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477A -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477A
KR20100076477A KR1020080134543A KR20080134543A KR20100076477A KR 20100076477 A KR20100076477 A KR 20100076477A KR 1020080134543 A KR1020080134543 A KR 1020080134543A KR 20080134543 A KR20080134543 A KR 20080134543A KR 20100076477 A KR20100076477 A KR 2010007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evices
audio
driver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8013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6477A/ko
Publication of KR2010007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차량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통신프로토콜을 통해 차량 내의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스트(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두 개의 광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장치들과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차량 내의 장치들과 별도의 통신 선로 없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MOST,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CAR AV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의 장치들과 모스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차량용 에이브이엔(AVN : 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VN 시스템은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 비디오 시스템(Video system)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을 하나의 유닛(unit) 형태로 통합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이다. 이러한 AVN 시스템의 개발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조작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차량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동차관련 전자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AVN 시스템 외에도,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들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차량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다양한 장치들의 통신을 지원하는 버스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자동차의 기계 또는 전장 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CAN, LIN, Flexray, MOST 등이 그 대표적인 프로토콜들로서, 이러한 프로토콜 중, CAN, LIN, Flexray 등은 차량의 제어 혹은 각종 센서 정보를 취합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MOST는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네트워크화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한편, 종래의 차량용 AVN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장치들과 개별적으로 제어(Control)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으며, 차량에 장착되는 장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차량 배선 및 차량의 무게는 차량의 성능 및 비용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즉, 이러한 배선 작업의 어려운 조립성은 차량 제작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케이블 자체의 무게 증가는 연비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은 상기한 바와 같은 AVN 시스템 및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중앙제어장치(BCM)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전체적으로 다양한 통신 케이블들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제어장치를 통해 차량의 각종 정보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별도의 출력장치들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AV 시스템 외에도 차량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수시로 모니터링해야 함으로 운전에 집중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차량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통신프로토콜을 통해 차량 내의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모스트(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두 개의 광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장치들과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차량 내의 장치들과 별도의 통신 선로 없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모스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두 개의 광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내의 다수의 장치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스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차량 내의 다수의 장치와 데이터 변환 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서 차량의 기능을 모니터링하거나 차량 내의 장치들을 보다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10), 제어부(20), 오디오/비디오(AV) 구동부(30), 네비게이션 구동부(40) 및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0)는 모스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20)는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은,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1채널 디지털 오디오 입/출력, NTSC 비디오 입/출력, iPod/USB 입/출력 기능을 포함하고 있고, 2채널 Analog 신호, 다수의 NTSC 비디오 입력, 후석 모니터를 위한 NTSC 출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들 중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등은 MOST 프로토콜 기반의 시리얼(Serial) 데이터로 변환되어 MOST 네트워크를 통해 각 출력 장치(스피커, 디스플레이 등)들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20)는, 차량용 AVN 시스템 자체의 전반적인 동작과 전원관리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각 장치의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수행 하는 것으로서,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외부 장치에서 전송되는 차량의 모니터링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외부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있다.
오디오/비디오(AV) 구동부(30)는 TV, CDC, LCD, DVD, 라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AV 구동부(30)는 MOST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즉, AV 구동부(30)는 미도시된 입력기, 디스플레이, 튜너, 비디오 재생기, 오디오 재생기, 에이브이 제어기, 앰프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기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는 채널 또는 음성 크기 등을 문자 또는 그래픽으로 출력한다.
튜너는 튜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방송 신호(BSIG)(라디오 또는 텔레비전)를 수신하여 에이브이 제어기에 전송한다.
비디오 재생기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V(Video)-CD(Compact Disk)와 같은 비디오 저장 매체에서 전송되는 신호에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재생기는 오디오 CD 또는 MP3(MPEG layer 3) CD와 같은 오디오 저장매체에서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여 출력한다.
에이브이 제어기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제어하여 에이브이시스템을 통해 오디오 또는 비디오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에이브이 제어기 는 오디오를 앰프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며, 비디오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AV 구동부(30)의 각 구성요소들은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MOST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MOST 프로토콜은 플라스틱 광섬유(POF)를 신호의 전달 매체로 사용하는 고속 통신용 프로토콜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기기(AV 구동부)를 네트워크화 하는 프로토콜이다.
네비게이션 구동부(40)는 네비게이션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네비게이션 구동부(40) 역시 MOST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즉, 네비게이션 구동부(40)는 미도시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디스플레이, 지도 데이터 저장기 및 네비게이션 제어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GPS 수신기는 GPS 위성들로부터 차량의 위치 데이터(LDAT)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제어기에 출력한다.
네비게이션 제어기는 위치 데이터(LDAT)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 후, 그 계산된 현재 위치를 지도 데이터(MAPD)에 맵 매칭하여, 맵 매칭 데이터(MDAT)를 발생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지도 데이터 저장기는 네비게이션 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지도 데이터(MAPD)를 네비게이션 제어기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는 맵 매칭 데이터(MDAT) 또는 비디오 데이터(VDAT)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네비게이션 구동부(40) 역시 멀티미디어 기기의 하나로서, MOST를 이용하는 MOST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0)는 모스트 프로토콜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면서, 차량의 각종 장치들의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0)는 MOST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MOST 프로토콜, CAN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CAN 프로토콜 및 CDMA, GPS, 블루투스 네트워크와 통시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프로토콜들을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읽어와, 각 프로토콜에 맞게 상태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CAN 네트워크에는 ADM, DDM, TRIP, TPMS, SPW, 에어콘 등과 같은 제어 장치가 연결된다.
데이터 저장부(50)는 모스트 프로토콜들에 대한 변환 정보 및 제어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스트 프로토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전체의 각종 장치들을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의 제어부(20)가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페이스부(10)는 모스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두 개의 광 전송 선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QNX OS를 사용한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으로서, 자체적으로 MOS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네비게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차량 내에 장착된 다수의 내부 장치들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차량 내의 다수의 장치에 대한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한편, 다수의 장치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 내의 전체 시스템을 별도의 중앙제어장치(BCM)를 대신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량 내의 각종 장치의 상태 등을 AV 구동부(30) 또는 네비게이션 구동부(40)의 출력장치(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AV 구동부(30) 또는 네비게이션 구동부(40)의 입력장치(예컨대,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가상 버튼)를 통해 입력받아 전송함으로써, 다수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AV 기기 또는 네비게이션을 MOS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는 한편, 차량 내부의 다수의 장치와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통신하는 것으로서, 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차량 내의 다수의 장치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인테페이스부(10)를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내부에 장착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각 장치들은 서로 간에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없으며,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과만 연결되어 있다면,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은, 차량 내의 모든 장치들과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장치들은 서로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을 통해 필요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은,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내부의 AV 구동부(30)와 네비게이션 구동부(40)를 MOS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의 각종 오디오/비디오 기기(CD, DVD, MP3 등)들을 동작시키는 한편,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202). 즉, 제어부(20)는 평상시에는 AV 구동부(30)와 네비게이션 구동부(40)만을 구동시켜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MOST 네트워크 기반의 광케이블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DVDP, DVDC, TUNER, NAVI, AUX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AUDIO 신호 및 Control 신호를 광케이블 2가닥으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노이즈와 전자파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MOST 프로토콜 기반의 광케이블 전송을 통해, 각 오디오/ 비디오 기기와의 제어(Control) 신호 및 5.1채널 오디오 신호를 압축없이 앰프(AMP)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왜곡과 케이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각 기기와의 통신 라인을 별도로 두지 않고 광케이블 2가닥을 이용해 링 형태로 관리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MOST 프로토콜은 자동차 내에도 멀티미디어 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비록 짧은 거리이지만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의 안정된 전송이 요구됨에 따라 개발된 프로토콜로서, MOST는 플라스틱 광섬유(POF)를 전송매체로 사용하고 LED를 발광소자로, PD(Photo detector)를 수광소자로 이용하며, 최고 155Mbps까지 고속 전송이 가능하여, 배선 을 경량화, 단순화하면서도 고속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음향이나 고화질의 영상장치간의 신뢰성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또한, 제어부(20)는 AV 구동부(30) 또는 네비게이션 구동부(40)에 포함되어 있는 입력장치를 통해 MOZEN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 요청이 수신되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MOZEN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204). 즉, 제어부(2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프로토콜 관련 정보를 읽어와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동시킴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불루투스 통신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관련 정보를 읽어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동시킴으로써,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206). 즉, 사용자는 차량 외부에서 이용하던 장치, 예를 들어, 핸드폰을 차량 내부에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블루투스를 통해 차량용 에이브엔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핸즈프리에 핸드폰을 장착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는 핸즈프리로부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를 블루투스로 구동시킴으로써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20)는 핸드폰으로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블루투스를 통해 수신하여 AV 구동 부(30) 또는 네비게이션 구동부(40)의 출력장치(스피커 또는 앰프)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bluetooth)는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하게 무선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서, 최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헤드셋이나, 휴대폰, PDA 등이 출시되고 있는바, 이러한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차량에 장착되어 CA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장치들로부터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 수신 요청이 접수되면, 인터페이스를 CA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써, CAN 네트워크를 통해 CAN용 장치들로부터 차량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AV 구동부(30) 또는 네비게이션 구동부(40)의 출력장치(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를 통해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208). 즉, 에어컨의 동작 중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에어컨으로부터 CAN 네트워크를 통해 경고 메시지가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으로 발송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CAN 통신을 이용하여 에어컨으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에어컨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가 AV 구동부(30) 또는 네비게이션 구동부(40)를 통해 입력된 경우, 인터페이스의 CAN 통신을 이용하여 에어컨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에어컨 외에도 제어부(20)는 차량의 공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장치들과 CA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의 공조 기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조 시스템의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차량제어를 위한 CAN 네트워크에는 ADM, DDM, TRIP, TPMS, SPW, 에어콘 등과같은 제어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Flexray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장치들로부터 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를 Flexra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동시킴으로써, Flexray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210). 여기서, Flexray 프로토콜은 BMW, Bosch, DaimlerChrysler, Freescale, GM, Philps, Volkswagen 등의 기업들이 개발한 프로토콜로서, 자동차의 제어신호를 네트워크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토콜은 최대 10M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며 결정적(deterministic) 동작을 제공하는 장점이 매우 크다. 또한, 구리선으로 된 이중 채널을 제공하고, 보장된 메시지 대기 시간을 제공하며, 확장 가능한 정적 및 동적 메시지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Flexray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은 비동기 전송만을 제공하는 CAN 프로토콜과 비교할 때 융통성이 있어서 동기 전송 또는 비동기 전송으로 각각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더욱이, Flexray 프로토콜은 세계 시간 기준을 통한 클럭 동기화, 충돌 방지 액세스, 식별자를 통한 메시지 발신주소지정, 단일 또는 이중 채널을 이용한 시스템 고장 허용도의 조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Flexra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각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장치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장치들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내의 각기 장점을 가지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개발되고 있는바, 본 발명은 다양한 프로토콜간의 데이터 변환을 통해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차량의 다양한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통신을 통해 차량의 기능을 모니터링하거나 차량 내의 장치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치들 간의 통신을 중계해 줌으로써, 차량 내부의 배선을 줄이거나 간결하게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인터페이스부 20 : 제어부
30 : 오디오/비디오 구동부 40 : 네비게이션 구동부
50 : 데이터 저장부

Claims (6)

  1. 모스트(MOS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두 개의 광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장치들과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차량 내의 장치들과 별도의 통신 선로 없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기능 또는 비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비디오 구동부; 및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구동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장치들은,
    5.1채널 디지털 오디오, NTSC 비디오, iPod, US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의 장치들로부터 상기 차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오디오/비디오 구동부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구동부의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구동부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구동부의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 내의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해당 장치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의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또 다른 장지로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KR1020080134543A 2008-12-26 2008-12-26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KR20100076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543A KR20100076477A (ko) 2008-12-26 2008-12-26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543A KR20100076477A (ko) 2008-12-26 2008-12-26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477A true KR20100076477A (ko) 2010-07-06

Family

ID=4263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543A KR20100076477A (ko) 2008-12-26 2008-12-26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64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149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차량용 에이브이엔아이 시스템 및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KR20160044718A (ko) 2014-10-15 2016-04-26 (주)제이엠솔루션 자동차 내부 통신망을 연동한 차량용 충격 센싱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149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차량용 에이브이엔아이 시스템 및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KR20160044718A (ko) 2014-10-15 2016-04-26 (주)제이엠솔루션 자동차 내부 통신망을 연동한 차량용 충격 센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3937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7406340B2 (en) Arrangement and interface module for connecting different radio telephones to operator components in a motor vehicle
EP1908639B1 (en) Infotainment system
CN102144249B (zh) 用于连接和操作机动车中的便携式使能全球定位系统的装置的系统和方法
KR102381758B1 (ko) 차량의 헤드 유닛,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CN105430338A (zh) 车载娱乐avb系统
US20210131819A1 (en) Portable vehicle touch screen device utilizing functions of smart phone
EP1653663B1 (en) Providing audio data stored in a mobile audio device to a vehicle audio system
JP2007037081A (ja) 車載式電子素子間の短距離無線伝送システム
WO2007056265A2 (en) Vehicle seat entertainment system incorporating a databus
US20070182592A1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KR20100076477A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시스템
KR101082338B1 (ko) 차량용 모스트 네트워크 통합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09189A (ko) 차량 상태 표시 시스템 및 그의 이동 단말기 상태 표시 방법
CN105247844A (zh) 交通工具用音频装置
KR20030060584A (ko) 모스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내 멀티미디어 제어 시스템
US200601402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utomotive data packets
KR100553862B1 (ko) 차량용 a/v 컨버팅/스위칭 컨트롤 유닛
KR20150037149A (ko) 차량용 에이브이엔아이 시스템 및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KR100595134B1 (ko)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1723748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턴-시그널 음원 변경장치 및 그 방법
CN214481217U (zh) 一种智能座舱系统和车辆
KR20190061581A (ko) 블루투스 기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236346A (ja) 車載装置
KR20050049773A (ko)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