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598B1 -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598B1
KR100550598B1 KR1020030051083A KR20030051083A KR100550598B1 KR 100550598 B1 KR100550598 B1 KR 100550598B1 KR 1020030051083 A KR1020030051083 A KR 1020030051083A KR 20030051083 A KR20030051083 A KR 20030051083A KR 100550598 B1 KR100550598 B1 KR 10055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idet
motor
gear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003A (ko
Inventor
정승훈
이상찬
정인식
양창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KR102003005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5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가 자동적으로 회전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커버를 인위적으로 개폐(열거나 닫더라도)하였을 시 커버 회전용 모터 및 기어열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용)변기(1)에 탑재되고 물탱크(3)와 노즐(5) 및 제어기(7) 등으로 된 비데 본체(9)와, 상기 비데 본체(9)의 양측에 설치되어 커버(변좌(11') 및 변좌커버(11"))(11)를 각각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재(13)와, 상기 커버 지지부재(13)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기(7)의 신호에 따라 커버(11)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모터(15) 및 기어박스(17)로 구성된 비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7)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15)의 원동기어(30)와 교합되어 회전되게 기어박스(17)에 설치되는 종동기어(32)와, 상기 종동기어(32)의 중심에 끼워져 토크가변수단(3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단에 펄스제너레이터(38)가 설치되는 댐퍼축(36)과, 상기 댐퍼축(36)의 타측에 하우징(40)을 통해 결합 설치되고 커버(11)의 단부가 고정되는 커버결합겸 회전축(4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좌변기, 물탱크, 노즐, 제어기, 비데, 모터, 기어, 토크, 댐퍼

Description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COVER SAFETY DEVICE OF BID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좌변기 3: 물탱크
9: 비데 본체 11: 커버
15: 모터 30: 원동기어
32: 종동기어 36: 댐퍼축
42: 커버결합겸 회전축 44: 와셔
본 발명은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비데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적정하게 분사하여 항문 및 음부를 세척하는 위생 세척장치 중 하나로서, 상기 비데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사용자측으로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탈취와 건조 기능 등을 수행하는 구동부와, 좌(용)변기의 상측에 위치되는 커버(변좌 및 변좌커버)와, 상기 구동부와 노즐 및 커버 등을 콘트롤 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커버는 변좌와 변좌커버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변좌는 좌변기의 상부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위치되는 것이고, 상기 변좌커버는 상기 변좌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이며, 상기 변좌와 변좌커버는 각각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변좌와 변좌커버로 나뉘어진 커버는 사용자의 세팅이 이루어진 경우에 자동적으로 각각 개폐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의 변좌커버는 사용자의 성별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센서감지에 의해 사용자가 인식될 때 오픈되는 것이고, 상기 커버의 변좌는 사용자의 제어기 조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변좌커버와 변좌의 개폐는 각각의 축에 구동기어와의 교합에 의해서 링크된 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터를 제어기가 구동시키면 변좌 또는 변좌커버가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좌변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좌변기 사용후 사용자의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펄스제너레이터의 세팅된 값에 따라 모터의 동작 에 의해서 변좌 또는 변좌커버가 역회전되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며, 상기 변좌 또는 변좌커버가 개폐할 때는 사용자가 변좌 또는 변좌커버를 급속하게 열거나 닫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비데는, 모터 및 기어의 구동에 의해서 커버(변좌 및 변좌커버)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 작동시 커버를 인위적으로 열거나 닫을 시 커버의 축에 결합된 기어가 강제적으로 회전이 되고, 상기 기어의 전달면이 부하를 받게 되어 기어의 결합부가 파손이 되어 커버의 회전이 불가능해지고, 따라서 모터도 부하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어 모터의 작동도 불능상태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모터의 작동 불능 상태가 종종 발생하게 되면서 커버 회전용 모터를 교체하여야 하는 사용상 단점과 구동기어 등을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커버가 자동적으로 회전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커버를 인위적으로 개폐(열거나 닫더라도)하였을 시 커버 회전용 모터 및 기어열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데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커버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재와, 상기 커버 지지부재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커버를 개폐시키는 모터 및 기어박스로 구성된 비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원동기어와 교합되게 기어박스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 의 중심에 토크가변수단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되는 댐퍼축과, 상기 댐퍼축의 타측에 하우징을 통해 결합되고 커버가 고정되는 커버결합겸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용)변기(1)에 탑재되고 물탱크(3)와 노즐(5) 및 제어기(7) 등으로 된 비데 본체(9)와, 상기 비데 본체(9)의 양측에 설치되어 커버(변좌(11') 및 변좌커버(11"))(11)를 각각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재(13)와, 상기 커버 지지부재(13)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기(7)의 신호에 따라 커버(11)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모터(15) 및 기어박스(17)로 구성된 비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7)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15)의 원동기어(30)와 교합되어 회전되게 기어박스(17)에 설치되는 종동기어(32)와, 상기 종동기어(32)의 중심에 끼워져 토크가변수단(3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단에 펄스제너레이터(38)가 설치되는 댐퍼축(36)과, 상기 댐퍼축(36)의 타측에 하우징(40)을 통해 결합 설치되고 커버(11)의 단부가 고정되는 커버결합겸 회전축(4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종동기어(32)는 모터(15)의 회전에 따라 작동되는 원동기어(30)의 회전으로 회전되고, 상기 종동기어(32)가 회전됨과 동시에 댐퍼축(36)이 회전되며, 상기 댐퍼축(36)이 회전되면서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을 회전시키며, 상기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은 회전되면서 커버(11)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크가변수단(34)은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이 마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이 마찰되어 동시에 회전되고 있을 때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이 급속하게 회전되는 경우에는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이 토크 분리현상으로 인해 댐퍼축(36)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의 급속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로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이 마찰되어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이 슬립되게 되면서 댐퍼축(36)만 회전하는 경우는,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이 종동기어(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급속 회전되거나 역방향으로 급속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이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댐퍼축(36)만 회전하게 되는 슬립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토크가변수단(34)은 상기 댐퍼축(36)에 끼워져 종동기어(32)의 일측에 다수개 배치되어 상호 마찰 압축되는 와셔(44)와, 상기 와셔(44)의 측부에 밀착되어 와셔(44)를 압축하는 부시(46)와, 상기 댐퍼축(36)에 끼워져 부시(46)를 일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48)과, 상기 댐퍼축(36)에 조임되어 스프링(48)을 일방향으로 압박하는 너트(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와셔(44)는 카본와셔(carbon washer)(44')와 서스와셔(sus washer)(44")로 형성되어 교대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본와셔(44')와 서스와셔(44")가 상호 마찰 되면서 댐퍼축(36)과 종동기어(32)의 토크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모터(15)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종동기어(32)가 회전되면 종동기어(32)와 와셔(44) 및 댐퍼축(36)이 일체로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댐퍼축(36)의 동축선 상으로 고정된 커버결합겸 회전축(42)에 급속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면 카본와셔(44')와 서스와셔(44")간의 마찰 슬립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종동기어(32)와는 별도로 회전 동작을 하여 종동기어(32)에 부하를 가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카본와셔(44') 대용으로 테프론, 세라믹과 같이 양호한 기밀성과 마찰력을 가진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커버가 자동적으로 회전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커버를 인위적으로 개폐(열거나 닫더라도)하였을 시 커버 회전용 모터 및 기어열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모터(15)의 원동기어(30)에 교합된 종동기어(32)상에 댐퍼축(36)과 토크가변수단(34)을 설치하고, 상기 댐퍼축(36)에 커버결합겸 회전축(42)에 커버(11)의 단부를 연결하여 모터(15) 회전으로 커버(11)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종동기어(32)측에 설치된 토크가변수단(34)은 모터(15)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모터(15)의 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의 동력 전달이 순간적으로 슬립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종동기어(32)의 일측에 카본와셔(44')와 서스와셔(44")를 배열하고, 상기 카본와셔(44')와 서스와셔(44")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부시(46)와 스프링(48)을 위치시킨 후 너트(50)로 조임하여 카본와셔(44')와 서스와셔(4")가 압축되면서 종동기어(32)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모터(15)를 구동시키면 원동기어(30)가 종동기어(32)를 모터(15)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종동기어(32)는 회전되면서 와셔(44)인 카본와셔(44')와 서스와셔(44") 및 댐퍼축(36)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댐퍼축(36)은 회전되면서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은 회전되면서 커버(11)(변좌(11') 또는 변좌커버(11"))를 동일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커버(11)가 개폐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커버(11)를 열거나 닫게 되면, 모터(15)의 회전에 따라 정속도로 회전되는 커버(11)의 강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커버(11)의 강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이 커버(11)와 동시에 급속 회전하게 되며, 상기 커버결합겸 회전축(42)의 급속 회전과 동시에 댐퍼축(36)이 급속 회전하게 되고, 상기 댐퍼축(36)이 급속 회전되면서 서스와셔(44")와 카본와셔(44')의 마찰 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서스와셔(44")와 카본와셔(44')의 마찰 슬립이 이루어질 때 댐퍼축(36)과 종동기어(32)의 회전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종동기어(32)는 모터(15)의 회전력에 의해서 정속도로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 댐퍼축(36)은 사용자의 커버(11)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의 토크 차이는 서스와셔(44")와 카본와셔(44')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이고, 상기 커버(11)의 급속 회전이 완료되면 서스와셔(44")와 카본와셔(44')의 마찰 슬립이 일어나지 않게 되면서 원래의 상태인 모터(15)의 회전력에 의해서 커버(11)가 정상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터(15)의 구동이 이루어질 때 커버(11)를 수동(강제적)으로 조정하더라도 모터(15)의 회전수와 커버(11)의 회전수를 순간적으로 조정할 수 있 게 됨에 따라 모터(15)(및 구동기어 등)의 부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데 본체의 커버 지지부재측에 설치된 모터의 원동기어에 종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종동기어에 토크가변수단을 통해 댐퍼축을 설치하며, 상기 댐퍼축에 커버결합겸 회전축을 결합하여 변좌 또는 변좌커버인 커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가 회전될 때 커버가 강제적으로 급속(감속) 회전되게 되면 상기 토크가변수단이 종동기어의 회전수와 댐퍼축의 회전수를 순간적으로 분리시키므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커버 회전용 모터 및 기어열이 파손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토크가변수단의 와셔를 카본와셔와 서스와셔로 교대로 배치시켜 설치하므로써 상호간의 마찰 슬립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슬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커버와 모터의 회전차가 급변하는 경우 또는 감속되는 경우에 강제적으로 동력을 분리시킴에 따라 모터(및 구동기어)의 고장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Claims (5)

  1. 비데 본체(9)의 양측에 설치되어 커버(11)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재(13)와, 상기 커버 지지부재(13)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기(7)의 신호에 따라 커버(11)를 개폐시키는 모터(15) 및 기어박스(17)로 구성된 비데에 있어서, 상기 모터(15)의 원동기어(30)와 교합되게 기어박스(17)에 설치되는 종동기어(32)와, 상기 종동기어(32)의 중심에 토크가변수단(3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펄스제너레이터(38)가 설치되는 댐퍼축(36)과, 상기 댐퍼축(36)의 타측에 하우징(40)을 통해 결합되고 커버(11)가 고정되는 커버결합겸 회전축(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가변수단(34)은 종동기어(32)와 댐퍼축(36)이 마찰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가변수단(34)은 상기 댐퍼축(36)에 끼워져 종동기어(32)의 일측에 다수개 배치되는 와셔(44)와, 상기 와셔(44)의 측부에 밀착되는 부시(46)와, 상기 댐퍼축(36)에 끼워져 부시(46)를 일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48)과, 상기 댐퍼축(36)에 조임되어 스프링(48)을 일방향으로 압박하는 너트(50)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44)는 카본와셔(44')와 서스와셔(44")로 이루어지고, 이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44)는 테프론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고, 이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KR1020030051083A 2003-07-24 2003-07-24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55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083A KR100550598B1 (ko) 2003-07-24 2003-07-24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083A KR100550598B1 (ko) 2003-07-24 2003-07-24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003A KR20050012003A (ko) 2005-01-31
KR100550598B1 true KR100550598B1 (ko) 2006-02-10

Family

ID=3722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083A KR100550598B1 (ko) 2003-07-24 2003-07-24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83688A (ja) * 2022-06-16 2023-12-2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124A (ko) * 1994-08-04 1996-03-22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토크 리미터
KR960009956A (ko) * 1994-09-17 1996-04-20 양변기에 있어서의 변기시트나 변기뚜껑 자동개폐장치
KR200146942Y1 (ko) * 1997-02-22 1999-06-15 이세용 비데의 변좌/뚜껑 개폐장치
US6067667A (en) * 1997-09-09 2000-05-30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Semi-automatic closing device for seat lid of toilet bow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124A (ko) * 1994-08-04 1996-03-22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토크 리미터
KR960009956A (ko) * 1994-09-17 1996-04-20 양변기에 있어서의 변기시트나 변기뚜껑 자동개폐장치
KR200146942Y1 (ko) * 1997-02-22 1999-06-15 이세용 비데의 변좌/뚜껑 개폐장치
US6067667A (en) * 1997-09-09 2000-05-30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Semi-automatic closing device for seat lid of toilet bo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003A (ko)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84950A (en) Door operator
US8011741B2 (en) Flap drive system
CA2425460A1 (en) Device for operating a door leaf or the like and door structure provided with such a device
CA2568877A1 (en) Door operator
KR101537377B1 (ko) 냉장고 도어용 자동개폐 장치
KR93001996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도어 제어 장치
KR101892285B1 (ko) 냉장고 자동개폐장치
GB2203263A (en) Swing door control
KR100550598B1 (ko) 비데의 커버 개폐장치
AU2375999A (en) Rivet setting device
KR0167128B1 (ko) 양변기에 있어서의 변기시트나 변기뚜껑 자동개폐장치
TW357208B (en) Appliance interlocking mechanism and appliance including the interlocking mechanism
KR970028342A (ko) 냉장고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0596036B1 (ko) 비닐하우스 개폐용 권취축 구동장치
EP1588655A2 (de) Elektromotorisch betriebenes Küchengerät
KR20070020705A (ko) 냉장고의 도어 닫음장치
PL325228A1 (en) Delayed-action valve actuator
KR20000051657A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2444317B1 (ko) 토크 리미터를 이용한 자동문 장치
JP2624357B2 (ja) 開閉体の駆動装置
KR860000342Y1 (ko)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JP2003339576A (ja) 便座・便蓋の自動開閉装置
KR200301095Y1 (ko) 전자제어식 수문 개폐장치
JP2005282034A (ja) 自動開閉ユニット
JP4639554B2 (ja) 便座・便蓋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