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184B1 -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184B1
KR100550184B1 KR1020040002143A KR20040002143A KR100550184B1 KR 100550184 B1 KR100550184 B1 KR 100550184B1 KR 1020040002143 A KR1020040002143 A KR 1020040002143A KR 20040002143 A KR20040002143 A KR 20040002143A KR 100550184 B1 KR100550184 B1 KR 10055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light guide
planar l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167A (ko
Inventor
이다가즈시게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6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도광체가 열신축해도 램프 리플렉터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면 내에 있어서 균일하고 고휘도인 면광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냉음극관(22)을 씌우는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 및 하단부(31b) 사이에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을 끼운다. 프레임(32)의 표면에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거쳐서 반사 시트(29)를 고정한다. 반사 시트(29)의 표면에 도광체(26)를 설치한다.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의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 및 하단부(31b) 사이로의 끼워짐량(A)을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과 프레임(32)의 끼워 맞춤 단차부(35)와의 사이의 간극(B)보다도 크게 한다.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을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 및 하단부(31b) 사이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광체, 면광원 장치, 냉음극관, 반사 시트, 전기 절연용 테이프

Description

면광원 장치 {Surface Optical Source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일부를 도시하는 설명 단면도.
도2는 상기 면광원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3은 상기 면광원 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4는 상기 면광원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면광원 장치로서의 후방 라이트
22 : 광원으로서의 냉음극관
26 : 면형 광원 변환체로서의 도광체
29 : 광학 시트로서의 반사 시트
31 : 반사체로서의 램프 리플렉터
32 : 프레임
41 : 테이프로서의 전기 절연용 테이프
A : 끼워짐량
B : 간극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면형 광원으로 변환하는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러한 종류의 면광원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는 주로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PC)의 화상 표시부로서 이용되고 있는 동시에, 박형 및 경량의 특징을 살려 각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직사각형 평판형의 액정 패널을 구비하고 있고, 이 액정 패널의 일단부에는 이 액정 패널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회로 기판으로서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 평판형의 드라이버 회로가 유연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평판형의 한 쌍의 프린트 배선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 FPC) 혹은 TAB(Tape Automated Bonding)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액정 패널의 이면측에는 이 액정 패널에 형성된 표시 영역인 표시 화면 영역으로 면형의 빛을 조사시키는 면광원 장치로서의 후방 라이트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액정 패널 및 후방 라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대향시킨 상태로 베젤과 프레임에 의해 협지되어 보유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후방 라이트는 가늘고 긴 원통형의 선형 광원으로서의 방전 램프 인 냉음극관을 구비하고 있고, 이 냉음극관에 1변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이 냉음극관으로부터의 선형의 빛을 일주면인 표면을 향해 면형으로 굴절시켜 면형 광원으로 변환하는 직사각형 평판형의 면형 광원 변환체로서의 도광체가 부착되어 있다. 이 도광체는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 도광체의 다른 주면인 이면측에는 프리즘이 성형되어 있다.
또한, 냉음극관은 이 냉음극관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도광체의 1변으로 조사시키는 반사체로서의 대략 역ㄷ자형으로 만곡된 시트형의 램프 리플렉터로 주위 방향에 따라서 씌워져 있다. 그리고, 이 램프 리플렉터의 양단부는 도광체의 1변의 표리면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 도광체의 표면에는 이 도광체의 휘도 불균일의 균일화나 휘도를 향상시키는 직사각형 시트형의 광학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이 도광체의 이면에는 이 도광체의 이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 도광체의 표면측을 향해 반사시키는 광학 시트인 반사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냉음극관으로부터의 빛을 도광체의 1변으로 효율적으로 반사시켜 입사시키기 위해, 램프 리플렉터를 보다 크게 형성하여 이 램프 리플렉터의 양단부 사이에 도광체의 1변을 끼워서 고정시키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270024호 공보(제3 내지 5 페이지, 도3 및 도4)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램프 리플렉터의 양단부 사이에 도광체의 1변을 끼운 경우에는, 도광체가 열팽창하였을 때에 이 도광체가 냉음극관에 간섭하거나, 반사 시트가 램프 리플렉터로부터의 광로를 차단하거나 함으로써 휘도 불균일이나 휘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도록 도광체의 다른 변과 프레임 사이에 간극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간극이 있으므로 도광체가 열신축을 반복함으로써 이 도광체가 이동하여 램프 리플렉터로부터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면 내에 있어서 균일하고 높은 휘도를 갖고, 또한 구조적으로 신뢰성이 높은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원과, 이 광원에 1변을 대향시켜 배치되어 그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일주면을 향해 면형 광원으로 변환하는 대략 직사각형 평판형의 면형 광원 변환체와, 이 면형 광원 변환체의 다른 주면에 부착된 시트형의 광학 시트와, 상기 광원을 씌운 상태에서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1변이 양측 사이에 끼워져 부착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1변으로 입사시키는 반사체와,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1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변이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체의 양측 사이로의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1변의 끼워짐량은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다른 변과 상기 프레임의 간극보다 큰 것이다.
그리고, 면형 광원 변환체가 열신축에 의해서도 반사체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어 면 내에 있어서 균일하고 고휘도인 면광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에 있어서, 부호 1은 평면 표시 장치로서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이고, 이 액정 표시 장치(1)는 비교적 대형이고, 좁은 프레임 및 휴대성이 우수한 박형이다. 그리고, 이 액정 표시 장치(1)는 주로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PC)의 화상 표시부 등으로서 이용되는 투과형 평면 표시 패널로서의 대략 직사각형 평판형의 액정 표시 패널(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패널(2)은, 예를 들어 대각 12 인치이고, 광변조층을 액정층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액정 표시 패널(2)은,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일주면인 표면에 매트릭스형으로 설치된 어레이 기판(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어레이 기판(3)과 대향 기판(4)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이들 어레이 기판(3)과 대향 기판(4)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액정층이 개재 삽입되고 밀봉되어 액정 표시 패널(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액정 표시 패널(2)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모서리에는 이 액정 표시 패널(2)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회로 기판으로서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 평판형의 드라이버 회로(5)가 유연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평판형의 한 쌍의 프린트 배선 기판(Flexible Print Circuit : FPC)(6, 7)을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2)의 중앙부에는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영역인 직사각 형상의 표시 화면 영역(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액정 표시 패널(2)의 일주면인 표면측에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베젤 커버(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베 젤 커버(11)는 액정 표시 패널(2)의 표시 화면 영역(8)을 노출시키는 직사각 형상의 창부(12)가 형성된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본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본체부(13)의 외주연에는 이 본체부(13)의 이면측에 액정 표시 패널(2)을 수용시켰을 때에, 이 액정 표시 패널(2)의 모서리부를 씌우는 외주연부(1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액정 표시 패널(2)의 이면측에는 이 액정 표시 패널(2)의 표시 화면 영역(8)으로 면형의 빛을 입사시키는 직사각형 평판형의 면광원 장치로서의 후방 라이트(21)가 대향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 후방 라이트(21)는 이 후방 라이트(21)의 일주면인 표면측을 액정 표시 패널(2)의 이면에 대향시킨 상태로 이 액정 표시 패널(2)과 함께 베젤 커버(11)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이 액정 표시 패널(2)에 부착된 드라이버 회로(5)는 액정 표시 패널(2)의 이면측에 후방 라이트(21)의 표면측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이 후방 라이트(21)의 이면측을 향해 프린트 배선 기판(6, 7)을 만곡시킴으로써, 이 후방 라이트(21)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이 때, 이 드라이버 회로(5)와 후방 라이트(21) 사이에는 이들 드라이버 회로(5)와 후방 라이트(21)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시키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시트형의 절연 시트(15)가 개재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방 라이트(21)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원통형의 관형 광원인 방전 램프로서의 냉음극관(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냉음극관(22)의 양단부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에 의해 성형된 램프 홀더(23)가 끼워 맞추어져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냉음극관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케이블(24)의 일 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 케이블(24) 각각의 타단부에는 커넥터로서의 하우징(25)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음극관(22)의 외주면에 대해 1변인 램프측으로서의 광입사면(26a)을 평행하게 대향시킨 상태로 대략 직사각형 평판형의 면형 광원 변환체인 도광체(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도광체(26)는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이 도광체(26)의 다른 주면으로서의 비광출사면인 이면(26b)에는 도시하지 않은 프리즘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 도광체(26)는 냉음극관(22)으로부터의 선형의 빛이 광입사면(26a)을 거쳐서 입사되고, 이 선형의 빛을 도광체(26)의 일주면인 광출사면으로서의 표면(26c)측을 향해 면형으로 굴절시켜 면형 광원으로 변환하여 이 면형의 빛을 액정 표시 패널(2)의 표시 화면 영역(8)에 조사시킨다. 또한, 이 도광체(26)는 이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에서 입사하는 빛을 이 도광체(26)의 표면(26c)으로 균등하게 반사시키는 동시에, 이 도광체(26)의 다른 변인 반램프측으로서의 비광입사면(26d)으로부터의 이면(26a)측에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 광입사면(26a)측으로부터 비광입사면(26d)측을 향해 높이 방향에 따라서 평행하게 서서히 얇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광체(26)의 표면(26c)에는 이 도광체(26)의 표면(26c)을 씌우는 대략 직사각형 시트형의 광학 시트인 집광 시트(2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집광 시트(27)는 도광체(26)의 표면(26c)으로부터 출사되는 면형의 빛을 집광시킨다. 또한, 이 집광 시트(27)의 표면에는 이 집광 시트(27)의 표면을 씌우는 대략 직사각형 시트형의 광학 시트인 확산 시트(28)가 부착되어 있다. 이 확산 시트(28)는 도광체(26)의 표면(26c)으로부터 조사되어 집광 시트(27)에서 집광된 빛을 확산시키고, 이 집광 시트(27)와 함께 도광체(26)의 표면(26c)의 면내 휘도의 균일화나 휘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이 도광체(26)의 이면(26b)에는 이 도광체(26)의 이면(26b)을 씌우는 직사각형 시트형의 광학 시트인 반사 시트(2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반사 시트(29)는 이 반사 시트(29)의 표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모서리에 따라서 접착된 양면 테이프(30)에 의해 도광체(26)의 이면(26b)에 접착되어 일측 모서리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사 시트(29)는 이 도광체(26)의 내부로부터 이 도광체(26)의 이면(26b)을 거쳐서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이 도광체(26)의 표면(26c)측을 향해 반사시킨다.
그리고, 이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에 대향하여 배치된 냉음극관(22)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역ㄷ자형으로 만곡된 시트형의 반사체로서의 램프 리플렉터(31)로 주위 방향에 걸쳐서 씌워져 있다. 이 램프 리플렉터(31)는 냉음극관(22)으로부터의 빛을 내측면에서 반사시켜 이 반사된 빛을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으로 효율적으로 입사시킨다.
또한, 이 램프 리플렉터(3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부인 상단부 모서리(31a)는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의 표면(26c)과 확산 시트(28) 사이에 끼워져 이들 도광체(26)와 확산 시트(28) 사이에 위치하는 집광 시트(27)의 일측 모서리보다도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램프 리플렉터(3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측부인 하단부 모서리(31b)는 이 램프 리플 렉터(31)의 상단부 모서리(31a)보다도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램프 리플렉터(3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측부인 하단부 모서리(31b)는 반사 시트(29)의 표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모서리를 씌우고 있다. 이 때,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은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와 하단부(31b) 사이에 끼워짐량(A)만큼 끼워져 있다.
또한,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은 전술한 램프 홀더(23)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램프 홀더(23)에 의해 도광체(26)가 냉음극관(22)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표면(26c)에 집광 시트(27) 및 확산 시트(28)가 부착되고, 이면(26b)에 반사 시트(29)가 부착되고, 광입사면(26a)측에 냉음극관(22) 및 램프 리플렉터(31)가 부착된 도광체(26)는 대략 직사각형 평판형의 프레임(32)의 일주면인 표면측에 수용되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프레임(32)은 직사각형 평판형의 본체부(33)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부(33)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는 경량화를 위한 개구부(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3)의 외주연에는 이 본체부(33)에 대해 수직으로 표면측을 향해 돌출된 외주연부(34)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외주연(34)의 내측면과 본체부(33)의 표면에 의해 단차형의 끼워 맞춤 단차부(35)가 프레임(32)의 내주연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외주연부(34) 내에 수용된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에 대향한 반대측에 위치하는 비광입사면(26d)과 끼워 맞춤 단차부(35)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는 이 도광체(26)의 높 이 방향에 따라서 평행하게 소정의 클리어런스인 간극(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간극(B)은 도광체(26)의 열신축에 의한 높이 방향에의 클리어런스를 고려한 길이 치수를 갖고 있고,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와 하단부(31b) 사이로의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의 끼워짐량(A)보다 작다. 다시 말하면, 이 도광체(26)의 끼워짐량(A)은 이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과 프레임(32)의 끼워 맞춤 단차부(35) 사이에 형성된 간극(B)보다 크다. 즉, A > B의 관계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도광체(26)의 끼워짐량(A)은, 예를 들어 0.5 ㎜ 내지 1.5 ㎜이다.
이 도광체(26)의 끼워짐량(A)은 도광체(26)가 온도에 의해 수축된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즉, 면광원 장치 사용 환경의 최저 온도를 -20 ℃로 하였을 때, 상온(25 ℃)시로부터 -20 ℃시가 되었을 때의 수축량과, 간극(B)과의 합계보다도 끼워짐량(A)이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도광체(26)의 이면(26b)에 부착되는 반사 시트(29)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분할된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복수, 예를 들어 6매의 양면 테이프인 전기 절연용 테이프(41)에 의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는 실리콘계 접착재가 양면에 도포되어 있고,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모서리의 중앙부 및 양단부의 각각에 접착되어 있다.
이들 전기 절연용 테이프(30 및 41)는 이동 제어 수단의 일예로서 이용되어 도광체(26)의 냉음극관(22)측으로의 이동이나, 프레임(32)으로부터의 떨어짐을 제 어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있어서의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에 대향하는 측의 일측 모서리의 중앙부 및 양단부의 각각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기 절연용 테이프(41)의 길이 방향을 본체부(33)의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 본체부(33)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본체부(33)의 표면에 있어서의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에 대향하는 측의 다른측 모서리의 중앙부에는 전기 절연용 테이프(41)의 길이 방향을 본체부(33)의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로 이 본체부(33)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3)의 표면에 있어서의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에 대향하는 측의 다른측 모서리의 양단부에는 각 전기 절연용 테이프(41)의 길이 방향을 본체부(33)의 높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로 이 본체부(33)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25) 및 케이블(24)을 거쳐서 냉음극관(22)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이 냉음극관(22)을 발광시킨다.
그러면, 이 냉음극관(22)으로부터 발광한 선형의 빛은 직접, 혹은 이 냉음극관(22)을 씌우는 램프 리플렉터(31)의 내측면에서 반사되어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으로 입사한다.
그리고, 이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으로 입사한 빛은 이 도광체(26)의 이면(26b)에 형성된 프리즘 및 이 이면(26b)측에 부착된 반사 시트(29)에 의해, 이 도광체(26)의 표면(26c)측을 향해 면형으로 변환되어 이 도광체(26)의 표면(26c)으로부터 출사된다.
이 후, 이 도광체(26)의 표면(26c)으로부터 출사된 면형의 빛은 집광 시트(27)를 투과하여 이 집광 시트(27)에 의해 집광된 후, 확산 시트(28)를 투과하여 이 확산 시트(28)에 의해 확산되고, 이들 집광 시트(27) 및 확산 시트(28)에 의해 도광체(26)의 표면(26c)의 면내 휘도의 균일화나 휘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이들 집광 시트(27) 및 확산 시트(28)를 투과한 면형의 빛은 액정 표시 패널(2)의 표시 화면 영역(8)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이 액정 표시 패널(2)의 표시 화면 영역(8)으로 조사한 빛은 이 액정 표시 패널(2)의 표시 화면 영역(8)을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사용자의 눈에 들어가고, 이 액정 표시 패널(2)의 표시 화면 영역(8)에서 표시되는 화상이 사용자에게 눈으로 확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후방 라이트(21)의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와 하단부(31b) 사이에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을 끼우고, 이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에 의한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와 하단부(31b) 사이로의 끼워짐량(A)을 프레임(32)에 수용된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과 이 프레임(32)의 끼워 맞춤 단차부(35)의 내측면과의 사이의 간극(B)보다 크게 한다.
또한 이 때,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모서리의 중앙부 및 양단부의 각각에 소정의 길이로 분할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접착하여 이들 분할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에 의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반사 시트(29)를 고정시켰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32)과 도광체(26)의 간극(B)에 클리어런스가 존재하므로 도광체(26)가 열팽창한 경우라도 도광체(26)나 그에 수반하는 반사 시트(29)가 냉음극관(22)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량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에 의한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와 하단부(31b) 사이로의 끼워짐량(A)을 프레임(32)에 수용된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과 프레임(32)의 끼워 맞춤 단차부(35)의 내측면과의 사이의 간극(B)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도광체(26)가 열신축을 반복하는 중 냉음극관(22)측으로부터 가장 멀어지게 되어도 램프 리플렉터(31)로부터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로 프레임(32)과 반사 시트(29)를 접착하였으므로, 도광체(26)의 열신축에 수반하여 반사 시트(29)가 신축하였다고 해도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로 접착된 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신축할 뿐이므로, 이 신축이 반복되어도 반사 시트(29) 전체에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절연용 테이프(30)는 온도에 의해 그 접착성이 변화되는 것으로, 온도가 올라간 경우에 접착성이 약해지고, 온도가 내려간 경우에 접착성이 강해진다. 도광체(26)가 열신축을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온도가 올라간 경우 도광체(26)가 팽창하여 그 길이가 일시적으로 증가되지만, 다음에 온도가 내려갔을 때에 도광체(26)의 수축보다도 먼저 전기 절연용 테이프(30)의 접착성이 강해지므로 전기 절연용 테이프(30)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도광체(26)는 인장되도록 수축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도광체(26)와 프레임(32)을 냉음극관(22)과 반대측의 부분에서 접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광체(26)가 열수축을 반복하였다고 해도 도광체(26)가 냉음극관(22)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냉음극관(22)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또한, 비교적 고가인 실리콘계 접착재를 이용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소정의 길이로 분할하여 이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의 양측 모서리의 중앙부 및 양단부의 각각에 접착하여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반사 시트(29)를 고정시켰다. 이로 인해, 이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의 양측 모서리에 폭 방향에 걸쳐서 접착하여 반사 시트(29)를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이 전기 절연용 테이프(41)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후방 라이트(21)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광체(26)의 이면(26b)에 반사 시트(29)가 부착된 상태에서 이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을 램프 리플렉터(31)의 상단부(31a) 및 하단부(31b) 사이에 끼웠으므로, 이 램프 리플렉터(31)의 하단부(31b)에 반사 시트(29)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광체(26)의 열신축에 기인한 반사 시트(29)의 냉음극관(22)측에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반사 시트(29)의 이동에 의한 도광체(26)의 표면(26c)의 휘도 저하나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길이로 분할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의 양측 모서리의 중앙부 및 양단부 의 각각에 접착하여 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반사 시트(29)를 고정시켰지만, 도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분할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있어서의 도광체(26)의 광입사면(26a)측에 대향한 일측 모서리의 중앙부 및 양단부의 각각에만 접착하여 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반사 시트(29)를 고정시켜도 좋다.
또한, 도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분할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있어서의 도광체(26)의 비광입사면(26d)측에 대향한 다른측 모서리의 중앙부 및 양단부의 각각에만 접착하여 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반사 시트(29)를 고정시켜도 좋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모서리의 각각에 폭 방향에 걸쳐서 전기 절연용 테이프(41)를 접착하여 이 프레임(32)의 본체부(33)의 표면에 반사 시트(29)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형 광원 변환체가 열신축에 의해서도 반사체로부터 떨어지는 일이 없고, 그리고 면 내에 있어서 균일하고 고휘도인 면광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광원과,
    이 광원에 1변을 대향시켜 배치되어 그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일주면을 향해 면형 광원으로 변환하는 대략 직사각형 평판형의 면형 광원 변환체와,
    상기 광원을 씌운 상태에서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1변이 양측 사이에 끼워져 부착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1변으로 입사시키는 반사체와,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1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변이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이며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다른 변 근방에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광원측으로의 이동 및 상기 일주면측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반사체의 양측 사이로의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1변의 끼워짐량은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다른 변과 상기 프레임의 간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 수단은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일주면과 대향하는 다른 주면측에 광학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학 시트는 면형 광원 변환체와 함께 반사체의 양측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는 상기 광학 시트를 거쳐서 상기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의 양측 사이로의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1변의 끼워짐량은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다른 변과 상기 프레임과의 간극과,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가 25 ℃로부터 -20 ℃가 되었을 때의 수축량과의 합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는 상기 일주면에 대향하는 다른 주면측에 프리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어 수단은 온도에 의해 접착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양단부는 탄성을 갖는 램프 홀더에 지지되고, 상기 면형 광원 변환체의 상기 1변측은 상기 램프 홀더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KR1020040002143A 2003-01-14 2004-01-13 면광원 장치 KR100550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5888 2003-01-14
JP2003005888A JP2004220889A (ja) 2003-01-14 2003-01-14 面光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167A KR20040065167A (ko) 2004-07-21
KR100550184B1 true KR100550184B1 (ko) 2006-02-08

Family

ID=3270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143A KR100550184B1 (ko) 2003-01-14 2004-01-13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33064B2 (ko)
JP (1) JP2004220889A (ko)
KR (1) KR100550184B1 (ko)
CN (1) CN1325979C (ko)
TW (1) TWI2388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33570B (en) * 2004-10-27 2010-11-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Assembly of optical film and frame
KR20060132202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275542B2 (ja) * 2005-08-18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平面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7032292A1 (en) * 2005-09-15 2007-03-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004261A (ja) * 2007-06-22 2009-01-08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CN101363996A (zh) * 2007-08-08 2009-02-1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KR101448905B1 (ko) * 2007-12-28 2014-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00126389A (ko) * 2008-02-22 2010-12-0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선택된 출력 광속 분포를 갖는 백라이트 및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00009078A (ko) * 2008-07-17 2010-01-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이를 갖춘 냉장고
ES2698049T3 (es) 2011-04-04 2019-01-30 Procter & Gamble Artículo para el cuidado del hogar
US8795695B2 (en) 2011-08-15 2014-08-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methods
CN103574390A (zh) * 2012-07-26 2014-02-12 苏州璨宇光学有限公司 背光模组
CA2915920C (en) 2013-06-27 2018-07-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US10908351B2 (en) * 2017-02-13 2021-02-02 Signify Holding B.V. Frame for supporting a light guide panel and luminaire comprising the frame
CN109026652B (zh) * 2018-09-13 2024-02-23 宁波恒帅股份有限公司 一种洗涤泵检测设备
CN112859448B (zh) * 2021-03-17 2023-03-14 重庆京东方显示照明有限公司 胶带、背光模组、显示装置和背光模组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4650A (ja) * 1992-12-25 1994-07-15 Citizen Watch Co Ltd 表示装置
JP3250173B2 (ja) * 1996-07-23 2002-01-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用バックライト装置
KR100308160B1 (ko) * 1999-05-03 2001-09-26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JP3719927B2 (ja) * 1999-12-27 200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器
JP2001338512A (ja) * 2000-03-23 2001-12-07 Enplas Corp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2270024A (ja) 2001-03-12 2002-09-20 Toshiba Corp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TW581264U (en) * 2002-06-14 2004-03-21 Hannstar Display Corp Alignment device of optical diff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7765A (zh) 2004-08-04
US7033064B2 (en) 2006-04-25
JP2004220889A (ja) 2004-08-05
CN1325979C (zh) 2007-07-11
KR20040065167A (ko) 2004-07-21
TWI238881B (en) 2005-09-01
TW200504313A (en) 2005-02-01
US20040141309A1 (en)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184B1 (ko) 면광원 장치
KR10100140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744004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7446825B2 (en)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7261457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2008022520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WO2004111977A1 (ja) 平面表示装置
US76024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850948B2 (ja)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31291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27785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9026713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111693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638439B2 (ja)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212781605U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KR10243655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가지는 액정 표시 모듈
JP2002109929A (ja) 平面表示装置
US7293905B2 (en) Area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0194280A (ja) 照明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12051689A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09110738A (ja) 導光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および導光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275542B2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342881B2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面状光源装置
KR20180013529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