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317B1 -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317B1
KR100548317B1 KR1020020080474A KR20020080474A KR100548317B1 KR 100548317 B1 KR100548317 B1 KR 100548317B1 KR 1020020080474 A KR1020020080474 A KR 1020020080474A KR 20020080474 A KR20020080474 A KR 20020080474A KR 100548317 B1 KR100548317 B1 KR 100548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real
part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002A (ko
Inventor
이동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종류를 실시간으로 주기적 확인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운용상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확인모드를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정보와 정보요청 주기를 입력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주기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으면 상대방 휴대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으로 운용상태 정보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하고,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확인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상대방의 현재 운용상태 정보를 데이터 통신으로 실시간 전송받아 문자 메시지로 표시하므로 상대방의 사생활을 존중하고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A METHOD OF CONFIRMATION WITH REALTIME FOR MOBILE PHONE OPERATION STATUS}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확인 방법 순서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정보 실시간 확인방법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휴대단말기 20 : 기지국
30 : 기지국제어기 40 : 교환국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현재 운용상태 종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정한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현재의 운용상태 종류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직접 수신하여 확인하는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된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장점이 있고, 계속되는 기술개발 등에 힘입어 통신비용 및 휴대단말기 가격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크기가 작게 소형화되어, 개인이 하나씩 사용하는 개인통신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주 통신하는 상대방의 현재 운용 상태(STATUS), 즉, 현재 회의중, 수면중, 식사중과 같은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상태 확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확인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을 하는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와 해당 서비스 영역 안에서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20)과,
상기 기지국(20)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기지국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3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통신 경로(PATH)를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하고,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교환국(MSC)(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기지국(20)과 무선신호를 유효하게 송수신하는 범위 또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상기 기지국(20)과 무선접속하여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것으로, 이동범위 및 서비스 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20)을 다수 시설하며, 상기 다수의 기지국(20)은 기지국제어기(30)에 의하여 관리한다.
상기 교환국(40)은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동시에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의 통신 경로를 연결 설정하고, 필요한 경우, 도1 에 도시되지 않은 공중통신망(PSTN)에 접속하여 다른 시스템의 가입자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통신 경로를 연결 설정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10) 운용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0)를 매너 모드(MANNER MODE)를 설정할 것인지 계속하여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매너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호출에 대한 착신 진동횟수를 임의 설정하고, 호출자에 대한 자동응답 메시지를 상기 교환국(40)에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 녹음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휴대단말기(10)가 피호출되었는지 판단하고, 피호출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제3 단계(S30)에서 판단하여 피호출되었으면 설정된 횟수로 진동하여 착신되었음을 표시하고, 상기 교환국(40)에 녹음된 응답메시지를 호출자에게 들려주는 제4 단계(S40)와,
상기 단계(S40)에 의한 자동응답을 한 후에 매너모드를 해제할 것인지 판단하여 해제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3 단계(S30)로 궤환하고, 해제하는 경우는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는 제5 단계(S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확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 사용자가 회의 또는 수면 등과 같이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 매너모드를 설정하고(S10), 착신 확인을 위한 진동 횟수를 0부터 임의 횟수로 설정하며, 응답메시지는, 일 예로, 현재 회의중이며 몇 시 이후에 통신 가능함 또는 지금 수면중이고 몇 시 이후에 통신 가능함 등과 같은 안내용 메시지로 입력하여 교환국(40)의 해당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하는 녹음한다(S20).
상기와 같이 매너모드 설정이 완료된 휴대단말기(10)가 피호출되었을 경우(S30),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설정된 횟수만큼 진동 벨을 울리므로, 상대방 호출에 의하여 착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교환국(40)에 의하여 해당 메모리 영역에 녹음된 응답 메시지를 호출자에게 자동으로 들려줌으로써, 현재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S40), 상기 설정된 매너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지를 판단하여, 해제하는 경우는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여 매너모드를 다시 설정하도록 하고, 해제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3 단계(S30)로 궤환하여 설정된 매너모드를 계속 이용한다(S50).
상기 구성의 종래 기술은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너모드를 설정하고, 응답을 위한 안내 메시지를 녹음시키며,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현재 설정된 매너모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서는 직접 호출하여 상기 안내 메시지를 청취하여야 하는 사용상 복잡하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매너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는, 통신을 하기 어려운 회의중, 취침중 등에도 착신벨이 울리거나, 호출에 응답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신뢰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부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특허원 제2000-54549호(2000. 9. 18)의 기술이 있다.
상기 본 발명 출원인의 선출원에 의한 기술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 특성상,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통화 중의 상태인지, 서비스 지역을 벗어난 상태인지,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인지, 호출 가능한 상태인지 등의 감시기능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감시기능을 이용하여 지정한 상대방 휴대단말기가 현재 통화 불가능한 경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는다,
상기의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지정된 상대방 휴대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되는 경우를 확인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를 가중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순하게, 지정된 상대방 휴대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므로, 통화 불가능한 상태의 원인을 확인하지 못하여 궁금증을 더해주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지정한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현재 운용상태 종류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직접 실시간 무선수신하고 해당 표시부에 문자로 표시하므로써, 운용상태 종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운용상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확인모드를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정보와 정보요청 주기를 입력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주기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으면 상대방 휴대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으로 운용상태 정보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하고,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확인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0)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10)로부터 운용상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확인하는 모드로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S100)과,
상기 준비과정(S100)에서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실시간 상태 정보를 요청할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고유한 전화번호 정보와, 정보요청 주기를 임의 시간값으로 설정 입력하고, 상기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에 의하여 실시간 운용상태 정보 제공요청 대상이 되는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고유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고, 정보 제공요청 주기를 임의 시간 값으로 설정하여 입력하는 입력과정(S110); 상기 입력과정(S110)에 의한 정보 제공요청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으로 이루어지는 주기과정과,
상기 주기과정에서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으면, 상대방 휴대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으로 운용상태 정보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하고,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10)와 접속하고 현재 설정된 운용상태 정보를 데이터 통신(DATA CALL)으로 실시간(REAL TIME) 전송 요청하는 요청과정(S130); 상기 요청과정(S130)의 휴대단말기(10)는, 상대방 휴대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 통신(DATA CALL)으로 인가되는 운용상태 정보를 일정한 시간 동안 실시간(REAL TIME) 수신하는 수신과정(S140); 상기 수신과정(S140)의 휴대단말기(10)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가 실시간 오류(ERROR) 없이 수신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S150); 상기 판단과정(S150)의 휴대단말기(10) 판단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상태정보를 오류 없이 실시간 수신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태정보 수신 오류 메시지를 휴대단말기(10)의 해당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준비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는 오류과정(S160); 상기 판단과정(S150)의 휴대단말기(10) 판단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상태정보를 오류 없이 실시간 수신완료한 경우, 수신된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운용상태 정보 메시지를 휴대단말기(10)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준비과정(S100)으로 궤환하는 분석과정(S170)으로 이루어진 확인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을, 첨부된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므로, 특정하게 지정한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운용상태 종류정보를 데이터 통신(DATA CALL)으로 실시간 직접 수신하여 확인하는 상태모드를 설정할 것인지 판단한다(S100).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기(10)는, 실시간 상태 정보 제공요청을 받은 경우, 데이터 통신(DATA CALL)으로 운용상태 정보를 직접 실시간 전송하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사용자는 상태 정보로써, 일 예로, 회의 상태, 식사 상태, 수면 상태, 공부 상태 등의 현재 운용상태 정보를 설정입력하여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준비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상태 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태정보를 요청할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고유한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고, 운용상태 정보를 요청할 주기 시간을 입력하며(S110), 상기와 같이 입력된 주기의 시간이 되었는지 판단하여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으면(S120), 상대방 휴대단말기(10)를 호출하여 접속하고, 데이터 통신(DATA CALL)으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운용상태 데이터 정보를 실시간 직접 전송하도록 요청한다(S130).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운용상태 정보 전송 요청된 상대방 휴대단말기(10)로부터 직접 전송되는 상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수신하고(S140), 상기 실시간 수신된 운용상태 데이터 정보가 오류 없이 수신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50).
상기 판단과정(S150)의 휴대단말기(10)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10)로부터 상태정보를 오류 없이 직접 수신 완료한 경우, 상기 직접 수신된 해당 운용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표시부에 문지 메시지로써 표시하고(S170), 상기 판단에서(S150) 상태정보를 수신완료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오류가 있는 상태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 오류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S160)한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 표시가 완료된 상태(S160, S170)에서, 상기 준비과정(S100)으로 궤환하여 상기 모든 과정을 반복하므로, 상기 요청 주기 단위로 갱신(UPDATE) 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운용상태 정보 모드의 설정을 취소하거나 또는, 상대방 휴대단말기(10)의 지정 및 상태정보 요청주기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빈번하게 통신을 하여야 하는 상대방의 현재 운용상태를 데이터 통신(DATA CALL)으로 확인하여 해당 표시부에 문자 메시지로 표시하고, 설정된 주기 단위로 갱신하므로, 실시간으로 현재의 운용상태 종류를 직접 확인하는 장점이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확인된 상대방 상태정보에 의하여, 상대방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고,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인들 사이에 상대방의 현재 운용상태 종류를 즉시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은, 상대방 휴대단말기(10)가 가까운 거리에 있고,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휴대단말기와 상대방 휴대단말기에 모두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기능이 내장되는 경우, 점대점 방식의 PEER TO PEER를 설정하여 상태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경우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현재 운용상태 정보를 데이터 통신으로 직접 실시간 무선전송받아 문자 메시지로 표시하므로, 상대방의 사생활을 존중하고 방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운용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상대방 상태정보를 직접 데이터 수신하여 확인하므로, 상대방의 현재 운용상황 또는 업무진행 상태를 소정의 임의 설정된 주기 단위로 갱신하면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운용상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는 확인모드를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정보와 정보요청 주기를 입력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주기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정보요청 주기가 되었으면 상대방 휴대단말기에 데이터 통신으로 운용상태 정보의 실시간 제공을 요청하고,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확인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휴대단말기는,
    현재의 운용상태를 설정하고, 데이터 통신에 의한 운용상태 정보 실시간 제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설정된 운용상태 정보를 데이터 통신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과정은,
    상기 준비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실시간 운용상태 정보 제공요청 대상이 되는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 정보를 입력하고, 정보 제공요청 주기를 임의 설정하여 입력하는 입력과정과,
    상기 입력과정에 의한 정보 제공요청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은,
    상기 주기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와 접속하고 현재 설정된 운용상태 정보를 데이터 통신으로 실시간 전송 요청하는 요청과정과,
    상기 요청과정의 휴대단말기는 상대방 휴대단말기로부터 데이터 통신으로 인가되는 운용상태 정보를 일정한 시간 동안 실시간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의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가 실시간 오류 없이 수신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의 휴대단말기 판단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오류 없이 실시간 수신완료 하지 못한 경우, 상태정보 수신 오류 메시지를 해당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준비과정으로 궤환하는 오류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의 휴대단말기 판단에 의하여,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오류 없이 실시간 수신완료한 경우, 수신된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운용상태 정보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준비과정으로 궤환하는 분석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방법.
KR1020020080474A 2002-12-16 2002-12-16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 KR100548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474A KR100548317B1 (ko) 2002-12-16 2002-12-16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474A KR100548317B1 (ko) 2002-12-16 2002-12-16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002A KR20040054002A (ko) 2004-06-25
KR100548317B1 true KR100548317B1 (ko) 2006-02-02

Family

ID=3734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474A KR100548317B1 (ko) 2002-12-16 2002-12-16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56B1 (ko) * 2007-07-06 2008-04-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제어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메시지 전송 서버
KR101467767B1 (ko) * 2008-03-3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002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9957B2 (en) Mobile phone and forwarding program storage medium
CN100382621C (zh) 信息处理设备
KR20070029009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보장치 및 방법
KR960027577A (ko) 디지탈 무선 전화 장치의 접속 방법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KR100548317B1 (ko) 휴대단말기 운용상태 실시간 확인 방법
JP200713479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識別情報送信装置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270661B1 (ko)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KR10067235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응답 메시지 전송 장치및 전송방법
JP3816787B2 (ja) 電話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および電話装置
JP420564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切り替え方法及び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及びコードレス電話機
JP200720194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030049382A (ko) 이동단말기간 데이터 공유방법
KR100251727B1 (ko) 차세대 디지탈 무선 전화기에서 통화 실패 원인 표시 방법
JP2003124870A (ja) 移動端末,基地局及び移動端末状態判定システム
KR100939714B1 (ko) 자동응답 메시지의 이 메일 전송방법
JP200519782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無線基地局、及びプログラム
JP3120790B2 (ja) Phs通信モード整合システムおよびphs通信モード整合方法
KR100995999B1 (ko)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KR100556929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원격 확인장치 및 방법
JP3699007B2 (ja) 携帯端末の無線電源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03520B1 (ko)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서비스방법
KR100652683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이어마이크 메시지 확인장치 및 방법
JPH1094033A (ja) 移動端末及び位置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