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244B1 -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244B1
KR100551244B1 KR1019980036768A KR19980036768A KR100551244B1 KR 100551244 B1 KR100551244 B1 KR 100551244B1 KR 1019980036768 A KR1019980036768 A KR 1019980036768A KR 19980036768 A KR19980036768 A KR 19980036768A KR 100551244 B1 KR100551244 B1 KR 10055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slide
fixing
cov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598A (ko
Inventor
아돌프 뷔르트헬레
Original Assignee
그레쎌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쎌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그레쎌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9002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25B1/103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with one screw perpendicular to the jaw faces, e.g. a differential or telescopic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84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고정 장치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의 횡 단면 및 스크류 스핀들(5)에 의해서 몸체내로 이동될 수 있고, 재 위치될 수 있는 턱부(11,12)의 대응 고정 돌출부의 선택적 맞물림을 위하여 상호간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간격으로 슬라이드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는 그 상 측부의 복수 개의 고정 홈들(8a,8b,8c 또는 9a,9b,9c) 및 턱부들의 고정 스크류들에 적합한 복수 개의 나삿니 홀들을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3,4)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1)로 특징지어 기술되어 있다. 복수 개의 덮개 시트(21)들은 슬라이드(3,4)의 상 측부상에 제공되어 있고, 그것들은 인접 고정 홈들(8a,8b,8c 또는 9a,9b,9c)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간격(피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덮개 시트(21)들의 수는 그 숫자 또는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간격(t)에 일치하고 덮개 시트(21)들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 고정 홈들 및 나삿니 홀(10)들의 부위 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장치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U자형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향 돌출 U자형 암(arm)들 각각의 상단부에서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그 본체 내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크류 스핀들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재위치될 수 있는 조의 대응 고정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서로 소정의 중심간 간격을 두고서 종방향을 따라 상측부에 배치된 다수의 고정 홈들을 포함하고, 상측부가 본체의 지지 표면에 대해 하향으로 편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와, 조를 고정시키는 고정 스크류에 대한 다수의 나사형 구멍들을 포함하는 특히 기계 바이스와 같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하나의 고정 장치[독일 데-57260 힐첸바흐에 소재한 힐마-룀헬트 게엠바하(HILMA- GMBH) 회사의 회사 소책자의 발행물 3/96의 페이지 1의 4.3660의 "기술 데이터/부속물들 이중 고정 시스템 DS 125(Technical data/accessories double clamping system DS 125)]를 보면, 2개의 슬라이드들은 본체 내에서 대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중앙 조(jaw)가 본체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2개의 피가공물들이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장치들의 슬라이드 또는 슬라이드들의 최대 스트로크는 종종 80mm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는 그 상측부에 여러 개의 횡단 홈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횡단 홈들은 일례로 40mm의 중심간 간격(피치)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조는 횡단 홈에 맞물리는 횡단 돌출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드의 나사형 구멍들 내에 맞물리는 다수의 고정 스크류들에 의해서 슬라이드에 부착되어 있다. 조는 고정 스크류를 풀어 슬라이드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의 횡단 돌출부는 서로 다른 피가공물 크기들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의 다른 횡단 홈 내에 끼워맞추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고정 홈들(횡단 홈들)과 나사형 구멍들이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절삭 부스러기와 냉각 윤활제가 상기 포켓들 내로 침투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절삭 부스러기와 냉각 윤활제 대부분은 압축 공기에 의해서 포켓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절삭 부스러기와 냉각제는 여러 방향으로 흩날리게 되어 이미 세정된 장소에 다시 고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삭 부스러기와 냉각 윤활유가 다시 작업자에게 흩날릴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게 되며, 이는 시야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내부에 스핀들이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에 인접한 본체의 공간을 절삭 부스러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개개의 시트, 슬라이드에 구비된 스트립 및 벨로우즈등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슬라이드 자체에 존재하는 고정 홈들 및 나사형 구멍들을 덮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고정 홈들 및 나사형 구멍들은 미리 각각의 마개, 스트립 등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는데, 이는 매우 성가시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작업이다. 또한, 이완된 부품들은 잃어버릴 수도 있다.
위에서 인용한 구성들 중에서, 슬라이드와 인접한 공간만이 절삭 부스러기로부터 보호되는 구성에는, 미국 특허 공보 제5 634 254호에 개시된 고정 장치가 속한다. 이 고정 장치를 보면, 본체는 또한 U자형 횡단면과 그 본체 내에서 활주하는 2개의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류 스핀들은 U자형 암(arm)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의 U자형 암들 사이의 공간으로 절삭 부스러기가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 판이 본체의 상측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도 16 내지 도 18)에 따르면, 덮개 시트는 직사각형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구의 종방향 가장자리들에 홈들이 마련되어 있고, 이 홈들에서는 2개의 상호 중첩하는 덮개 시트들이 슬라이드의 변위 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다. 덮개 시트들의 각각이 슬라이드들 중 하나에 연결되어 대응 슬라이드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절삭 부스러기가 U자형 암들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하지만, 공지된 고정 장치에서는, 다수의 고정 홈들이 2개의 슬라이드들 중 어디에도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조들이 또한 슬라이드 종방향으로 대응 슬라이드에 대해 재위치될 수 없어서, 고정 홈들의 오염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덮개 판과 덮개 시트들은 단순히 절삭 부스러기로부터 본체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유사한 사항들이 적용되어 있는 미국 특허 공보 제2 499 124호에 개시된 바이스에 따르면, 덮개 시트를 본체의 U자형 암들의 종방향 홈들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절삭 부스러기가 U자형 암들 사이의 공간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덮개 시트는 이동가능 슬라이드에 의해 견인된다. 조는 슬라이드에 대해서 재위치될 수 없다.
이러한 사항이 적용되어 있는 유럽 공개 특허 공보 제0 526 432 A1호에 개시된 바이스에 따르면, 이동가능 조와 슬라이드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이 바이스에 따르면, 스크류 스핀들은 플랜지를 구비한 슬리브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는, 슬리브의 거친 조정을 위해서, U자형 횡단면을 갖는 본체의 U자형 암들에 마련된 각기 다른 홈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려질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삭 부스러기가 U자형 암들 사이의 공간 내로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일론 충진 부재가 상기 공간 내로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충진 부재들은 절삭 부스러기가 위에서 언급한 홈들 내로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한다.
일례로 포개어 끼울 수 있는 강재 덮개들, 롤 덮개들 및 벨로우즈와 같은 다양한 구성의 덮개들이, 독일 이스마닝에 소재한 피파 게엠바하 인두스트리-아우스루스퉁겐(Fipa GmbH Industrie-) 회사의 "가이드 보호, 스핀들 보호, 사고 방지(Guideway protecton, spindle protection, accident protection)"라는 소책자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고정 홈들 및 나사형 구멍들이 절삭 부스러기, 냉각 윤활제 및 다른 오염물로부터 간단한 방식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특히 기계 바이스와 같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고정 홈들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 시트가 슬라이드의 상측부에 구비되고, 덮개 시트는 슬라이드 상에서 종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안내되고 서로 인접한 고정 홈들의 중심간 간격(피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덮개 시트들의 수는 중심간 간격부들에 수에 일치하고, 덮개 시트들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 고정 홈들 및 나사형 구멍들의 영역 위로 이동될 수 있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일례로 3개의 고정 홈들이 슬라이드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상에 서로 나란히 배치되면, 그 3개의 고정 홈들 사이에는 2개의 중심간 간격부들이 형성된다. 만일 조의 고정 돌출부 또는 횡단 바(bar)가 중간 고정 홈 또는 횡단 홈에 끼워 맞추어지게 되면, 우선 덮개 시트 중 하나가 슬라이드의 일단부로 밀려지게 되고, 덮개 시트 중 다른 하나가 슬라이드의 타단부로 밀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2개의 덮개 시트들 각각은 그 위치에 있는 고정 홈들 및 나사형 구멍들을 덮게 된다. 절삭 부스러기는 덮개 시트들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기계 가공 작업의 완료 후에 손에 의해서 쉽게 닦여질 수 있다. 또한, 냉각 윤활제가 고정 홈들과 나사형 구멍들 내로 침투되는 현상이 대부분 방지된다. 만일 냉각 윤활제가 홈들 내로 침투되더라도, 냉각 윤활제가 절삭 부스러기와 섞이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절삭 부스러기는 또한 압축 공기로 매끄러운 덮개 시트들을 불어서 털어낼 수 있다. 가장자리와 포켓들이 없고, 압축 공기가 고정 홈들 및 덮개 시트들에 의해서 덮여져 있는 나사형 구멍들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절삭 부스러기와 냉각 윤활제가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실내 또는 작업자에게 다시 뿌려질 위험은 없다. 각 피가공물의 교체시 조들 사이의 공간을 쉽게 세정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된다. 간단히 피가공물 작업대를 깨끗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불량 발생 위험이 작아진다. 덮개 시트들이 슬라이드 상에서 안내되기 때문에, 조를 재위치시키는 경우에도 그리고 슬라이드를 분해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 시트들을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피가공물 지지 표면보다 낮은 슬라이드의 상부측에 덮개 시트를 배치시키게 되면, 덮개 시트가 움푹 들어간 곳에 놓여지게 되어, 피가공물을 고정 장치에 끼워 맞추고 고정 장치에서 제거하는 동안에 덮개 시트가 손상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이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예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피가공물들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거나, 중앙 조(jaw)를 제거한 후에 큰 피가공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른바 이중 클램프(double clamp)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있다. 본체(1)는, 도 2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U자형 횡단면을 갖고 있다. 본체의 상향 돌출 U자형 암(arm)(1a)들의 상단부에는 각각 피가공물의 지지 표면(2)이 구비되어 있다. 2개의 슬라이드(3,4)들은 종방향으로 본체(1)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안내된다. 슬라이드들은 스크류 스핀들(5)에 의해 구동되며, 이 스크류 스핀들의 나사(5a, 5b)는 대향되는 방향을 갖고 있다. 나사(5a, 5b)는 슬라이드(3,4)의 대응하는 암나사(6, 7)에 각각 맞물린다. 2개의 슬라이드(3, 4) 각각의 상측부(3a, 4a)는 특히 도 2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지지 표면(2)에 대해서 하향으로 편위(offset)되어 있다.
2개의 슬라이드(3, 4) 각각은 횡단 홈(8a, 8b, 8c 및 9a, 9b, 9c)들의 형태로 상측부에 있는 3개의 고정 홈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 홈들 또는 횡단 홈들은, 중심부터 중심까지 일례로 40mm의 간격(피치)(t)을 두고서 서로 배치되어 있다. 상측부(3a, 4a)에는 또한 다수의 나사형 구멍(10)들이 구비되어 있다.
2개의 슬라이드(3, 4) 각각에 탈착가능 조(11, 12)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조들의 각각은 횡단 바(bar) 형태의 하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출부(13, 14)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 돌출부(13, 14)는 고정 홈(8a 내지 8c 및 9a 내지 9c)들과 끼워 맞추어진다. 4개의 고정 스크류(15)들이 각각의 조(11, 12)를 해당 슬라이드(3, 4) 상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되어, 나사형 구멍(10)들 내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서, 조(11)의 고정 돌출부(13)가 선택적으로 고정 홈(8a, 8b 또는 8c) 내에 끼워 맞추어진 다음에, 스크류(15)에 의해서 슬라이드(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조(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이중 클램프의 경우에, 본체(1)의 중앙 영역에는 중앙 조(18)를 위한 고정 장치(16,17)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 장치는, 2개의 U자형 암(1a)에 구비된 횡단 홈(16)과, 나사형 구멍(17)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조(18)의 두 종방향 측부들의 영역에는 각각 대응하는 횡단 홈(16)과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부(19)가 구비되어 있어, 조가 고정 스크류(20)에 의해서 U자형 암(1a)들에 부착될 수 있다.
2개의 덮개 시트(21)들이 각각의 슬라이드(3, 4) 상측부 상에 구비되어, 해당 슬라이드(3, 4) 상에서 종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안내된다. 덮개 시트들 각각의 길이(I)는 고정 홈(8a 내지 8c 또는 9a 내지 9c)들의 중심부터 중심까지의 간격(피치)(t)에 대응한다. 각각의 슬라이드에 구비된 덮개 시트(21)의 수는 피치(t)의 수에 대응한다. 2개의 피치(t)들이 3개의 고정 홈(8a 내지 8c)들과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2개의 덮개 시트(21)들은 슬라이드(3)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사항은 슬라이드(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각각의 슬라이드(3, 4)의 두 종방향 측부의 상부 영역에는, 덮개 시트(21)를 활주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언더컷(undercut) 가공된 종방향 은촉홈(rebate)(22)이 구비되어 있다. 덮개 시트(21)의 각각의 하향으로 구부러진 가장자리 부분(21a)은 각각의 종방향 은촉홈(22) 내로 활주되어 맞물린다. 각각의 슬라이드(3, 4)의 2개의 종방향 은촉홈(22)과 가장자리 부분(21a)들은 바람직하게는 열장 장부촉(dovetail) 형태이다. 하지만, 슬라이드의 종방향 측부들에 상기 열장 장부촉 대신 종방향 홈들을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종방향 홈들에 덮개 시트들의 내향으로 구부러진 가장자리 부분들이 대응하여 맞물린다. 종방향 은촉홈 및 가장자리 부분들은, 덮개시트(21)들이 대응 슬라이드(3, 4)를 들어올리지 못하도록 하면서, 덮개 시트(21)들이 대응 슬라이드(3, 4)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덮개 시트들의 양방향으로의 변위가 정지부에 의해서 제한되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정지부들은 슬라이드(3)에 대한 우측의 스텝(3b)과 좌측의 스트립(23)이다. 슬라이드(4)에 대해서는, 스텝(4b)은 좌측에 있고, 스트립(23)은 우측에 있다.
또한, 조(11, 12)들의 두 횡단 측부에는 횡단 은촉홈(24)이 저면 영역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횡단 은촉홈에는 인접한 덮개 시트(21)의 횡단 가장자리가 맞물린다. 횡단 은촉홈(24)의 깊이와 정지부(3b, 4b, 23)의 위치들은, 조(11, 12)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횡단 은촉홈(24)의 바닥과 정지부(3b, 4b, 23)의 상호 간격이 각각의 경우에 길이(I) 또는 그 배수에 해당되도록 선정된다.
조, 일례로 조(11)가 피가공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슬라이드(3)에 부착되기 전에, 2개의 덮개 시트(21)들이 정확한 위치로 활주되어 들어간다. 예를 들어 조(11)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면, 우측 덮개 시트(21)가 스텝(3b)에 맞대어지고 좌측 덮개 시트(21)가 우측에 맞대어질 때까지, 2개의 덮개 시트들은 우측으로 완전히 밀려진다. 이렇게 되면, 조(11)는 횡단 홈(8a) 내에서 횡단 바(13)와 끼워 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조(11)의 저면(11a)은 슬라이드(3)의 상측부(3a)에 직접 맞대어진다. 좌측 덮개 시트(21)의 좌측 가장자리가 횡단 은촉홈(24) 내에 맞물려서, 양 덮개 시트(21)들이 종방향으로 변위되지 못하게 된다. 이어서, 조(11)가 4개의 고정 스크류(15)에 의해서 슬라이드(3)에 부착된다. 덮개 시트(21)는 조(11)의 우측에 있는 슬라이드(3)의 횡단 홈(8b, 8c)들과 나사형 구멍(10)들을 덮는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서, 횡단 홈(8b, 8c)들과 미사용 나사형 구멍(10) 내로 특히 절삭 부스러기와 같은 오염물이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3)는, 각각의 고정 위치에서 중앙 조(18) 아래에 맞물리도록 하는 길이로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2개의 U자형 암들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1)의 공간 내로 절삭 부스러기가 침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사항은 제2 슬라이드(4)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I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12)의 횡단 바(14)를 중간 횡단 홈(9b)에 맞물리게 하려면, 덮개 시트(21)들 중 하나가 스트립(23)에 맞대어질 때까지 완전히 우측으로 밀려져야 하고, 다른 하나의 덮개 시트는 스텝(4b)에 맞대어질 때까지 완전히 좌측으로 밀려져야 한다. 이렇게 되는 경우에만 조(12)가 슬라이드(4)에 부착될 수 있다.
덮개 시트(21)들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다.
만일 보다 큰 피가공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중앙 조(18)가 본체(1)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조(18) 아래의 공간이 노출되어 절삭 부스러기가 그곳으로 침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 판(25)이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향 돌출 U자형 암(1a)들 사이의 고정 장치(16, 17) 영역에서 지지 표면(2)의 평면 아래에 구비되어 있다. 덮개 판(25)의 길이는 중앙 조(18)의 길이에 거의 일치한다. 덮개 판(25)의 종방향 가장자리는 서로 대면하는 U자형 암(1a)들의 측부 표면에 형성된 홈(26)들에 맞물린다. 도 2로부터 더욱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 시트(21)들이 덮개 판(25) 아래의 평면에서 슬라이드(3, 4) 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덮개 시트들은 각각의 슬라이드(3)를 대응되게 추가로 변위시키면서 덮개 판(25) 아래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홈(26)들은 언더컷(undercut) 가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덮개 판(25)이 본체(1)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될 수 없게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은 단지 하나의 이동가능 슬라이드와 고정 조를 가지고서 고정 장치, 특히 기계 바이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고정 홈들 및 나사형 구멍들이 절삭 부스러기, 냉각 윤활제 및 다른 오염물로부터 간단한 방식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특히 기계 바이스와 같은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a는 상기 종단면도의 좌측 반쪽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b는 상기 종단면도의 우측 반쪽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2는 도 1a의 Ⅱ-Ⅱ선을 따라서 고정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도 1b의 Ⅲ방향으로 고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고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지지 표면
3, 4: 슬라이드 5: 스크류 스핀들
8a, 8b, 8c, 9a, 9b, 9c: 고정 홈 11, 12, 18: 조
21: 덮개 시트 25: 덮개 판

Claims (8)

  1. 실질적으로 U자형 횡단면을 구비하고, 상향 돌출 U자형 암들 각각의 상단부에서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크류 스핀들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재위치될 수 있는 조의 대응 고정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서로 소정의 중심간 간격을 두고서 종방향을 따라 상측부에 배치된 다수의 고정 홈들을 포함하고, 상측부가 본체의 지지 표면에 대해 하향으로 편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와,
    상기 조를 고정시키는 고정 스크류에 대한 다수의 나사형 구멍들을 포함하는, 특히 기계 바이스와 같은 고정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고정 홈(8a, 8b, 8c 또는 9a, 9b, 9c)들을 덮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 시트(21)가 상기 슬라이드(3, 4)의 상측부(3a, 4a)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 시트는 슬라이드(3, 4) 상에서 종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안내되고 서로 인접한 고정 홈(8a, 8b, 8c 또는 9a, 9b, 9c)들의 중심간 간격(피치)(t)에 대응하는 길이(Ⅰ)를 가지며, 상기 덮개 시트(21)들의 수는 중심간 간격부들의 수에 일치하고, 상기 덮개 시트(21)들은 현재 사용하지 않는 고정 홈들 및 나사형 구멍(10)들의 영역 위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덮개 시트(21)의 변위 경로는 양쪽 변위 방향으로 정지부(3b, 4b, 23)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 4)의 두 종방향 측부들 각각의 상부 영역에는 언더컷 가공된 종방향 은촉홈(22)이 구비되고, 상기 은촉홈에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덮개시트(21)의 하향으로 구부러진 가장자리 부분(21a)이 활주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두 종방향 은촉홈(22)과 가장자리 부분(21a)은 열장 장부촉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덮개 시트(21)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재위치될 수 있는 조(11, 12) 또는 각각의 조(11, 12)는 저면의 영역에서 두 횡단 측부에 횡단 은촉홈(24)을 구비하고, 상기 횡단 은촉홈에는 인접한 덮개 시트(21)의 횡단 가장자리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3, 4)는 각각의 고정시 조(18) 아래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조(18)는 슬라이드(3, 4)에 연결된 조(11, 12)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활주가능한 2개의 슬라이드(3, 4)가 본체(1)에 구비되고, 제거가능한 중앙 조(18)를 위한 고정 장치(16, 17)가 본체(1)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며, 덮개 판(25)이 본체(1)의 상향 돌출 U자형 암(1a)들 사이의 고정 장치(16, 17) 영역에서 지지 표면(2)들의 평면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 판의 길이는 중앙 조(18)의 길이와 대체로 일치하며, 상기 덮개 판의 종방향 가장자리들은 U자형 암(1a)들의 대면하는 측부 표면들에 형성된 홈(26)들 내에 맞물리고, 슬라이드(3, 4)의 덮개 시트(21)들은 덮개 판(25) 아래의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
KR1019980036768A 1997-09-08 1998-09-07 고정장치 KR100551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716104U DE29716104U1 (de) 1997-09-08 1997-09-08 Spannvorrichtung, insbesondere Maschinenschraubstock
DE29716104.0 199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598A KR19990029598A (ko) 1999-04-26
KR100551244B1 true KR100551244B1 (ko) 2006-05-22

Family

ID=804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768A KR100551244B1 (ko) 1997-09-08 1998-09-07 고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36184A (ko)
EP (1) EP0901883B1 (ko)
JP (1) JPH11156733A (ko)
KR (1) KR100551244B1 (ko)
DE (2) DE29716104U1 (ko)
ES (1) ES216383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06367U1 (de) * 2001-04-11 2001-07-26 Festo Ag & Co Spannmodul
DE10130581B4 (de) * 2001-06-27 2005-03-03 Melzer Maschinenbau Gmbh Spannvorrichtung
US6722643B1 (en) 2002-05-23 2004-04-20 William C. Kurtz Multi-clamp
DE502005000189D1 (de) * 2005-06-15 2006-12-28 Hb Feinmechanik Gmbh & Co Kg Spanneinrichtung mit einem Deckelement für ihre Spindelausnehmung
DE102007027808B3 (de) * 2007-06-13 2008-08-14 Gressel Ag Spannvorrichtung
KR101051836B1 (ko) 2009-02-17 2011-07-25 칭 엔 홍 회전형 바이스
DE102009024005B4 (de) * 2009-06-05 2012-03-15 Weid Wirtschafts- & Technologieberatung Spannvorrichtung
US8939442B2 (en) * 2012-07-23 2015-01-27 Wen-Feng Wang Double clamp vise
US9897373B2 (en) * 2014-12-15 2018-02-20 Frank Harrison Cooling clamp
CN106514378A (zh) * 2016-12-08 2017-03-22 安徽合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cnc四轴旋转式液压工装
DE102017001782B3 (de) * 2017-02-24 2018-04-12 Ludwig Ehrhardt Gmbh Modulplatte, Bearbeitungszentrum und Verfahren zum Festspannen von Bauteilen
CN112894662B (zh) * 2021-02-20 2023-06-30 临沂盛汇通木业有限公司 一种板材加工用夹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9124A (en) * 1947-05-29 1950-02-28 Production Devices Inc Apparatus for protecting operating parts of vises from chips or other refuse incidental to machine work
US4330113A (en) * 1980-04-29 1982-05-18 Hirsh Company Vise
DE3925718A1 (de) * 1989-08-03 1991-02-07 Saurer Allma Gmbh Schraubstock zum zentrischen spannen
EP0526432A1 (en) * 1991-07-30 1993-02-03 CUTER S.p.A. Modular vices
US5442844A (en) * 1992-10-01 1995-08-22 Chick Machine Tool, Inc. Apparatus for protecting internal elements of a workholding apparatus
US5634253A (en) * 1992-10-01 1997-06-03 Chick Machine Tool, Inc. Apparatus for expanding the worksurface of a vise-like workholding apparatus
US5374040A (en) * 1993-11-15 1994-12-20 Lin; Philip Vise with interchangeable double clamping seat or single clamping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1844D1 (de) 2001-11-29
KR19990029598A (ko) 1999-04-26
DE29716104U1 (de) 1999-01-21
EP0901883B1 (de) 2001-10-24
EP0901883A1 (de) 1999-03-17
US6036184A (en) 2000-03-14
JPH11156733A (ja) 1999-06-15
ES2163834T3 (es)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244B1 (ko) 고정장치
EP0950471A2 (en) Gripping device
CN108025451B (zh) 一种用于对工件进行加工的加工设备
CA2373085C (en) Quickly adjustable multiple clamping system
JP3800636B2 (ja) 上面カバー並びにこれを具備したトラックレールユニット及び案内ユニット
US5634253A (en) Apparatus for expanding the worksurface of a vise-like workholding apparatus
ATE187111T1 (de) Ein auswechselbarer schneideinsatz
DE59910439D1 (de) Mehrfach-Spannvorrichtung
US6032940A (en) Indexable jaw universal vise
US6052859A (en) Scraper arrangement
US6446952B1 (en) Clip system for holding vise parallels
KR200488840Y1 (ko) T홈 커버
US20030185641A1 (en) Machine tool having an improved cover
EP1179387B1 (de) Werkzeugmaschine mit Greifer und/oder Werkzeugmagazinsystem
KR930701254A (ko) 홈 가공 장치
EP1334803B1 (de) Spannvorrichtung, insbesondere Schraubstock
US5358228A (en) Vise having an invertible V-block
CN110640259A (zh) 一种门式切割机及生产线
DE19739270C1 (de) Spannvorrichtung, insbesondere Maschinenschraubstock
JPH0563764U (ja) マシンバイス
US6050167A (en) Saw table gauge block
CN211414352U (zh) 一种锁刀座装置
CN211102049U (zh) 一种门式切割机及生产线
US6155550A (en) Clip system for holding vise parallels
EP0342190A1 (de) Winkelanschl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