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795B1 -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795B1
KR100549795B1 KR1020030012449A KR20030012449A KR100549795B1 KR 100549795 B1 KR100549795 B1 KR 100549795B1 KR 1020030012449 A KR1020030012449 A KR 1020030012449A KR 20030012449 A KR20030012449 A KR 20030012449A KR 100549795 B1 KR100549795 B1 KR 10054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chain
speed
lif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950A (ko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국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성산업(주) filed Critical 국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3001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7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소규모 발전소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유입 수로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온 쓰레기(협잡물)를 수거하여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위에 비례하여 수거기의 운전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서 우천시와 같이 물의 유입이 많아질 경우 협잡물의 수거 속도를 신속히 하여 수로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대(11)와 수로(10)의 바닥에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 사이에는 체인(23)이 설치되며, 상기 체인(23)의 양측에는 체인(23)을 보호하는 체인커버(24)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23)에는 일정 간격으로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갈퀴(25)가 설치되며 콘트롤부(3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스프라켓(21)을 구동하는 인양모터(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종동스프라켓(22)이 설치되어 있는 수로(10)의 바닥면에는 저항축(39)과 상기 저항축(39)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저항축(39)의 저항값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가변소자(37)와 상기 저항축(39)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위레벨에 따라 승하강되어 저항축(39)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플로트(38)로 이루어진 수위감지센서(36)가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36)의 출력단은 콘트롤부(3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36)에서 흐르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로(10)의 수위레벨에 비례하여 인양모터(26)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의 수위감지센서(36)에 의하여 상기 수로에 흐르는 물의 수위를 판독하는 현재수위 판단과정(L1)과, 상기 현재수위 판단과정(L1)을 통해 판독된 현재수위가 설정된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인지를 판단하는 수위레벨 판단과정(L2)과, 상기 수위레벨 판단과정(L2)에서 수로의 현재 수위가 저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저속으로 구동(106)하고, 현재의 수위가 중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중속으로 구동(107)하고, 현재의 수위가 고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고속으로 구동(108)하는 모터 구동속도 제어과정(L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로, 쓰레기, 협잡물, 하수처리장, 배수펌프장, 수위감지, 수위레벨,

Description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llecting sewage in a drain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오물수거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로 23 : 체인
25 : 갈퀴 26 : 인양모터
31 : 제어부 36 : 수위감지센서
37 : 전압가변소자 38 : 플로트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소규모 발전소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의 유입 수로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흘러온 쓰레기(협잡물)를 수거하여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위에 비례하여 수거기의 운전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서 우천시와 같이 물의 유입이 많아질 경우 협잡물의 수거 속도를 신속히 하여 수로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및 기타 산업하수처리장 등에 설치대(11)와 수로(10)의 바닥에는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 사이에는 체인(23)이 설치되며, 상기 체인(23)의 양측에는 체인(23)을 보호하는 체인커버(24)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23)에는 일정 간격으로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갈퀴(25)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21)은 콘트롤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인양모터(26)로부터 회전동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는 콘트롤부(30)의 제어에 의해 인양모터(26)가 구동되면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 전달기구에 의해 회전력이 구동스프라켓(21) 및 종동스프라켓(22)에 전달됨으로서 체인(23)이 체인커버(24) 내에서 일정한 궤도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로(10) 내에 유입된 협잡물(40)은 체인커버(24)에 설치된 갈퀴(25)에 걷어 올려져 상승하게 되며, 구동스프라켓(21)이 위치한 지점에서 수거함(27)으로 낙하됨에 따라 수로(10)에 유입된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는 콘트롤부(30)에서 인양모터(26)를 구동하는 속도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협잡물(40)을 수거하는 갈퀴(25)가 설치된 체인(23)의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수로(10)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나 수압등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우천 등으로 인하여 수로(10)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그 만큼 유속이 빠르게 진행되어 협잡물(40)의 유입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물의 유입량에 비례하여 협잡물(40)의 제거속도 역시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나, 콘트롤부(30)에서 인양모터(26)를 구동하는 속도는 고정되어 수로(10)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나 수압등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입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수위레벨에 따라 비례하여 수거기의 운전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서 우천시와 같이 물의 유입이 많아질 경우 협잡물의 수거 속도를 신속히 하여 수로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대와 수로의 바닥에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 사이에는 체인이 설치되며, 상기 체인의 양측에는 체인을 보호하는 체인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에는 일정 간격으로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갈퀴가 설치되며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스프라켓을 구동하는 인양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되어 있는 수로의 바닥면에는 저항축과 상기 저항축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저항축의 저항값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가변소자와 상기 저항축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위레벨에 따라 승하강되어 저항축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플로트로 이루어진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의 출력단은 콘트롤부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흐르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로의 수위레벨에 비례하여 인양모터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콘트롤신호에 의해 인양모터가 구동되면 일정한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체인에 설치된 갈퀴에 의해 수로에 유입된 협잡물을 반복적으로 연속제거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 흐르는 물의 수위를 판독하는 현재수위 판단과정과, 상기 현재수위 판단과정을 통해 판독된 현재수위가 설정된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인지를 판단하는 수위레벨 판단과정과, 상기 수위레벨 판단과정에서 수로의 현재 수위가 저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저속으로 구동하고, 현재의 수위가 중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중속으로 구동하고, 현재의 수위가 고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모터 구동속도 제어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설치상태도로서, 설치대(11)와 수로(10)의 바닥에는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 사이에는 체인(23)이 권선 설치되며, 상기 체인(23)의 양측에는 체인(23)을 보호하는 체인커버(24)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23)에는 일정 간격으로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갈퀴(25)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21)은 콘트롤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인양모터(26)로부터 회전동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로(10)의 바닥면에는 저항축(39)의 종단부에 설치된 전압가변소자(37)와, 상기 저항축(39)의 외측에서 수위레벨에 따라 승하강되는 플로트(38)로 구성된 수위감지센서(36)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36)의 출력단은 콘트롤부(30)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제어블록도로서, 오물수거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33)와, 오물수거장치의 조작상태 및 구동사항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33)로부터 인가되는 조작신호로서 드라이브(32)를 통해 인양모터(26)를 구동하고 각종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에 표시하는 제어부(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의 일측 입력단에는 수위감지센서(36)의 전압가변소자(37)의 출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1)는 수위감지센서(36)로부터 출력되는 수위레벨신호에 의해 인양모터(26)를 여러 단계의 속도로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수로(10)에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수로(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36)의 플로트(38)가 승.하강하게 되며, 이때 플로트(38)의 위치변화에 따라 저항축(39)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며, 이 저항값의 변화로 인하여 전압가변소자(37)의 출력전압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수로(10)에 유입된 수위레벨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가변소자(37)의 출력전압은 도 3의 콘트롤부(30)인 제어부(31)에 인가되며, 수위감지센서(36)의 출 력전압값을 판독하여 그에 비례하도록 인양모터(26)의 구동속도를 여러 단계로 제어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제어부(31)에서는 수위감지센서(36)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읽어(단계 101)들이고, 이때 읽어들인 전압값으로 현재의 수로(10)에 흐르는 물의 수위를 판독(단계 102)하게 되는 현재수위 판단과정(L1)을 실행하게 된다.
이 후, 상기 현재수위 판단과정(L1)을 통해 판독된 현재수위가 설정된 수위레벨에 해당되는지의 여부 즉,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인지를 판단(단계 103, 104, 105)하는 수위레벨 판단과정(L2)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현재의 수위가 저수위로 판단(단계 103)되면 드라이브(32)를 통해 인양모터(26)를 저속으로 구동(단계 106)하게 되며, 현재의 수위가 중수위로 판단(단계 104)되면 드라이브(32)를 통해 인양모터(26)를 중속으로 구동(단계 107)하게 되고, 또한 현재의 수위가 고수위로 판단(단계 105)되면 드라이브(32)를 통해 인양모터(26)를 고속으로 구동(단계 108)하는 모터 구동속도 제어과정(L3)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로(10)의 수위레벨에 따라 인양모터(26)의 구동속도를 여러 단계로 자동 제어함으로서 우천시 수위가 갑자기 불어날 경우 협잡물(40)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게 수로(10)에서의 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수위레벨에 따라 저속, 중속, 고속의 3단계로서 인양모터(26)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나, 수로(10)의 구조나 인양모터(26)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보다 세분화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의 바닥면에 저항축, 전압가변소자, 플로트로 구성된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유입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수위레벨에 따라 비례하여 인양모터의 운전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서 우천시와 같이 물의 유입이 많아질 경우 협잡물의 수거 속도를 신속히 하여 수로에 유입된 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 정 정 ) 설치대(11)와 수로(10)의 바닥에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1)과 종동스프라켓(22) 사이에는 체인(23)이 설치되며, 상기 체인(23)의 양측에는 체인(23)을 보호하는 체인커버(24)가 설치되고,
    상기 체인(23)에는 일정 간격으로 협잡물을 걷어 올리는 갈퀴(25)가 설치되며 콘트롤부(3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스프라켓(21)을 구동하는 인양모터(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종동스프라켓(22)이 설치되어 있는 수로(10)의 바닥면에는 저항축(39)과 상기 저항축(39)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저항축(39)의 저항값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가변소자(37)와 상기 저항축(39)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위레벨에 따라 승하강되어 저항축(39)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플로트(38)로 이루어진 수위감지센서(36)가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36)의 출력단은 콘트롤부(3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36)에서 흐르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로(10)의 수위레벨에 비례하여 인양모터(26)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2. ( 정 정 ) 제어부(31)의 콘트롤신호에 의해 인양모터(26)가 구동되면 일정한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체인(23)에 설치된 갈퀴(25)에 의해 수로에 유입된 협잡물(40)을 반복적으로 연속제거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 흐르는 물의 수위를 판독하는 현재수위 판단과정(L1)과,
    상기 현재수위 판단과정(L1)을 통해 판독된 현재수위가 설정된 저수위, 중수위, 고수위인지를 판단하는 수위레벨 판단과정(L2)과,
    상기 수위레벨 판단과정(L2)에서 수로의 현재 수위가 저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저속으로 구동(106)하고, 현재의 수위가 중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중속으로 구동(107)하고, 현재의 수위가 고수위로 판단되면 인양모터를 고속으로 구동(108)하는 모터 구동속도 제어과정(L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12449A 2003-02-27 2003-02-27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4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449A KR100549795B1 (ko) 2003-02-27 2003-02-27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449A KR100549795B1 (ko) 2003-02-27 2003-02-27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871U Division KR200314265Y1 (ko) 2003-02-27 2003-02-27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950A KR20030025950A (ko) 2003-03-29
KR100549795B1 true KR100549795B1 (ko) 2006-02-13

Family

ID=277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449A KR100549795B1 (ko) 2003-02-27 2003-02-27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95B1 (ko) * 2021-04-27 2021-10-25 주식회사 연성 다중 경로를 갖는 로터리 제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689B1 (ko) * 2016-11-21 2018-06-04 현대건설 주식회사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CN107878690A (zh) * 2017-11-01 2018-04-06 榆林学院 一种公园水面漂浮物自动识别捕捞船
CN109083101B (zh) * 2018-08-22 2020-10-23 极简(嘉兴)园林景观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水利工程用的引流装置的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695B1 (ko) * 2021-04-27 2021-10-25 주식회사 연성 다중 경로를 갖는 로터리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950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785A (en) Drainage pump station and drainage operation method for drainage pump station
KR101900678B1 (ko) 스마트 펌프일체형수문 및 그 구동방법
KR100549795B1 (ko)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1691A (ko) 우수토실용 맨홀의 우수차단장치
KR101675781B1 (ko) 초기 우수 분리장치
KR200314265Y1 (ko)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KR10064826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10478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
JP2007186958A (ja) 除塵機の運転制御方法
KR200381089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212772749U (zh) 一种智能型雨水篦子
JP4163092B2 (ja) 越流水除塵装置におけるドラムスクリーンの稼働検知システム
CN113041668A (zh) 一种电厂废水浓缩处理池刮泥机防卡死方法
JP2005076382A (ja) 除塵装置
JP4439428B2 (ja) 水路の水位差検知装置
KR20170118471A (ko) 차집 및 방류 제어 시스템
KR200271608Y1 (ko) 제진기의 자동운전 장치
CN220394805U (zh) 一体化截流井
KR200255489Y1 (ko) 제진기
KR102278489B1 (ko) 모드운전 기능이 구비된 펌프 게이트 시스템
KR200177214Y1 (ko) 모래제거효율을 증대시킨 침사지
JP2562397B2 (ja) 回分式処理槽のスカムおよび上澄液排出装置
CN221052799U (zh) 一种市政道路排水拦截结构
CN217449195U (zh) 一种循环水槽
KR200264989Y1 (ko) 제진기용 티 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