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224B1 - 전기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전기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224B1
KR100551224B1 KR1020007012805A KR20007012805A KR100551224B1 KR 100551224 B1 KR100551224 B1 KR 100551224B1 KR 1020007012805 A KR1020007012805 A KR 1020007012805A KR 20007012805 A KR20007012805 A KR 20007012805A KR 100551224 B1 KR100551224 B1 KR 10055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rmature
latch
contacts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637A (ko
Inventor
패소우크리스쳔헨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멘스 에너지 앤드 오토메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4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27Polarised relays in which the movabl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andwiched between pole-plates, each forming an active air-gap with parts of the stationary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2071/109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with provisions for selecting between automatic or manual re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63Polarised relays comprising rotatable armature, rotating around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of th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용이한 조립, 저렴한 구성 및 향상된 신뢰성이 두 안정 위치 사이의 피벗 운동을 위해 피벗(16)상의, 하우징에 장착된 쌍안정 전기자(18)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에 실현된다. 고정 접점(12, 14)은 하우징(10)내에 위치되고, 이동가능 접점(48)은 두 안정 위치 중의 하나인 고정 접점(12, 14)와의 접속 위치로의 이동 및 두 안정 위치 중의 다른 하나인 고정 접점(12, 14)에 대한 단락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판 스프링에 의해 이송된다. 전기자(18)에 의해 이송되는 돌출부(50, 52)는 판 스프링(32) 및 그들과 연관된 접점(48)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한다. 래치 암(24)은 전기자(18)에 의해 이송되고 래치면(84, 86)을 구비한다. 스프링(94)은 하우징(18)에 장착되고, 래치면에 맞물려서 두 안정 위치 중의 하나에서 전기자를 유지하는 래치 암(88)을 구비한다.
Figure 112000024032397-pct00004
접점 핑거, 하우징, 피벗, 판 스프링, 돌출부

Description

전기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카니즘{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본발명은 전기 계전기와 관련이 있고, 더 상세하게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과 관련이 있다.
과부하 계전기는 전형적으로 과도한 전류 흐름에 의해 발생된 과열로 인한 해로부터 전기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서 산업 설비에 사용되는 전기 스위치이다. 대표적인 경우로, 전기 장치는 보통 콘텍터로서 간주되는 기타 계전기를 통해서 전원에 접속되는 3상 전동기이다. 전형적인 콘텍터는 각각의 회로가 3상 전원에 접속되게 하고 단절되게 하는 3개의 전환 전력 경로를 가지는 해비 듀티 계전기이다. 접촉이 실행되고 단절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은, 흐름이 전형적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기타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가 통하는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한 자력에 의해 제공된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과부하 계전기는 콘텍터의 코일의 제어 스위치와 직렬로 접속한다.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과부하 위치가 검출되면, 과부하 계전기는 콘텍터로의 전원을 차단해서, 전원으로부터 전기 장치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콘텍터가 콘텍터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장치를 개방해서 비접촉위치가 되게 한다.
과거에는, 과부하 계전기는 각각의 단계에서 스위치를 제어하는 바이메탈 구성요소와 열 전이 관계에 있는 저항 전열기를 이용해 왔다. 과부하가 감지되면, 예를들어, 저항 전열기로 부터 바이메탈 구성요소로 충분한 열이 공급되면, 바이메탈 구성요소는 그것과 관련된 스위치를 개방해서 콘텍터 코일을 디에너자이즈(de-energize)해서, 전기 장치의 관련부품을 전원으로부터 단절시킨다.
더 최근에는, 저항 전열기 바이메탈 구성요소형의 계전기가 전자 과부하 계전기에 의해 대치되었다. 예를들어, 그 전체 내용이 문헌으로써 통합되고, 1993년 1월 12일자로 특허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 5,179,495호를 참조하라. 상기 회로의 출력은 비교적 전력이 낮아서 그결과, 콘텍터 코일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 고체 스위치가 필요하다. 고체 스위치는 인디케이터를 동작시킬뿐만 아니라 콘텍터로의 전류 흐름 제어를 실시가능한 비교적 낮은 전력의 접점 메카니즘으로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보통, 인디케이터는 과부하에 의한 단절의 발생시에 제거될 광이 될 것이다. 이런 접점 메카니즘은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공동출원계류중인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Serial No. 08/838,904 Filed April 11, 1997(attoneys' docket no. 355.00069)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본발명에 참조로 포함된다.
여기에 계시된 메카니즘은 소망의 목적을 매우 잘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메카니즘은 소위 "브리징" 접점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셈블리가 다소 어려워서 단가를 증가시킨다. 또한, 브리징 접점은 특히 고체 디바이스와 관련된 전류 또는 디바이스에서 회로가 성립될 때(단절되는 것의 반대로), 신뢰성 문제를 제기한다. 상세하게는 브리징 접점에 두 이격되어 고정된 접점이 이동가능한 접점 바를 따라서 사용된다. 그 결과, 접점 바는 아크에 의해 접점이 나빠지거나 스위칭 메카니즘에 먼지가 들어간다면 회로가 성립될 수 없는 결과가 뒤따르므로 회로를 완성시키도록 두개의 접점을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접촉시켜야 한다. 두개의 접점이 포함되기 때문에, 고장의 가능성도 단지 하나의 접점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두배가된다.
계전기 메카니즘은 쌍안정 전기자 및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공보 DE 7902034에 계시된다. 판 스프링은 이동가능 접점을 이송시키고, 동작시에 즉 한쌍의 고정된 이동가능 접점이 접속될 때, 기타 쌍은 단락된다.
본발명은 일 이상의 상기 문제를 극복한다.
발명의 개요
본발명의 주목적은 과부하 계전기에 새롭고 향상된 트립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발명의 목적은 더 용이하고, 더 경제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더 향상된 신뢰성을 갖는 향상된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일실시예는 하우징, 두 안정위치 사이에 피벗운동하기 위한 피벗상의 하우징에 장착된 쌍안정 전기자, 및 하우징 내의 고정 접점(contacts)을 포함한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으로 상기 목적을 수행한다. 판 스프링에 의해 이송되는 이동가능 접점은 두 안정 위치 중의 하나인 고정 접점과의 접속(closed) 위치로의 이동 및 두 안정 위치 중의 다른 하나인 고정 접점에 대한 개방(open)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판 스프링에 의해 이송된다. 판 스프링은 전기자에 의해 맞물려지도록 위치결정된다. 래치면은 전기자의 타단 및 하우징에 의해 이송되고, 스프링은 전기자의 타단 및 하우징에 장착되고 래치면과 맞물리는 래치 핑거를 구비하고 두 위치중의 하나에서 전기자를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판 스프링은 피벗의 대향하는 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전기자는 판 스프링중의 대응하는 하나와 맞물리는 피벗의 각 측에 하나씩인 적어도 두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판 스프링은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 단부 및 이동가능 접점을 이송시키는 이동가능 접점을 구비한다. 이동가능 단부는 두개의 접점 핑거를 한정하기 위해 두갈래로 갈라지고 이동가능 접점중의 하나는 각각의 핑거에 있다.
본발명의 기타 태양에 따라서, 하우징 및 두 안정 위치 사이에서의 피벗 운동을 위해 하우징에 장착된 쌍안정 전기자를 포함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고정 접점이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한쌍의 판 스프링이 제공되고 각각은 하우징에 고정된 일단 및 반대측의 자유단부를 구비한다. 이동가능 접점은 두 안정 위치중의 하나인 고정 접점과의 접속위치로의 이동 및 두 안정 위치중의 다른 위치인 고정 접점에 대한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서 자유 단부에 의해 이송된다. 액츄에이터는 판 스프링중의 대응하는 하나와 맞물리도록 전기자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래치암은 전기자에 의해 이송되고, 래치면을 구비한다. 탄성 스프링은 하우징에 장착되고 래치면과 맞물리는 래치 핑거를 구비해서 두 위치중의 하나에서 전기자를 유지한다. 푸시 버튼은 래치 핑거와 맞물리고 맞물림해제하는 이동을 하도록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래치 핑거와 맞물리도록 푸시버튼이 눌려져서 래치암을 릴리스하기 위해서 래치 핑거를 래치면으로부터 디스로지(dislodge)한다.
본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하기 명세서에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명세서를 통해서 명백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본발명의 실행을 통해서 인지될 것이다. 본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된 장치 및 조합물을 통해서 인지되고 얻어질 것이다.
도 1은 자동 리셋위치에서 구성요소의 구조를 도시하는, 본발명에 따라서 제작된 트립 메카니즘의 다소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발명에 사용되는 접점의 세트의 바람직한 형태의 부분 평면도.
도면을 참조로, 과부하 계전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위치에, 상세하게는 자동 리셋위치에 있고, 부분적으로 도시되어서 전체적으로 부재번호 10으로 명시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에 탑재되 있는 것은 전체적으로 12로 명시된 정상 개방고정 접점의 제 1 세트, 및 전체적으로 14로 명시된 정상 접속 고정 접점의 세트가 하우징에 장착된다. 하우징에는 전체적으로 18로 명시되는 긴 쌍안정 전기자상에서 피벗되는 피벗 핀(16)이 포함된다. 전기자는 안정위치 중의 하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20으로 명시되는 제 1 세트의 이동가능 접점을 개방 위치에 유지하도록 동작된다. 기타 쌍안정 위치에서, 전기자(18)는 전체적으로 22로 도시된, 통상 접속 위치인 제 2 세트의 이동가능 접점을 개방하도록 동작된다. 접점(20, 22)은 고정된 점접(12, 14)을 각각 접속시키고 끊는다.
전체적으로 24로 도시된 래치 레버는 이동가능하게 전기자에 접속되며, 전기 자(18)의 두 쌍안정 위치 사이에서 피벗(16)에 대해서 흔들릴 것이다.
하우징은 푸시 버튼면(28) 및 디펜딩 섕크(30)를 포함하는 상호 수동오퍼레이터를 수용하는 개구(25)를 포함한다. 푸시버튼(28)은 래치레버(24)에 근접했다가 멀어지는 운동을 하도록 장착된다. 이동가능 접점(20, 22)으로 돌아가서, 이들의 구조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고, 각각은 하우징부(36)에 부착된 일단(34) 및 자유 단부(38)를 구비한 긴 판 스프링(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일실시에서, 자유 단부는 두개의 접점 핑거(44, 46)를 한정하도록 42에서 두갈래로 나누어 진다. 접점 핑거 각각은 상황에 따라서 대응하는 접점 또는 고정 접점의 세트에 대해서 근접하는 접점(48)을 이동시킨다. 보통의 경우에서 정상 개방 위치인 접점(12, 20)은 계전기가 트립되는 동안 전기 빛 등의 인디케이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반면에, 통상 접속 위치인 접점(14, 22)는 콘텍터의 코일에 전력을 공급해서 콘텍터가 장비의 일부, 전형적으로 제어되고 있는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코일에 전류를 흘리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판 스프링은 그 자유 단부(38)에서 두갈래로 나누어질 필요없이, 접점중의 하나를 부착할 수 있는 반면에, 판 스프링중의 주어진 하나의 접점(48)중의 단 하나는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서 연관된 고정 접점(12, 14)과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두 갈래로 나누어진 구조가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만약 접점 중의 하나가 주위의 먼지등에 의해서 부식되거나 더러워지면, 회로는 다른 접점에 의해서 계속해서 완성되어 있을 수 있어서 향상된 신뢰성을 제공한다.
판스프링 접점 구조를 사용하는 것은 접점의 각각의 세트(12, 20);(14, 22) 에 필요한 구성 요소의 수를 줄여서, 브리징 접점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더 조립이 용이하고, 더 경제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전기자(18)는 피벗(16)의 각 측에 하나인 두개의 돌출부(50, 52)를 이동시킨다. 돌출부(50)는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해 접점(12, 20)과 결합된 판 스프링(32)과 맞물리도록 응용된 한편, 돌출부(52)는 마찬가지로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해 접점(14, 22)과 맞물릴 수 있는 판 스프링(32)을 맞물림하도록 작동가능하다.
전기자(18)는 제 1 자극편(62) 및 이와 평행하게 이격된 제 2 자극편(64)을 포함한다. 자극편(62, 64)은 두개의 영구자석(66)과 함께, 피벗(16)을 사이에 끼우고 있다. 두 영구자석(66)은 편리성을 위해서 단일 구조로 결합될 수 있지만, 피벗을 수용하기 위해서, 두개의 마그네틱(66)이 사용된다.
하우징에는 자기 요크 또는 약간 "U"자 형으로 다리(72, 74)를 구비한 자극편(70)이 장착된다. 코일(76)은 전극편(70)의 만곡부 주위에 배치된다. 어떤 경우에서는, 코일(76)이 단일 코일로 한정되는 반면에, 다른 경우에서는 두개의 전기적으로 분리된 코일이, 하나가 다른 코일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배열은 사용되는 전자 회로의 제어 모드에 따른다. 만약 동일한 회로에서 계전기의 위치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서 코일(76)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 오직 단하나의 코일이 사용된다. 반면에, 전기 회로는 전류의 흐름을 역으로 하지않고, 한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전환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두개의 코일이 코일(76)에 사용될 것이다.
래치 레버(24)로 돌아가서, 레치레버는 상기 언급된 쌍안정 위치 사이의 전기자와 함께 하우징(10)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일위치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인 반면에 다른위치는 돌출부(52)가 전기 접점(14, 22)을 개방시키며 또한 접점(12, 20)이 접속되게 하는 위치이다.
상단부의 래치 레버(24)는 하우징(10)내의 개구부(도시 생략)의 밑에 놓인 긴 노치(82)를 포함한다. 드라이버의 끝과 같은 툴은, 수동 테스트를 위해서 두개의 안정 위치사이에서 레버(24)를 이동시키도록 수동력(manual force)을 인가하기 위해 개구를 통해서 노치(82)에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노치(82)의 바로 밑에는 두 인접 표면(84, 86)에 의해서 한정되는 래치 표면이 제공된다. 임의의 조건 하에서 위로 향한(upturned)단부(90) 및 래치 표면(84, 86)중의 표면(86)에 대향하는 래치가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도록 하는 스프링 래칭 핑거(88)가 래치 표면(84, 86)을 밑에 놓인다. 래치 핑거(88)는 전반적으로 94로 명시된 탄성 스프링의 코일(92)로부터 뻗어서 하우징(10)내의 포켓내의 포스트(96)에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스프링(94)은 하우징(10)내의 래치 표면(84, 86) 및 래치 레버(24)에 장착될 수 있다.
래치 핑거(88)와 반대인 코일(92)의 단부(98)는 포스트(96)의 코일(9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에 부착된다. 래치 핑거는 전기자(18)의 두개의 안정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에서 래치 레버를 래치시킬 수 있다.
래치 레버(24)는 평평하고 경사진 돌출부(100)를 피벗(16)과 전체적으로 평행한 포스트(102)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전반적으로 104로 명시된 제 2 탄성 스프링은 포스트(102)에 장착되고, 포스트(102)를 둘러싸는 탄성 스프링(104)의 코 일(108)이 회전하지 않도록 돌출부(100)에 고정된 일 단부(106)를 포함한다. 탄성 스프링(104)의 대향하는 단부(110)는 리셋 핑거와 같은 역할을 하고, 푸시버튼 액츄에이터(26)의 방향으로 돌출부의 단부를 예각으로 지나서 대각방향으로 뻗는다. 상기 접속에서, 푸시 버튼 액추에이터(26)의 섕크(30)는 정지 표면으로서 작용하고 트립된 위치,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리셋 위치로 래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리셋 핑거(110)와 함께 작용하는 노치(112)를 포함한다.
푸시 버튼(26) 액츄에이터로 돌아가서, 특히 섕크(30)으로 돌아가서, 하단부는 바이어싱 스프링(116)이 접하는 레지(114)를 포함한다. 바이어싱 스프링(116)은 푸시 버튼(26)에 상향 바이어스를 제공해서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상향으로 푸시버튼에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섕크(30)의 바로 위에, 오퍼레이터(26)는 외부로 뻗는 텅 또는 레지(120)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0)은 지지면(122)을 구비한 제 1 노치 및 멈춤면(124)를 구비한 제 1 노치를 포함한다. 최상부 위치에서, 푸시 버튼 액츄에이터(26)의 레지(120)는 노치(122)에 접해서 노치에 의해 하우징(10)내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오퍼레이터(26)는 레지(120)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하우징(10)내에서 상호간에 회전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오퍼레이터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와 같이 아래로 눌려지면, 오퍼레이터는 레지(120)를 정지면(124)의 밑에 놓이게 하기 위해서 회전된다. 이런 위치에서, 오퍼레이터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리셋 모드에 따르는 그것의 최하부 위치에 유지된다.
자동 리셋 모드에서, 레지(120)는 래치 핑거(88)의 상단(90)에 접하는 것이 주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아암(24)의 래치 표면(84, 86)과 맞물리지 않게 래치 핑거(88)를 유지한다. 그러나, 만약 푸시 버튼(28)이 레지(120)를 멈춤면(24)과 맞물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회전되어서, 스프링(116)의 바이어스의 결과, 하우징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게되면, 래치 핑거(88)의 상단은 표면(84)에 놓여질 것이다. 만약 계전기가 트립되면 전기자(18)는 그것의 다른 쌍안정 위치(도 1에 도시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되어서 그 결과, 스프링 핑거(88)는 표면(84)을 따라서 캠운동을 할것이고, 마침내 래치 표면(86)의 뒤에 로지(lodge)시키고 래치 레버를 트립된 위치로 유지한다.
계전기를 리셋하기 위해서, 푸시 버튼이 가장 높이 있다고 가정하면, 아랴로 누른다. 레지(120)가 스프링 핑거(88)의 상단(90)과 맞물리면, 스프링 핑거(88)는 래칭면(86)과 맞물림 해제하게 이동될 것이다. 동시에, 스프링(104)의 단부(110)는 노치(112)에 꽂히고 나아가 푸시 버튼(26)의 하향 이동은 스프링(104)의 단부(110)가 수평위치가 되도록 이동하고, 동시에, 래치 레버(24)를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조정한다.
메카니즘의 기타 구조 및 조작 특성은 나의 확인된 공동-계류중인 출원을 참조로 확인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발명에 따라서 만들어진 과부하 계전기는 판 스프링(32)를 사용함으로써, 접점(48)을 더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더 경제적이다. 메카니즘의 브리징 접점 타입보다 더 적은 부품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런 확신은 두개의 접점 핑거(44, 46)를 한정하고, 접점(48)중의 하나를 이동 시키는 두갈래로 나누어진 자유단부(38)을 각각의 판스프링에서 사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용이한 추가적인 이점 및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더 넓은 태양의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상세한 설명, 특정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 한정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10);
    두 안정 위치사이에서의 피벗 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10)내에서 피벗(16)상에 장착된 쌍안정 전기자(18);
    상기 하우징(10)내의 고정 접점(12, 14);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된 일단부(34) 및 반대측 자유 단부(38)를 각각 구비한 한 쌍의 판 스프링(32);
    상기 두 안정 위치 중의 하나인 상기 고정 접점(12, 14)과의 접속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두 안정 위치 중의 다른 하나인 상기 고정 접점(12, 14)에 대한 개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자유 단부(38)에 의해 이송되는 이동가능 접점(20, 22);
    상기 판 스프링(32)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맞물리도록 상기 전기자(18)에 장착되어서 이동가능한 돌출부(50, 52);
    상기 전기자(18)에 의해 이송되고, 위에 래치 면(84, 86)을 구비한 래치 암(24);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고, 상기 래치 면(84, 86)에 맞물려서 상기 두 안정 위치 중의 하나에서 상기 전기자(18)를 지지하는 래치 핑거(88)를 구비한 토션 스프링(94); 및
    상기 래치 핑거(88)과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위한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 왕복운동식으로 장착된 푸시 버튼(26);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 버튼(26)은 상기 래치 핑거(88)와 맞물리도록 눌려지면, 상기 래치 암(24)을 릴리스하도록 상기 래치면(84, 86)으로부터 상기 래치 핑거를 디스로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
  2. 하우징(10);
    두 안정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 쌍안정 전기자(18);
    상기 하우징(10)내의 고정 접점(12, 14);
    상기 하우징 내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된 고정 단부(34) 및 이동가능 자유 단부(38)를 각각 구비한 한 쌍의 판 스프링(32);
    상기 고정 접점(12, 14)에 대해서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이동을 하도록, 상기 자유 단부(38)에 의해 이송되는 이동가능 접점(20, 22);
    상기 전기자(18)가 상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고정 단부(3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판스프링(32)을 맞물림하는 상기 전기자(18)상의 수단(52);
    상기 전기자와 결합되고, 상기 두 위치중 적어도 한 위치로부터 상기 두 위치 중 다른 위치로 상기 전기자(18)를 동작적으로 시프트시틸 있는 이동가능 레버(24);
    상기 레버(24)에 대해서 가까와지고 멀어지는 이동이 가능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레버(24)를 위한 오퍼레이터(26);
    상기 레버(24)와 오퍼레이터(26)중 하나에 의해 이송되어서 상기 레버(24) 및 상기 오퍼레이터(26)중 다른 하나를 향해서 예각으로 뻗는 스프링 핑거(88); 및
    상기 전기자(18)가 상기 한 위치에 있고 상기 오퍼레이터(26)가 상기 레버(24)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 핑거(88)에 의해 맞물려지고, 상기 전기자(18)가 상기 두 위치중의 타단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스프링 핑거(88)를 맞물림 해제하여 릴리스하도록, 위치 조정된 상기 오퍼레이터(26)와 상기 레버(26)중 하나와 다른 하나에 있는 정지면(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핑거(88)는 포스트(96)에 장착된 탄성 스프링(94)의 코일로부터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96)는 상기 레버(24)상에 있고, 상기 정지면(112)은 상기 오퍼레이터(26)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터(26)는 수동 오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단부(38)는 두개의 접점 장착 핑거(44, 46)를 형성하도록 두갈래로 갈라지고, 상기 이동가능 접점(20, 22; 48)중의 하나는 상기 접점 장착 핑거(44, 46)의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12, 14)은 각각의 판 스프링(32)의 각각의 두갈래로 갈라진 자유 단부상의 이동가능 접점(20, 48; 22, 48)의 각각의 쌍에 의해 맞물리도록 위치 조정되는 각각의 고정 접점 쌍과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메카니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07012805A 1998-05-15 1999-04-13 전기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카니즘 KR100551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9,722 1998-05-15
US09/079,722 US5910759A (en) 1998-05-15 1998-05-15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637A KR20010043637A (ko) 2001-05-25
KR100551224B1 true KR100551224B1 (ko) 2006-02-09

Family

ID=2215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805A KR100551224B1 (ko) 1998-05-15 1999-04-13 전기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카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10759A (ko)
EP (1) EP1078383B1 (ko)
JP (1) JP4127967B2 (ko)
KR (1) KR100551224B1 (ko)
CN (1) CN1149602C (ko)
DE (1) DE69902098T2 (ko)
WO (1) WO1999060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5766A (en) * 1997-04-11 2000-02-15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US6949997B2 (en) * 2003-09-26 2005-09-2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i-stable trip-free relay configuration
US7161104B2 (en) * 2003-09-26 2007-01-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rip-free PCB mountable relay configuration and method
WO2006114870A1 (ja) * 2005-04-20 2006-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過電流継電器
US7659800B2 (en) * 2007-08-01 2010-02-09 Philipp Gruner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US8222982B2 (en) * 2009-12-28 2012-07-17 Schneider Electric USA, Inc. Overload relay trip mechanism
US8514040B2 (en) 2011-02-11 2013-08-20 Clodi, L.L.C.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with x-drive motor
CN202650990U (zh) * 2012-07-02 2013-01-02 宁波福特继电器有限公司 一种小型大功率磁保持继电器
KR101951428B1 (ko) * 2015-07-15 2019-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래치 릴레이
JP6631068B2 (ja) * 2015-07-27 2020-01-1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JP6458705B2 (ja) 2015-10-29 2019-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6471678B2 (ja) 2015-10-29 2019-02-20 オムロン株式会社 接触片ユニット及びリレー
JP6414019B2 (ja) * 2015-10-29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4967C3 (de) * 1974-05-15 1981-12-24 Hans 8024 Deisenhofen Sauer Gepol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3925742A (en) * 1974-06-25 1975-12-09 Fasco Industries Mechanical latch relay
US4181907A (en) * 1978-05-22 1980-01-01 Robertshaw Controls Company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having armature latch
DE7902034U1 (de) * 1979-01-25 1980-10-16 Sauer, Hans, 8024 Deisenhofen Kontaktfederanordnung
IT1162505B (it) * 1979-03-01 1987-04-01 Ave Belli Andrea Interruttore differenziale ad alta sensibilita'
DE7910663U1 (de) * 1979-04-11 1983-12-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utzrelais
US4378543A (en) * 1981-11-18 1983-03-29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Latch relay with manual reset and test
DE3645337C2 (de) * 1986-07-22 1997-08-14 Bach & Co Relais
DE4122704C2 (de) * 1991-07-09 1993-12-16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5332986A (en) * 1993-04-13 1994-07-26 Allen-Bradley Company, Inc. Overload relay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10759A (en) 1999-06-08
CN1149602C (zh) 2004-05-12
JP2003526178A (ja) 2003-09-02
JP4127967B2 (ja) 2008-07-30
KR20010043637A (ko) 2001-05-25
DE69902098D1 (de) 2002-08-14
EP1078383A1 (en) 2001-02-28
CN1308766A (zh) 2001-08-15
WO1999060594A1 (en) 1999-11-25
EP1078383B1 (en) 2002-07-10
DE69902098T2 (de)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4987A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US6025766A (en)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KR100551224B1 (ko) 전기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카니즘
US6215378B1 (en) Circuit breaker with dual function test button remote from test circuit
EP1147529B1 (en) Semi-bifurcated electrical contacts
JPS63501458A (ja) 単体構造のスイッチ及びしゃ断器
US5901025A (en) Circuit breaker
EP1059653A2 (en) Thermal circuit breaker switch
US6617533B1 (en) Interlock for a circuit breaker
EP1078384B1 (en) Contact mechanism for electronic overload relays
US7330091B2 (en) Electronic type protective relay
EP1054424B1 (en) Modular auxiliary electrical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al circuit breakers and the like
JP3874168B2 (ja) 保護開閉器
JPH089872Y2 (ja) 遠隔制御式回路しや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