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735B1 - 연삭휠 - Google Patents

연삭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735B1
KR100549735B1 KR1020040023544A KR20040023544A KR100549735B1 KR 100549735 B1 KR100549735 B1 KR 100549735B1 KR 1020040023544 A KR1020040023544 A KR 1020040023544A KR 20040023544 A KR20040023544 A KR 20040023544A KR 100549735 B1 KR100549735 B1 KR 10054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wheel
shank
coupling member
grindstone
whee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204A (ko
Inventor
박강래
이환철
조성운
이병권
Original Assignee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7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Landscapes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샹크와 그에 결합된 지석부를 탈착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지석부의 마모시 교체 사용이 가능토록 하여 연삭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연삭휠에 관한 것으로서, 연삭휠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지석부가 마모 또는 손상될 경우 지석부만을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지석부의 무게 중심이 보정된 상태에서 교체 사용되므로 별도의 밸런싱 공정이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삭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은 샹크와 그에 결합된 지석부를 포함하는 연삭휠로서, 상기 지석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석부를 샹크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가 결합된다.
연삭휠, 샹크, 지석부, 다이아몬드, 밸런싱 홀, 융착, 소결

Description

연삭휠 {GRINDING WHEEL}
도 1은 일반적인 연삭휠의 사시도.
도 2은 일반적인 연삭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단면도.
도 5는 소결법(a), 전착법(b) 및 융착법(c)에 의해 지립을 샹크 상에 부착시킨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휠의 분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휠에서 샹크와 지석부의 결합을 위하 다른예의 측다면도 및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변형예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변형예의 정면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변형예에 형성된 나선형 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연삭휠 52 : 샹크
53, 58 : 밸런싱 홀 54 : 나사산부
55 : 지석부 57 : 결합부재
본 발명은 샹크에 결합된 지석부로 가공물의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샹크와 그에 결합된 지석부를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지석부의 마모시 이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연삭효율이 향상되고 샹크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연삭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휠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물(workpiece)의 내면이나 외면 등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휠 형태 또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지석부(15)와, 연마장비와 같은 공작기계에 결합되기 위한 샹크(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석부(15)는 통상 복수개의 연마입자와 결합재가 소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되는 샹크(12)는 통상 스테인레스강 또는 탄소강과 같은 금속 재료이다. 상기 연삭휠(10)은 일정한 두께의 원통 형상의 지석부(15)가 에폭시와 같은 열경화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샹크(12)에 결합된 형태로 제조되며, 상기 샹크(12)가 연마장비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수만 rpm의 초고속 회전을 하면서 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연삭휠(10)에는 무게중심과 기하학적 회전중심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언밸런스(unbalance)를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샹크(12)에 하나 이상의 밸런싱 홀(13)이 형성된다. 이는 경우에 따라 상기 밸런싱 홀(13)에 상기 샹크(12)의 밸런싱을 맞추기 위해 볼트 등의 무게 추가 체결되기도 한다.
전술된 연삭휠(10)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상기 지석부(15)의 다이아몬드 지립이 이탈되거나 눈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연삭효율이 저하되고, 상기 지석부(15)의 원주표면이 불균일하게 편마모되어 가공물을 정확하게 연삭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샹크(12)에 형성된 밸런싱 홀(13)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밸런싱 홀(13)을 추가로 형성하여 (또는 무게 추를 추가 부착하여) 연삭휠(10)의 무게중심을 정확하게 보정하기가 어렵고 이의 보정을 위해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연삭휠(10)은 상기 지석부(15)의 마모가 심할 경우 상기 샹크(12)와 함께 교체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제품의 구매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삭휠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지석부가 마모 또는 손상될 경우 지석부만을 간단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삭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석부의 무게 중심이 보정된 상태에서 교체 사용되므로 별도의 밸런싱 공정이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삭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삭 공정 중에 냉각수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가공에도 사용이 가능한 내열성을 갖는 연삭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은 샹크와 지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석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석부를 샹크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하나 이상의 밸런싱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샹크부도 하나 이상의 밸런싱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금속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석부는 소결법에 의해 별도로 제조되고, 상기 지석부는 결합부재에 브레이징, 연납땜, 경납땜, 저항 용접, 접착제 등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지석부는 전착법 또는 융착법에 의해 결합부재 상에 지립을 부착하여 제조될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샹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재와 샹크부재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의 샹크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대향 단부는 폐쇄된 형태이고, 상기 폐쇄된 형태의 단부에는 토크 전달 공구와 결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내주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형상의 키이가 형성되고, 샹크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이와 정합되기 위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석부는 결합재와 지립을 포함하고, 상기 지립은 인조 또는 천연 다이아몬드, 입방정질화붕소, 탄화실리콘, 알루미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석부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석부의 원주표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선 이상의 나선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홈은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선형 홈은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상에 등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형 홈은 10도 내지 80도의 리드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형 홈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사시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5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장비에 장착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며 가공물의 표면과 접촉하여 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한다. 상기 연삭휠(50)은 통상 스테인레스강 또는 탄소강과 같은 고강도강으로 이루어져 연삭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샹크(52)와, 상기 샹크(52)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연마입자(55a)와 결합재(55b)가 소결에 의해 형성된 지석부(55)와, 상기 지석부(5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석부(55)를 상기 샹크(5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57)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57)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중심에 상기 샹크(52)에 결합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강 또는 탄소강과 같은 고강도강으로 이루어지거나 고강도 내열성의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57)와 샹크(52)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서, 상기 연삭휠(50)은 사용된 연마입자(55a)의 종류에 따라 다이아몬드 연삭휠과 입방정질화붕소(cubic Boron Nitride, c-BN) 연삭휠로 구분된다. 상기 다이아몬드 연삭휠은 석재, 아스팔트, 세라믹, 비철재료 등의 가공에는 적합하지만, 가공물의 탄소고용도가 높은 철강재료의 경우에는 다이아몬드 연삭휠보다는 고온에서 피삭재와의 반응성이 높지 않고 고온 경도성능이 우수한 c-BN 연삭휠이 많이 사용된다. 전술된 c-BN 연삭휠은 상기 다이아몬드 연삭휠에 비해 경도와 압축강도는 약간 낮지만 내열 특성 및 고온강도, 내반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철강재료의 가공에 적합하다. 하기에서 편의상 상기 연삭휠(50)이라는 것은 상기 지석부(55)의 연마입자(55a)가 다이아몬드 또는 c-BN의 연마입자인 것을 모두 통칭하는 것을 의미하며, A(Alundum) 및 WA(White Alundum), C(Carborundum), GC(Green Carborundum)라고 불리는 알루미나(Al2O3) 또는 탄화규소(SiC, Silicon Carbide) 연삭휠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명칭인 것을 미리 밝혀둔다. 예컨대, 다이아몬드 지석부(55)는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다이아몬드와 결합재를 잘 혼합한 후 이를 프레스 성형하고, 고온에서 소결하여 제조한다. 결합재의 종류에 따라 메탈본드(metal bond), 레진본드(resin bond), 비트리파이드 본드(vitrified bond)로 구분된다. 이러한 결합재는 사용상태에 따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최근에는 가공물의 진직도, 진원도, 동심도, 평행도와 같은 가공정밀특성이매우 높게 요구되는 베어링의 내경이나 자동차 엔진의 노즐 가공을 위해 기존의 초경공구보다 연마성 및 정밀가공이 유리한 비트리파이드 다이아몬드 연삭휠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이아몬드 연삭휠을 사용하여 피삭재를 정밀가공 연마를 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다듬질면의 표면조도가 매우 좋아지기 때문에 접촉면적이 증 가하여, 베어링과 같은 소재의 부하능력 및 피로강도, 내마모성, 내식성의 증대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또한 피삭재 소재의 표면 변질층 두께의 감소에 따른 기계적 특성의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연삭휠(5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57)에 지립(55a) 및 지석부(55)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소결팁 용접법(이하 소결법이라 함), 전착법(electroplating), 융착법(brazing) 또는 접착법 등이 있다. 도 5는 소결법(a), 전착법(b) 및 융착법(c)에 의해 지립(55a)을 결합부재(57) 상에 부착시킨 단면도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소결법은 지립(55a)과 결합재(55b)를 미리 혼합, 프레스성형, 소결하여 소결팁(즉, 별도의 지석부)을 제작한 후 이를 상기 결합부재(57)의 외측에 배치한 후 브레이징, 연납땜, 경납땜, 또는 저항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부재(57)에 접합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전착법은 전해 또는 무전해 전기도금에 의해 니켈 도금층 등의 결합재(55b)를 이용해 지립(55a)을 결합부재(57)에 부착시키고, 도 5의 (c)에 도시된 융착법은 결합재(55b)인 금속과 바인더가 혼합된 액상 페이스트(paste) 또는 필러재료를 결합부재(57)에 도포한 후 지립(55a)을 분산시켜 고온에서 결합부재(57)와 접합시킨다. 여기서, 융착법은 상기 지석부(55)와 결합부재(57)를 가열하는 방법에 따라 금속 또는 비금속 발열체를 사용하는 방법과 고주파 유도코일을 이용하는 발열법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결합부재(57)의 표면에는 에칭, 샌딩 등으로 미세한 요철부를 형성하여 결합재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전술된 소결법, 융착법 및 전착법에서 지립이 결합재에 의해 결합부재(57)와 보다 더 견고히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57)에 결합된 지석부(55)는 연삭기에 결합되기 위해 샹크(52)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휠의 분해도인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연삭휠(50)은 상기 지석부(55)와 결합된 결합부재(57)가 상기 샹크(5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57)의 내주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샹크(52)의 일단부에는 결합부재(57)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57)의 내주면과 상기 샹크(52)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는 연삭휠(50)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재(57)와 샹크(52)의 나사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상기 연마장비의 회전방향에 따라 오른나사 또는 왼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재(57)에 형성된 상기 나사 구멍은 관통 구멍이 아닌 일 단부가 폐쇄된 형태로 하고, 드라이버 또는 렌치를 이용하여 샹크(52)에 지석부(55)를 나사 결합 또는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것을 폐쇄된 단부면에는 여러 종류의 드라이버 또는 렌치와 같은 토크 전달 공구와 결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는 결합부재(57)의 폐쇄 단부면(57a)에 "+"형 오목홈을 형성하여 십자 드라이버로 샹크에 지석부를 나사 결합 또는 해제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샹크(52)와 지석부(55)를 결합하는 다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샹크(52)의 일단부에는 수나사(61)가 형성되고, 수나사의 뒤로는 (도면에서 나사의 좌측으로) 샹크(52)의 종방향을 따라 적어도 지석부(55)의 두께만큼 키이(key)(6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샹크(52)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키이(63)의 종단에는 (또는 샹크의 다른 위치에는) 정지부(64)가 형성된다. 상기 지석부(55)의 결합부재(57)에는 구멍은 상기 키이(63) 및 정지부(64)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샹크(52)에 지석부(55)가 끼워질 때 지석부(55)의 결합부재(57)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샹크(52)에 형성된 키이(63)는 서로 정합하여 샹크(52)와 지석부(55)는 서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정지부(64)에 의해 지석부(55)가 샹크(52)의 축방향으로 더 이상 끼워지지 않게 된다. 샹크(52)에 지석부(55)를 끼우게 되면 샹크(52)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61)가 지석부(55)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수나사(61)는 별도로 준비된 너트(62)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때, 지석부는 너트(62)와 키이(63)의 종단에 형성된 정지부(64) 사이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은 기계적 결합에 의해 지석부(55)가 샹크(52)에 결합되면, 본 발명의 연삭휠을 이용하여 피삭재를 연삭 가공하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종래의 지석부와 샹크를 에폭시와 같은 열경화성 접착제로 결합시킨 경우와 달리) 샹크(52)와 지석부(55) 사이의 결합에 탈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삭휠은 냉각수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연삭 가공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키이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키이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이때, 결합 부재의 내주연과 샹크의 외주연의 단면 형상을 다각형으로 하는 경우에도 결합 부재와 샹크는 견고히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도 키이의 단면 형상과 개수를 적절히 조합한 결과이므로,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결합 부재와 샹크도 넓은 의미에서 전술된 키이를 포함하는 구성에 포함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57)와 샹크(52)는 에폭시와 같은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 해 결합되거나, 열박음과 같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서도 결합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연마효율을 향상시키고 연삭휠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연삭휠의 지석부의 표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는, 사시도인 도 8, 정면도인 도 9, 측면도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석부(65)의 표면에는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나선형 홈(65a)이 형성된다. 상기 나선형 홈(65a)은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상에 등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나선형 홈(65a)의 조밀도는 인접되는 나선형 홈(65a)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거나 축의 단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 즉 리드각을 조정해 줌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나선형 홈으로 조정해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러한 변형예에서, 상기 나선형 홈(65a)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3조로 이루어지고, 인접되는 나선형 홈(65a)과 120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선형 홈(65a)은 축의 단면에 대해 20도의 기울어진 리드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0도 내지 80도 이하의 리드각을 형성함으로써 나선형 홈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의 나선형 홈의 단면도로서, 상기 나선형 홈(65a)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꼴, 사변형 등의 다각형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의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나선형 홈을 형성하는 것은 연삭휠의 회전방향과 연관이 있으며, 피삭재의 가공시 칩의 배출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또 한 나선형 홈의 폭, 깊이, 형상 등은 피삭재의 기계적 특성 및 칩배출 특성 등에 의해 다양한 형상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표면에 나선형 홈(65a)이 형성된 지석부(65)는 가공물의 연삭시 접촉부하가 감소됨에 따라 연삭성이 증가하고, 상기 나선형 홈(65a)을 따라 열기가 배출되는 냉각작용으로 인해 버닝현상이 감소됨은 물론이고 가공물의 열 변형을 감소시킨다. 또한, 가공물의 연삭시 발생된 가공칩이 상기 나선형 홈(65a)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연삭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나선형 홈(65a)을 결합부재(57)와 닿는 부위까지 깊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나선형 홈(65a)의 모서리 부근에서 가공재와의 급격한 충격에 의해 상기 지석부(65)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석부(65)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초기에 지석부(65) 두께의 최소 약 1/5 내지 4/5 정도의 깊이로 나선형 홈(65a)을 형성하고, 상기 지석부(65)의 마모에 따라 나선형 홈(65a)의 깊이가 낮아지면 나선형 홈(65a)을 재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석부(65)는 베어링의 내경 또는 유리, 세라믹 부품의 구멍 가공 또는 엔진블록이나 노즐과 같이 정밀가공을 요하는 경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정밀가공을 위한 지석부(65)는 분말상의 다이아몬드 또는 입방정질화붕소(cubic Boron Nitride, c-BN) 중 어느 하나의 연삭입자와 메탈본드, 레진본드, 비트리파이드본드 중 어느 하나의 결합제가 혼합되어 소결된다. 여기서, 상기 비트리파이드본드는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SiO2-Al2O3-B2O3) 계열을 포함하며, 메탈본드 및 레진본드와 달리 일반적으로 20~40%의 체적분율로 기공을 형성시켜 피삭 재의 칩배출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비트리파이드 본드 지석부(65)는 상기 다이아몬드의 지립이 80 내지 400 메시 영역을 가지며, 다이아몬드의 집중도(concentration)는 100 내지 250의 영역에서 제조된다.
여기서, 집중도은 다이아몬드 또는 c-BN와 A(Alundum) 및 WA(White Alundum), C(Carborundum), GC(Green Carborundum)라고 불리는 알루미나(Al2O3) 또는 탄화규소(SiC, Silicon Carbide)를 포함하는 지석부(65)의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상기 지석부(65)의 품질을 결정하는 인자로 사용된다. 상기 집중도는 다이아몬드 지립의 단위 부피당 질량(carat/cm3)으로 표시된다. 예컨대, 집중도란 용적%로 표시한 지립율이 25%인 것을 집중도 100이라 하며, 이때의 다이아몬드 사용 캐럿의 수는 4.4carat/cm3이며, 가공물의 기계적 특성에 따라 상기 비트리파이드본드 지석부(65)의 조성을 결정한다. 여기서, 1 carat는 약 0.2g으로 환산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연삭휠(50)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바, 연삭휠의 무게중심과 기하학적 회전중심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언밸런스를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부재(57)에 하나 이상의 밸런싱 홀(5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석부(55)는 출하될 때 회전 밸런싱이 조절된 상태에서 제품으로 출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샹크(52)는 상기 지석부(55)와 결합부재(57)가 결합되기 전에 자체적인 회전 밸런싱이 보정되도록 하나 이상의 밸런싱 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샹크(52)와 결합부재(57)를 포함하는 지석부(55)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밸런싱이 보정되므로 상기 지석부(55)를 별도의 작업없이 교체 사용하여도 약 30,000 rpm 이하의 회전 속도에서도 회전 밸런싱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연삭휠의 지석부가 마모 또는 손상될 경우 지석부만을 간단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샹크의 지속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구매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제품의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석부와 샹크의 각각은 회전 밸런싱이 개별적으로 보정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연삭휠은 지석부를 교체하여도 별도의 밸런싱 과정 없이 양호한 회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샹크와 지석부를 포함하는 연삭휠로서,
    상기 지석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석부를 샹크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하나 이상의 밸런싱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샹크부는 하나 이상의 밸런싱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금속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는 소결법에 의해 별도로 제조되고, 상기 지석부는 결합부재에 브레이징, 연납땜, 경납땜, 저항 용접, 접착제 등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는 전착법 또는 융착법에 의해 결합부재 상에 지립을 부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샹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샹크부재는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샹크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대향 단부는 폐쇄된 형태이고, 상기 폐쇄된 형태의 단부에는 토크 전달 공구와 결합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내주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형상의 키이가 형성되고, 샹크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이와 정합되기 위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는 결합재와 지립을 포함하고, 상기 지립은 인조 또는 천연 다이아몬드, 입방정질화붕소, 탄화실리콘, 알루미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표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석부의 원주표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 선 이상의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상에 등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은 10도 내지 80도의 리드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홈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휠.
KR1020040023544A 2004-04-06 2004-04-06 연삭휠 KR10054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544A KR100549735B1 (ko) 2004-04-06 2004-04-06 연삭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544A KR100549735B1 (ko) 2004-04-06 2004-04-06 연삭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204A KR20050098204A (ko) 2005-10-11
KR100549735B1 true KR100549735B1 (ko) 2006-02-15

Family

ID=3727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544A KR100549735B1 (ko) 2004-04-06 2004-04-06 연삭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21B1 (ko) * 2007-11-05 2009-12-23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내경 연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2782B1 (ko) * 2012-05-21 2014-03-10 셰플러코리아(유) 베어링 궤도 연삭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57B1 (ko) * 2006-04-13 2007-10-09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내경 연삭용 비트리 휠
KR100750881B1 (ko) * 2007-03-29 2007-08-22 (주)두선 사판식 압축기의 회전체에 형성된 아암을 연삭하는양면연삭기
KR20090077241A (ko) * 2008-01-10 2009-07-15 왕성호 연삭밴드 고정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521B1 (ko) * 2007-11-05 2009-12-23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내경 연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372782B1 (ko) * 2012-05-21 2014-03-10 셰플러코리아(유) 베어링 궤도 연삭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204A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274C (zh) 研磨工具
KR20020020724A (ko) 연삭 숫돌
JP5943263B2 (ja) 研削ホイール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研磨物品
US20220055183A1 (en) Machining segment for a machining tool
JPH11320417A (ja) 研磨工具
KR100433194B1 (ko) 편마모방지용 세그먼트를 갖는 연마휠
US6692343B2 (en) Superabrasive wheel for mirror finishing
US20220055184A1 (en) Machining segment for the dry machining of concrete materials
CN112677061B (zh) 一种钢铁打磨用钎焊金刚石磨盘及其制备方法
KR100549735B1 (ko) 연삭휠
JP4340184B2 (ja) 砥石
JP4545100B2 (ja) 複合工具
JP2004268200A (ja) 複合型レジノイド砥石
KR100459810B1 (ko) 연삭휠 및 이를 가공하기 위한 연삭휠의 가공장치와연삭휠의 가공금형과 연삭휠의 가공방법
KR200237710Y1 (ko) 절삭및연삭이가능한연마휠
JP2001009733A (ja) ダイヤモンド工具
JP3226304U (ja) ビトリファイド異種混合砥石
CN112873070B (zh) 一种瓷砖倒角磨片及其生产方法
EP4344823A1 (en) Grinding segment and cup wheel with grinding segments
JP3537367B2 (ja) フライス工具
JP2010052045A (ja) カップホイール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ップホール
KR200344159Y1 (ko) 다이아몬드 그라인딩 컵 휠
KR100959022B1 (ko) 2단 입도 커터휠 및 그 제조방법
JP3998648B2 (ja) カップ型回転砥石
KR200231078Y1 (ko) 핸드 그라인더용 알루미늄 연마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