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004B1 - 메모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모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9004B1 KR100549004B1 KR1020040011577A KR20040011577A KR100549004B1 KR 100549004 B1 KR100549004 B1 KR 100549004B1 KR 1020040011577 A KR1020040011577 A KR 1020040011577A KR 20040011577 A KR20040011577 A KR 20040011577A KR 100549004 B1 KR100549004 B1 KR 100549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emories
- memory
- chip select
- clock en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
- 제1 칩 셀렉트 신호, 제2 칩 셀렉트 신호, 제1 클럭 인에이블 신호, 제2 클럭 인에이블 신호, 클럭 신호, 및 커맨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및전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과 후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칩 셀렉트 신호 및 상기 제1 클럭 인에이블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에 각각 인가되고, 상기 제2 칩 셀렉트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인에이블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에 각각 인가되고, 상기 커맨드 어드레스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에 공통으로 인가되는 복수개의 메모리 모듈들을 구비하고,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 각각은 상기 제1 칩 셀렉트 신호, 상기 제1 클럭 인에이블 신호, 상기 제2 칩 셀렉트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인에이블 신호들이 입력되는 각각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의 제1 입력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는 의사부하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부하는상기 제1 입력 커패시턴스가 상기 커맨드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의 제2 입력 커패시턴스의 두 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 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들은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모듈들이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만 구비한 싱글 랭크 메모리 모듈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 커패시턴스를 상기 제2 입력 커패시턴스와 같도록 상기 의사부하의 커패시턴스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모듈들이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을 구비한 더블 랭크 메모리 모듈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입력 커패시턴스를 상기 제2 입력 커패시턴스보다 크도록 상기 의사부하의 커패시턴스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 제1 칩 셀렉트 신호, 제2 칩 셀렉트 신호, 제1 클럭 인에이블 신호, 제2 클럭 인에이블 신호, 클럭 신호, 및 커맨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컨트롤러;상기 제1 칩 셀렉트 신호 및 상기 제1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는 제1신호라인;상기 제2 칩 셀렉트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는 제2신호라인;상기 커맨드 어드레스 신호가 인가되는 제3신호라인;전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과 후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메모 리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신호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신호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과 공통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메모리 모듈들; 및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와 상기 제1메모리들 각각의 사이의 상기 제1신호라인 및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와 상기 제2메모리들 각각의 사이의 상기 제2신호라인에 연결되는 의사부하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부하들은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칩 셀렉트 신호, 상기 제1 클럭 인에이블 신호, 상기 제2 칩 셀렉트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전송지연시간과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기 커맨드 어드레스 신호가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메모리들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전송지연시간의 차이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577A KR100549004B1 (ko) | 2004-02-20 | 2004-02-20 | 메모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577A KR100549004B1 (ko) | 2004-02-20 | 2004-02-20 | 메모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956A KR20050082956A (ko) | 2005-08-24 |
KR100549004B1 true KR100549004B1 (ko) | 2006-02-02 |
Family
ID=3726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15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9004B1 (ko) | 2004-02-20 | 2004-02-20 | 메모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490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5380B1 (ko) * | 2007-11-22 | 2013-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모듈 |
KR101477809B1 (ko) * | 2008-08-20 | 2014-12-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메모리 모듈을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2004
- 2004-02-20 KR KR1020040011577A patent/KR10054900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956A (ko) | 2005-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94982B2 (en) | Memory module with distributed data buffers | |
US12147367B2 (en) | Folded memory modules | |
US6862249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tive termination resistors in a memory system | |
US7768867B2 (en) | Stacked semiconductor device | |
KR100588599B1 (ko) |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시스템 | |
WO1999046687A1 (fr) | Emetteur de donnees | |
US8053911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data processor | |
KR101245380B1 (ko) | 메모리 모듈 | |
EP1306849B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tive termination resistors in a memory system | |
US8547761B2 (en) | Memory module and memory system comprising memory module | |
US7539826B2 (en) |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mirror mode operation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20110083859A (ko) | 메모리 버퍼를 갖는 메모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 |
CN110659228B (zh) | 存储器系统以及用于访问存储器系统的方法 | |
KR100549004B1 (ko) | 메모리 시스템 | |
US8896340B2 (en) | Semiconductor modules | |
KR20120080360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 |
KR20060031109A (ko) | 멀티 랭크 메모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메모리 랭크별 온다이 터미네이션 저항 조절 방법 | |
JP2005332407A (ja) | 半導体メモリ装置の改善されたミラーモード動作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の方法 | |
KR20030043409A (ko) | 두 개의 데이터 채널들을 가지는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는메모리 시스템 | |
KR20020061876A (ko) | 외부에서 메모리 칩 및 메모리 모듈의 특성 조정이 가능한메모리모듈 | |
KR20060076585A (ko) | 셋업 홀드 시간 조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