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534B1 - 셀 프로 젝션 마스크 - Google Patents

셀 프로 젝션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534B1
KR100548534B1 KR1019990014391A KR19990014391A KR100548534B1 KR 100548534 B1 KR100548534 B1 KR 100548534B1 KR 1019990014391 A KR1019990014391 A KR 1019990014391A KR 19990014391 A KR19990014391 A KR 19990014391A KR 100548534 B1 KR100548534 B1 KR 10054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ttern
exposure
patterns
d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951A (ko
Inventor
여경수
안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1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53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5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광학적 리소그라피(Non-Optical Lithography) 공정에서 노광용 마스크로 이용되는 셀 프로젝션(Cell Projection Mask)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셀 프로젝션 마스크는,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수 개의 제1마스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스크에는 그 중심부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마스크 패턴들을 갖는 제2마스크들이 구비되어 있는 셀 프로젝션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패턴들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커지는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 프로젝션 마스크{CELL PROJECTION MASK}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셀 프로젝션 마스크의 마스크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근접 효과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 및 상기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의 합인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근접 효과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 경우에서의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 및 상기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의 합인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셀 프로젝션 마스크의 제2마스크에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마스크 패턴들에 대한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 및 상기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의 합인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마스크 패턴들에 의해 얻어지는 노광 패턴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프로젝션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마스크 패턴들에 대한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 및 상기 도우즈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의 합인 최종적 인 도우즈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의 마스크 패턴들에 의해 얻어지는 노광 패턴들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프로젝션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제2마스크 a∼e : 마스크 패턴
30a∼30e : 노광 패턴 40 : 콘택홀 형성용 마스크 패턴
A4 : 실제 도우즈 B4 :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
C4 :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광학적 리소그라피(Non-Optical Lithography) 공정에서 노광용 마스크로 이용되는 셀 프로젝션(Cell Projection Mask)에 관한 것이다.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콘택홀 또는 소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식각 대상물 상에 감광막의 도포,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제1단계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식각 대상물을 식각하는 제2단계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노광 공정은 기존에 G-라인(λ=436nm), 또는, I-라인(λ=365nm) 파장의 광원을 이용한 광학적 노광 공정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파장의 광원을 이용한 광학적 노광 공정으로는 0.5㎛ 이하의 임계 치수를 갖는 콘택홀 또는 패턴을 형성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파장 보다도 더 짧은 파장의 광원, 예컨데, 전자-빔(Electron-beam), 이온-빔(Ion-beam), 또는, 엑스-레이(X-ray) 등을 이용한 비광학적 노광 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비광학적 노광 공정을 이용할 경우에는 0.2㎛ 정도의 임계 치수를 갖는 콘택홀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비광학적 노광 공정에서는 “셀 프로젝션 마스크(Cell Projection Mask : 이하, CPM)”라 불리는 노광용 마스크가 이용된다. 이러한 CPM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수 개의 제1마스크들(1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1마스크(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개구부(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의 주변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마스크 패턴을 갖는 제2마스크들(4a∼4e)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 빗금친 부분은 전자-빔의 차단 영역을 나타내며, 그 이외의 부분은 광 투과 영역을 나타낸다.
한편, 전자-빔을 광원으로 이용하는 CPM 방식의 비광학적 노광 공정시에는 백스캐터링(Backscattering)에 기인된 근접 효과(Proximity Effect)로 인하여, 패턴의 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백스캐터링이란 감광막에 투사된 전자가 그 하부층까지 도달한 후에, 다시 감광막에 투사되는 현상을 말하며, 그리고, 근접 효과란 패턴이 밀집되어 패턴 밀도가 조밀한 곳에서 전자의 스캐터링에 의해 패턴의 모양이나 크기가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광되는 전체 영역을 패턴 밀도를 기준으로 하여 수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대해서, 예컨데, 패턴 밀도가 조밀한 영역에서는 많은 양의 백스캐터링이 일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이 영역에서의 노광 에너지(이하, 도우즈(dose)라 칭함)는 적게 주고, 패턴 밀도가 조밀하지 않은 영역에서는 적은 양의 백스캐터링이 일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도우즈를 많이 주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상기한 근접 효과에 기인된 결함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도 3a는 모든 영역에 대해서 동일한 도우즈로 노광 공정을 수행할 경우의 도우즈(A1)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B1), 및 상기 도우즈(A1)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B1)의 합인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C1)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b는 근접 효과에 기인된 결함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패턴 밀도에 따라 각 영역들간의 도우즈를 상이하게 한 경우의 도우즈(A2)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B2), 및 상기 도우즈(A2)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B2)의 합인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C2)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패턴 밀도에 따라 각 영역에 대한 도우즈를 달리함으로써, 근접 효과에 기인된 결함 발생을 최소화시키고는 있으나, CPM의 제2마스크에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들의 조밀도에 의해서, 즉, 중심부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을 통해 노광되는 감광막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을 통해 노광되는 감광막 부분의 도우즈가 상이하게 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얻어진 노광 패턴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자세하게, 도 4는 라인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CPM의 제2마스크(4)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들(a∼e)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마스크 패턴들(a∼e)을 갖는 제2마스크(4)를 통해 노광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된 도우즈(A3)는 동일하지만,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B3)는 중심부가 가장자리 보다 크게 되고, 이에 따라,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C1)는 중심부가 가장자리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이 결과, 도우즈가 크면 노광 패턴의 폭은 커지고, 반대로, 도우즈가 작으면 노광 패턴의 폭이 작아지는 것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 즉, 노광 패턴들(20a∼20c)은 중심부에 배치된 노광 패턴(20a)의 폭이 가장자리에 배치된 노광 패턴(20c)의 폭 보다 더 넓게 되고, 이에 따라, 노광 패턴들(20a∼20c)간의 균일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제2마스크에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들의 폭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마스크 패턴들간의 패턴 밀도에 의해 노광 패턴 균일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PM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CPM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수 개의 제1마스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스크에는 그 중심부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마스크 패턴들을 갖는 제2 마스크들이 구비되어 있는 CPM으로서, 상기 마스크 패턴들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커지는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패턴들을 구비시킴에 있어서,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커지는 형태로 구비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마스크 패턴들이 구비된 제2마스크에 대한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가 균일하게 되는 것에 기인하여, 노광 패턴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PM의 제2마스크에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마스크 패턴들은 라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패턴들(a∼e)은 중심부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c)으로부터 가장자리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들(a, e)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넓게 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마스크 패턴들(a∼e)이 구비된 CPM을 이용하여 노광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균일한 폭을 갖는 노광 패턴들을 얻을 수 있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형태로 마스크 패턴들이 구비된 CPM의 제2마스크에 대해서 동일한 도우즈(A4)로 노광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일 마스크일지라도, 패턴 밀도가 조밀한 영역, 즉, 중심부에서는 많은 양의 백스캐터링이 일어나고, 반대로, 패턴 밀도가 조밀하지 않는 영역, 즉, 가장자리부에서는 적은 양의 백스캐터링이 일어나기 때문에,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B4)는 중심부가 가장자리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되고, 이에 따라, 인가된 도우즈(A4)와 백스캐터링에 의한 전자의 강도 분포(B4)의 합인 최종적인 도우즈 분포(C4)는 중심부가 가장자리 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다시말해서, 중심부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c)의 경우에는 백스캐터링 양이 많은 것에 기인하여, 최종적인 도우즈는 증가하지만, 가장자리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들(a, e)의 경우에는 백스캐터링 양이 매우 적은 것에 기인하여, 최종적인 도우즈의 증가는 것의 없게 된다.
따라서, CPM의 제2마스크에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들의 형태를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증가되도록 구비시키게 되면, 먼저, 중심부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에 대한 최종적인 도우즈는 증가되기 때문에, 도우즈가 크면 노광 패턴의 폭이 증가되는 것에 의해 노광 패턴의 폭은 실제 마스크 패턴의 폭 보다는 증가된다. 이에 반해, 가장자리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들에 대한 최종적인 도우즈는 것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도우즈가 작으면 노광 패턴의 폭이 감소되는 것에 기인하여, 가장자리에 배치된 마스크 패턴에 대한 노광 패턴의 폭은 실제 마스크 패턴의 폭 보다는 약간 감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점차 증가되는 형태로 마스크 패턴들을 구비시키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 패턴들(30a∼30e)의 폭을 제어할 수 있는 것에 기인하여, 상기 노광 패턴들(30a∼30e) 폭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콘택홀을 형성 하기 위하여 CPM의 제2마스크에 구비되는 콘택홀 형성용 마스크 패턴들(4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마스크 패턴들(40a∼40c)을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의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노광 패턴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라인 패턴 및 콘택홀 이외의 형태를 갖는 노광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 패턴을 구비시킬 수 있다.
게다가, CPM 이외에, 이온-빔 마스크, 엑스-레이 마스크, 또는, 스칼펠 마스크(SCALPEL Mask)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CPM의 제2마스크에 구비되는 마스크 패턴들을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커지는 형태로 구비시킴으로써, 노광 패턴들의 폭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노광 패턴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소자의 제조수율은 물론, 그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이에 대한 수정과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한 모든 수정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

  1.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수 개의 제1마스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마스크에는 그 중심부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마스크 패턴들을 갖는 제2마스크들이 구비되어 있는 셀 프로젝션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패턴들은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패턴 폭이 커지는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프로젝션 마스크.
KR1019990014391A 1999-04-22 1999-04-22 셀 프로 젝션 마스크 KR100548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91A KR100548534B1 (ko) 1999-04-22 1999-04-22 셀 프로 젝션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91A KR100548534B1 (ko) 1999-04-22 1999-04-22 셀 프로 젝션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51A KR20000066951A (ko) 2000-11-15
KR100548534B1 true KR100548534B1 (ko) 2006-02-02

Family

ID=1958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391A KR100548534B1 (ko) 1999-04-22 1999-04-22 셀 프로 젝션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015B1 (ko) * 2013-10-16 2020-03-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노광 장치 및 노광 방법
KR101677726B1 (ko) * 2015-12-07 2016-11-18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8643A (ja) * 1992-10-30 1994-05-2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用ガラス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16312B1 (ko) * 1992-12-31 1996-12-09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패턴 근접 효과를 제어하는 포토마스크
KR0152267B1 (ko) * 1989-10-27 1998-10-01 오가 노리오 노광마스크
KR0161389B1 (ko) * 1995-02-16 1999-01-15 윤종용 마스크 및 이를 사용한 패턴형성방법
JPH1115133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パタン形成方法
JPH1154399A (ja) * 1997-07-31 1999-02-26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267B1 (ko) * 1989-10-27 1998-10-01 오가 노리오 노광마스크
JPH06138643A (ja) * 1992-10-30 1994-05-2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用ガラス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16312B1 (ko) * 1992-12-31 1996-12-09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패턴 근접 효과를 제어하는 포토마스크
KR0161389B1 (ko) * 1995-02-16 1999-01-15 윤종용 마스크 및 이를 사용한 패턴형성방법
JPH1115133A (ja) * 1997-06-26 1999-01-22 Hitachi Ltd パタン形成方法
JPH1154399A (ja) * 1997-07-31 1999-02-26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51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20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act and via lithography
KR100798969B1 (ko) 포토마스크, 그 제조방법, 패턴형성방법 및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100564597B1 (ko) 포토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US20040248016A1 (en) Method of designing a reticle and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rewith
JP2877200B2 (ja) 露光用フォト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39225B2 (en) Mask for controlling line end shortening and corner rounding arising from proximity effects
KR100548534B1 (ko) 셀 프로 젝션 마스크
US7432043B2 (en) Photo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photosensitive film pattern of using the photo mask
KR20010062666A (ko) 포토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732749B1 (ko) 미세 패턴 형성용 마스크
JPS58175830A (ja) パタ−ン形成方法
KR100575355B1 (ko)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
KR20020018280A (ko) 이중노광을 이용한 포토마스크의 전자빔 노광방법 및 이를이용한 포토마스크 제조방법
US7897308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pattern reducing proximity effects
KR100586549B1 (ko) 포토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패턴 제조 방법
JP2000323377A (ja) 近接効果補正方法
KR100573469B1 (ko) 전자빔을 이용하는 포토마스크의 다중 노광방법
KR100455384B1 (ko) 웨이브 가이드형 교번 위상 반전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518217B1 (ko) 셀 프로젝션 마스크
KR100608345B1 (ko) 전자빔 프로젝션 노광용 스텐실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7542B1 (ko) 전자빔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10094005A (ko) 셀 프로젝션 마스크
KR100762234B1 (ko) 포토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노광방법
KR0151228B1 (ko) 고립된 다수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마스크
JP2685872B2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