 車載システム
JP3365163B2 (ja) ナビゲーション接続対応車載テレビ
JPH1093878A (ja) 車両用マルチメディア装置
JPH11289342A (ja) 車載用電子機器およびシステム
KR20040096472A (ko) 재생장치 제어를 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4282A (ko) 오디오/비디오 컨트롤러 공유형 차량용 a/v 시스템
US20040028374A1 (en) Multi-AV control device in an automobile
KR100499775B1 (ko) 복수개의 이어폰잭을 가지는 카오디오 장치
KR200332466Y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용 엑스박스
US20130278737A1 (en) Infotain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