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327B1 -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327B1
KR100550327B1 KR1020030099008A KR20030099008A KR100550327B1 KR 100550327 B1 KR100550327 B1 KR 100550327B1 KR 1020030099008 A KR1020030099008 A KR 1020030099008A KR 20030099008 A KR20030099008 A KR 20030099008A KR 100550327 B1 KR100550327 B1 KR 10055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welding
gas
phase stainless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970A (ko
Inventor
최두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9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3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23K31/027Making tubes with soldering or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 파이프의 용접후의 열처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성분으로 Cr : 20 ∼ 30%, Ni : 4 ∼ 10%, Mo : 1.5 ∼ 5.0%, N : 0.1 ∼ 0.5%, C : 0.01 ∼ 0.05%을 포함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두께 2.5 ~ 3.5mm의 2상 스테인레스 강판을 플라즈마 혹은 텅스텐 아크 용접에 의해 파이프를 제조할 때, 용접입열량을 2.4 ~ 10 kJ/cm로 하고, 표면의 산화방지 및 용접성 개선을 목적으로 용접토치에서 공급되는 보호가스로 불활성 기체인 Ar 가스에 질소가스를 0 - 10% 섞은 혼합가스를 사용하고, 용접 후 용접부가 1080℃의 온도에 도달하여 3분 이상, 30분 미만으로 열처리 상태를 유지시켜, 내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112003050373690-pat00001
2상 스테인레스강판, 용접, 후열처리, 내식성

Description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METHOD FOR POST-HEATING TREATMENT OF WELDED PIPE MADE OF 2-PHASE STAINLESS STE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에 형성된 용접 파이프의 시간에 따른 내공식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의 용접부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접 파이프의 용접 부분의 후열 처리를 통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2상 스테인레스강은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이 대략 50:50의 비를 갖는 복합조직을 갖는 강으로서, Cr, Ni, Mo, N의 성분량을 제어를 통하여 염소이온 환경과 탄산가스 환경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보이며, 오스테나이트계 및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고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2상 스테인레스강의 파이프는 일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과 동 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지만, 용접 및 후열처리에 의해 용접부의 내식성이 좌우된다. 스테인레스강 파이프 제조시, 주로 이용되는 용접 방법은 플라즈마 아크 용접(PAW, Plasma Arc Welding), 혹은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GTAW,Gas Tungsten Arc Welding)이며, 용접후 on -line 또는 batch 열처리로를 거친다. 이 후 열처리 과정에서 생성된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산세처리를 한다.
그러나, 상기 2상 스테인레스강의 용접부는 높은 페라이트 함량과 페라이트 입내에 석출하는 Cr 질화물에 의해 기계적 성질 및 내공식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부에서의 페라이트 함량은 모재의 약 50% 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것은 용접열 사이클이 가열, 냉각이 급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페라이트상으로부터의 오스테나이트상 석출은 평형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라이트 함량의 증가에 따라 페라이트 입내에서 Cr 질화물이 다량 석출하게 된다. 이러한 페라이트 함량과 Cr 질화물은 용접조건에 의해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지만, 모재와 유사 수준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후열처리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Cr : 20 ∼ 30%, Ni : 4 ∼ 10%, Mo : 1.5 ∼ 5.0%, N : 0.1 ∼ 0.5%, C : 0.01 ∼ 0.05%을 포함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두께 2.5~ 3.5mm의 2상 스테인레스 강판을 플라즈마 혹은 텅스텐 아크 용접에 의해 파이프를 제조할 때, 용접입열량을 2.4 ~ 10 kJ/cm로 하고, 표면의 산화방지 및 용접성 개선을 목적으로 용접토치에서 공급되는 보호가스로 불활성 기체인 Ar 가스에 질소가스를 0 ~ 10% 섞은 혼합가스를 사용하고, 용접 후 용접부가 1080℃의 온도에 도달하여 3분 이상, 30분 미만으로 열처리 상태를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테인레스 강은 2상 스테인레스강으로써 페라이트상과 오스테나이트상이 대략 50:50의 비를 갖는 복합조직을 갖는 강으로서, Cr, Ni, Mo, N의 성분량을 제어를 통하여 염소이온 환경과 탄산가스 환경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보이며, 오스테나이트계 및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에 비해 고강도이다.
상기 고강도 2상 스테인레스 강은 일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과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파이프 형태로 제조되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및 후열처리에 의해 용접부의 내식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2상 스테인레스 강판은 Cr : 20 ∼ 30%, Ni : 4 ∼ 10%, Mo : 1.5 ∼ 5.0%, N : 0.1 ∼ 0.5%, C : 0.01 ∼ 0.05%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한다. 또한, 두께는 약 2.5~3.5mm로 한다.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은, 예를 들어, 초기에 튜브의 양단부를 가압하고, 다음으로 중심부와 양단부 사이에서 각 한번씩 가압한 후, 최종 튜브의 중심부를 가압하는 5단 press bake 성형 공정을 통하여 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후, 상기 스테인테스강 튜브의 양단을 플라즈마 혹은 텅스텐 아크 용접에 의해 접합한다. 이때, 용접입열량을 2.4 ~10 kJ/cm로 하고, 표면의 산화방지 및 용접성 개선을 목적으로 용접토치에서 공급되는 보호가스로 불활성 기체인 Ar 가스에 질소가스를 0 ~ 10% 섞은 혼합가스를 사용한다. 그후,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스테인레스강 튜브의 용접된 부분을 1080℃의 온도에 도달하여 3분 이상, 30분 미만으로 열처리 상태를 유지시킨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화학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두께 3mm의 2상 스테인레스강 판재에 대해서 Ar+10%N2의 혼합가스를 보호가스를 공급하면서 플라즈마 아크 용접을 통해 2상 스테인레스강의 용접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상술한 용접 파이프의 용접조건을 나타내었다.
C Si Mn P S Cr Mo Ni N Fe
0.023 0.46 1.42 0.023 0.001 22.44 3.06 5.82 0.159 Bal.
용접법 입열량 (kJ/cm) 보호가스
Torch Backing
Plasma arc welding 2.7 Ar+10%N2 100 N2
도 1은 용접 파이프를 1050℃, 1080℃, 1100℃에서 각각 1 ~ 15분 유지시킨 후 산세하여, 45℃의 6% FeCl3 용액에서 72시간 침지후의 부식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1050℃에서는 전 조건에서 공식이 발생하였지만, 1080℃에서는 3분 이상, 1100℃에서는 2분 이상 유지 시켰을 때 공식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것은 열처리에 의해 페라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로의 고상변태가 일어나므로 해서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의 상분율이 적정화 되었을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 내부에 석출된 Cr 질화물이 재고용 되었기 때문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강 파이프는 용접후 일정온도 및 일정 시간에서 후열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내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성분으로 Cr : 20 ∼ 30%, Ni : 4 ∼ 10%, Mo : 1.5 ∼ 5.0%, N : 0.1 ∼ 0.5%, C : 0.01 ∼ 0.05%을 포함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두께 2.5~ 3.5mm의 2상 스테인레스 강판을 플라즈마 혹은 텅스텐 아크 용접에 의해 파이프를 제조할 때, 용접입열량을 2.4 ~10 kJ/cm로 하고, 표면의 산화방지 및 용접성 개선을 목적으로 용접토치에서 공급되는 보호가스로 불활성 기체인 Ar 가스에 질소가스를 0 - 10% 섞은 혼합가스를 사용하고, 용접 후 용접부가 1080℃의 온도에 도달하여 3분 이상, 30분 미만으로 열처리 상태를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KR1020030099008A 2003-12-29 2003-12-29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KR10055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008A KR100550327B1 (ko) 2003-12-29 2003-12-29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008A KR100550327B1 (ko) 2003-12-29 2003-12-29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970A KR20050067970A (ko) 2005-07-05
KR100550327B1 true KR100550327B1 (ko) 2006-02-07

Family

ID=3725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008A KR100550327B1 (ko) 2003-12-29 2003-12-29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359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조관 용접방법
KR20190136334A (ko) 2018-05-30 2019-12-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접성 향상을 위한 냉간 압연된 고엔트로피 합금의 후열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2927B2 (ja) * 2013-09-11 2017-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摩擦攪拌接合方法、摩擦攪拌接合装置、摩擦攪拌接合物
CN104353973A (zh) * 2014-11-13 2015-02-18 江苏省常熟环通实业有限公司 一种奥氏体不锈钢管的制备方法
KR102164085B1 (ko) * 2019-05-13 2020-10-12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속도가 향상된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방법 및 그 피용접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9414A (ja) * 1983-06-09 1984-12-22 Sumitomo Metal Ind Ltd 2相ステンレス鋼溶接部の耐食性改善方法
JPS60180691A (ja) * 1984-02-29 1985-09-14 Nippon Kokan Kk <Nkk> 2相系ステンレス鋼の高靭性溶接金属を得るサブマ−ジア−ク溶接法
JPS60238423A (ja) * 1984-05-10 1985-11-27 Nippon Kokan Kk <Nkk> 二相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部の耐食性改善方法
KR930013171A (ko) * 1991-12-30 1993-07-21 정명식 모재 및 용접부의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방법
KR20020052623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용접에 의한 2상 스테인레스강 파이프의 제조방법
KR20030050212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용접부 입계부식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9414A (ja) * 1983-06-09 1984-12-22 Sumitomo Metal Ind Ltd 2相ステンレス鋼溶接部の耐食性改善方法
JPS60180691A (ja) * 1984-02-29 1985-09-14 Nippon Kokan Kk <Nkk> 2相系ステンレス鋼の高靭性溶接金属を得るサブマ−ジア−ク溶接法
JPS60238423A (ja) * 1984-05-10 1985-11-27 Nippon Kokan Kk <Nkk> 二相系ステンレス鋼の溶接部の耐食性改善方法
KR930013171A (ko) * 1991-12-30 1993-07-21 정명식 모재 및 용접부의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재의 제조방법
KR20020052623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용접에 의한 2상 스테인레스강 파이프의 제조방법
KR20030050212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용접부 입계부식 방지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359A (ko) *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조관 용접방법
KR101665823B1 (ko) 2014-12-26 2016-10-13 주식회사 포스코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조관 용접방법
KR20190136334A (ko) 2018-05-30 2019-12-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접성 향상을 위한 냉간 압연된 고엔트로피 합금의 후열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970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4792A1 (en) Steel plate with low yield ratio,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009012070A (ja) 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の溶接金属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S60215719A (ja) 二輪車フロントフオ−ク用電縫鋼管の製造方法
US6547892B2 (en) Flux cored wire with superior cracking resistant property for welding ferrite stainless steel
JPH0510419B2 (ko)
JP2009091654A (ja) 溶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009045671A (ja) 大入熱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用ワイヤ
KR100550327B1 (ko) 2상 스테인레스강 용접 파이프 후열처리 방법
KR100805060B1 (ko) 22% Cr계 2상 스테인레스강의 용접부 내공식성향상을 위한 티크 용접방법
JP4499949B2 (ja) 耐炭酸ガス腐食性及び溶接部靭性に優れた低合金鋼及びラインパイプとその製造方法
JP2006110581A (ja) 高強度高靭性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2541822B2 (ja) 溶接強度および靭性に優れた析出硬化型ステンレス鋼
WO2018147149A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H091344A (ja) 低温用高靱性uoe鋼管
JPH0892649A (ja) 高強度熱間ベンド鋼管の製造方法
KR20010057596A (ko) 용접성이 우수한 2상 스테인레스강의 용접 방법
JP2009012071A (ja) 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の溶接金属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0570895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용접부 입계부식 방지 방법
JP2004230392A (ja)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用溶接材料および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の溶接方法
JP3779811B2 (ja) 加工性に優れた電縫鋼管とその製造方法
JPH0231631B2 (ko)
JP3194207B2 (ja)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被覆アーク溶接棒
JP2005023429A (ja) 低温用高靱性uoe鋼管
KR102592758B1 (ko) 용접 구조체 및 저장 탱크
KR102443423B1 (ko) 입계 부식특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