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022B1 -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022B1
KR100551022B1 KR1020030074602A KR20030074602A KR100551022B1 KR 100551022 B1 KR100551022 B1 KR 100551022B1 KR 1020030074602 A KR1020030074602 A KR 1020030074602A KR 20030074602 A KR20030074602 A KR 20030074602A KR 100551022 B1 KR100551022 B1 KR 10055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roadcasting
gis information
gis
t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178A (ko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어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어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어벨
Priority to KR1020030074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0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통하여 전 세계에 주기적으로 지리정보를 방송하고, 수신장치가 이를 판독하여 자신이 위치한 곳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의 지리정보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도록 하는 GIS 정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은 GIS 정보를 관리하고, MPEG-2 표준에 따라 하나의 PID를 할당받아 TID로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고 EX-TID로 GIS 정보에 대응하는 지구 표면상의 지역을 분류하여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GIS 정보 서버; GIS 정보 서버로부터 설치된 지역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와 함께 방송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GIS 정보 방송 장치; 방송망; 및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GPS 수신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선별하여 수신하는 GIS 정보 수신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GIS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using MPEG-2 digital broadcasting network and method for composing data packets for GIS information broadcas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인접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할당되는 확장 TID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standards 2) 디지털 방송망을 통하여 전 세계에 주기적으로 지리정보를 방송하고, 수신장치가 이를 판독하여 자신이 위치한 곳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의 지리정보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도록 하는 GIS 정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기술 분야에서는 많은 정보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하여 전송능력 의 확대와 전송 정보의 압축 기술들이 발전하여 왔다. 디지털 방송망에서는 MPEG-2가 정보의 실시간 압축, 다중화, 전송 및 복원을 위한 표준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송에 사용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는 188 바이트 단위의 패킷으로 전송 단위를 구분하고, 패킷식별자(PID)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채널의 정보를 수신 단말장치로 전달한다. 또한, 사설 섹션(Private Section) 형태의 TID(8비트)를 이용하면 논리적인 채널의 수를 다시 약 250배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EX-TID(16비트)를 이용하여 TID를 확장하면 약 1,600만 가지로 정보의 내용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자동차 또는 선박의 자동항행을 위하여 현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인식을 돕기 위해서 지리 정보로 다양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구현한다. GIS에 의해 활용되는 지리 정보(이하에서, GIS 정보라 한다)는 정보량이 많고 그래픽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빠른 접근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CDROM 또는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다.
그런데, CDROM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지리정보는 새로운 자료를 수시로 업데이트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홍수나 눈사태와 같은 자연 재해 또는 새로운 도로의 건설이나 낡은 도로의 폐쇄와 같은 인공적인 지리적 변화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그리고,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메모리 스틱에 지리정보를 개별적으로 다운로드 받는 방식의 경우에는 지리정보의 활용빈도가 늘어날수록 정보를 다운로드하 기 위한 서버 및 무선통신망의 부하가 늘어나고, 무선통신이 취약한 산악, 해상과 같은 곳에서는 적절한 다운로드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하여 GIS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고 전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동일한 형식으로 방송되는 최신의 GIS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GIS 정보를 전세계 모든 지역의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GIS 정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은 GIS 정보를 관리하고, MPEG-2 표준에 따라 하나의 PID를 할당받아 TID로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고 EX-TID로 GIS 정보에 대응하는 지구 표면상의 지역을 분류하여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GIS 정보 서버; GIS 정보 서버로부터 설치된 지역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와 함께 방송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GIS 정보 방송 장치; 방송망; 및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GPS 수신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선별하여 수신하는 GIS 정보 수신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GIS 정보 서버는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방송 매체의 종류, 사용 주파수, GIS 정보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시스템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0°단위로 나눈 각 지역에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기본 GIS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는 각 정보마다 2개의 TID를 할당하여 그 중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단위로 나눈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0.1°단위로 나눈 지역들 중 선정된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은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와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위치에서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북서 방향에 가장 근접 위치한 GIS 정보 방송 장치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EX-TID를 할당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IS 정보 방송 장치를 통해 송출될 GIS 정보 방송용 MPEG-2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방법은 (a)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방송 매체의 종류, 사용 주파수, GIS 정보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시스템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되,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와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위치에서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 서, 서, 북서 방향에 가장 근접 위치한 GIS 정보 방송 장치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EX-TID를 할당하여 구성하는 단계; (b) 다른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0°단위로 나눈 각 지역에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기본 GIS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 (c)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는 각 정보마다 2개의 TID를 할당하되, 그 중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단위로 나눈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0.1°단위로 나눈 지역들 중 선정된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GIS 정보 방송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GIS 정보 방송 시스템은 GIS 정보 서버(100), GIS 정보 방송 장치(110), 방송망(120) 및 GIS 정보 수신 단말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IS 정보 서버(100)는 GIS 정보를 관리하고, MPEG-2 표준에 따라 하나의 PID를 할당받아 TID로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고 EX-TID로 GIS 정보에 대응하는 지구 표면상의 지역을 분류하여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GIS 정보 방송 장치(110)는 GIS 정보 서버(100)로부터 설치된 지역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와 함께 방송 망(120)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이를 위해, GIS 정보 방송 장치(110)는 GIS 정보서버(100)로부터의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방송송신장치(112)로 전달하는 통신제어장치(113), 방송 프로그램의 입력 및 송출 제어를 수행하는 방송제어장치(111), GIS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와 같이 방송망(120)으로 송출하는 방송송신장치(112)로 구성되며, 외부 망과의 연동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 인터페이스(160)와 방송프로그램 입력장치 인터페이스(150)를 구비한다. 결국, GIS 정보 방송 장치(110)는 GIS 정보 서버가 제공하는 GIS 정보 및 관련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와 오디오, 비디오 방송 프로그램을 다중화하여 방송망(120)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의 방송망(120)은 지상파 방송망, 위성 방송망 및 유선 방송망(예를 들어, 인터넷)의 각각 또는 이들 방송망의 하나 이상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GIS 정보 수신 단말장치(130)는 GPS 수신장치(134)를 구비하고, GPS 수신장치(134)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선별하여 수신한다. 이를 위해, GIS 정보 수신 단말장치(130)는 방송망(120)으로부터 GIS 정보 및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지역 정보로 분류하는 GIS 수신장치(133)와,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PS 수신장치(134)와, GIS 수신장치(133) 및 GPS 수신장치(134)를 통제하는 통신제어장치(132) 그리고 이용자에게 정보를 최종적으로 제공하고 이용자의 명령을 받아 별도의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이용자 정합장치(131)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GIS 정보 방송 장치를 통해 송출될 GIS 정보 방송용 MPEG-2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MPEG2-TS 규격 ISO/IEC 13818-1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TID는 8 bits로서 256 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 TID는 16 bits로 65,536 개까지 사용 가능하므로, 기본 TID와 확장 TID를 모두 사용하면 PID 하나당 총 16,777,216 개의 TID를 사용 가능하다. GIS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식별자로서의 PID는 일반 데이터 방송의 PID와 같이 하나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구상에 일어나는 모든 교통 관련 정보를 모든 GIS 정보 방송장치(110)에서 동시에 방송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지역에 국한된 정보를 해당 지역과 인근 지역에 위치한 GIS 정보 방송장치(110)에서 방송하는 형태로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별 수치 GIS 정보와 GIS 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각각의 정보에 자동적으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TID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GIS 정보는 지구 표면적 510,072,000㎢를 경위도 10°단위로 분할하면 모두 648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1°단위로 분할하면 모두 64,800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지고, 평균 88.7㎞ ×88.7㎞ 단위의 크기가 된다. 0.1°단위로 구역을 분할하려면 모두 6,480,000 개로 구성해야 하지만, 인구 집중 지역을 전체 표면적의 1%로 가정하고, 인구 집중 지역만을 0.1°단위로 구역으로 분할하면 모두 64,800 개의 구역으로 구성 가능하며, 대략 10㎞ ×10㎞ 단위의 크기가 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전달되는 정보 총량에 기준하여 지구 표면적 전체를 총 129,600 개 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에 할당되는 TID는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표 1에서는 기본 TID를 TID로 표현하고, 확장 TID를 EX-TID로 표현한다.
Base 기본 GIS Layer-1 Layer-n
TID 0 1 2 3 2n 2n+1
EX-TID 0~8 0~647 0~64799 0~64799 0~64799 0~64799
정보내용 시스템정보 10도 단위 수치 GIS 정보 1도 단위 구역의 제1 계위정보 0.1도 단위 구역의 제1 계위정보 1도 단위 구역의 제n 계위정보 0.1도 단위 구역의 제n 계위정보
송출주기 수분 수분 수초 수초 수초 수초
먼저, 시스템 정보는 TID 0에 표현된다. 시스템 정보에는 GIS 정보 방송 장치(110)에 관한 정보로서 방송 매체 종류, 사용 주파수, GIS 정보 커버리지 등이 포함된다. 도 3은 인접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할당되는 확장 TID를 표시한 것으로서, TID 0의 EX-TID 0에는 현재 수신되는 GIS 정보 방송 장치(110)의 정보가 표현되고, EX-TID 1,2,3,4,5,6,7,8 에는 각각 현 위치에서 북서,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방향으로 진행할 때 만나게 되는 GIS 정보 방송 장치에 대한 정보가 표현된다. 이와 같은 인접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정보는 GIS 정보 수신 단말장치(130)가 새로운 방송 서비스 영역으로 들어갈 때 자동으로 GIS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GPS 수신장치(133)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이다.
국내 차량용 네비게이터에 사용되는 GIS 정보를 기준으로 할 때 1000㎞ ×1000㎞의 범위는 200Mbytes 정도에 표현 가능하고, 이는 1.6Gigabits의 데이터 량에 해당된다. 이 정도의 데이터를 1초 동안에 보내려면 1.6Gbps의 전송 대역폭이 필요하지만, 5분 주기로 방송한다면 초당 89Kbps의 전송 속도면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단위 구역의 범위는 경,위도 각 10°구역 범위와 그 크기가 유사하므로, 표 3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TID 및 EX-TID의 배치를 고려한다.
GIS 정보는 기본 GIS 정보와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로 분류된다. 기본 GIS 정보, 즉 수치 GIS 정보는 TID 1에 표현되는데,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0°단위로 나눈 각 지역에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기본 GIS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한편,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는 각 정보마다 2개의 TID(2n, 2n+1)를 할당하여 그 중 하나의 TID(2n)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단위로 나눈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TID(2n+1)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0.1°단위로 나눈 지역들 중 선정된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한다. 즉,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는 계위별로 다른 정보 군을 표현하도록 하고, 그 구분은 인구 밀집 지역에는 매 0.1°단위의 구역을 기준하고, 인구가 적은 지역은 매 1°단위의 구역으로 정보를 구분하여 각각 다른 EX-TID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EX-TID의 계산은 현 수신자의 위치 정보에서의 경.위도 좌표를 기준으로 한다. 인구 밀집 지역 1°단위의 GIS 상세 정보 전달층에서는 0.1°단위의 선정된 지역의 시작 위치를 GIS 상세 정보 대신 전달한다. 이렇게 하면 10°범위 전체의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를 모두 전송하는 것에 비하여 지역별 송신량이 적어지므로 지상파 방송을 이용하여 전파 도달 거리가 짧은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지상 교통의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량을 최소화하고 방송 주기를 짧게 하기 위해 10°단위 구역 전체의 기본 수치 GIS 정보를 모두 보내지 않고 그 중 육지의 기본 GIS 정보만을 보낼 수도 있다. 반면, 해로, 해저 지형의 높낮이, 암초 등의 해상 운송과 관련된 정보는 해상 교통 수단에는 필수적이므로 이들 정보가 GIS 상세 정보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로는 대형 건축물, 기념물, 공원, 도로, 수로, 해로, 병원, 주유소 등의 고정 정보와 날씨, 사고, 행사, 통제 정보 등과 같이 가변적이며 시간에 종속적인 정보들이 포함된다. 나아가 실시간 트래픽 정보도 같은 방법으로 전달 가능하다.
모든 정보는 GIS 정보 방송 장치(110)가 위치한 구역을 중심으로 해당 구역과 관련된 정보만을 방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GIS 정보 방송 장치(110)와 주변 구역의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사정에 따라 정보의 제공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방송 시스템과 같이 적용되는 구역의 범위가 큰 경우에는 10°단위의 기본 GIS 정보를 여러 개를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자는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기본 GIS 정보만을 수신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은 GIS 정보 서버(100)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 GIS 정보 서버(100)와 GIS 정보 방송장치(110)가 구분되는 것은 각각의 구성요소가 기능하는 기능적인 측 면에 의한 것인 만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GIS 정보 방송장치(110)라 할 수 있는 장치에서 함께 수행된다 하여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의 광대역의 방송망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GIS 정보와 관련 이벤트 정보를 방송함으로써 수시로 바뀌는 GIS 정보의 변경 사항을 즉시 전달할 수 있고, 환경 파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GIS 정보 지원용 CDROM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세계의 지역에 대하여 동일한 코드 체계로 유지함으로써 지구상 어느 곳에서든지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GIS 정보, 도로굴착, 교통사고, 산사태, 동물 출현, 눈사태, 결빙, 빙산 출현, 선박 침몰, 폭풍 또는 행사 등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음악 방송, 비디오 방송을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망은 대화형 방송망 형태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가고 있으며, 방송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보다 넓고 품질 좋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MPEG 방송을 위한 기존의 방송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여 구축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구성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대화형 방송 서비스의 범위를 다양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GIS 정보를 관리하고, MPEG-2 표준에 따라 하나의 PID를 할당받아 TID로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고 EX-TID로 GIS 정보에 대응하는 지구 표면상의 지역을 분류하여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GIS 정보 서버;
    GIS 정보 서버로부터 설치된 지역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아 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와 함께 방송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GIS 정보 방송 장치;
    방송망; 및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GPS 수신장치로부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선별하여 수신하는 GIS 정보 수신 단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GIS 정보 서버는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방송 매체의 종류, 사용 주파수, GIS 정보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시스템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0°단위로 나눈 각 지역에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기본 GIS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는 각 정보마다 2개의 TID를 할당하여 그 중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단위로 나눈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0.1°단위로 나눈 지역들 중 선정된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은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와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위치에서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북서 방향에 가장 근접 위치한 GIS 정보 방송 장치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EX-TID를 할당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 시스템.
  4. GIS 정보 방송 장치를 통해 송출될 GIS 정보 방송용 MPEG-2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방송 매체의 종류, 사용 주파수, GIS 정보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시스템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되,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와 상기 GIS 정보 방송 장치의 위치에서 북, 북동, 동, 남동, 남, 남서, 서, 북서 방향에 가장 근접 위치한 GIS 정보 방송 장치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EX-TID를 할당하여 구성하는 단계;
    (b) 다른 하나의 TID를 할당받아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0°단위로 나눈 각 지역에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기본 GIS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
    (c) 상세 GIS 정보 및 지역별 실시간 이벤트 정보는 각 정보마다 2개의 TID를 할당하되, 그 중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1°단위로 나눈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TID에 대해서는 지구 표면상을 경위도 0.1°단위로 나눈 지역들 중 선정된 각 지역별로 EX-TID를 할당하여 해당 지역의 정보를 담은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KR1020030074602A 2003-10-24 2003-10-24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KR10055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602A KR100551022B1 (ko) 2003-10-24 2003-10-24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602A KR100551022B1 (ko) 2003-10-24 2003-10-24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178A KR20050039178A (ko) 2005-04-29
KR100551022B1 true KR100551022B1 (ko) 2006-02-10

Family

ID=3724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602A KR100551022B1 (ko) 2003-10-24 2003-10-24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37A (ko) 2014-06-13 2015-12-24 김태섭 구매자 입찰을 통하여 판매자 목표이익을 실현하는 온라인/모바일 상거래 시스템 및 온라인/모바일 상거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134A (ko) 2006-03-31 2008-12-03 케이디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전달장치, 정보 송출장치 및 정보 전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37A (ko) 2014-06-13 2015-12-24 김태섭 구매자 입찰을 통하여 판매자 목표이익을 실현하는 온라인/모바일 상거래 시스템 및 온라인/모바일 상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178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5489B2 (en) Location based messaging method and system
US6785551B1 (en) Method of providing dynamic regionally relevant data to a mobile environment
US7848878B2 (en) Geographic information transceiv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546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dynamic frequency reuse
US7502620B2 (en) Encoding and compression of a location beacon database
ES2311531T3 (es) Sistema interactivo de avisos meteorologicos.
US77204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information to a mobile receiving device
US81755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authorization for a mobile receiving device to access wireless networks
US200900117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mobile user approaching a boundary of an area of interest
EP0624859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scribing a geographical area to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3254762A (ja) 位置情報伝達装置及び方法
JPH10170628A (ja) 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
US9316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eyond an area of interest boundary
KR100551022B1 (ko) Mpeg-2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한 gis 정보 방송시스템과 gis 정보 방송용 데이터 패킷 구성 방법
CN102932078A (zh) 一种基于调频广播的紧急广播消息发送装置
KR20070036586A (ko) 티팩 메시지를 이용한 기상 관련 재난 정보 제공방법과엔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20020095766A (ko) 디에이비 신호를 이용한 위치정보 및 지리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EP14356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device
KR20030084782A (ko)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방법,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인공위성과 정보를 수수하는 정보 시스템
JP2003168189A (ja) リアルタイム道路状況情報提供装置
CN113484885A (zh) 一种适配cdr数据广播vrs技术应用的终端定位方法
CN100391293C (zh) 信息传送方法、信息传送系统以及基站
JP2001034889A (ja) 地図情報放送の送受信システム
KR100458210B1 (ko) 실시간 화상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4018588B2 (ja) 衛星放送システムと衛星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