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508B1 -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508B1
KR100552508B1 KR1020030070339A KR20030070339A KR100552508B1 KR 100552508 B1 KR100552508 B1 KR 100552508B1 KR 1020030070339 A KR1020030070339 A KR 1020030070339A KR 20030070339 A KR20030070339 A KR 20030070339A KR 100552508 B1 KR100552508 B1 KR 100552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paper
cover
coupled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4428A (ko
Inventor
장경환
양천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50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치프레임과, 장치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와, 장치프레임 내부에 결합되며 용지에 소정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장치프레임 외부에 결합되며 화상형성유닛을 감싸주는 커버 및, 화상형성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수 있도록 커버에 결합되는 소음방지용 캡을 포함한다.
소음, 화상형성장치

Description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ap used to prevent no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및 이에 결합되는 소음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에 다른실시예의 소음방지용 캡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화상형성장치 51 : 장치프레임
52 : 배지부 53 : 용지카세트
55 : 커버 56,57 : 소음방지용 캡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Computer)나 스캐너(Scanner) 등으로부터 입력된 디지털(Digital)신호에 따라 화상신호를 인쇄매체인 용지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옮기는 장치를 지칭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통상 팩시밀리(Facsimile), 레이저프린터(Laser printer), LED프린터(Light-Emitting Diode printer), 디지털 복사기 및 복합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화상형성장치는 장치의 골격을 이루는 장치프레임(Frame)과, 장치프레임에 슬라이딩(Sliding)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Cassette)와, 장치프레임 내부에 결합되며 용지카세트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소정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Unit) 및, 장치프레임 외부에 결합되며 화상형성유닛을 감싸주는 커버(Cov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화상형성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기와, 감광체 상에 현상된 소정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켜 용지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전사롤러(Roller) 및, 용지카세트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지를 전사롤러 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다수의 용지이송롤러를 포함한다.
이때, 용지이송롤러에는 용지카세트 등의 용지를 픽업해주는 픽업롤러(Pick up roller)와, 픽업된 용지를 전사롤러 방향으로 급지해주는 피드롤러(Feed roller)와, 전사롤러를 경유한 용지를 가열하는 히트롤러(Heat roller) 및, 히트롤 러에서 가열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해주는 배지롤러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커버는 화상형성유닛을 감싸도록 장치프레임의 전후좌우 측면 및 상면에 각각 결합된다. 특히,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는 그 하측단부가 장치프레임이 설치되는 바닥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카세트 등에 용지가 적재될 경우, 이 용지카세트 등의 용지를 픽업롤러로 픽업한 다음 피드롤러와 전사롤러와 히트롤러 및 배지롤러 등으로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하게 되면, 용지카세트의 용지가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와 전사롤러와 배지롤러 등으로 이송되면서 일정크기의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음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전후좌우면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의 하측단부와 바닥면이 이루는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어져 전체 소음레벨(Level)을 더욱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소음발생문제는 최근 화상형성장치가 고속화됨에 따라 점차 더 가중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하측단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치프레임과, 장치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와, 장치프레임 내부에 결합되며 용지에 소정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과, 장치프레임 외부에 결합되며 화상형성유닛을 감싸주는 커버 및, 화상형성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수 있도록 커버에 결합되는 소음방지용 캡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음방지용 캡에는 커버에 장착되도록 커버 두께에 상응하는 끼움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의 소음방지용 캡은 차음재나 고무 또는 스폰지(Sponge)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용 캡은 커버의 하측단부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막을수 있도록 커버의 하측단부에 결합되거나 용지카세트와 커버 사이의 틈새를 막을수 있도록 커버의 측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및 이에 결합되는 소음방지용 캡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에 다른실시예의 소음방지용 캡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50)는 장치의 골격을 이루는 장치프레임(51)과, 장치프레임(5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53)와, 장치프레임(51) 내부에 결합되며 용지카세트(53)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소정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54) 및, 장치프레임(51) 외부에 결합되며 화상형성유닛(54)을 감싸주는 커버(55)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치프레임(51)의 일측면으로는 용지가 공급되는 급지부가 마련되며, 장치프레임(51)의 타측면 및 상면으로는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부(52)가 마련된다.
급지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장치프레임(51)의 일측면 하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지카세트(53)와, 용지카세트(53)의 상측에 결합되며 장치프레임(51)의 일측면에서 선택적으로 기울어지는 용지 지지대(58)로 구현된다.
화상형성유닛(54)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기와, 감광체 상에 현상된 소정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켜 용지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전사롤러 및, 용지카세트(53)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지를 전사롤러 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다수의 용지이송롤러를 포함한다.
다수의 용지이송롤러는 용지카세트(53) 또는 용지 지지대(58)의 용지를 픽업해주는 픽업롤러와, 픽업된 용지를 전사롤러 방향으로 급지해주는 피드롤러와, 전사롤러를 경유한 용지를 가열하여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켜주는 히트롤러 및, 히트롤러에서 가열된 용지를 외부 배지부로 배출해주는 배지롤러를 포함한다.
커버(55)는 장치프레임(51) 내부에 결합되는 화상형성유닛(54)을 감싸도록 장치프레임(51)의 외부에 결합되되, 장치프레임(5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 와, 장치프레임(51)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장치프레임(51)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측면커버 및, 장치프레임(51)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면커버로 구성된다.
이때, 장치프레임(51)의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55)의 하측단부에는 장치프레임(51)이 설치되는 바닥면과 커버(55)의 하측단부 사이의 틈새를 막을수 있도록 도 2에 일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은 소음방지용 캡(56)이 장착된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틈새로 인하여 발생 및 가중되었던 소음은 대부분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소음방지용 캡(56)에는 캡(56)이 커버(55)의 하측단부에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캡(56)의 하측단부 두께에 상응하는 끼움홈(59)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의 캡(56)의 재질은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차음재나 고무 또는 스폰지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용 캡(57)은 다른실시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55)의 측면 및, 용지카세트(53)와 커버(55)의 사이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유닛(54)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상당부분 줄어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50)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지 지지대(58) 또는 용지카세트(53)에 용지가 적재되면, 화상형성유 닛(54)의 픽업롤러는 용지 지지대(58) 또는 용지카세트(53)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게 된다.
이후, 픽업된 용지는 피드롤러에 의해 전사롤러로 이송되며, 전사롤러는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게 된다.
계속해서,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화상을 정착시켜주는 히트롤러를 경유한 다음 배지롤러를 거쳐 배지부(52)로 배출된다. 이에 소정 화상형성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50)를 구동하게 되면, 용지 지지대(58) 또는 용지카세트(53)의 용지가 화상형성유닛(54)의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와 전사롤러와 배지롤러 등으로 이송되면서 일정크기의 소음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50)에는 커버(55)의 하측단부와 바닥면이 이루는 틈새를 막을수 있도록 커버(55)의 하측단부에 소음방지용 캡(56)이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50)를 구동함에 있어 발생되는 소음레벨은 종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은 틈새를 통해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어져 전체 소음레벨을 더욱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는 모두 해소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50)의 경우 커버(55)의 측면 및 용지카세트(53)와 커버(55)의 사이 등에 소음방지용 캡(57)을 더 장착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50)를 구동함에 있어 발생되는 소음레벨을 보다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음방지용 캡(56)을 화상형성장치(50)의 커버(55) 하측단부에 적용하게 되면, 최초의 목적인 차음효과 이외에도 화상형성장치(50)의 이동시 커버(5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발생된다. 이 경우, 소음방지용 캡(56)을 전체적으로 길게하지 않고 다수개로 짧게 분리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시된 특정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따른 화상형성장치에는 커버의 하측단부와 바닥면이 이루는 틈새를 막을수 있도록 커버의 하측단부에 소음방지용 캡이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함에 있어 발생되는 소음레벨은 종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커버의 측면 및 용지카세트와 커버의 사이 등에 소음방지용 캡을 더 장착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를 구동함에 있어 발생되는 소음레벨을 보다 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카세트;
    상기 장치프레임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지에 소정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
    상기 장치프레임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화상형성유닛을 감싸주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장착되도록 상기 커버 두께에 상응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되, 상기 커버의 하측단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용지카세트와 상기 커버 사이의 틈새를 막아 상기 화상형성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의 하측단부와 상기 커버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소음방지용 캡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용 캡은 차음재나 고무 또는 스폰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30070339A 2003-10-09 2003-10-09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52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339A KR100552508B1 (ko) 2003-10-09 2003-10-09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339A KR100552508B1 (ko) 2003-10-09 2003-10-09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28A KR20050034428A (ko) 2005-04-14
KR100552508B1 true KR100552508B1 (ko) 2006-02-14

Family

ID=3723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339A KR100552508B1 (ko) 2003-10-09 2003-10-09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5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428A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1837A1 (en) 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388013B2 (en) Sheet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559534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30062682A (ko) 화상형성장치
JP5352613B2 (ja) 光学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699306B2 (en) Paper picking-up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953006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複合機
JP200605601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52508B1 (ko) 소음방지용 캡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050047842A1 (en) Transport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pier
JPH1124935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2003858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06524A (ja) シート排出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12013411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52528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auto document feeder
JP549767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65083B1 (ko) 화상형성장치
CN210199513U (zh) 纸张后处理装置及图像形成装置
KR100694718B1 (ko) 화상 판독 및 기록 장치
JP585689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12731A (ja) 画像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7142497A (ja) 画像形成装置
JP3627950B2 (ja) 給紙装置
KR100553908B1 (ko) 스캐너 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KR100527201B1 (ko) 미끄럼유닛이 구비된 용지카세트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